KR20100128569A -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 Google Patents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569A
KR20100128569A KR1020090047036A KR20090047036A KR20100128569A KR 20100128569 A KR20100128569 A KR 20100128569A KR 1020090047036 A KR1020090047036 A KR 1020090047036A KR 20090047036 A KR20090047036 A KR 20090047036A KR 20100128569 A KR20100128569 A KR 2010012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tude
cam portion
cam
drive mo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민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아이에스티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8569A/ko
Publication of KR2010012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B06B1/161Adjustable systems, i.e. where amplitude or direction of frequency of vibration can be va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4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with testing, calibrating, safety devices, built-in protection,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으로 갈수록 진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캠부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캠부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여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요동하는 진동바와; 상기 캠부와 상기 진동바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는 진폭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진폭조절부가 캠부와 진동바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별도의 유압 및 공압장치를 구비하여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캠부, 구동모터, 진동바, 진폭조절부

Description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AMPLITUDE CONTROL WAS POSSIBLE FOR VIB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갈수록 진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캠부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캠부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여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요동하는 진동바와; 상기 캠부와 상기 진동바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는 진폭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진장치는 모터 및 실린더 등의 구동에 의하여 편심진량을 회전시킴으로써, 기계부품 등의 피대상물로 일정 주파수를 갖는 진동을 발생시켜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하는 장치를 의미하며,그 적용분야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가진장치는 대게 진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특정 피대상물에 한하여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는 즉,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기가 다양한 여러 피대상물에 진동을 발생시켜 내구성을 시험하고자 할 시 피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별도의 유압 및 공압장치를 구비하여 내구성을 시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진폭조절부가 캠부와 진동바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별도의 유압 및 공압장치를 구비하여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 갈수록 진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캠부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캠부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여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요동하는 진동바와; 상기 캠부와 상기 진동바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는 진폭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바는 상기 캠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진폭조절부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부는 상기 진동바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진폭조절부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캠부는 상기 캠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하판의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판을 따라 좌우이동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이동판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진폭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진폭조절부는 상기 하판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결합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의 상부에 위치하는 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축에 축결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판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진폭조절부의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축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포텐시오미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캠부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인코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캠부의 타측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할 시 상기 캠부의 타측의 맥동을 방지하는 평행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진폭조절부가 캠부와 진동바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별도의 유압 및 공압장치를 구비하여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의 내구성을 시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하판에 구비된 상기 진폭조절부가 상기 하판의 상부에 구비된 이동판을 좌우이동시켜 상기 이동판을 따라 상기 캠부가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캠부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하판에 구비된 상기 진폭조절부가 구동모터, 웜휠, 웜기어, 피니언기어 및 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동판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진폭조절부의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축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포텐시오미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축이 제어부에 입력된 진폭값에 따라 회전한 후 정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캠부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인코더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캠부가 제어부에 입력된 진동수값 및 진동횟수값에 따라 회전한 후 정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캠부의 타측에 구비된 평행추로 인해 상기 캠부가 상기 구동모 터를 통해 회전하는 과정 중에 맥동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진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캠부(10), 구동모터(30), 진동바(50) 및 진폭조절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는 캠부(10)가 좌우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캠부(10)는 후술할 이동판(7)의 상부방향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써,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7)의 상부방향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양단부가 베어링고정되는 축(11)에 편심고정되어 상기 축(11)을 따라 편심회전하게 된다.
상기 캠부(10)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진폭이 감소하도록 예를 들어, 상기 축(11)에 편심고정된 상기 캠부(10)의 상부 외주면은 수평상태를 이루고, 상기 캠부(10)의 하부 외주면은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진상태를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3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캠부(10)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7)의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축(31)의 타측에는 상기 구동축(31)을 따라 정역회전하는 구동 피니언기어(33)가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캠부(10)가 편심고정되는 상기 축(11)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 피니언기어(33)의 하부방향에 위치한상태에서 상기 구동 피니언기어(33)와 치합되고, 상기 구동 피니언기어(33)보다 외경이 큰 종동 피니언기어(13)가 축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축(31)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 피니언기어(33)와 종동 피니언기어(13)를 통해 상기 캠부(10)가 편심고정된 상기 축(11)으로 전달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바(50)는 상기 캠부(1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캠부(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요동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진동바(5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단에 상기 캠부(10)의 외주면과 구름접촉하는 원형형상의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거나 구형상의 볼이 회 전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캠부(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수직바(501)와; 상기 수직바(501)의 상측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바(501)의 상하요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503)와; 상기 가이드부(503)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바(501)의 상부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되고, 상기 수직바(501)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요동하여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피대상물(미도시)로 상하진동을 전달하는 진동판(5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대상물(미도시)은 자동차용 호스,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 등의 자동차용 부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캠부(10)이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진동바(50)의 수직바(501)가 보다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바(501)의 상측은 상기 가이드부(503)의 내측에 구비되는 미끄럼 베어링(507)내에 수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이드부(503)는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7)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후술할 하판(5)의 전후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전면 및 후면판(51, 53)의 상측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고정판(55)상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폭조절부(70)는 상기 캠부(10)와 상기 진동바(50)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는 것으로써, 상기 진폭조절부(70)는 상기 캠부(10)와 접촉한 상태의 상기 진동바(50) 또는 상기 진동바(50)와 접촉한 상태의 상기 캠부(10)를 좌우이동시키거나 상기 진동바(50) 및 상기 캠부(10) 모두를 각각 좌우이동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진폭조절부(70)가 상기 진동바(50)를 좌우이동시키는 경우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진폭조절부(70)는 예를 들어, 상기 진동바(50)의 가이드부(503)의 일측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이 구동축에 축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할 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의 구동축을 따라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된 상기 가이드부(503)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바(501)는 상기 가이드부(503)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50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503)는 상기 고정판(55)상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고정판(55)상에는 상기 가이드부(503)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가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55)상에는 상기 수직바(501)를 내측에 수용하여 상기 가이드부(503)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수직바(501)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릿(미도시)이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폭조절부(70)가 상기 캠부(10)를 좌우이동시키는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상기 캠부(10)는 상기 캠부(10)의 하부방향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상기 하판(5)의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이동판(7)의 상 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판(7)을 따라 좌우이동하고,
상기 하판(5)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10)가 상기 이동판(7)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7)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진폭조절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7)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판(5)의 상부에는 양측이 베어링고정되는 가이드봉(510, 530)이 일정간격으로 좌우방향으로 수평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판(7)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510, 530)과 축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봉(510, 53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701, 703, 705)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5)에 구비되는 상기 진폭조절부(7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하판(5)에 좌우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모터(71)와;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축(710)과 축결합되는 웜휠(73)과; 상기 웜휠(73)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축(711)에 축결합되어 상기 웜휠(73)과 치합되는 웜기어(75)와; 상기 웜기어(75)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축(711)의 후단에 축결합되는 피니언기어(77)와; 상기 피니언기어(77)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판(7)에 좌우방향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기어(77)와 치합되는 렉부(7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71)의 구동축(701)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구동모터(71)의 구동축(710)을 따라 상기 웜 휠(73), 웜기어(75) 및 피니언기어(77)는 상기 구동축(710)을 따라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피니언기어(77)와 치합된 상태의 상기 렉부(79)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렉부(79)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시 상기 이동판(7)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캠부(10) 및 상기 구동모터(30)는 상기 이동판(7)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진폭조절부(70)가 상기 캠부(10)와 상기 진동바(50)를 좌우이동시킴으로써 진폭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하판(5)에 구비된 상기 진폭조절부(70)가 상기 하판(5)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이동판(7)을 좌우이동시켜 상기 이동판(7)을 따라 상기 캠부(10)가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캠부(10)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하판(5)에 구비된 상기 진폭조절부(70)가 상기 구동모터(71), 웜휠(73), 웜기어(75) 피니언기어(77) 및 렉부(7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동판(7)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캠부(10)가 회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71)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축(711)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공지된 포텐시오미터(90, Potentiometer)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공지된 상기 포텐시오미터(90)는 예를 들어, 상기 축(711)의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축(711)의 회전정도, 즉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도 2에서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0)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캠부(10)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공지된 인코더(100, Encoder)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공지된 인코더(100)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0)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캠부(10)의 회전정도, 즉 회전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상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진폭값을 입력할 수 있는 진폭값입력버튼과; 단위시간당 진동수값 및 전체 진동횟수값을 입력할 수 있는 진동수값입력버튼 및 진동횟수값입력버튼;이 예를 들어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버튼 방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상기 진폭값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진폭값을 근거로 상기 축(711)의 회전정도, 즉 회전수를 연산함과 동시에 상기 진동수값입력버튼 및 상기 진동횟수값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진동수값 및 진동횟수값을 근거로 상기 캠부(10)의 회전정도 즉, 회전수를 연산하는 연산부가 내장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진폭값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진폭값을 근거로 상기 축(711)의 회전수를 연산한 상기 연산부의 연산값에 따라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71)를 제어하여 상기 축(711)이 상기 연산부의 연산값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판(7) 및 상기 캠부(10)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텐시오미터(9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는 상기 축(711)의 회전수가 상기 연산부의 연산값과 일치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71)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진동수값입력버튼 및 상기 진동횟수값입력버튼을 통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진동수값 및 진동횟수값을 근거로 상기 캠부(10)의 회전수를 연산한 상기 연산부의 연산값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0)를 제어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10)가 상기 연산부의 연산값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게되고, 이때 상기 진동바(50)는 상하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인코더(10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는 상기 캠부(10)의 회전수가 상기 연산부의 연산값과 일치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상기 진폭조절부(70)의 구동모터(71)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축(711)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상기 포텐시오미터(9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축(711)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진폭값에 따라 회전한 후 정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0)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캠부(10)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상기 인코더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캠부(10)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진동수값 및 진동횟수값에 따라 회전한 후 정지될 수 있는 이점 또한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캠부(10)의 타측에는 상기 캠부(10)가 상기 구동모터(30)를 통해 정역회전할 시 상기 캠부(10)의 타측의 맥동(脈動)을 방지하는 평행추(13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행추(130)는 상기 캠부(10)의 타측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캠부(10)가 편심고정된 상기 축(11)의 타측에 하단이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11)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평행추(130)는 예를 들어, 소정 두께를 갖는 원형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캠부(10)의 타측에 구비된 상기 평행추(130)로 인해 상기 캠부(10)가 상기 구동모터(30)를 통해 회전하는 과정 중에 맥동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진폭조절부(70)가 상기 캠부(10)와 진동바(50)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미도시)의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처럼 별도의 유압 및 공압장치를 구비하여 여러 다양한 크기의 피대상물(미도시)의 내구성을 시험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캠부가 좌우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캠부가 회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하판, 51; 전면판,
53; 후면판, 55; 고정판,
510, 530; 가이드봉, 7; 이동판,
701, 703, 705; 이동부재, 10; 캠부,
11, 711; 축, 13; 종동 피니언기어,
30, 71; 구동모터, 31, 710; 구동축,
33; 구동 피니언기어, 50; 진동바,
501; 수직바, 503; 가이드부,
505; 진동판, 507; 미끄럼 베어링,
70; 진폭조절부, 73; 웜휠,
75; 웜기어, 77; 피니언기어,
79; 렉부, 90; 포텐시오미터,
100; 인코더, 130; 평행추.

Claims (8)

  1. 일측으로 갈수록 진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캠부와;
    상기 캠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캠부의 외주면에 구름접촉하여 상기 캠부의 회전에 따라 요동하는 진동바와;
    상기 캠부와 상기 진동바의 접촉위치를 이동시켜 진폭을 조절하는 진폭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바는 상기 캠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진폭조절부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진동바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진폭조절부에 의해 좌우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캠부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하판의 상부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이동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판을 따라 좌우이동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이동판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진폭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조절부는 상기 하판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축결합되는 웜휠과; 상기 웜휠의 상부에 위치하는 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웜휠과 치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축에 축결합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판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조절부의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축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포텐시오미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하는 상기 캠부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인코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의 타측에는 상기 캠부가 상기 구동모터를 통해 회전할 시 상기 캠부의 타측의 맥동을 방지하는 평행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KR1020090047036A 2009-05-28 2009-05-28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KR20100128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36A KR20100128569A (ko) 2009-05-28 2009-05-28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36A KR20100128569A (ko) 2009-05-28 2009-05-28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569A true KR20100128569A (ko) 2010-12-08

Family

ID=4350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036A KR20100128569A (ko) 2009-05-28 2009-05-28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85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744B1 (ko) * 2012-04-27 2013-11-20 조광영 가진기
CN106735105A (zh) * 2017-02-10 2017-05-31 郭能超 一种优化振动铸造机振动频率的调节装置
CN112964440A (zh) * 2021-02-21 2021-06-15 重庆苏试广博环境可靠性技术有限公司 一种超重型样品振动试验工装及使用方法
CN114769236A (zh) * 2022-05-18 2022-07-22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暖通管道水垢清除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744B1 (ko) * 2012-04-27 2013-11-20 조광영 가진기
CN106735105A (zh) * 2017-02-10 2017-05-31 郭能超 一种优化振动铸造机振动频率的调节装置
CN106735105B (zh) * 2017-02-10 2018-10-02 浙江拓新铸造有限公司 一种优化振动铸造机振动频率的调节装置
CN112964440A (zh) * 2021-02-21 2021-06-15 重庆苏试广博环境可靠性技术有限公司 一种超重型样品振动试验工装及使用方法
CN112964440B (zh) * 2021-02-21 2023-07-18 重庆苏试广博环境可靠性技术有限公司 一种超重型样品振动试验工装及使用方法
CN114769236A (zh) * 2022-05-18 2022-07-22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暖通管道水垢清除装置
CN114769236B (zh) * 2022-05-18 2024-05-28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建筑暖通管道水垢清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769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ynamic soil packing
US7207956B2 (en) Massage machine
KR100932591B1 (ko) 맛사지기
KR20100128569A (ko)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EP1529511A2 (en) Massaging machine and mechanism for adjusting protrusion of massaging balls therefor
KR20060018815A (ko) 톱니 기계, 절단 가공 방법 및 소음 감소 방법
FI3566784T3 (fi) Säädettävä tärytystoiminen käyttövoimajärjestelmä
KR102444541B1 (ko) 에어나이프의 각도 조절장치
EP3233322A1 (en) Bending machine for bending tubes, profiled sections, sheets and the like, with a measuring system for measuring the reaction force applied by the workpiece on the bending roller(s) of the machine
US11096859B2 (en) Massage unit and massage machine
US8899296B2 (en) Apparatus for servicing vehicle wheels
CN103008583B (zh) 自动变振幅的结晶器振动驱动装置
CN206281725U (zh) 一种弹簧疲劳试验机
US9156222B2 (en) Press machine and method for detecting top dead center thereof
JPH0956711A (ja) X線ct装置
JP2009122047A (ja) 角度検出装置
JP2006026872A (ja) 帯鋸盤によるワーク切断方法及び帯鋸盤
CN203529299U (zh) 悬臂带式输送机上的电动张紧装置
KR101849186B1 (ko) 마그네틱 롤러 구동 장치
KR100782156B1 (ko) 벨트 소음 및 진동 측정을 위한 벨트 구동장치
CN218538317U (zh) 可调角度可调速自动翻转机
CN113834554B (zh) 一种实验小鼠连续变化称重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250143Y1 (ko) 스폰지 커팅머신
JPH0518866A (ja) 遠心力載荷実験装置
EP3135393A1 (en) Eccentric drive mechanism for a fol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