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694A - 배관 스케일 제거기 - Google Patents

배관 스케일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694A
KR20100125694A KR1020090044525A KR20090044525A KR20100125694A KR 20100125694 A KR20100125694 A KR 20100125694A KR 1020090044525 A KR1020090044525 A KR 1020090044525A KR 20090044525 A KR20090044525 A KR 20090044525A KR 20100125694 A KR20100125694 A KR 20100125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chuck
flexible wire
connector
pipe
rotar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5602B1 (ko
Inventor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아리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수텍 filed Critical (주)아리수텍
Priority to KR102009004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60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스케일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스케일 제거기는 모터와; 하우징과; 플라이휠과;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 되며, 상기 플라이휠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내부에 장착되는 콜릿척과; 상기 회전구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콜릿척과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콜릿척이 상기 회전구에서 탈착되게 하는 탈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탈착부재는 손잡이에 의하여 회동되는 이동원판과; 상기 이동원판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돌기부와; 중앙부위에 힌지가 장착되고, 상기 돌기부가 일 측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구를 이송하는 활주구; 및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콜릿척이 상기 회전구에서 밀착되게 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를 원위치에 이송하게 되며, 클램핑 된 플렉시블 와이어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배관스케일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플렉시블 와이어를 클램핑한 상태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상품성이 증대하게 된다.
배관, 스케일, 제거, 와이어, 클램핑

Description

배관 스케일 제거기{Apparatus for removing scale in pipe}
본 발명은 배관 스케일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와이어가 배관 내부를 진행하는 동안에는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회전하고, 베이스의 상부 면에서 레일에 의하여 본체가 후진하는 동안에는 자연적으로 와이어의 클램핑을 해지하여 본체의 후퇴에 의하여 와이어가 후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배관 스케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물이나 기타 유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체에 매립형태로 설치되는데, 장기간 사용을 하다 보면 배관의 내부 벽이 산화되어 부식되거나 각종 이물질이 끼이면서 스케일(scale)을 생성시키게 되고, 이 스케일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고체화되면서 상기 배관의 유로를 좁게 하는 원인이 된다.
이렇게 스케일에 의해 배관의 내측인 유로가 좁아지게 되면 유체의 이동이 그만큼 원활하지 못하여 배관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심할 경우 유체의 이동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배관이 파손되는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고, 열을 전달하는 보일러 관인 경우에는 열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관 스케일 제거기가 있다.
이러한 배관 스케일 제거기는 상부에 레일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레일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상부에서 활주하는 박스 형상의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플렉시블 와이어가 권취되어 안착되는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 에서 인출되는 플렉시블 와이어를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클램핑 장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렉시블 와이어가 배관 내부에서 진행을 하기 위해서는 베이스 상부면에서 활주하는 상기 본체를 이용하게 된다. 즉 클램핑장치가 플렉시블 와이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 상부에서 이송하면,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는 배관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에서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클램핑 장치는 플렉시블 와이어의 클램핑을 해지하고, 본체만 상기 베이스 상에서 후퇴하게 되며, 이때 플렉시블 와이어는 배관 내부에 정지한다. 본체가 완전히 후퇴하면, 상기 클램핑 장치는 플렉시블 와이어를 클램핑하여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회전하는 플렉시블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의 레일에서 활주하는 본체에 의하여 배관 내부에서 전진하면서 스케일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배관 스케일 제거기는 회전하는 와이어를 배관 내부에서 계속 진행시켜야 되는데, 이와 같이 와이어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레일 상부에서 활주되는 본체를 이용하게 된다. 즉 플레시블 와이어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상비 본체를 이송하면, 와이어도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가 레일의 끝에 이른 경우에는 클램핑된 와이어를 해지하고, 본체를 후퇴하여 다시 클램핑을 하여서 와이어를 이송한다.
그러나 본체를 후퇴하는 경우에 상기 와이어를 클램핑한 상태로 후퇴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클램핑을 해지하는 작업과 본체를 후퇴하는 작업이 분리되어서 작업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를 클램핑한 상태로 후퇴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또한 클램핑을 해지하는 작업과 본체를 후퇴하는 하는 작업이 하나의 작업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배관 스케일 제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배관 스케일 제거기는, 상부에 레일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면에서 레일에 의하여 활주하는 박스 형상의 본체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중심선이 지면에서 20°~ 30°의 각도를 유지되고, 회전축에 의하여 지지 되는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에서 인출되는 플렉시블 와이어가 관통되는 유니버설 조인트와;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에서 인출되는 플렉시블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클램핑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플라이휠과;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 되며, 상기 플라이휠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내부에 장착되는 콜릿척과; 상기 회전구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콜릿척과 연결되는 연결구; 및 상기 콜릿척이 상기 회전구에서 탈착되게 하는 탈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탈착부재는 손잡이에 의하여 회동되는 이동원판과; 상기 이동원판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돌기부와; 중앙부위에 힌지가 장착되고, 상기 돌기부가 일 측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구를 이송하는 활주구; 및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콜릿척이 상기 회전구에서 밀착되게 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이고, 만곡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를 원위치에 이송하게 되며, 클램핑 된 플렉시블 와이어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배관스케일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플렉시블 와이어를 클램핑한 상태로 후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상품성이 증대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스케일 제거기(10)는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의 상부 면에서 레일(7)에 의하여 활주 가능한 본체(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 내부에는 수납통(20)과 클램핑 장치(30) 등과 같은 구성품들이 수용되게 된다.
상기 수납통(20)은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이고, 중심선이 지면에서 20°~ 30°의 각도를 유지되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상기 수납통(20)에는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권취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1)에 의하여 지지가 되는 수납통(20)의 상부 면에는 유니버설 조인트(23)가 장착된다.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23)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수납통(20)에 권취된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유니버설 조인트(23)를 관통하여 상기 클램핑 장치(3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회전축(21)과 유니버설 조인트(23)가 장착된 상기 수납통(20)은 회전 중심선이 지면에서 25°각도를 유지되어 경사지게 장착되어 회전이 되므로 내부에 권취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는 중력에 의하여 수납통(20)의 하부로부터 적층되고,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23)와 인접한 상부에서 인출되므로 흐트러지거나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인의 여러 번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수납통(20)이 35° 이상으로 급격하게 경사지는 경우에는 내부의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인출될 때 다량의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고, 10°이하인 경우에는 하부에서 적층되는 것이 아니고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수납통(20)의 회전은 상기 클램핑 장치(30)와 연동되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23)에 의하여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램핑 장치(30))는 도 3과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장치(30)는 하우징(32), 플라이휠(33), 이동원판(42), 손잡이(9), 활주구(46) 및 콜릿척(3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 내부에는 모터(31)가 수용되고, 상기 모터(31)의 상부에는 하우징(32)이 장착된다.(도 2 참조)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전구(35)가 장착되는데, 상기 회전구(35)는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베어링(34)에 의하여 지지가 된다. 상기 회전구(35)는 모터(31)에 의하여 연동되어 회전하는 플라이휠(33)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3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상기 플라이 휠(33)이 회전하는 동안에는 상기 회전구(35)도 항상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35)의 일 측면 중공부에는 콜릿척(36)이 안착되는데, 상기 콜릿척(36)은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관통되고, 경사면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회전구(35)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콜릿척(36)이 압착되어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를 클램핑하게 되고, 상기 콜릿척(36)이 상기 회전구(35)에서 이탈하는 경우에는 절개된 경사면이 확장되어서 클램핑 되었던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를 해지하게 된다. 상기 콜릿척(36)은 배관 스케일 제거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3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가 형성된 상기 회전구(35) 내부에는 연결구(41)가 안착 된다. 상기 연결구(41)에도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연결구(41)의 일단은 상기 콜릿척(36)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32)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콜릿척(36)이 상기 회전구(35)에서 탈착되게 하는 탈착부재는 이동원판(42), 회동부(44), 활주구(46) 및 판스프링(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원판(42)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손잡이(9)에 의하여 회동하게 되고, 일 측면에는 돌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43)는 원통 형상이고 가장자리를 따라서 면취 되어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43)와 인접한 부위에는 회동부(44)가 안착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44)는 "ㄷ"자 형상을 이루고 중앙에는 힌지에 의하여 회동되어 시소와 같이 작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부(44) 내측에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관통되는 원통 형상의 활주구(46)가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활주구(46)는 상기 연결구(41)와 연동되어 활주되게 된다.
상기 활주구(46)의 측면에는 판스프링(50)이 장착되어 상기 활주구(46)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50)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이고,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구(41), 상기 콜릿척(36), 상기 플라이휠(33), 상기 이동원판(42), 상기 활주구(46)의 중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관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은 도 4a와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클램핑 장치(30)의 콜릿척(36)이 플렉시블 와이어(100)를 클램핑하여 회전하는 과정은 도 4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50)은 상기 활주구(46)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연결구(41)를 끌어당기고, 이와 같이 끌어당기는 연결구(41)에 의하여 상기 콜릿척(36)이 상기 회전구(35)에 삽입되면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를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35)는 모터(31)에 의하여 회전하는 플라이 휠(33)에 연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콜릿척(36)이 클램핑한 플렉시블 와이어(10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하는 플렉시블 와이어(100)는 상기 본체(5)의 이송에 의하여 파이프 내부에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5)가 레일(7)의 가장자리에 다가간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9)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5)를 원위치에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손잡이(9)를 이동하면 상기 이동원판(42)도 회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회동하는 상기 이동원판(42)의 측면에 장착된 상기 돌기부(43)도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돌기부(43)가 이동하여서 상기 회동부(44)의 일측을 확장하면,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는 상기 회동부(44)의 타측은 축소되게 되고, 이와 같이 축소되는 상기 회동부(44)의 타측에 의하여, 상기 연결구(41)가 상기 콜릿척(36) 방향으로 이송한다. 즉 상기 연결구(41)에 의하여 상기 콜릿척(36)이 상기 회전구(35)에서 이탈되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의 클램핑이 해지되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9)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콜릿척(36)에 클램핑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100)의 클램핑이 해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기를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단면도.
도 3은 와이어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a와 4b는 와이어 클램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본체, 9: 손잡이,
20: 수납통, 23: 유니버설 조인트,
30: 클램핑 장치, 32: 하우징,
33: 플라이휠, 35: 회전구,
36: 콜릿척, 41: 연결구,
42: 이동원판, 50: 판스프링

Claims (2)

  1. 상부에 레일(7)이 형성되는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의 상부 면에서 레일(7)에 의하여 활주하는 박스 형상의 본체(5)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5) 내부에는 중심선이 지면에서 20°~ 30°의 각도를 유지되고, 회전축(21)에 의하여 지지 되는 수납통(20)과; 상기 수납통(20)에서 인출되는 플렉시블 와이어(100)가 관통되는 유니버설 조인트(23); 및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23)에서 인출되는 플렉시블 와이어(100)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클램핑 장치(30)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핑 장치(30)는, 모터(31)와; 상기 모터(31)의 상부에 장착되는 하우징(32)과; 상기 모터(31)에 의하여 회전되는 플라이휠(33)과; 길이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2)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베어링(34)에 의하여 지지 되며, 상기 플라이휠(33)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구(35)와; 상기 회전구(35)의 내부에 장착되는 콜릿척(36)과; 상기 회전구(35)의 내부에 장착되며, 일단은 상기 콜릿척(36)과 연결되는 연결구(41); 및 상기 콜릿척(36)이 상기 회전구(35)에서 탈착되게 하는 탈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탈착부재는 손잡이(9)에 의하여 회동되는 이동원판(42)과; 상기 이동원판(42)의 일 측면에 장착되는 돌기부(43)와; 중앙부위에 힌지가 장착되고, 상기 돌기부(43)가 일측에 삽입되어 회동하는 회동부(44)와; 상기 회동부(44)의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동부(44)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연결구(41)를 이송하는 활주구(46); 및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콜릿척(36)이 상기 회전구(35)에서 밀착되게 하는 판스프링(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스 케일 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50)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형이고, 만곡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스케일 제거기.
KR1020090044525A 2009-05-21 2009-05-21 배관 스케일 제거기 KR10105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525A KR101055602B1 (ko) 2009-05-21 2009-05-21 배관 스케일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525A KR101055602B1 (ko) 2009-05-21 2009-05-21 배관 스케일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94A true KR20100125694A (ko) 2010-12-01
KR101055602B1 KR101055602B1 (ko) 2011-08-10

Family

ID=43503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525A KR101055602B1 (ko) 2009-05-21 2009-05-21 배관 스케일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407B1 (ko) * 2015-06-05 2017-06-13 공민규 전동 배관 청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9591B1 (ko) 2005-04-01 2006-10-30 이중희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0918971B1 (ko) * 2007-07-26 2009-09-25 이광호 배관스케일 제거기
KR100893775B1 (ko) 2008-08-26 2009-04-20 김기환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와이어 하우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845B1 (ko) 2016-04-27 2017-02-10 박승열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602B1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455B1 (ko) 관로세척장치
KR101055602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
CA2246077A1 (en) Drain cleaning apparatus
US20090307857A1 (en) Device for a Pig
US7771544B2 (en) Cleaning or care apparatus for medical of dental instruments
US7823235B2 (en) Pipe cleaning and cutting tool
CN116277075B (zh) 一种自动上料机械臂
JP5914239B2 (ja) 洗浄具
CN205520115U (zh) 气动卡盘装置、以及具有该气动卡盘装置的激光切管机
CA2961845C (en) Drain cleaning device
JP5139135B2 (ja) 電動グリッパ装置
CN114750055B (zh) 一种用于加工圆泡帽斜面抛光工装夹具
KR101960462B1 (ko) 관로 스케일 제거장치
JP6382082B2 (ja) 回転加工工具
US6855045B2 (en) Tube surface cleaning device
KR20140146335A (ko) 볼형 샤프트를 구비한 굴절형 절삭 공구를 가진 관내 고형 물질 제거 장치
ATE518285T1 (de) Gerät zum ausschneiden eines länglichen körpers, wie beispielsweise eines konzentrischen mehrschichtenkabels
WO2009091263A3 (en) Cleaning tool device
KR20110105275A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
CN211971470U (zh) 一种矿井用空间大小可调的双层罐笼
JP2009160543A (ja) 排水管などの管路洗浄装置
JP4920540B2 (ja) 把持装置
KR100722699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플렉시블 와이어 클램핑장치
JP5654906B2 (ja) 管内導入装置
ATE426729T1 (de) Barriere, insbesondere zum zuruckhalten von flussigkeiten und granula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