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077A -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077A
KR20100127077A KR1020090045589A KR20090045589A KR20100127077A KR 20100127077 A KR20100127077 A KR 20100127077A KR 1020090045589 A KR1020090045589 A KR 1020090045589A KR 20090045589 A KR20090045589 A KR 20090045589A KR 20100127077 A KR20100127077 A KR 2010012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retardant polyester
flame
drying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8466B1 (ko
Inventor
함진수
이수민
최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09004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46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4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3Heat-resistant, fireproof or flame-retardant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7/00Textiles: spinning, twisting, and twining
    • Y10S57/904Flame retard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A)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 90 내지 99.5 중량%; 및 (B) 폴리유산 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의류용, 침장용과 같이 인체와 접촉하는 용도로 사용 시 땀을 신속히 흡수하여 쾌적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재로부터 보다 안전한 난연 성능을 나타내는 특징을 발현하게 된다.
난연 폴리에스테르, 인계 난연제, 흡수성, 폴리유산

Description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Flame Retardant Polyester Having Good Durability, High Sweat Absorption Property and Fast Drying Property}
본 발명은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유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의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하면서 의류 및 침장류에도 난연 섬유의 적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예로, 미국의 경우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CPSC)라는 기관에서 미국에 수입되는 유아용 잠옷에 한하여 영구적 난연성을 보유한 원단만을 사용하도록 별도 시험기준을 마련하여 관리하고 있다. 시험방법 16CFR 1615은 0세부터 6세까지, 16CFR 1616은 7세부터 14세에 해당하는 유아 및 아동용 잠옷에 난연성을 규정하는 법규이다.
의류, 침장 및 인테리어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성이 우수하고 내약품성,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뛰어나지만, 착화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난연성을 부여하기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15781호에는 차광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를 암막지와 커튼에 적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737577호에는 중축합 반응시 인계 난연제가 첨가된 폴리 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에 이산화티타늄 0.5-2.5 중량%를 부가하여 UV차광성을 개선한 커튼용 난연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7281호에서는 난연성과 항균 방취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섬유, 필름 또는 플라스틱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을 언급하고 있으나, 흡수·흡한성이 떨어져 실질적으로 의류에 적용할 수 없다.
이처럼, 지금까지 개발된 폴리에스테르 난연 섬유는 대부분이 커텐, 소파, 벽지, 롤 스크린 등 인테리어 용도로 한정되어 있다. 그 이유는 폴리에스테르 난연 섬유는 난연성능은 우수하지만 흡수·흡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인체와 접촉하는 의류용이나 침장용 등에 사용할 경우 흡수하는 능력이 부족하게 되어 불쾌감을 주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난연 섬유에 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근래에는 직편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후, 염색가공 공정 중 친수물질을 원단에 부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후처리 를 하게 되면 원사표면에 부착된 친수물질 및 기타 첨가제등으로 인하여 난연성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663839호에서는 흡수성, 및 기타 여러 가지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카르복실계 화합물을 셀룰로오스계 섬유와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에폭시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등과 반응시켜 다기능 가공제를 합성하고, 합성한 다기능 가공제를 섬유, 슬라이버, 조사, 실 및 직·편성물 등에 처리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흡수성, 속건성, 흡습 발열성 및 자외선 차단성 등을 나타내는 셀룰로오스 섬유제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직편물에 가공제를 처리하게 될 경우,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난연성능이 극히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어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세탁에 의해 흡수성이 점차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난연성능을 유지하면서 흡수성을 향상시키고, 반복 세탁에도 내구성이 뛰어난 섬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카르복시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유산을 첨가하여 혼합 용융 방사함으로써 섬유가 직접 피부에 닿을시 땀을 흡수하여 불쾌감을 없애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난연성과 내구성을 갖는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성, 내구성 및 흡한속건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와 접촉하는 용도로 사용 시 땀을 신속히 흡수하여 쾌적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화재로부터 보다 안전한 난연 성능을 나타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용 및 침장용에 특히 적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가공에서 친수 물질을 부착시키는 공정 없이도 흡수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사시 사절 등 공정저하 없이 균일하고 양호한 물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섬유는 (A)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 90 내지 99.5 중량%; 및 (B) 폴리유산 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포스피닉산 유도체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3
상기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5,000 내지 20,000 ppm의 인을 함 유할 수 있다.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고유점도가 0.65 내지 0.75 일 수 있다.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섬유의 단사 형태는 원형, 해도형, 분할형, 사이드-바이-사이드형(SIDE BY SIDE) 또는 이형단면일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바이렉 법(Wicking Test)으로 측정한 흡수거리가 75 mm/10분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디카르복시산과 디올을 직접 에스테르화법 또는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 전구물질을 생성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전구물질에 카르복시기 함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한 후 중축합하여 난연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유산을 혼합하여 용융방사하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와 같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흡수성과 난연성이 우수하여 세계적으로 점차 요구되는 의류와 침구류에 대한 난연 성능을 만족시키면서 피부 접촉 시 기존의 난연제품에서 부족하였던 내구 흡수성을 향상시킴에 의해 땀을 흡수, 쾌적감을 주는 의류 및 침장용에 적용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공한다. 상기 섬유는 (A)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와 (B) 폴리유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예에서는 (A) 카르복시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 90 내지 99.5 중량%; 및 (B) 폴리유산 0.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카르복시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
본 발명의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디카르복시산, 디올 및 인계 난연제를 중축합하여 제조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 주쇄에 인계 난연제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에 직접적인 접촉시 문제가 없도록 친환경적인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적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다.
상기 인계 난연제의 분자구조 내에는 에스테르화 반응 혹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가능한 관능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기를 가지고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인계 난연제는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포스피닉산 유도체일 수 있 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5
[화학식 3]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6
상기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상기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 폴리에스테르(A) 중합물을 제조할 때 난연제 함량이 인 원자기준으로 5,000 내지 20,000ppm이 되도록 하여 우수한 난연성 을 발현토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5,500 내지 18,000 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 내지 15,000 ppm 이다. 5,000ppm 미만일 경우, 미국 유아 잠옷용 난연성 TEST기준인 6CFR 1615을 통과하지 못하고 프랑스의 난연성 시험기준인 NFPA 701의 시험 결과에서도 M2 수준의 불량한 난연성을 보이게 된다. 반면, 20,000ppm을 초과할 경우, 과량의 공중합에 의해 섬유의 기본 물성 저하 및 방사 공정 중 급격한 사절발생으로 공정저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연 폴리에스테르(A) 중합물의 고유점도가 0.65 내지 0.75가 되도록 하여 폴리유산과 혼합용융 방사 시, 물성저하와 사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혼화성이 없는 두가지 물질을 혼합 방사하는 경우 단독중합물 방사 시 보다 사절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난연 폴리에스테르(A) 중합물의 고유점도를 0.65 내지 0.75가 되도록 하여 사절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난연 폴리에스테르(A)의 고유점도가 0.65보다 낮을 경우, 방사공정 중 Extruder와 Spin block을 체류, 통과하면서 받게 되는 열과 마찰에 의한 고유 점도가 떨어져 방사구금으로부터 토출되어진 단사의 강도가 매우 약하여 방사도중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고유점도가 0.75보다 높을 경우 높은 점성으로 인한 공중합물의 용융 흐름성이 급격히 낮아져 방사구금으로부터의 토출이 원활히 일어나지 않고 Drawing성이 불량하여 사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고유점도를 0.65 내지 0.75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기로는 0.68 내지 0.72내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 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B) 폴리유산
상기 폴리유산(B) 은 유산(lactic acid)을 모노머로 하여 에스테르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상기 폴리유산(B) 은 L-이성질체, D-이성질체, L, D-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유산(B)은 폴리유산 단독 중합체, 폴리유산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B) 폴리유산은 섬유 내에서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9 중량% 이다. 만일 0.5 중량% 미만일 경우, 만족할만한 흡수성 결과를 얻지 못하고, 반대로 10중량%를 초과할 경우 방사시 응집에 의한 사절과 불균일 염색성을 보이게 된다.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한 구체예에서는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A)와 폴리유산(B)을 혼합, 용융 방사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디카르복시산과 디올을 직접 에스테르화법 또는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 전구물질을 생성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전 구물질에 카르복시기 함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한 후 중축합하여 난연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유산을 혼합하여 용융방사하는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시산과 디올의 직접 에스테르화 반응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으며, 반응온도는 130 내지 220℃ 로 한다. 필요에 따라 징크아세테이트, 코발트아세테이트, 칼슘아세테이트, 마그네슘아세테이트, 망간아세테이트, 소듐아세테이트, 에스테르 교환촉매를 함께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전구물질에 상기에서 언급된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한 후 중축합반응을 진행하여 난연 폴리에스테르(A)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반응은 180 내지 290℃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에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축합반응을 진행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중축합촉매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중축합촉매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삼산화안티몬, 산화주석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용융 방사기에 투입하고 이와 함께 폴리유산을 투입하여 혼합, 용융 방사될 수 있다.
상기 용융 방사 공정후, 연신 공정을 통해 얻은 섬유는 30 내지 100 데니어의 섬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섬유의 단사 형태는 원형, 해도형, 분할형, 사이드-바이- 사이드형(SIDE BY SIDE) 또는 이형단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는 바이렉 법(Wicking Test)으로 측정한 흡수거리가 75 mm/10분 이상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80 내지 200 mm/10분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테레프탈산 및 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 반응후 중축합 반응시 3-하이드록시 페닐 포스피닐 프로파노익 액시드 난연제를 투입하여 고유점도 0.65, 인함량 6500 ppm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A)를 용융방사시 폴리유산(B) 3 중량%를 도징머신에 투입하여 익스투르더 초입부에서 균일 혼합되도록 하였다. 이때의 GR1속도는 2,800m/min이며, 제사한 섬유는 120 데니어 36 단사수이었다. 이후, 가연공정을 통해 총 섬도 75 데니어의 가연사 샘플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섬유를 가지고 편직시료를 만든 후 원단의 난연성, 흡수성 및 공정성을 정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난연제로 하기 화학식 2-1(단, R3은 수소)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화학식 2-1]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7
실시예 3
난연제로 하기 화학식 3-1(단, R4 및 R5는 CH2CH3)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화학식 3-1]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8
실시예 4
폴리유산의 함량을 6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난연제를 사용하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A)의 고유점도를 0.73이 되도록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후 방사시 폴리유산(B)의 함량을 9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실시예 1
폴리유산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중합체(A)의 제조시 중합물의 인함량이 4500ppm이 되도록 하고 고유점도가 0.55가 되도록 하였으며, 폴리유산을 18 중량% 첨가하여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Figure 112009031325265-PAT00009
1) 고유점도(극한점도)
오르쏘-클로로 페놀(Ortho-Chloro phenol)을 용매로 하여 110℃, 2.0g/25ml의 농도로 30분간 용융후, 25 ℃에서 30분가 항온하여 캐논 (CANON)점도계가 연결된 자동 점도 측정 장치를 통해 분석하였다.
2) 섬유의 강도, 신도
Instron사의 UTM을 이용, KS K 041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3) 방사공정성
72시간 방사과정중의 완권(Full Package)율을 측정하였다.
4) 난연성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난연성 인증방법인 프랑스 난연 시험 기준 NFP 92-503, 504, 505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5) 흡수거리(흡수성)
KS K 0815.5.27 방법인 바이렉 법(Wicking Test)으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세섬 이형단면사를 사용하여 32게이지 인터록 양면 환편기에서 제편하여 5회 세탁한 후(AATCC II-A법) 이를 가로 2.5㎝, 세로 20㎝로 샘플링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원단시료의 한쪽 부분을 수중에 2.5㎝ 침지시킨 후 10분 동안 방치하고, 원단에 흡수된 수분의 높이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Claims (10)

  1. (A)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가 중축합된 난연 폴리에스테르 90 내지 99.5 중량%; 및
    (B) 폴리유산 0.5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포스피닉산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계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화학식 1]
    Figure 112009031325265-PAT00010
    [화학식 2]
    Figure 112009031325265-PAT00011
    [화학식 3]
    Figure 112009031325265-PAT00012
    상기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5,000 내지 20,000 ppm의 인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고유점도가 0.65 내지 0.7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A)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단사 형태는 원형, 해도형, 분할형, 사이드-바이-사이드형(SIDE BY SIDE) 또는 이형단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바이렉 법(Wicking Test)으로 측정한 흡수거리가 75 mm/10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9. 디카르복시산과 디올을 직접 에스테르화법 또는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반응시켜 폴리에스테르 전구물질을 생성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전구물질에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를 투입한 후 중축합하여 난연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난연 폴리에스테르에 폴리유산을 혼합하여 용융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에스테르기 함유 인계 난연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9031325265-PAT00013
    [화학식 2]
    Figure 112009031325265-PAT00014
    [화학식 3]
    Figure 112009031325265-PAT00015
    상기에서 R1, R2, R3,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KR1020090045589A 2009-05-25 2009-05-25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038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89A KR101038466B1 (ko) 2009-05-25 2009-05-25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589A KR101038466B1 (ko) 2009-05-25 2009-05-25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077A true KR20100127077A (ko) 2010-12-03
KR101038466B1 KR101038466B1 (ko) 2011-06-01

Family

ID=4350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589A KR101038466B1 (ko) 2009-05-25 2009-05-25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46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808B1 (ko) * 2013-09-04 2014-08-08 주식회사 휴비스 친환경적 알칼리 감량을 통한 촉감과 흡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
US9171483B2 (en) 2011-06-08 2015-10-27 Gachon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based on haptic electronic board
KR20160052847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38241A (ko) 2015-09-30 2017-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47676A (ko) * 2015-10-23 2017-05-08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
KR20180036290A (ko) 2016-09-30 2018-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95426B2 (en) 2015-07-17 2021-05-04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Corps Flame retardant composite fi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202894A (nl) 1982-07-16 1984-02-16 Rijksuniversiteit Polyesterhoudend filamentmateriaal.
JP4423947B2 (ja) 2002-11-29 2010-03-03 東レ株式会社 樹脂組成物
US6953622B2 (en) 2002-12-27 2005-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odegradable bicomponent fibers with improved thermal-dimensional stability
WO2005056646A1 (ja) * 2003-12-09 2005-06-23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マスターバッチ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1483B2 (en) 2011-06-08 2015-10-27 Gachon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based on haptic electronic board
KR101427808B1 (ko) * 2013-09-04 2014-08-08 주식회사 휴비스 친환경적 알칼리 감량을 통한 촉감과 흡습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2847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발포체 및 그 제조방법
US10995426B2 (en) 2015-07-17 2021-05-04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Academy Cooperation Corps Flame retardant composite fib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20170038241A (ko) 2015-09-30 2017-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70047676A (ko) * 2015-10-23 2017-05-08 주식회사 휴비스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발포체
KR20180036290A (ko) 2016-09-30 2018-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466B1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466B1 (ko) 내구 흡한속건성 난연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EP1831443A1 (en) Dope dyed flame retardant polyester fibers, textle products therefrom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TWI704259B (zh) 纖維之用途
JP2008525652A (ja) 優れた遮光性および難燃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これらを使用するテキスタイル物品
KR102172280B1 (ko) 열접착성 섬유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이를 통해 구현된 열접착성 복합섬유 및 부직포
KR101573250B1 (ko) 생분해성이 우수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용 원사
CN101104729A (zh) 用于制备高吸湿和高排湿聚酯织物的聚合物母粒及其合成方法
KR101139848B1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 섬유
KR20120070858A (ko) 자외선 차단 및 난연 성능이 우수한 재생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4105669A1 (e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bas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6796068B2 (ja) 接触冷感及び染色堅牢度に優れた布地
KR20080110386A (ko)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6806067B2 (ja) 接触冷感用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7360547B2 (ja) 熱接着性繊維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内外装材用繊維集合体
JP5038920B2 (ja) 吸水性ポリ乳酸繊維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吸水性ポリ乳酸繊維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CN106702525A (zh) 用于产制纤维的材料及由其所制得的纤维
KR101276098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783250B1 (ko) 난연성 및 항균성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의한 폴리에스터 섬유
JP2012180504A (ja) 難燃カチオン可染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1214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集合物
JP4981721B2 (ja) 保温性ポリ乳酸繊維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保温性ポリ乳酸繊維構造体および繊維製品
KR101642607B1 (ko) 열접착성 및 생분해성이 우수한 서멀본딩 부직포용 잠재권축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0331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섬유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KR102415149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섬유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JP2009256837A (ja) ポリ乳酸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