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427A -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관련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관련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427A
KR20100126427A KR1020107021152A KR20107021152A KR20100126427A KR 20100126427 A KR20100126427 A KR 20100126427A KR 1020107021152 A KR1020107021152 A KR 1020107021152A KR 20107021152 A KR20107021152 A KR 20107021152A KR 20100126427 A KR20100126427 A KR 20100126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esl
label
lay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사 하말라이넨
한누 카루케토
육카 에나르비
Original Assignee
마리센스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센스 오이 filed Critical 마리센스 오이
Publication of KR2010012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7Forms or constructions including a machine-readable marking, e.g. a bar c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4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helf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8Electronic labels, Labels integrating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s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 fiel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lay Rack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상품의 가격이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선반라벨을 통하여 수요자에게 표시될 수 있으며, 이 라벨은 무선통신 기능을 가진다. 전자제어가능한 선반 디스플레이 라벨(100)은, 디스플레이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연성을 가진 디스플레이층 (10)과, 상기 디스플레이물질을 구동하기 위한 전극구조를 가지는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층(20)과, 그의 두께가, 상기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 물질층(10) 및/또는 상기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층(20)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부품(40) 및, 상기 강성인 부품(40)을 위한 절결영역(32)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균일한 장치(100)의 두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탄성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성층(30)은 상기 장치(100)의 전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100)는 무선통신 성능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관련 제조 방법{DISPLAY MODULE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독립항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봉입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독립항 1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봉입(封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콤팩트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신규하고 광범위한 적용분야를 끊임없이 찾고 있다. 주지이면서 또한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적용분야는 저장소 및 창고를 들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선반에 달린 종래의 종이로 된 가격라벨의 대신에, 가격 및 기타의 제품관련 정보가 전자선반라벨 (Electronic Shelf Labels: 이하, "ESL"이라 약칭함)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ESL은 판매를 위한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제품군을 제공하는 대형상점 또는 수퍼마켓 등에 특히 적절하며, 이들의 가격은 수시로 또한 정확하게 업데이트 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수퍼마켓 라벨상의 가격정보는 종이라벨상에 프린트된 정보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바꾸게 된다. 새로운 가격들은 종이나 또는 그와 유사한 시트재료상에 인쇄되고 작은 라벨들은 선반상의 해당 호울더상에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번잡한 방법은, 먼저 업데이트된 가격라벨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하고, 다음에는 오래된 라벨을 제거하고 그것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는 매우 노동집약적인 작업이고 인간의 실수가 개입되기 쉬운 것이다. 이는 또한 선반상에 있는 가격과 계산대에서의 스캐너 내에 저장된 가격사이에서의 정보의 충돌에 대한 가능성을 남겨놓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자 디스플레이 기술에 근거한 시스템들이 ESL로서 사용되도록 개발되었다. 이들 전자 디스플레이들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중앙통제 시스템으로부터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모든 유선시스템은, 개별 ESL 디스플레이의 수가 많기 때문에 복잡한 케이블망에 따른 배치의 한계에 관련된 명백한 문제점을 가진다. 무선시스템은 개별 디스플레이 유니트마다 개별적으로 전원공급을 해야만 하고, 장시간의 전원공급 수명, 즉 배터리에 대한 사용시간이 길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는 점에서 주된 기술적인 문제점을 가진다. 부가적으로, 무선 시스템은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송신 전력 레벨로 작동될 필요가 있음과 동시에, 개별적인 송-수신기의 수효가 많은 환경에서 신뢰할만한 통신채널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액정 디스플레이(LCD)기술은 그와 같은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ESL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방식중의 하나이다. 이들은 다소 높은 전력 소모량을 가지며 전통적인 종이 디스플레이와 닮지 않았다고 하는 외관적인 면에서의 단점을 가진다. 또한 그와 같은 디스플레이의 봉입화 작업은 점포내에서 직원이 취급하기에는 최적의 상태라고는 할 수 없는 단단하고 통상적인 케이싱을 사용하게끔 한다. 또한, 그와 같이 상당히 두께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손상되기 쉬운 유리를 종종 포함하게 된다. 두꺼우면서도 통상적으로는 봉입화된 ESL 디스플레이는, 특별하게 제작되면서 종이라벨에 대해서 사용되는 것과는 다른 강한 선반레일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이는, 현존하는 선반에 대하여 구조적인 변경이 있어야 하고, 불필요한 부대비용이 들게함을 의미한다.
ESL 적용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기술의 다른 이름은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Electronic Paper Displays: 이하 "EPD"라 약칭함)로서, 이는 종이와 같은 높은 콘트라스트(contrast) 외관을 가지고, 매우 낮은 전력소모를 하며, 얇고 가벼운 형태를 가진다. EPD의 지향하는 바는, 사용자에게 종이로부터 읽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표시된 정보를 전자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EPD는,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전자잉크에 의하여 가능해진 기술이다. 그러한 전자잉크는 전하를 운반하므로써 전자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전자잉크는 프론트라이트 혹은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반사기술을 사용하므로, 태양광으로 보는 환경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조명조건하에서 볼 수 있으며, 이미지를 유지하는데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전력은 표시된 데이터가 바뀔때에만 소비된다.
상이한 적용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기 위하여는, 무선 ESL 또는 그에 대응하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무선 디스플레이들이 충족해야할 많은 요구사항들이 있으며, 이들중 일부는 제조과정에 의하여, 또한 일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요구되는 것인데, 예를 들면, 점포의 사용자들에 의한 용도, 환경 및 관리용이성과 같은 것들이다.
제조자의 관점에서는, 낮은 단가의 장치를 만들기 위하여, 롤-투-롤(roll-to-roll: 유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시이트의 두루마기상에 전자장비를 생성하는 공정)이나 웹기반의 제조공정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어느 정도의 구조의 탄력성에 대한 필요때문에 그러한 제조방법에 적절한 ESL 의 봉입화에는 심한 제한을 불러오게 한다. 전형적으로는, ESL에서 요구되고 용납될만한 수준의 단가 및 기술적 성능을 가지는 부품의 전부가 기계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구조로서 가능한 것은 아니며 이러한 제한은 어느 정도 제조방법상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ESL이 제조공정 및 후속의 물류단계를 통하여 용이하게 관리가능하게 되려면, 충격에 대해서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어떤 돌출부 또는 모서리가 기타의 구조를 의도하지 않은 케이싱 또는 봉입물의 두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요구에 대한 이유로서는, 예를 들면 선반에서 사용되는 ESL에 대하여 요구되는, 제조자로부터 최종 수요자에게 물건을 발송하거나 포장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 수동 또는 자동화된 준비(종종 ELS 상에 종래와 같은 정보를 추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및, 선반이나 선반의 호울더에 ESL을 설치/장착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ESL은 선반상의 거의 영구적인 최종위치상에 장착되기 전에 많은 단계의 취급을 겪게 된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들을, 호주머니속에 개인적으로 가지고 다니는 소형의 전자장비와는 확연하게 구별하도록 한다. 또한, 많은 경우에 장치의 규격/크기에 대한 요구사항을 완화시키고 재료선택에 많은 가능성을 열어놓게 한다.
또한, ESL 의 구조 및 봉입화는, 제어시스템과의 무선통신이 봉입화 그 자체 또는 주변 구조물, 예를 들면 점포에서 ESL이 부착되는 금속제 선반과 같은 것들로부터의 간섭이 최소화되거나 또는 거의 무시될 수 있는 수준으로 실현될 필요가 있다.
부가적으로, 어떤 적용분야에서의 봉입화된 장치의 바람직한 외형은 직선형의 카드형상이 아니고, 외형 및 가독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ESL 디스플레이가 약간 굽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따라서 표시된 정보가 바깥쪽으로 굽은 표면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현존하는 선행기술에 있어서 어떠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관련된 봉입화 방법도,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며, 어느 정도는 상호간에 충돌하는 양상까지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 보다 발전적인 발명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조 및 최종 사용면에서의 상술한 요구를 동시에 보다 잘 만족시키기 위하여 신규하고도 창작적인 ESL의 봉입구조 및 그에 상당하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얻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주된 장점은 기계적인 충격에 대하여 얇고 탄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 박막의 기계적 내성 및, 전체적인 관리특성을 위한 완벽하게 완만한 외부표면 및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입화 기술은 내부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통신과 관련된 양호한 성능을 가지는 케이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장점은 ESL의 외형이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종이 또는 종이라벨을 닮았으며, 종래의 종이라벨이 사용되는 곳과 동일한 방식의 호울더, 주머니 또는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은 예를 들면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시험적인 배터리 기술에 내재될 수 있는 고비용이 없이도 긴 수명주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기계적(강도, 취급성) 및 시각적 외형은 최신의 것이며 제조방법은 저비용을 보장하는 롤-투-롤 또는 웹(web)형식의 장점을 제공해준다.
도 1은 ESL을 사용한 점포시스템의 일반적인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플라스틱 선반 호울더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ESL 모듈을 나타낸다.
도 3은 모듈의 만곡도를 보여주기 위하여 3차원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ESL 모듈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SL 모듈로서, 부가적인 인쇄되고 자기 접착형인 라벨과, 모듈내의 이중적인 목적의 절결부를 나타낸다.
도 5는 ESL을 제조하기 위한 모식적인 공정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6은 ESL을 제조하기 위한 모식적인 공정의 내용을 나타낸다.
도 7은 하나의 ESL의 상이한 층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확대된 3차원 도면을 나타낸다.
도 8은 ESL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의 도면을 나타낸다.
도 1은 수퍼마켓 또는 유사한 판매환경에서의 ESL 디스플레이의 용도에 대한 전형적인 배치상태를 예를 들어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선반에는 ESL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은 플라스틱 ESL 호울더를 가지는 선반레일상에 부착된다. ESL 디스플레이들은 소비자들에게 쉽게 인식되도록 선반상의 제품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여진다.
ESL 디스플레이들은 도 1에 나타낸 베이스 스테이션과 무선방식으로 통신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방법은 어떠한 공지의 무선통신 기술을 근간으로 할 수 있지만, ESL 모듈의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수동 후방산란(backscatter) 무선통신이 바람직하다. 본 접근방식에 있어서는, 베이스 스테이션은 능동적으로 무선신호를 발신하고, 능동적인 무선발신에 응답하는 대신에 ESL 모듈은 무선 송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이들은 베이스 스테이션 신호의 반사된 전력을 변조함으로써 응답한다. 이러한 변조는,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어 접지 및 비접지 전위의 사이에서 안테나를 접속 및 차단함으로써 ESL모듈내의 ESL 안테나의 부하상태를 바꿈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후방산란 신호의 변조는 ESL 모듈이 베이스 스테이션 및 점포레벨 서버에 응답하도록 허용한다.
각 ESL 모듈은 자신의 식별코드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어서, ESL 모듈은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송신을 알아들을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을 통하여 점포의 서버로부터의 새로운 정보, 지시 또는 명령을 수신한 후에, ESL 모듈은 점포레벨 서버에 대하여 반사된 후방산란 변조를 사용하여 적시에 이들 지시를 수신하였음을 알릴 수 있어서, 그 응답이 어떤 ESL 모듈로부터 온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점포의 서버는 특정한 ESL 모듈로 도출된 송신이 이루어진 후 특정한 응답 시간을 가질 수 있어서, 모듈에 대하여 그 시간동안 응답할 가능성을 부여한다.
베이스 스테이션들은, 전형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더넷(Ethernet)을 통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콘트롤러에 유선방식으로 접속된다. 이 베이스스테이션 콘트롤러는 가격 및 기타 제품정보를 포함하는 점포레벨 서버에 접속된다.
점포레벨 서버에서, 사전에 프로그램된 지시에 따라서 국부적으로 또는 직원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또는 체인점 레벨 서버로부터 받은 지시에 따라 가격정보가 변동될 때에는, 이 정보는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개별 ESL 디스플레이로 전달된다.
해당하는 가격정보는 점포레벨 서버와 통신하도록 배치된 계산대 카운터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각 ESL 디스플레이에 보내진 정보의 내용을 변형할 수 있는 가능성은 도 1에서 나타낸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휴대형 단말기는 점포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허용된 점포의 직원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점포레벨 서버와 무선방식으로 통신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면 개인 디지털 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이하 "PDA"라 약칭함)의 사용을 허용하는 GSM 또는 GPRS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선통신 가능성을 가진 채로 달성될 수 있다. 휴대형 단말기는 장치의 처리능력에 따라서 또는 제한된 기능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점포레벨 서버내에서 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성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적은 수의 ESL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소형점포내의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개별적인 점포레벨 서버의 사용대신 휴대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점포레벨 서버는 같은 계열사의 점포들에 속하는 다수개의 점포들로 동일한 가격 및 제품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체인레벨 서버와 접속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있어서, 도 1에 모식적으로 기술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통신기능 및 기타 시스템의 기능등은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상세한 내용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광범위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1은 단순히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발명을 편의상 이해하기 위한 예로서 시각적인 면만을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할 뿐이다.
도 2는 플라스틱 호울더(300)과 함께 ESL 디스플레이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며, 이 디스플레이모듈은 호울더(300)내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다. 호울더(300)는 선반의 앞쪽 레일에 부착될 수 있으며 ESL 디스플레이의 설치를 용이하게 해준다. 호울더(300)는 예를 들어 압축성형 또는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지며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호울더(300)는 선발레일에 끼워지거나 또는 예를 들어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ESL 모듈은 전반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고, 적용분야에 따라서 별도의 호울더(300)없이 다른 부품들을 사용하여 선반의 모서리레일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 ESL 모듈의 크기는 대략 90mm (폭) × 45mm (높이) × 2mm (두께)이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이나 라벨에 대하여, 수동적인 취급이나, 선반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 또한 사용자가 보기에 용이하도록 충분히 큰 글자나 숫자의 크기를 확보하는 면에서 편리한 통상의 크기이다. 상술한 규격은 모듈의 크기에 대한 예시적인 개념을 부여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크기는 적용분야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ESL 모듈을 나타내며, 라벨의 만곡도를 보다 선명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사시도의 형태로 된 것이다. 이는 많은 적용분야, 특히 점포 및 창고에서 선호되는 형상이다. 플라스틱 호울더(300)와 함께, ESL 디스플레이는 외부로 소비자를 향하여 약간 구부러져 있어서 외형이 보다 친밀하게 느껴지고 완전히 직선형인 구조보다 인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다른 방향으로 즉 안쪽으로 만곡된 ESL 모듈을 제공하여, 보다 외형 및 더 나은 인지도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 호울더(300)의 설계를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 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ESL 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별도의 호울더(300)가 함께 사용가능한 것이다. 도 4의 ESL 모듈은 모듈 구조(100)의 측면에 이중목적의 절결부(102)를 구현한 ESL 모듈상에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프린트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절결부(102)를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4에서 나타낸 모듈의 규격 또는 만곡도는 적용분야에 따라서 다르게 선택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 ESL 모듈은 점포 및/또는 제품의 로고, 제품명 및/또는 상표, 포장의 크기, 기타 보다 항구적인 성격의 정보를 가진 별개의 인쇄된 라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자주 업데이트할 필요는 없는 것이므로 ESL 라벨내의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비용 및 기타 꼭 있어야 할 사항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자기 접착적인 인쇄된 라벨의 형태로 ESL 라벨에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라벨은 때때로 바뀔 필요가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작업단계는 가능한한 쉽게 만들 필요가 있다. ESL모듈로부터 많은 수의 인쇄된 라벨을 제거하는 것은 대형점포의 직원에게는 비생산적인 업무의 부하를 주는 매우 귀찮은 일이다.
도 4에 나타낸 절결부(102)는 ESL 라벨로부터 인쇄된 스티커 라벨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거할 때 매우 도움이 된다. 이는, 라벨의 제거를 자동으로 할 때 및/또는 점포의 로고가 바뀌었을때 또한 점포내의 전체 라벨을 단시간에 바꿀 필요가 있을때 매우 중요한 일이 된다. 이것은, 사업자가 바뀌거나 ESL 모듈을 재사용해야 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장직원과 같은 최종 사용자는, ESL 모듈/라벨이 공인되지 않은 사람, 예를 들면 점포의 손님에 의해서 지나치게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점포의 선반에 고정될 것을 기대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ESL 모듈(100)내의 이중-목적의 절결부(102)의 다른 목적은, ESL 모듈 (100)을 호울더(300)에 고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지렛대 방식의 잠금수단이 호울더(300)에 배치되고, ESL의 위치를 라벨 호울더(3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ESL 모듈내의 공동부 또는 절결부에 들어가도록 한다. 잠금수단, 클립기구는, 외부인이 ESL을 눈에 띄지 않고 빨리 호울더(300)로부터 떼어내는 것을 쉽지 않게 하는데, 접착성의 인쇄 라벨(200)이 제자리에 있을 때에는 클립이 인쇄 라벨(200)의 뒤쪽에 위치되고, ESL 모듈의 앞쪽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결부(102)는 2개의 문제를 해결한다. 먼저, ESL 라벨은 절결부(102)에 의하여 마련된 잠금기능이 없다면 소비자들에 의해 점포의 선반에서 용이하게 도난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두번째로, ESL로부터 인쇄라벨 (200)을 제거하는 것은, 절결부(102)를 제거용 시작점으로 부여하지 않으면 매우 시간이 소비되고 귀찮은 일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절결부(102)는 ESL 모듈(100)들이 롤-투-롤 방식의 제조공정에서 연속적일 릴 또는 웹 제품으로서 절단되는 것과 동시에 ESL 라벨의 안테나 측 (안테나의 위치는 후에 도 7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이 절결될 수도 있다. 이는 제품(100)에 어떠한 부가적인 비용도 더하지 않는다. 절결부(102)는, 절결부가 없는 인쇄 종이 접착 라벨(200)이 ESL 앞면의 상부에 놓이게 될 때, 감춰지게 된다. 물론, 절결부(102)를 다른 방식으로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절별부 (102)의 모든 위치가 상술한 이중-목적의 장점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다.
ESL 호울더(300)의 클립은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호울더가 플라스틱 사출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면, 가장 비용효율적인 방식은 클립을 호울더(300)내에 만드는 것이다. 절결부(102)내로 돌출하도록 클립에 필요한 장력을 부여함과 함께 클립의 최종 형상은 통상의 플라스틱 작업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클립의 최종 형상은, 클립의 위치 및 기능을 잘 알고 있는 능숙한 점포직업이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방식이 ESL 모듈/라벨을 호울더(300)로부터 해제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봉입화의 구조 및 제조방법을, 도 5 내지 8을 참조하고 예를 들어 ESL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최종 생산물의 특성을 좋게 하고 신속하면서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제조하고 봉입화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웹-방식 또는 롤-투-롤 제조방법의 제 1 단계를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제조는 베이스웹으로서 상부면상에 패턴화된 전극구조를 가지는 백플레인(backplane:20)을 마련함으로써 시작된다. 전형적으로는, 이 패턴화된 백플레인은 상부 및 하부면(도면부분 5a 에 상세 참조)상에 패턴화된 도전층을 가지는 플라스틱막(PET 또는 PC 또는 PVC)이다. 도전체의 형성 및 패턴화는 예를 들면 박막층의 에칭에 의하여 또는 도전 잉크의 직접 인쇄에 의하여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은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백플레인의 하부표면은 유사한 방식으로 패턴화된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피드 라인(display segment feed lines)을 가진다. 각 디스플레이 세그먼트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처리된 비아(via)를 통하여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피드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피드-쓰루 비아를 마련하는 기타 방식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에 따라 가능하다.
2단계에 있어서는, 백플레인 세그먼트로부터 디스플레이 전방 전극으로의 전기적인 접촉, 본 실시예에서는 유연성을 가지는 전자 디스플레이 웹(도 5b의 상세참조)을 설정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도전적인 테이프(29)가 전방 전극 피드라인으로서 기능하는 백플레인 영역상에 박막화된다. 전기적으로 도전적인 테이프(29)는 ESL 모듈(100)의 박막화된 봉입구조의 확대상태를 나타내는 도 7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도전적인 테이프(29)의 대신에, 접착성의 전기적으로 도전적인 페이스트 또는 유사한 물질이 백플레이트 웹상에 분산될 수 있어서 전방 플레인 전극과 접촉하게 만들 수 있다.
3단계에 있어서는, 전자적인 디스플레이 웹이 구조상에 적층될 때, 전자 디스플레이 라벨(100)의 구조의 전체 두께를 균등화함으로써 웹의 처리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프로파일 균등화막(profile equalization film:80)이 백플레인 (20)상에 적층된다. 이것은, 도 7에서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재료/라미네이트(10)가 부분적으로만 백플레인 웹을 덮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프로파일 균등화막(80)은 최종 제품(100)에 대하여 균일한 두께와 원활한 전방(및 후방)의 표면을 얻는 것을 도와준다. 이는 디스플레이막(10)의 박막화의 바로 전 또는 후, 혹은 동시에 행해질 수 있다. 균등화막(80)으로서는 기본적으로 많은 방식의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들, 예를 들면 PET막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전자부품 또는 모듈들이 구조물에 열융착되는데 필요한 열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도 한다.
4단계에 있어서는, 전자적으로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물질(10), 예를 들어 전자종이(e-paper) 디스플레이가 정해진 규격의 디스플레이 라벨로서 백플레인 베이스웹(20)상에 적층된다. 이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물질(10)에는 웹으로서 기능하는 연속적인 방출막상에 정해진 규격의 라벨로서 제공될 수도 있고(도 5b에 상세참조), 또는 디스플레이 라벨(10)을 별도의 라벨묶음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베이스웹(20)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형적으로, 전자종이 디스플레이막(10)은 전방전극을 형성하는 투명 도전체 (전형적으로는 인듐 주석산화물, ITO)로 피막된 폴리머 기판(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상의 전기영동 물질 또는 일렉트로크로믹 (electrochromic) 물질등이다. 전자종이막(10)이 백플레인(20)상에 놓일때, 백플레인은 세그먼트된 도전체층 또는 매트릭스 방식의 백플레인일 수 있으며, 백플레인과 전자종이막(10)의 전방전극들은 구동 전자회로에 접속되며, 디스플레이는 백플레인과 전극사이에 전압을 가함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막(10)상의 연속적인 투명 전방전극과 백플레인(20)상의 구동전극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을 설정하기 위하여는, 라벨의 한쪽 모서리로부터 특정영역내의 디스플레이 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또한, 4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라벨(10)을 기계의 방향 및 그를 가로지르는 방향의 양쪽으로 정확히 정렬하는 것이 필요하다.
4단계에서 백플레인 베이스웹(20)상에 전방전극과 함께 디스플레이 라벨(10)을 적층한 후에, 5단계에서는 습기 차단막(70)이 웹구조의 하부 및 상부상에 적층된다.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물질은 일반적으로 습도변화에 민감하므로 디스플레이 물질(10)을 습기 차단막(70)의 내부에 봉입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웹(10)의 양 측면상에 습기차단막(70)을 적층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한 차단막은, 예를 들면, 진공 스퍼터링된 금속 또는 실리카층으로 피복된 플라스틱 물질 또는 불소중합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의 습기 차단막(70)은 불투명성일 수 있지만, 상부막(70)은 투명일 필요가 있다.
도 5에서의 1 내지 5단계의 후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연속적이고도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펠레이 적층웹이 형성되며, 이것은 롤에 감겨져서 다음의 처리단계를 대기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가능성으로서, 완전한 전자제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봉입화를 최종하하는데 필요한 다음의 처리단계로 직접 넘어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단계에서, 중요한 중간 제품인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적층웹이, 최종단계들에 대한 시작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로 웹형상의 부품 및 막으로부터 제조된다.
도 6은 웹형상의 시작점으로서의 전단계들로부터 만들어진 디스플레이 적층막을 사용하는 다음의 제조단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ESL 디스플레이와 같이, 특정한 적용분야에서의 전자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기능하기 위해서, 이 모듈에는 디스플레이 구동, 데이터 처리 및 통신기능과 함께 전원까지 가지는 마이크로 전자회로가 장착되어야 한다. 그러한 전자회로 배선에 요구되는 높은 해상도 및 정확성 때문에, 이 회로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기판, 기판의 포토리소그래피 패터닝 및 자동화된 부품부착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는 주지의 유연성 인쇄배선기판 (PWB) 제조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현재는 롤-투-롤이 새롭게 떠오르고는 있지만, 이러한 처리들은 전형적으로는 시트형상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이런 이유때문에, 유연성을 가지는 PWB포함 미세전자 부품의 단위면적당 제조원가가 백플레인 웹보다는 높다. 따라서 회로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유리하며, 서브모듈로 별도 제작하고 롤-투-롤 공정에서 백플레인웹상에 부착하는 것이 좋다.
비록 박형이면서 유연성을 가지는 배터리 기술이 현존하고는 있지만, 이것들은 아직까지 ESL 모듈과 같은 적용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용량 및 수명을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 때문에, 경제적이고 고성능인 전원으로서 공지의 동전형상의 배터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부품장착 단계의 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라벨에 전력을 부여하는 배터리는 PWB 회로에 부착될 수 있고 서브모듈로서 백플레인 웹에 하나의 단계로 함께 부착한다. 전자 서브모듈은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공급라인과 정밀하게 정렬되고 그 후에 영구적으로 신뢰성있게 부착될 필요가 있다. 이는, 서브모듈을 로보트 또는 부품장착기에 놓고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방성 도전막, 페이스트 또는 유사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함으로써 달성된다.
물론, 별도의 서브모듈의 사용없이, 전원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직접 백플레인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많은 경우에 있어서 가장 비용효율적인 방법은 PWB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 모듈의 경우에 특히 그렇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유연성을 가지는 PWB에 기초한 서브모듈이 형성되고 롤-투-롤 또는 웹형식의 제조공정에서 유연성 디스플레이 적층과 결합되도록 준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서브모듈은 큰 저장 및 긴 사용시간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가진 배터리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사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부품을 백플레인 및/또는 디스플레이 물질에 접속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도 가능하다.
도 6은 상술한 유연성 디스플레이 적층체가 유연성을 가지는 PWB 전자 서브모듈(45)과 어떻게 결합되어 제품을 최종화하는지를 나타낸다.
7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적층제는 아래쪽을 향하는 디스플레이를 릴로부터 풀어진다.
8단계에서 배터리(40)와 함께 전자 서브모듈(45)은 디스플레이 적층체의 뒷쪽에 자동적으로 위치되고 부착된다. 이 단계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어떠한 기술도 이용가능하다.
8단계에서 부착된 전자 서브모듈(45)는 유연성을 가지는 PWB에 부착되기는 했지만 그다지 유연성을 가지는 것은 아닌 민감한 마이크로 전자회로 및 부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완성된 모듈이 기계적인 스트레스에 대하여 뭔가 기계적인 보호를 제공하면서도 어느 정도 수준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전자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봉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의 중요한 특징은, 모듈이 다른 구조나 모서리에 돌출되거나 만곡됨이 없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다. 전형적으로, 전자 서브모듈(45)은 디스플레이 적층(전형적으로는 0.2 - 0.6mm)보다 훨씬 두꺼운(전형적으로는 1 - 3mm) 전자부품 및 배터리를포함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1.5 - 4mm 의 전체 두께를 가지는 그러한 전자 디스플레이는 사출성형등의 처리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별도의 플라스틱 밀폐물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제품은 별도의 공정에 의하여 그 밀폐물내에 놓여져야 한다. 이러한 것은 롤-투-롤방식 처리와 양립할 수 없으며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높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봉입방법은 종래기술에 대하여 현저한 발전성을 제공한다.
도 6에 나타낸 9단계에서, 제조된 전자모듈은 동시 절단 및 적층의 혼합된 공정에서 탄성적인 플라스틱 봉입 폼(30)을 사용하여 봉입된다. 이러한 탄성층 (30)은 봉입영역에 걸쳐서 균일한 전께 두께를 얻기 위하여는 실질적으로 단단한 전자부품(40)의 높이를 수용하는 두께 및 절결영역(32)을 가진다.
전자모듈내의 가장 두꺼운[보통은 동전 배터리(30)] 부품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 폼(30)은, 바람직하게는 롤에서 풀려나오며, 디스플레이 웹과 종기하여 레이저 절단 시스템을 사용하여 천공되고 닙(nip)에 적층되기 때문에, 폼(도 7 참조)내의 천공구멍(32)은 전자라벨내의 두꺼운 부품과 정렬된다. 동시에 또는 직후에, 얇은 보호막(90)이 폼(30)의 상부에 적층되고 라벨의 뒤쪽을 밀폐하게 된다. 배터리(40) 및 기타의 전자부품들은, 따라서 폼 및 후방 덮개막(90)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내에 완전히 봉입된다. 이 폼(30)은 전기적인 절연을 제공하며, 전자 라벨(100)이 롤-투-롤 공정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유지하면서 기계적인 스트레스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폼(30)상의 접착제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자모듈(45)을 연결시켜서, 라벨(100)의 유연성을 유지해주면서 부가적인 강성을 제공해주게 된다.
폼(30)은 전기적인 성능 및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선송신 특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유전 성능을 가지는 폴리머 재료 또는 어떠한 재료일 수 있다. 폼 물질을 사용하는 이점은 낮은 밀도를 가지는 물질의 낮은 중량과도 관계가 있다.
폼물질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레핀 폼(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스틸렌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기계적인 충격 및 스트레스로부터 부품들을 보호하는 것에 부가하여, 상대적으로 두꺼운 폼층(30)은 또한 백플레인상의 안테나(27)(도 7 참조)와 선반상의 금속 구조물 또는 선반레일과의 사이의 간격을 형성해준다. 이것은, 인접한 금속 또는 상당구조물로부터 야기되는 간섭이 없이 무선송신이 성능을 발휘되도록 하는 적절한 환경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물론, 동기적인 절단 및 적층의 대신에, 폼 부품(30)은 베이스 웹상에 위치되는 미리 성형되고 적층된 물품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연속적인 절단 및 적층은 명확한 장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전기부품(40)에 대하여 의도된 폼 절결부(32)의 정확한 위치잡기를 보장해준다.
임의적인 원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10단계에서, 부분적으로 투명하고 인쇄되거나 기타 패턴이 형성된 라벨(200)들이 각 전자 라벨의 상부에 가해진다. 라벨(200)에 있어서 로고의 앤쇄라든가 채색특성 및, 반사되지 않는 특성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의 부가적인 특성을, 소비자가 특정하는 것이다.
11단계에서, 연속적인 웹형상 제품은 개별 라벨(100)로 다이 커팅된다. 레이저로 천공된 폼(30)은 전자라벨에 대한 봉입상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후에 어떠한 부가적인 포장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최종 단계에서, 기성품인 라벨(100)이 다이 커팅에 의하여 간단히 디스플레이로부터 분리된다.
도 7은 상술한 상이한 부품 및 층들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모식적으로 확대된 3차원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의 부품의 이름은 상술한 설명에서와 일치한다. 7도에 나타낸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27)는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도전체와 함께 백플레인(20)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ESL 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부품의 명칭은 상술한 도면들 및 설명에서와 유사한 것이다.
1 - 10단계에서의 제품의 적층은 접착제등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이와 같이 접착을 제공하는 물질이 상호간에 적층될 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미리 가해져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알것이다. 접착제는 열, 광, 무선 또는 기타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 활성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공정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라벨의 형상이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이하게 적층된 층들 사이의 장력을 적절한 물질의 선택에 의하여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라벨(100)의 상부면은 예를 들면 볼록 또는 오목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1mm 이상, 전형적으로는 2mm 범위인 상당한 두께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모듈구조를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면서도 원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조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봉입된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이들의 크기와 비교할 때 상당히 경량이어서 수작업적으로나 자동작업적으로나 취급이 용이하고 편리하게 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제품 및 봉입화 방법이 두께를 증가시키고 유연성을 감소시키는 것임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품은 유연성을 가지며, 장치 (100)의 일부로서 강성의 부품(40)의 사용되는 경우에도 훨씬 우월한 유연성 및 장점을 가진다.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구조 및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재내용으로부터 가변적임이 명백하다. 또한 제조공정 및 사용되는 부품의 상세한 내용 또한 적용분야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층 또는 부품의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무선통신 방법은 무선 후방산란 기술에 근거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능동 무선파, 광파 또는 기타 전송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선택은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조의 두께 및,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요구하는 롤-투-롤 방식 제조에 대한 적용가능성에 좌우된다. 능동 디스플레이 물질(10)은 어떠한 종류의 전기영동물질 또는 회전 2색성(dichromatic) 입자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물질(10)은 또한 전기영동 물질이나 액정재료도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적층체는 예를 들면 전기형광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 디스플레이 물질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얇고, 종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디스플레이 물질(10)도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또한,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특정한 형상의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대신에, 또한 세그먼트 제어공정의 대신에, 매트릭스 콘트롤러에 의하여 제어되는 매트릭스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이 경우에는, 개별적인 디스플레이 세그먼트 대신에, 매트릭스 제어원리로 제어되는 다수개의 작은 매트릭스 형상소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요소의 각 행렬에 대하여 단지 한개의 제어 도전체만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다음의 예를 들어 더욱 예시된다.
실시예 1. 무선통신성능을 가지는, 봉입되고,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이 모듈은 적어도:
-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위한 전극구조를 가지는 박형이면서도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과,
- 상기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과 기능적으로 접속되는 방식으로 적층 배열된 얇고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 물질층과,
- 상기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과 상기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 물질의 두께보다 현저히 큰 두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전기적 부품과,
- 밀봉영역에 걸친 구조의 전체 두께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전기적 부품의 높이를 사용할 수 있는 두께 및 절결영역을 가지는 탄성층, 및
구조의 적어도 상부 및 하부면상에 있는 보호 외부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 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 또는 상기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 물질의 두께보다 현저히 큰 두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전기적 부품들은 별개의 유연성을 가지는 인쇄배선기판 서브모듈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2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전기적인 부품의 적어도 하나는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예를 들면 동전형 배터리와 같은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구조의 전에 두께가 적어도 1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모듈은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에 있어서, 모듈은 전자적 선반 라벨 (Electronic Shelf Label: ESL)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모듈은 별개의 호울더내에 위치되도록 형상이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모듈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디스플레이와 공유하는 표면상의 인쇄 라벨의 형상을 채택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8 및 9에 있어서, 모듈은 그 모듈을 호울더 내에 잠긴 상태로 있도록 하고 인쇄라벨을 그 모듈로부터 해제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외부 표면 절결부를 가지며, 그 절결부는 상기 라벨이 모듈에 부착되어 있을 때 인쇄 라벨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덮이는 방식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1: 무선통신성능을 가지며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봉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적어도:
- 베이스 웹(base web)으로서 디스플레이 구동용 전극구조를 가지는 박형이면서 유연성을 가지는 백플레인을 마련하는 단계와,
- 박형이면서 유연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물질층을 마련하고, 이것을 베이스웹과 기능적으로 접속하도록 적층화하는 단계와,
- 상기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 또는 상기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 물질의 두께보다 현저히 큰 두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전기적 부품을 마련하고, 이들이 베이스 웹과 기능적으로 접속하도록 마련하는 단계와,
- 밀봉영역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얻도록 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강성을 가지는 전기적 부품의 높이를 사용할 수 있는 두께 및 절결영역을 가지는 탄성층을 마련하고 베이스 웹상에 그 탄성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 그 구조의 적어도 상부 및 하부면상에 보호 외부층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처리단계가 적어도 한개의 중간 롤-투-롤 (roll-to-roll) 단계 및 대응하는 되감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물질(10)은 전자잉크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따른 봉입 및 제조방법은 예로서 ESL 디스플레이 모듈을 사용하여 상기에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ESL 적용분야뿐 아니라, 첨부된 실시예 및 청구범위의 내에 있는 기타의 적용분야에서도 이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16)

  1. 디스플레이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연성을 가진 디스플레이층(10)과,
    상기 디스플레이물질을 구동하기 위한 전극구조를 가지는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층(20)과,
    그의 두께가, 상기 유연성이 있는 디스플레이 물질층(10) 및/또는 상기 유연성이 있는 백플레인층(20)의 두께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부품 (40) 및,
    상기 강성인 부품(40)을 위한 절결영역(32)을 가지며, 실질적으로 균일한 장치(100)의 두께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탄성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무선통신 성능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인 부품(40)은 상기 층들(10,20,30)을 상호간에 적층함으로써 상기 절결영역(32)내에 봉입되는 장치(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층(10), 상기 백플레인층 (20), 상기 탄성층(30) 및 상기 강성인 부품(40)들은 2개의 보호층의 사이에 위치되는 장치(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인 부품(40)은 유연성의 인쇄배선기판 서브모듈(45)에 부착되는 장치(100).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인 부품(40)은 전원인 장치(10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인 부품(40)은 배터리인 장치(1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40)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장치(10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의 전체 두께는 1mm 이상인 장치(10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는 장치(10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는 전자선반 라벨(ESL)인 장치(10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는 호울더 (300)안에 끼워지는 형상을 가지는 장치(10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0)는 인쇄라벨(200)이 부착될 수 있는 표면을 가지며, 상기 인쇄라벨(2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물질의 제어가능한 부분들이 동시에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호울더(300)에 잠그어 놓는 절결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102)는 상기 인쇄라벨(200)이 상기 절결부(10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리도록 상기 장치(100)에 부착되었을 때에 상기 장치(100)로부터 인쇄라벨(200)을 떼어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1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유연성을 가지는 백플레인층(20)을 웹으로서 마련하는 단계, 및
    - 상기 층(10,20,30)들을 상호간에 적층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번의 롤-투-롤(roll-to-roll) 단계 및 그에 대응하는 되감기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
KR1020107021152A 2008-02-21 2009-02-23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관련 제조 방법 KR20100126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20308P 2008-02-21 2008-02-21
US61/064,203 2008-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427A true KR20100126427A (ko) 2010-12-01

Family

ID=4098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152A KR20100126427A (ko) 2008-02-21 2009-02-23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관련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20471A1 (ko)
EP (1) EP2250638A4 (ko)
JP (1) JP2011520133A (ko)
KR (1) KR20100126427A (ko)
CA (1) CA2715571A1 (ko)
WO (1) WO200910385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288B1 (ko) * 2012-02-02 2012-05-14 주식회사 대한전광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1529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솔루엠 정적 표시 영역을 가진 전자 정보 라벨
WO2017105054A1 (ko) * 2015-12-15 2017-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가격 표시기 및 그의 안테나
KR20230109375A (ko) 2022-01-13 2023-07-20 한국과학기술원 트리플루로메틸기를 포함하는 다중고리형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하여 수득되는 유연성 폴리이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378A1 (en) * 2008-07-15 2010-01-21 Optoelectronics Co., Ltd. Power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shelf labels and the like
FI20105507A0 (fi) * 2010-05-10 2010-05-10 Marisense Oy Langaton elektroninen hyllylappu
FI124066B (fi) * 2010-06-01 2014-02-28 Marisense Oy Järjestely häiriöiden pienentämiseksi elektronisessa hyllylapussa
EP2479739A1 (en) * 2011-01-24 2012-07-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isplay element
FI123635B (fi) * 2012-02-14 2013-08-30 Marisense Oy Sähköisen hintalapun kiinnitysjärjestely
FR2995117A1 (fr) * 2012-08-29 2014-03-07 Samsung Electro Mech Etiquette electronique de gondole
EP2833343A3 (de) * 2013-07-30 2015-08-05 Firma Josef Fortmeier e.K. Inh. Bruno Fortmeier Elektronisches Etikett zur Anbringung an einem Gegenstand
JP6175316B2 (ja) * 2013-09-03 2017-08-02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情報表示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FI125525B (fi) * 2014-01-16 2015-11-13 Mariella Labels Oy Sähköisen hintalapun vaihdettavan jännitelähteen kiinnitysjärjestely ja sähköinen hintalappu
FI10915U1 (fi) * 2014-03-25 2015-06-25 Mariella Labels Oy Sähköinen hintalappu ja sähköinen hintalappujärjestelmä
US20150280788A1 (en) * 2014-03-28 2015-10-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notificatio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EP3195300A4 (en) 2014-07-31 2018-05-23 Cloverleaf Media LLC Dynamic merchandising communication system
WO2016116663A1 (en) 2015-01-19 2016-07-28 Mariella Labels Oy Electronic price label and a battery unit for an electronic price label
FI128341B (fi) 2015-01-19 2020-03-31 Marisense Oy Sähköinen hintalappu ja sähköisen hintalapun paristoyksikkö
US9483982B1 (en) * 2015-05-05 2016-11-01 Dreamscree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vision backlignting
US9844156B2 (en) * 2015-10-12 2017-12-12 Cloverleaf Media, LLC LED retail digital signage
USD791617S1 (en) 2015-10-12 2017-07-11 Cloverleaf Media Llc Digital signage device
US9576174B1 (en) 2015-10-12 2017-02-21 Cloverleaf Medi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ng pixel mapped content to merchandising communication systems
US10969649B2 (en) 2015-10-28 2021-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
KR20170064453A (ko) * 2015-11-30 2017-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DE102016121942A1 (de) * 2015-11-30 2017-06-01 Lg Display Co., Ltd. Faltbare Anzeigevorrichtung
FI20165146A (fi) 2016-01-13 2017-07-14 Mariella Labels Oy Sähköisen hintalapun suojaelin ja sähköinen hintalappujärjestely
WO2017121924A1 (en) 2016-01-13 2017-07-20 Mariella Labels Oy Protective element of an electronic price label and electronic price label arrangement
JP6907581B2 (ja) * 2017-02-17 2021-07-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ペーパーを備えた販売促進媒体
WO2018162799A1 (en) 2017-03-07 2018-09-13 Mariella Labels Oy Electronic price label and electronic price label system
US20200127704A1 (en) 2018-10-19 2020-04-23 Ossia Inc. Wireless Power Enabled Electronic Shelf Label
EP3987442A4 (en) 2019-06-19 2023-07-19 MariElla Labels Oy ELECTRONIC PRICE LABEL AND ELECTRONIC PRICE LABE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7508A (en) * 1991-05-13 1994-04-26 Motorola, Inc. Shock isolation for selective call receivers
US6069596A (en) * 1994-05-17 2000-05-30 Ncr Corporation Electronic shelf label mounting system
US5575100A (en) * 1994-06-23 1996-11-19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Electronic shelf label protective cover
US20020167500A1 (en) * 1998-09-11 2002-11-14 Visible Techknowledgy, Llc Smart electronic label employing electronic ink
WO2000067110A1 (en) * 1999-05-03 2000-11-09 E Ink Corporation Display unit for electronic shelf price label system
JP3462430B2 (ja) * 1999-06-15 2003-11-05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情報機器
JP2001109956A (ja) * 1999-10-05 2001-04-20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棚札
JP2001188470A (ja) * 1999-12-28 2001-07-10 Katekkusu:Kk 商品価格等表示用補助具
JP2001334693A (ja) * 2000-05-26 2001-12-04 Dainippon Printing Co Ltd 電子棚札の書込み消去装置と書込み消去可能な電子棚札
US6715675B1 (en) * 2000-11-16 2004-04-06 Eldat Communication Ltd.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s and methods
JP2002367774A (ja) * 2001-06-04 2002-12-20 Sony Corp 薄膜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薄膜パターン形成装置
US7152040B1 (en) * 2003-05-27 2006-12-19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shelf label
JP4415593B2 (ja) * 2003-07-22 2010-02-17 株式会社寺岡精工 棚札装置及び棚札用フレーム
ATE505032T1 (de) * 2003-09-03 2011-04-15 Visible Tech Knowledgy Inc Elektronisch aktualisierbares label und display
JP2005148354A (ja) * 2003-11-14 2005-06-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ォトマスク、露光装置、液晶パネル部材、液晶パネル部材の製造装置、液晶パネル部材の製造方法
US20060101685A1 (en) * 2004-09-10 2006-05-18 Smith Carl Iii Substrate with light display
US20060055691A1 (en) * 2004-09-11 2006-03-16 Bursett Jeffrey M Attachable informational appliance
TWI279614B (en) * 2004-11-19 2007-04-2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US7304780B2 (en) * 2004-12-17 2007-12-04 Sipix Imaging, Inc. Backplane design for display panels and processes for their manufacture
FI124853B (fi) * 2005-02-17 2015-02-13 Marisense Oy Järjestely tiedon esittämiseksi ja päivittämiseksi
TWI350793B (en) * 2006-03-08 2011-10-21 E Ink Corp Methods for production of electro-optic displays
CN101836167B (zh) * 2007-01-22 2013-11-06 伊英克公司 用在电光显示器中的多层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288B1 (ko) * 2012-02-02 2012-05-14 주식회사 대한전광 모듈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1529A (ko) * 2014-10-30 2016-05-11 주식회사 솔루엠 정적 표시 영역을 가진 전자 정보 라벨
WO2017105054A1 (ko) * 2015-12-15 2017-06-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자 가격 표시기 및 그의 안테나
US10607512B2 (en) 2015-12-15 2020-03-31 Atec Ap Co., Ltd. Commun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30109375A (ko) 2022-01-13 2023-07-20 한국과학기술원 트리플루로메틸기를 포함하는 다중고리형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이미드 전구체 및 이를 이용하여 수득되는 유연성 폴리이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0133A (ja) 2011-07-14
US20120120471A1 (en) 2012-05-17
EP2250638A4 (en) 2013-10-02
WO2009103857A1 (en) 2009-08-27
CA2715571A1 (en) 2009-08-27
EP2250638A1 (en)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6427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관련 제조 방법
EP2577796B1 (en) Arrangement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an electronic shelf label
CA2867080C (en) Electronic label tag and electronic label tag system
FI124853B (fi) Järjestely tiedon esittämiseksi ja päivittämiseksi
US20130036636A1 (en) Wireless electronic shelf label
CN102982365B (zh) 应答器标签和应答器标签的制造方法
WO2000067110A1 (en) Display unit for electronic shelf price label system
JP2010525465A5 (ko)
WO2011119913A2 (en) Retail item display device
JP2003209421A (ja) 透明アンテナを有するrfid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121113A1 (en) Electronic shelf label and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WO2015136146A1 (en) Electronic price label and electronic price label system
JP2001043337A (ja) 無線情報記憶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847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personal data
WO2019171019A1 (en) Short-rang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device
WO2015144982A1 (en) Electronic price label and an electronic price labe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114

Effective date: 2014020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