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744B1 - 가진기 - Google Patents

가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744B1
KR101331744B1 KR1020120044474A KR20120044474A KR101331744B1 KR 101331744 B1 KR101331744 B1 KR 101331744B1 KR 1020120044474 A KR1020120044474 A KR 1020120044474A KR 20120044474 A KR20120044474 A KR 20120044474A KR 101331744 B1 KR101331744 B1 KR 101331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weight
pipe
sensor
exc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354A (ko
Inventor
조광영
이영훈
고광호
Original Assignee
조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영 filed Critical 조광영
Priority to KR1020120044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74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B06B1/1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the masses being elastically cou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3/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3/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involving a change of amplitu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적 개념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진시킬 적어도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구동축에 부착되고 소정 무게를 갖는 웨이트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편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가 상기 구동축의 중심선에서 방사상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몸체의 진동 정도를 조절하는 가진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진기{Vibration exciter}
본 발명은 가진기 및 이를 사용한 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진기는 타겟 시스템에 대하여 진동을 가하는 장치로서,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시스템들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3-0005587(2003. 01. 23)에는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에 결합된 반원형상의 고정 원심력 발생판을 구비하고, 고정 원심력 발생판과 연접되게 회전축에 결합하되 고정 원심력 발생판과의 합체되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기적인 원심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진력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가진기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8-0015958(2008.02.21)에는, 모터의 축에 편심 캠을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회전 진동운동을 직선 진동운동으로 변환한 일정 변위 진동 가진기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가진기 및 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의 정도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가진기 및 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목적은, 가진시킬 적어도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구동축에 부착되고 소정 무게를 갖는 웨이트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편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가 상기 구동축의 중심선에서 방사상으로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몸체의 진동 정도를 조절하는 가진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진동의 정도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가진기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가진기에 설치되는 편심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편심부에 장착되는 웨이트의 사시도이고,
도5는 도1의 가진기의 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도1의 가진기에 설치되는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이 장착된 가진기를 나타난 개략 사시도이고,
도9는 가진기에 배관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는 표현은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직접적 연결을 의미할 뿐 아니라 다른 제3의 구성요소를 매개로 한 간접적 연결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100)는, 제1 몸체(20), 제2 몸체(30), 및 모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20)는 가진기(100)의 상부 몸체로서 예컨대 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몸체(20)의 상단부에는 상부 커버(23)가 부착될 수 있다. 제1 몸체(20)는 내부에 제1 몸체(20) 및 상부 커버(23)로 둘러싸인 중공부를 포함하고, 이 중공부에 편심부(60)가 위치한다.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부에 편심부(60) 뿐만 아니라 센서(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몸체(20)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개구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22)는 발열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 동작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제2 몸체(30)는 가진기(100)의 하부 몸체이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통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몸체(30)는 복수개의 받침대(40a,40b,40c)에 의해 바닥 표면에 고정된다.
제2 몸체(30)의 내부 중공부에는 모터(50)가 고정 설치된다. 모터(50)의 구동축에는 편심부(60)가 부착될 수 있다. 제2 몸체(3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개구부는 통해 모터의 발열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의 동작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몸체(20) 및 제2 몸체(30)는 탈착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 몸체(20)의 하부 단부 및 제2 몸체(30)의 상부 단부에 각각 플랜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27)를 갖는 플랜지 결합수단(25)이 상기 제1 몸체(20)와 제2 몸체의 플랜지를 결합함으로써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가 탈착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플랜지 결합수단(25)을 사용하지 않고,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의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나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를 서로 결합할 수도 있으며, 그 외에 다른 다양한 체결방식으로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를 탈착가능하게 결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모터(50)의 구동축에 부착되는 편심부(6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도1의 가진기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가진기에 설치되는 편심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편심부에 장착되는 웨이트의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모터(50)의 상방향으로 구동축(31)이 돌출되어 있고, 구동축(31)의 상단부에 구동축 헤드(32)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축(31)과 구동축 헤드(32)는 별개로 형성된 뒤 서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축 헤드(32)에는 수평방향으로 구동축 헤드(32)를 관통하는 관통구(3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32a)를 통해 편심부(60)가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편심부(60)는 볼트(35), 스프링(37), 및 웨이트(38)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35)로는 예컨대 관통구(32a)에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육각의 홈이 파여져 있는 볼트 헤드(36)를 갖는 렌치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관통구(32a)에 나사산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트(35)를 임의의 소정 깊이만큼 관통구(32a)에 관통시켜 구동축 헤드(32)에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이트(38)와 스프링(37)이 볼트(35)에 차례로 삽입될 수 있다.
웨이트(38)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하나 이상의 원반형 형상이며, 중심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관통부를 통해 볼트(35)에 끼워질 수 있다. 도4에 도시하고 있듯이, 일 실시예에서 웨이트(38)는 예컨대 10g, 25g, 및 50g 중 어느 하나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웨이트(38)를 볼트(35)에 끼워서 구동축 헤드(32)에 부착함으로써, 구동축(31)의 중심선에 대해 편심된 무게를 갖는 편심부(60)가 구동축(31)에 연결된다.
스프링(37)은 볼트(35)에 끼워진 웨이트(38)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역할한다. 웨이트(38)를 볼트(35)에 끼운 후에 스프링(37)이 볼트(35)에 끼워지고, 이에 따라, 볼트(35)가 구동축 헤드(32)에 부착된 상태에서 웨이트(38)가 볼트 헤드(36)와 스프링(37)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웨이트(38)는 구동축(31)의 중심선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채로 편심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모터(50)의 구동축(31)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 헤드(32)에 부착된 편심부(60)도 회전하게 되고, 편심부(60)가 구동축(31)의 중심선에서 소정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므로 편심부(6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진동은 제2 몸체(30)를 통해 제1 몸체(20)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제1 몸체(20)에 부착되어 있는 피시험 물체(예컨대 배관)에 전달되고 이 상태에서 피시험 물체의 내진동(耐振動)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이 때 편심부(6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적어도 다음 3가지 조건, 즉 (i) 웨이트(38)의 구동축(31) 중심선에서부터의 이격 거리, (ii) 웨이트(38)의 무게, 및 (iii) 모터(50)의 회전수에 따라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3가지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피시험 물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웨이트(38)의 구동축(31) 중심선에서부터의 이격 거리는 예컨대 볼트(35)가 관통구(32a)에 삽입되는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고, 웨이트(38)의 무게는 10g, 25g, 및 50g 등 다양한 무게를 갖는 웨이트(38)를 하나 이상 편심부(60)에 부착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고, 모터(50)의 회전수는 모터(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모터(50)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진기(100)가 센서(1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 센서(10)의 센싱 동작을 위해 구동축 헤드(32)가 상단부에 돌출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 편심부(60)는 다양한 실시 형태에 따라 구성이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볼트(35)를 사용하여 웨이트(38)를 구동축 헤드(32)에 연결하였지만 볼트(35)가 아닌 다른 연결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웨이트(38)를 구동축(31)의 중심선에서 소정 거리 이격시켜서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스프링(37)을 사용하였지만 예컨대 볼트(35)에 대응되는 너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그 외에 다른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웨이트(38)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실시 형태에 따라 웨이트(38)가 10g, 25g, 50g 외의 다른 소정 무게를 가질 수도 있으며, 소정 무게를 갖는 한 원반 형상이 아닌 임의의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음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센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5는 도1의 가진기의 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6은 가진기에 설치되는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제1 몸체(20)의 내측 중공부에 센서(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몸체(20)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23)에 내측 방향으로 고정대(11)가 부착되고, 이 고정대(11)의 단부에 센서(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센서(10)는 여러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1 몸체(20) 내의 중공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원통형의 제1 몸체(20)의 내측 면에 소정의 지지대가 부착될 수 있고 이 지지대의 단부에 센서(1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센서(10)는 예를 들어 전자기파나 초음파를 발산하는 기능 및 이 발산된 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파(반사파)를 수신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측면에서 센서(10) 및 편심부(60)를 도시한 도6을 참조하면, 센서(10)는 구동축(31)의 중심선에서 소정 거리(d)만큼 방사상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구동축 헤드(32)의 상부에 설치되는 돌출부(33)도 구동축(31) 중심선에서 상기 소정 거리(d) 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6에서 돌출부를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31)이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33)가 센서(10)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면 센서(10)와 돌출부(33)의 중심이 수직으로 일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센서(10)로부터 발산된 파가 돌출부(33)에 반사되어 센서(10)로 되돌아갈 것이고, 돌출부(33)가 그 외의 위치에 있을 때, 즉 돌출부(33)가 센서(10) 바로 아래에 위치하지 않을 때는 센서(10)에서 발산된 파가 구동축 헤드(32)에 반사되어 센서(10)로 되돌아가게 되므로, 돌출부(33)가 센서(10)의 바로 수직 아래에 위치하게 될 때 반사파가 가장 큰 값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모터(50)가 한번 회전할 때마다 반사파의 최대값이 한번 기록되므로, 센서(10)가 이 반사파의 크기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모터(50)의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이 장착된 가진기를 나타난 개략 사시도이고, 도9는 가진기에 배관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후술되는 실시예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100)에 장착되는 피시험 물체가 배관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면, 배관 장착용 판(7)은, 제1 몸체(20)의 외부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원형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장착용 판(7)은 제1 몸체(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몸체(20)에 하나 이상의 체결공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배관 장착용 판(7)에도 체결공들(42a, 42b)이 마련될 수 있다. 나사들(44a, 44b)은 몸체의 체결공들(미도시)과 배관 장착용 판(7)에 형성된 체결공들(42a, 42b)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배관 장착용 판(7)에는 배관들(3, 4)을 연결시키기 위한 배관 연결부(6a, 6b)가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 장착용 판(7)을 제1 몸체(20)에 장착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2 몸체(30)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는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며, 편심부(6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제2 몸체(30)에도 전달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탈착 가능한 배관 장착용 판(7)을 사용함으로써, 가진기(100)를 사용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관에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100)는 진동을 가할 배관을 가진 타겟 시스템(20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타겟 시스템(200)은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공조기와 같은 시스템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진동에 의해 배관이 크랙될 우려가 있는 구성을 가진 시스템이라면, 어떠한 시스템이라도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가진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가진 시스템은, 가진기(100), 컨트롤러(300), 센서들, 및 전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타겟 시트템(200)을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가진기(100)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가진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원(400)은 가진기(100)에 설치된 모터(50) 및/또는 센서(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원(400)을 한개 도시하였지만, 센서(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용 전원과 모터(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용 전원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컨터롤러(300)는 전원(400)을 제어하여, 가진기(100)가 가진 모터의 회전수와,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가진기(100)에 연결된 배관들에 가하는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센서들(S1, S2, S3)은 배관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로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는 배관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배관의 움직임(가속도)을 센싱하여, 컨트롤러(200)에게 제공한다. 압력 센서인 경우에는 배관속을 흐르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센싱하여 컨트롤러(200)에게 제공한다. 배관이 크랙 된 경우의 배관의 가속도나 유압은 정상적인 경우와 다르므로, 컨트롤러(300)는 그러한 센싱결과에 기초하여 배관의 크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300)가 한개 도시되었지만, 센서(1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모터(5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센서들(S1, S2, S3)의 센싱 결과를 제공받아 크랙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각각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가진 시스템은, 배관이 크랙될 때까지 진동의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배관의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진동의 정도를 증가시킬 때는 모터의 회전수와 체인의 접철 정도를 높임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상호 유사한 도면부호를 가진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센서 20: 제1 몸체
30: 제2 몸체 50: 모터
60: 편심부

Claims (11)

  1. 가진시킬 적어도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구동축에 부착되고 소정 무게를 갖는 웨이트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는 편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가 상기 구동축의 중심선에서 방사상으로 이격되는 거리(이하 "제1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몸체의 진동 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편심부는, 상기 웨이트를 상기 구동축과 연결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웨이트를 구동축의 중심선에서 상기 제1 이격 거리만큼 이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볼트이고 상기 고정수단은 스프링이고, 그리고
    상기 웨이트가 상기 볼트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볼트가 상기 구동축에 관통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진동 정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의 무게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몸체의 진동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연결된 고정대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를 향해 전자기파 또는 초음파를 발산하고 이 파가 구동축에 반사된 반사파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구동축의 중심선에서 방사상으로 제2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진기가, 상기 구동축의 상부에 상기 중심선에서 제2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어 부착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배관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배관을 장착하기 위한 배관 장착용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관 장착용 판은 상기 몸체의 외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관이 상기 배관 장착용 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KR1020120044474A 2012-04-27 2012-04-27 가진기 KR101331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474A KR101331744B1 (ko) 2012-04-27 2012-04-27 가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474A KR101331744B1 (ko) 2012-04-27 2012-04-27 가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354A KR20130121354A (ko) 2013-11-06
KR101331744B1 true KR101331744B1 (ko) 2013-11-20

Family

ID=4985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474A KR101331744B1 (ko) 2012-04-27 2012-04-27 가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7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587A (ko) * 2001-07-09 2003-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진기
KR20100128569A (ko) * 2009-05-28 2010-12-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587A (ko) * 2001-07-09 2003-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진기
KR20100128569A (ko) * 2009-05-28 2010-12-08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진폭조절이 가능한 가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354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17427B (zh) 车辆用防振装置
CN105910780A (zh) 一种精确可控非接触试件旋转式磁场疲劳激振与测振装置
CN104849487B (zh) 待测轴转速检测装置及系统
CN110542529B (zh) 一种油箱晃振试验装置
KR101331744B1 (ko) 가진기
EA021710B1 (ru) Устройство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олотен
JP2005300524A (ja) エンジンブロックの振動伝達特性解析装置およびその振動伝達特性解析装置を用いた振動伝達特性解析方法
JP6625209B2 (ja) アンバランス検出装置、および、アンバランス検出方法
KR101359601B1 (ko) 가진기
JP2008249468A (ja) 低周波振動検出装置
JP4821555B2 (ja) 擬似燃焼加振装置
JP7116541B2 (ja) 回転機械の翼の状態の監視センサ及びセンサの位置調節方法
JP4821156B2 (ja) エンジンバランス測定用連結装置
KR101359603B1 (ko) 가진기
KR101359602B1 (ko) 가진기
CN109654157B (zh) 一种外置式动平衡装置及系统
CN110361172A (zh) 一种用于扭振减振器的试验装置及试验系统
CN104374826B (zh) 一种用于测试转子叶片声响应的试验装置
KR100410977B1 (ko) 가진기
KR101642274B1 (ko) 수직, 수평 또는 원주 방향의 진동이 가능한 가진기
CN206339321U (zh) 洗衣机的机械效率测试装置
RU18951U1 (ru) Вибровозбудитель
JP5432829B2 (ja) ホイールバランス測定装置
JP3282303B2 (ja) 加振装置
CN106195593B (zh) 一种安装位移传感器于主轴的简易支架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