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603B1 - 가진기 - Google Patents

가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603B1
KR101359603B1 KR1020120001902A KR20120001902A KR101359603B1 KR 101359603 B1 KR101359603 B1 KR 101359603B1 KR 1020120001902 A KR1020120001902 A KR 1020120001902A KR 20120001902 A KR20120001902 A KR 20120001902A KR 101359603 B1 KR101359603 B1 KR 101359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chain
linker
pipe
cylindr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984A (ko
Inventor
조광영
고광호
정진년
Original Assignee
조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광영 filed Critical 조광영
Priority to KR1020120001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60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가진시킬 적어도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는 몸체, 체인을 신장 또는 접철시키는 엑츄에이터, 체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며, 체인과 몸체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체인의 신장 또는 접철의 정도에 의해 몸체의 진동 정도가 조절되는 가진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가진기{Vibration exciter}
본 발명은, 가진기 및 이를 사용한 가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진기는 타겟 시스템에 대하여 진동을 가하는 장치로서,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시스템들을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3-0005587(2003. 01. 23)에는 동력을 전달받는 회전축에 결합된 반원형상의 고정원심력발생판을 구비하고, 고정원심력발생판과 연접되게 회전축에 결합하되 고정 원심력발생판과의 합체되는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여 주기적인 원심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가진력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가진기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한국특허공개공보 10-2008-0015958(2008.02.21)에는, 모터의 축에 편심 캠을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회전 진동운동을 직선 진동운동으로 변환한 일정 변위 진동 가진기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가진기 및 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의 정도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가진기 및 가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목적은, 가진시킬 적어도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는 몸체; 체인을 신장 또는 접철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과 상기 몸체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인의 신장 또는 접철의 정도에 의해 상기 몸체의 진동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일 목적은, 가진시킬 적어도 하나의 배관과 연결되는 몸체; 체인을 신장 또는 접철시키는 엑츄에이터; 및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모터; 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과 상기 몸체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인의 신장 또는 접철의 정도에 의해 상기 몸체의 진동 정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를 포함하는 가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진동의 정도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진기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진기의 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6은 도 1의 가진기에서 체인이 접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와 도 7은 도 1의 가진기에서 체인이 신장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가진기에서 체인을 발췌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이 장착된 가진기를 나타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가진기에 배관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용어의 정의
본원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이하, '구성요소 A'라고 함)와 어떤 구성요소(이하, '구성요소 B'라고 함)가 "작동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하는 의미는, 구성요소 A이 동작이 구성요소 B를 동작시키도록 연결되었거나, 또는 구성요소 B의 동작이 구성요소 A를 동작시키도록 연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작동적으로 연결"되었다는 의미는,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직접 연결되던, 아니면 다른 구성요소가 중간에 게재되어 연결(즉, 간접적으로 연결)되던 간에, 구성요소 A의 동작이 구성요소 B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구성요소 B의 동작이 구성요소 A에 영향을 미치기만 하면 직접 또는 간접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C와 직접 연결되고, 구성요소 C가 구성요소 B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B가 간접적으로 연결될 때, 중간에 게재되는 구성요소는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성요소 A와 구성요소 C가 직접 연결되고, 구성요소 C가 또 다른 구성요소 D와 직접 연결되고, 구성요소 D는 구성요소 B와 직접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진기의 하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가진기의 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를 설명한다.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100)는, 엑츄에이터(10), 몸체(20, 30), 모터(50), 및 체인(26)를 포함할 수 있다.
엑츄에이터(10)는 체인(26)을 신장 또는 접철시킬 수 있도록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엑츄에이터(10)는 막대바(15)를 상하로 동작시키며, 이러한 막대바(15)는 제2링커(11a)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링커(15)는 제1링커(11b)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링커(11b)와 체인(26)이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에서, 체인(26)과 엑츄에이터(10)를 작동적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적 개념이 막대바와 링커들에 의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막대바(15)의 일 단부는 제2링커(11a)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2링커(11a)의 타 단부는 제1링커(11b)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링커(11b)의 타 단부는 체인(26)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체인(26)의 타 단부는 원통형바(33)와 연결되어 있다.
몸체(20, 30)는 제1몸체(20)와 제2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20)는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있다.
제1몸체(20)의 내부에는 체인(26)이 위치되며, 엑츄에이터(10)의 동작에 의해 체인(26)이 신장되거나 또는 접철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20)의 내부에는, 제1 원통형바(25), 제2 원통형바(29), 제3 원통형바(27), 및 제4 원통형바(23)가 위치된다.
이들 제1 원통형바(25), 제2 원통형바(29), 제3 원통형바(27), 및 제4 원통형바(23)는, 체인(26)과 제1링커(11b)를 작동적으로 연결시킨다. 즉, 체인(26)은 제1원통형바(29)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원통형바(25)와 제2 원통형바(29)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원통형바(29)의 중앙에는 중공이 원형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원통형바(25)가 그러한 중공에 삽입 착탈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제1 원통형바(25)는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구성되는 원통형상이며, 제2 원통형바(29)는 제1 원통형바(25)의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인(26)의 동작이 원활하도록, 제1원통형바(25)와 제2 원통형바(29) 사이에는 베어링(31)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31)으로 인하여, 체인(26)의 회전동작이 원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원통형바(29)는 제3 원통형바(27)와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제3 원통형바(27)의 중앙에는 중공이 원형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원통형바(29)가 그러한 중공에 삽입 착탈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원통형바(29)는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구성되는 원통형상이며, 제3 원통형바(27)는 제2 원통형바(29)의 측면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원통형바(29)의 상면부는 제1링커(11b)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링커(11b)가 상하로 움직이면 제2 원통형바(29)도 상하로 움직이며, 제2 원통형바(29)가 상하로 움직이면 제1 원통형바(25)도 상하로 움직인다. 그리고, 제1 원통형바(25)이 상하로 움직이면, 체인(26)이 신장되거나 접철되게 된다.
제3 원통형바(27)와 제4 원통형바(23)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4 원통형바(23)의 중앙에는 중공이 원형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3 원통형바(27)가 그러한 중공에 삽입되어 고정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4 원통형바(23)는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구성되는 원통형상이며, 제4 원통형바(24)의 측면부는, 상기 제1몸체(20)의 내부면과 접하면서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원통형바(25), 제2 원통형바(29), 제3 원통형바(27), 및 제4 원통형바(23)는, 체인(26)과 제1몸체(20)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체인(26)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진동은 제1 원통형바(25)로 전달되고, 제1 원통형바(25)가 체인(26)으로부터 받은 진동은 제2 원통형바(29) 내지 제4 원통형바(26)를 통해서 제1몸체(20)까지 전달된다. 이후, 제1몸체(20)의 진동은 배관으로 전달된다.
제2 몸체(3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모터(50)가 위치되게 된다. 제2 몸체(30)와 제1 몸체(20)는 탈착가능하게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체결부(22)에 의해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가 탈착가능하게 서로 결합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몸체(20)에는 플랜지(28)가 위치될 수 있고, 제2 몸체(30)에도 플랜지(미도시)가 위치될 수 있다. 제2 몸체(30)의 플랜지가 제1 몸체(20)의 플랜지(28) 속으로 삽입 착탈되는 형태로 양 몸체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체결부(22)에 의해 양 몸체의 플랜지들이 서로 조여질 수 있다.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에는 각각 개구부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발열을 용이하게 하고, 내부 동작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제2 몸체(30)는 받침대(40a, 40b, 40c)에 의해 고정된다.
모터(50)는 제2 몸체(30)에 위치되어, 체인(26)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모터(50)의 회전축(미도시)은 제5 원통형바(33)와, 제6 원통형바(31)와의 작동적 결합에 의해서 체인(26)과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즉, 모터(50)의 회전축(미도시)는 제6 원통형바(31)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6 원통형바(31)는 제5 원통형바(33)의 상면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5 원통형바(33)는 체인(26)과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터(50)의 회전축(미도시)이 회전함에 따라서, 제6 원통형바(31)가 회전하며, 그에 따라 제5 원통형바(33)가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5 원통형바(33)와 연결된 체인(26)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엑츄에이터(10)는 보조판(19)에 결합되어 있고, 보조판(19)은 나사(21)에 의해 제1 몸체(20)의 체결공(23)과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엑츄에이터(10)는 제2 몸체(3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르게는 엑츄에이터(10)가 몸체들(20, 30)에 결합되지 않고, 가진기(100)와 분리되어 별도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링커들과는 다른 링커들이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와 도 6은 도 1의 가진기에서 체인이 접철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와 도 7은 도 1의 가진기에서 체인이 신장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가진기에서 체인을 발췌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100)가 배관에 가하는 진동을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엑츄에이터(10)가 막대바(15)의 길이 방향으로 막대바(15)를 동작시키면, 이러한 막대바(15)의 동작에 의해 제2링커(11a)가 받침대(13)를 축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된다. 즉, 막대바(15)가 위로 움직이면, 제2링커(11a)의 일 단부(막대바와 연결된 단부)는 위로 움직이고, 제2링커(11a)의 타 단부(제1링커와 연결된 단부)는 아래방향으로 움직인다. 제2링커(11a)가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면 체인(26)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되는 형태가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엑츄에이터(10)가 막대바(15)를 아래로 움직이면, 막대바(15)가 아래로 움직이고, 제2링커(11a)의 일 단부(막대바와 연결된 단부)는 아래로 움직이고, 제2링커(11a)의 타 단부(제1링커와 연결된 단부)는 윗방향으로 움직인다. 제2링커(11a)가 윗 방향으로 움직이면 체인(2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된 형태가 된다. 즉, 모터(50)의 회전중심과 체인(26)의 회전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체인(26)을 신장시키는 경우와 체인(26)을 접철시키는 정도에 따라서, 체인(26)의 회전에 의해 몸체(20)에 전달되는 진동이 달라지게 된다. 즉, 체인(26)이 신장된 상태, 즉 일직선 상태로 된 경우에는 몸체(20)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소이며, 체인(26)이 조금씩 접철됨에 따라서(즉, 제2링커(11b)가 아래로 이동됨에 따라서) 몸체(20)로 전달되는 진동은 점점 커지게 된다. 체인(26)이 가장 많이 접철된 상태가 될때, 몸체(20)로 전달되는 진동은 최대가 된다. 후술하겠지만, 컨트롤러는 액츄에이터(10)와 모터(50)를 제어하여 몸체의 진동(즉, 몸체에 붙은 배관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50)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몸체의 진동을 조절하며, 동시에 액츄에이터(10)를 제어하여 체인(26)을 신장 또는 접철의 정도를 조절하여, 몸체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체인은 복수의 체인부품들(52a, 52b, 52c, 52d, 52e)과 이러한 체인부품들(52a, 52b, 52c, 52d, 52e)을 결합시키는 나사들(a, b, c, d, e, f)로 구성될 수 있다. 체인이 접철됨에 따라서, 체인의 회전 반경이 커지며, 회전 중심도 모터(50)의 회전축과 일치하지 않고 다소 어긋나게 된다. 이로인하여, 진동이 더 세게 발생된다. 따라서, 액츄에이터(10)를 동작시켜 제1 링커(11b)의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진동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진동의 정도를 더 키우기 위해서, 체인부품들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체인부품들을 추가적으로 마련하여 체인부품들(52a, 52b, 52c, 52d, 52e)에 결합시킴으로써, 최대 진동이 더 커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배관 장착용 판이 장착된 가진기를 나타난 개략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가진기에 배관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배관 장착용 판(7)은, 몸체(20)의 외부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의 원형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장착용 판(7)은 제1 몸체(2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몸체(20)에 체결공들(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배관 장착용 판(7)에도 체결공들(42a, 42b)이 마련될 수 있다. 나사들(44a, 44b)은 몸체의 체결공들(미도시)과 배관 장착용 판(7)에 형성된 체결공들(42a, 42b)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배관 장착용 판(7)에는 다시 배관들(3, 4)을 연결시키기 위한 배관 연결부(6a, 6b)가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 장착용 판(7)을 제1 몸체(20)에 장착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2 몸체(30)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는 제1 몸체(20)와 제2 몸체(30)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며, 체인(26)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제1 몸체(20)를 통해서 제2 몸체(3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탈착 가능한 배관 장착용 판(7)을 사용함으로써, 가진기(100)를 사용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관에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적 개념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가진기(100)는 진동을 가할 배관을 가진 타겟 시스템(20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타겟 시스템(200)은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공조기와 같은 시스템이 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진동에 의해 배관이 크랙될 우려가 있는 구성을 가진 시스템이라면, 어떠한 시스템이라도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가진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적 개념에 따른 가진 시스템은, 가진기(100), 컨트롤러(300), 센서들, 및 전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타겟 시트템(200)을 추가적으로 도시하였다.
가진기(100)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진기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전원(400)은 가진기(100)가 가진 액츄에이터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원(400)을 한개 도시하였지만, 액츄에이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용 전원과,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용 전원을 각각 별도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컨터롤러(300)는 전원(400)을 제어하여, 가진기(100)가 가진 모터의 회전수와,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가진기(100)에 연결된 배관들에 가하는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센서들(S1, S2, S3)은 배관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들로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와 같은 것일 수 있다. 즉, 가속도 센서는 배관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배관의 움직임(가속도)을 센싱하여, 컨트롤러(300)에게 제공한다. 압력 센서인 경우에는 배관속을 흐르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센싱하여 컨트롤러(300)에게 제공한다. 배관이 크랙 된 경우의 배관의 가속도나 유압은 정상적인 경우와 다르므로, 컨트롤러(300)는 그러한 센싱결과에 기초하여 배관의 크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300)가 한개 도시되었지만,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센서들의 센싱결과를 제공받아 크랙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각각 마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가진 시스템은, 배관이 크랙될 때까지 진동의 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배관의 내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진동의 정도를 증가시킬 때는 모터의 회전수와 체인의 접철 정도를 높임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상호 유사한 도면부호를 가진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엑츄에이터 20, 30 : 몸체
50 : 모터

Claims (10)

  1. 가진시킬 적어도 하나의 배관과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20, 30);
    신장 또는 접철이 가능하며, 양 단부를 가진 체인(26);
    상기 체인(26)의 양 단부 중 일 단부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엑츄에이터(10); 및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50)로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체인의 양 단부 중 타 단부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는 상기 모터(50); 및
    상기 엑츄에이터(10)를 제어하여, 상기 체인의 신장 또는 접철의 정도를 조절하며 이로써 상기 배관에 가하는 진동의 정도를 조절하는 컨트롤러(300);를 포함하며
    상기 체인의 신장 또는 접철의 정도에 의해 상기 배관에 가해지는 진동이 조절되며,
    상기 몸체(20, 3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20, 30)의 외부에 배관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체인(26)의 일 단부는 제1원통형바(25)의 하면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원통형바(25)의 측면부가 상기 통의 내부면과 작동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크랙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센서의 센싱결과를 수신하며, 상기 배관의 크랙되는 경우의 상기 모터의 회전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형바(25)의 측면부와 상기 통의 내부면 사이에 제2원통형바가 위치되며,
    상기 제2원통형바(29)의 중앙에는 원형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원형 중공에 상기 제1원통형바(25)가 삽입착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통형바(25)의 측면부와 상기 원형 중공 사이에 베어링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부는 적어도 일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원통형바(25)의 상면부와 제1링커의 일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링커는 상기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링커의 타 단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커의 타 단부와 제2링커의 일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링커의 타 단부는 막대바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막대바의 타 단부는 상기 엑츄에이터와 연결되며,
    상기 막대바는 상기 엑츄에이터에 의해 상하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커는 직선형 막대바이며, 상기 제2링커가 시소 운동을 하도록 상기 제2링커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장착용 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관 장착용 판은 상기 몸체의 외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배관이 상기 배관 장착용 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진기.
KR1020120001902A 2012-01-06 2012-01-06 가진기 KR10135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02A KR101359603B1 (ko) 2012-01-06 2012-01-06 가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902A KR101359603B1 (ko) 2012-01-06 2012-01-06 가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984A KR20130080984A (ko) 2013-07-16
KR101359603B1 true KR101359603B1 (ko) 2014-02-07

Family

ID=48992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902A KR101359603B1 (ko) 2012-01-06 2012-01-06 가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6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76U (ja) * 1992-09-04 1994-04-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ンバランス加振機
JP2007000692A (ja) 2005-06-21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
JP2008546534A (ja) 2005-06-27 2008-12-25 コアクティヴ・ドライヴ・コーポレイション 触覚フィードバック用の同期式振動装置
JP3172909U (ja) 2011-10-27 2012-01-12 アイデックス株式会社 加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76U (ja) * 1992-09-04 1994-04-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アンバランス加振機
JP2007000692A (ja) 2005-06-21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
JP2008546534A (ja) 2005-06-27 2008-12-25 コアクティヴ・ドライヴ・コーポレイション 触覚フィードバック用の同期式振動装置
JP3172909U (ja) 2011-10-27 2012-01-12 アイデックス株式会社 加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984A (ko)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878B2 (en) Base excitation testing system using spring elements to pivotally mount wind turbine blades
CN103717427B (zh) 车辆用防振装置
US11060940B2 (en) Vibration insulator and unbalance detection device including vibration insulator
CN101837579A (zh) 具有减震装置的振动工具
WO2015019535A1 (ja) 加振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シミュレーター用加振システム
JP2019113440A (ja) 振動試験機
KR101359601B1 (ko) 가진기
CN101883977A (zh) 带有可将旋转运动转化为可变振幅的往复运动的驱动装置的检测仪器
KR101359603B1 (ko) 가진기
CN102979081A (zh) 一种用于产生定向激励振动的振动激励器
KR101359602B1 (ko) 가진기
KR20200135795A (ko) 진동 댐퍼를 가진 대형 매니풀레이터
EP1633497A2 (en) Ultrasonic horn mount
CN101446277B (zh) 汽缸装置、压缩机及汽缸装置的制造方法
US20130292179A1 (en) Drive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drill rod
CN104864803B (zh) 旋转角度检测器和具备该检测器的旋转机械
CN101758016A (zh) 一种激振器
KR101582372B1 (ko) 작업편의 마감 가공을 위한 마감 장치
KR101331744B1 (ko) 가진기
JP2006501049A (ja) 地面締固め機器のための振動発生器
KR20180067606A (ko) 가동 부재의 스트로크 길이를 조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042081B (zh) 具有改进的汽化器单元配置的发动机
JP2006118968A (ja) 振動試験用多軸加振装置
JP2017020867A (ja) 振動発生装置
JP2014095620A (ja) 振動試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