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591B1 -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591B1
KR100639591B1 KR1020050048293A KR20050048293A KR100639591B1 KR 100639591 B1 KR100639591 B1 KR 100639591B1 KR 1020050048293 A KR1020050048293 A KR 1020050048293A KR 20050048293 A KR20050048293 A KR 20050048293A KR 100639591 B1 KR100639591 B1 KR 100639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ipe
moving plate
wir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5395A (ko
Inventor
이중희
Original Assignee
이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희 filed Critical 이중희
Publication of KR2006010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2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devices moved through the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콜렛척부 및 와이어 보관통으로 구성된 회전부의 회전축의 연장선상과 모터의 모터축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동판의 공간을 확보하여 이동판 상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와이어 보관통의 부피를 늘일 수 있으므로, 보다 긴 플렉시블 와이어가 와이어 보관통에 수납될 수 있고,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프레임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모터 및 와이어 보관통이 배치되므로, 프레임이 콤팩트화되어 작업장 등에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 스케일, 플렉시블 와이어, 프레임, 콜렛척, 모터

Description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Device for removal of scale in pip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가 배관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이동력 부여수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와이어 보관통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의 a,b는 도 1의 콜렛척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모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하부지지대
120 : 수직지지대 130 : 상부지지대
140 : 파이프 고정대 160 : 환봉
170 : 보조파이프 200 : 이동판
210 : 베어링 부재 250 : 베어링
300 : 이동력 부여수단 310 : 랙부재
330 : 피니언 350 : 핸들
400 : 회전부 410 : 콜렛척부
411 : 척하우징 412 : 베어링
413 : 제 1브래킷 414 : 제 2브래킷
415 : 압축스프링 416 : 키
417 : 가압부재 418 : 연결파이프
419 : 벨트안착부 420 : 콜렛회전부
430 : 콜렛척 작동부 431 : 고정링크
432 : 구동링크 433 : 손잡이
434 : 제 1종동링크 435 : 제 2종동링크
436 : 베어링부 440 : 중공회전부
450 : 회전력 전달수단 451 : 제 1기어
453 : 제 2기어 460 : 와이어 보관통
461 : 외통 462 : 회전축
463 : 내통 464 : 베어링
465 : 와이어 가이드봉 466 : 회전축 삽입홈
467 : 베어링 468 : 베어링
469 : 베어링 하우징 500 : 모터
510 : 모터축 530 : 벨트안착부
600 : 플렉시블 와이어
본 발명은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물이나 기타 유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건물의 바닥면 내에나 벽체 내에 매립형태로 설치되는데, 장기간 사용을 하다 보면 배관의 내부벽이 산화되어 부식되거나 각종 이물질이 끼이면서 스케일(scale)을 생성시키게 되고, 이 스케일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고체화되면서 상기 배관의 유로를 좁게 하는 원인으로 남게 된다. 스케일에 의해 배관의 내측인 유로가 좁아지게 되면 유체의 이동이 그만큼 원활하지 못하여 배관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심할 경우 유체의 이동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배관이 파손되는 안전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배관의 내부벽에 생성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 배관 스케일 제거기가 제시되어 있는데, 도 8은 그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일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한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1992-56호의 "배관 스케일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먼저, 플랙시블 와이어(5)의 끝단에서부터 일부를 배관(6) 내로 밀어 넣어 인입시 킨 다음 모터(1)를 구동시키면 상기 모터의 중공축(2)이 회전하므로 와이어통(4)과 함께 콜렛척(3)이 회전하는데, 상기 와이어통(4)에는 플랙시블 와이어(5)가 감긴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감긴 상태로 내장된 플랙시블 와이어(5)는 그 선단부가 중공축(2)으로 관통되어 콜렛척(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5)도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플랙시블 와이어는 배관(6) 내의 스케일에 충돌하게 되므로 상기 스케일이 제거된다. 한편, 플랙시블 와이어(5)를 배관(6) 내로 더 인입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콜렛척(3)을 풀어 플랙시블 와이어(5)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다음 밀어 넣으면 되는데,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의 밀어 넣음이 완료된 후에는 풀어져 있는 콜렛척(3)을 다시 조여 상기 플랙시블 와이어(5)를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배관 스케일 제거기를 공사현장에서 사용하다 보면 상기 배관 스케일 제거기와 배관 입구부의 상,하 높이 및 좌,우 간격을 적당하게 맞추어 줄 필요는 있지만 장소에 따라 상기 배관 스케일 제거기의 거치장소를 배관의 위치에 맞게 적정하게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스케일 제거 작업 전에 상기 배관 스케일 제거기를 별도의 장비나 인력을 이용하여 적정한 위치로(배관의 입구부와의 적정한 높이 및 간격) 이동시키는 작업을 추가로 실시함에 따라 작업성 저하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가 도 9 및 도 10에 제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324449호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보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는, 지면에 지지 되는 하부 수평지지대(10)와 하부 수평지지대(10)의 양측에 수직상태로 고정된 하부 수직지지대(11)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과, 상부 수평지지대(12)와 상부 수평지지대(12)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하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부 수직지지대(13)에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상부 수직지지대(13)로 구성된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수평지지대(12)에 설치되어 이동력을 부여받아 좌,우로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23)와, 이동부재(23)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력 부여수단과, 이동부재(23)에 고정되어 플랙시블 와이어(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통상의 스케일 제거기(100)와,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상부 수평지지대(12)에 고정되어 스케일 제거기(100)의 플랙시블 와이어(5)를 평행한 상태로 받쳐주면서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파이프(30)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배관 스케일 장치의 이동부재(23)는 상부 수평지지대(12)에 좌,우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이동부재(23)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는데, 모터(1)와 와이어통(4)이 동일축을 이루면서 회전하도록 이동부재(23)의 상면에 설치되므로, 이동부재(23)의 공간이 협소해져 이동부재(23) 상면의 공간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따르며, 특히, 모터(1)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와이어통(4)의 크기가 제한되어 형성되므로, 와이어통(4)에 수납되는 플랙시블 와이어(5)의 길이에 제약이 따른다.
또한, 모터(4)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이동부재(23)의 상면에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4) 내에 중공축(2) 가공이 필요하므로 작업상 어려움이 따르며, 이로 인해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판의 공간을 확보하여 이동판 상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와이어 보관통의 부피를 늘일 수 있으므로, 보다 긴 플렉시블 와이어가 와이어 보관통에 수납될 수 있으며,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프레임이 콤팩트화되어 작업장 등에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선상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력 부여수단과,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와이어가 내장되는 와이어 보관통 및 상기 와이어 보관통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가 척킹되도록 하는 콜렛척부로 구성된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모터는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과 함께 이동되되, 상기 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의 연장선상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부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장치가 부가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보관통과 상기 콜렛척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파이프형의 중공회전부가 부가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중공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중공회전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한 쌍의 환봉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환봉은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는 베어링 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력 부여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이동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된 랙부재; 상기 랙부재와 치합되는 피니언;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의 중심축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가 배관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동력 부여수단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와이어 보관통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의 a,b는 도 1의 콜렛척부의 작동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모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는 프레임(100)과 이동판(200)과 이동력 부여수단(300)과, 회전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100)은 사각형상의 하부지지대(110)와, 하부지지대(110)의 각 꼭지점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네 개의 수직지지대(120)와, 네 개의 수직지지대(120)를 연결하는 사각형상의 상부지지대(130)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의 형상은 상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네 개의 상부지지대(130) 중 길이가 긴 상부지지대(130)의 양측으로 한 쌍의 환봉(160)이 환봉고정부(1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환봉고정부(150)은 상부지지대(130)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상부지지대(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판(200)의 하면에는 양측으로 각각 한 쌍의 베어링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환봉(160)에 한쌍의 베어링 부재(210)이 결합된다. 이처럼 베어링 부재(210)에 환봉(160)이 삽입되어, 베어링 부재(210)는 환봉(160)을 따라 선상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베어링 부재(210)가 설치된 이동판(200)은 프레임(100)의 상부에서 선상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다.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판(200)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이동판(200)의 하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20)가 설치되며, 지지부재(220)에는 환봉(160)이 삽입된다.
지지부재(220)에는 지지부재(2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지지대(130)의 상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봉(221)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20)는 환봉(160)을 따라 이동판(200)과 함께 이동하며, 가이드봉(221)이 상부지지대(130)의 상면에 접촉되어 환봉(16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200)의 하중을 지탱한다.
상기와 같이 이동판(200)은 환봉고정부(150)에 고정되어 있는 환봉(160)에 설치되어 있고, 환봉고정부(150)는 상부지지대(130)로부터 분리가능하므로, 필요시 환봉고정부(150)를 상부지지대(130)로부터 분리하면 환봉(160)과 함께 이동판(200)은 상부지지대(13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동판(200)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력 부여수단(3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부재(310)와 피니언(330)과 지지브래킷(370)와 핸들(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부재(310)는 환봉(160)이 설치된 상부지지대(13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동판(200)의 일측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브래킷(370)의 내측에는 피니언(3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330)은 상부지지대(130)의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랙부재(310)와 치합된다.
피니언(330)이 설치된 지지브래킷(370)의 반대측인 외측으로 피니언(330)의 중심축과 연동되도록 핸들(350)이 설치되어, 핸들(350)을 돌리면 피니언(330)이 랙부재(310)를 따라 이동되며, 피니언(330)이 설치된 지지브래킷(370)도 함께 이동되어 지지브래킷(370)와 연결된 이동판(200)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판(200)의 상면에는 와이어 보관통(460) 및 콜렛척부(410)로 구성된 회전부(400)가 마련되어 있다.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 보관통(46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판(200)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와이어 보관통(460)은 외통(461) 및 내통(46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461)에는 이동판(200)에 설치된 베어링(250)과 결합되어 이동판(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62)이 고정되어 있어, 외통(461)은 이동판(2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외통(461)의 상면에는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공(461a)이 형성되어 있다.
외통(461)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통(463)은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내통(463)의 바닥면에는 베어링(464)이 설치되어 있고, 이 베어링(464)은 외통(461)에 고정된 회전축(462)과 결합함으로써, 내통(463)은 외통(46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내통(463)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와이어 가이드봉(465)이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가이드봉(465)은 파이프 형태로 되어, 상부가 위로 볼록한 반구형태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 가이드봉(465)의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어 가이드봉(465)의 중심에는 외통(461)의 회전축(462)이 삽입되는 회전 축 삽입홈(466)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 삽입홈(466)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베어링(467)이 고정되어 있으며, 회전축(462)은 회전축 삽입홈(466)에 삽입되어 베어링(467)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보관통(460)의 구조를 살펴보면, 와이어 가이드봉(465)은 내통(463)의 회전시 내통(463)과 함께 회전되며, 내통(463) 및 와이어 가이드봉(465)은 외통(461)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보관통(460)의 작동을 살펴보면,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내통(463)으로부터 인출시키면, 내통(463)이 외통(461)에 대해 회전을 하면서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인출되므로, 플렉시블 와이어(600)는 와이어 가이드봉(465)에 권취되거나 꼬이지 않고 부드럽게 인출된다.
이와 반대로,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내통(463)에 삽입시키면, 플렉시블 와이어(600)는 와이어 가이드봉(465)의 상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내통(463)의 내주면에 부딪히게 되며, 이때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내통(463)에 부딪히는 힘에 의해 내통(463)이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내통(463)의 내주면을 따라 감기게 된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봉(465)이 내통(463)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와이어(600)는 내통(463)의 중앙부에 위치하지 않고 내통(463)을 내주면에 위치하여 꼬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감기므로,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차곡차곡 내통(463)에 내장되어, 보다 더 많은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수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와이어 보관통(460)에 외통(46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 된 내통(463)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내통(463) 없이 외통(461)의 중앙부에 와이어 가이드봉(465)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콜렛척부(410)과 와이어 보관통(460)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450)은 제 1기어(451) 및 제 2기어(4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기어(451)는 외통(461)의 상면에 고정되며,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공(461a)과 연통된 중공(45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기어(451)의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축과 결합하는 베어링(468)이 고정되어 있는 베어링 하우징(469)이 설치되어, 제 1기어(451) 및 외통(461)의 회전시 제 1기어(451) 및 외통(461)을 지지한다.
베어링 하우징(469)은 외통(461)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끝단은 이동판(200)에 고정된다.
외통(461)의 상면에 고정된 제 1기어(451)와 치합하는 제 2기어(453)는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인출될 수 있도록 중공(45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2기어(453)의 일단에는 중공회전부(440)가 연결된다.
상기의 제 1기어(451)와 제 2기어(453)는 회전축이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는 베벨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회전부(440)에 연결된 콜렛척부(4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하우징(411), 제 1브래킷(413), 제 2브래킷(414), 키(416), 압축스프링(415), 연결파이프(418), 콜렛회전부(420), 콜렛척 작동부(430), 베어링부(43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척하우징(411)은 이동판(200)에 고정 설치되며, 중공회전부(440)의 선단에 키 결합된 콜렛회전부(420)를 감싸며 형성되어 있다.
콜렛회전부(420)는 중공회전부(440)의 선단에 키 결합되어 있어, 콜렛회전부(420)는 중공회전부(440)와 함께 회전하면서, 중공회전부(440)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척하우징(411)에는 콜렛회전부(420)와 결합되는 베어링(412)이 구비되어 있어, 콜렛회전부(420)는 척하우징(411)으로부터 회전가능하게 마련된다.
척하우징(411)의 후면에는 제 1브래킷(413)이 고정 설치되며, 제 1브래킷(413)의 후면에는 제 2브래킷(414)이 제 1브래킷(413)으로부터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 1브래킷(413)과 제 2브래킷(414)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415)이 설치되며, 압축스프링(415)은 척하우징(411)의 후면과 제 2브래킷(414)의 내벽면 사이에 안착되어, 척하우징(411)과 제 2브래킷(414)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 2브래킷(414)의 후면에는 콜렛회전부(420)의 외주면과 결합하는 키(416)가 고정 설치된다. 키(416)의 후면에는 연결파이프(418)와, 벨트안착부(419)와, 베어링부(436)가 각각 설치된다.
베어링부(436)의 베어링(437)은 중공회전부(440)와 결합하며, 이동판(200)에 고정 설치된다.
제 2브래킷(414)을 외주면을 감싸며 가압부재(417)가 설치되며, 가압부재 (417)의 일측에는 콜렛척 작동부(430)가 설치된다.
콜렛척 작동부(430)는 고정링크(431)와 구동링크(432)와 제 1종동링크(434)와 제 2종동링크(43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링크(431)는 'ㄷ'자 형상으로서, 일측이 베어링부(436)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링크(431)의 일단에는 손잡이(433)가 구비된 구동링크(43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동링크(432)에는 제 1종동링크(43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 1종동링크(434)에는 제 2종동링크(435)가 연결되어 있다.
제 2종동링크(435)는 고정링크(431)의 타단에 선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끝단은 가압부재(417)에 고정되어 있다.
콜렛척부(410)의 선단에는 전방으로 길게 보조파이프(170)가 연결되어 있고, 보조파이프(17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지지대(130)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는 파이프 고정대(140)에 의해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된 콜렛척부(410)의 작동을 살펴보면, 콜렛척 작동부(430)의 손잡이(433)를 전방(도 6상에서의 왼쪽방향)으로 당기면, 구동링크(432)가 제 1종동링크(434)를 밀어주게 되고, 제 1종동링크(434)는 제 2종동링크(435)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써 제 2종동링크(435)는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제 2종동링크(435)와 함께 가압부재(417)와 제 2브래킷(414)과 키(416)가 전방으로 밀려, 키(416)와 결합된 콜렛회전부(420)가 중공회전부(440)로부터 전방으로 밀리면서 콜렛회전부(420)가 척하우징(411)을 벗어나게 된다. 이로써, 콜렛회전부(420)가 벌어지게 되고,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척킹이 해제된다.
이와 반대로, 콜렛척 작동부(430)의 손잡이(433)를 다시 후방(도 6상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당기면, 제 1,2브래킷(413,414) 내에 설치된 압축스프링(41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2브래킷(414) 및 키(416)가 후방으로 밀리며, 이때 키(416)와 결합된 콜렛회전부(420)도 함께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콜렛회전부(420)는 척하우징(411)에 안착됨으로써,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척킹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콜렛척부(410)에 콜렛척 작동부(430)가 구비되어, 콜렛척 구동부(430)의 손잡이(433)를 밀고 당김으로써,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척킹 및 척킹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쉽고 간단한 동작만으로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척킹 및 척킹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자는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중공회전부(440)를 회전시키는 모터(5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판(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판(20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터는 정회전·역회전이 가능한 변속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변속모터일 경우 변속모터 구동용 인버터(INVERTER)가 구비되어 있어, 모터로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모터의 RPM을 자유롭게 변속시킬 수 있다.
모터(500)의 구동력을 중공회전부(440)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장치는 벨트(530)로 구성되며, 벨트(530)는 모터(500)의 모터축(510)과 중공회전부(440)의 외주면에 설치된 벨트안착부(530)와 연결된다. (도 6 참고)
이렇게 벨트(530)가 이동판(200)의 하면에 설치된 모터(500)의 모터축(510)과, 이동판(200)의 상면에 설치된 벨트안착부(530)와 연결되기 위하여 이동판(200) 에는 벨트삽입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530)는 미끄럼 없이 정확한 회전 각속도비가 유지되는 타이밍 벨트(timing belt)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모터(500)가 중공회전부(44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500)의 구동력이 와이어 보관통(460)에 전달되어, 와이어 보관통(460)을 회전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때 회전력 전달장치인 벨트(530)는 와이어 보관통(460)에 연결될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명세서에서의 전방이란 배관이 위치한 쪽이고, 후방이란 배관이 위치한 반대쪽을 말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를 적당한 장소에 이동시킨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렛척 작동부(430)의 손잡이(433)를 전방으로 밀어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척킹이 해제되도록 한 후 내통(463) 내의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인출하여, 배관 내로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인출시키면, 내통(463)이 회전하면서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인출되므로, 플렉시블 와이어(600)는 꼬이지 않고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다.
이렇게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배관 내로 삽입시킬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 한 바와 같이, 보조파이프(170)에 플렉시블 관(700)을 연결하여, 플렉시블 관(700)의 일단을 배관(800)의 입구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시블 관(700)을 이용하면, 스케일 제거장치를 거치하였을 때 보조파이프(170)와 배관(800) 사이의 수평·수직간격이 부득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도 회전되는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반드시 플렉시블 관(700)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배관 내에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삽입시킨 후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렛척 작동부(430)의 손잡이(433)를 후방으로 당겨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척킹되도록 한 다음, 모터(500)를 구동시킨다.
모터(500)를 구동시키면, 모터(500)와 연결된 벨트(530)에 의해 중공회전부(440)로 모터(50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중공회전부(440), 콜렛회전부(420), 와이어 보관통(460),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함께 회전된다.
이렇게, 배관 내로 삽입된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회전에 의해 배관 내의 스케일이 완전히 제거된다.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도 이동판(200)을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플렉시블 와이어(600)를 배관 내부로 자유롭게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어, 배관 스케일 제거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배관 스케일 제거작업이 끝나면, 모터(500)의 구동을 중지시킨 후 콜렛척 작동부(430)의 손잡이(433)를 전방으로 밀어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척킹이 해제되도록 한 다음, 핸들(350)을 돌려 이동판(200)을 전방의 배관쪽으로 이동시키면, 이 동판(200)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 만큼의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와이어 보관통(460)으로 삽입되어 수납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판(200)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 만큼의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내통(463)으로 수납된 상태로 콜렛척 작동부(430)의 손잡이(433)를 후방으로 당겨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척킹되도록 한 다음, 핸들(350)을 돌려 이동판(2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시 플렉시블 와이어(600)의 척킹이 해제되도록 한 다음, 핸들(350)을 돌려 이동판(200)을 전방의 배관쪽으로 이동시켜, 이동판(200)이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 만큼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와이어 보관통(460)으로 수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척킹되도록 한 다음, 핸들(350)을 돌려 이동판(20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인출된 플렉시블 와이어(600)가 완전히 와이어 보관통(460)에 수납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따르면, 다음 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콜렛척부 및 와이어 보관통으로 구성된 회전부의 회전축의 연장선상과 모터의 모터축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동판의 공간을 확보하여 이동판 상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와이어 보관통의 부피를 늘일 수 있다.
이렇게, 와이어 보관통의 부피를 늘일 수 있으므로, 보다 긴 플렉시블 와이어가 와이어 보관통에 수납될 수 있다.
특히, 모터가 이동판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모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프레임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모터 및 와이어 보관통이 배치되므로, 프레임이 콤팩트화되어 작업장 등에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보관통과 콜렛척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파이프형의 중공회전부가 부가되어 모터와 중공회전부가 따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모터 내의 중공축 가공이 불필요하여 생산공정이 빠르고 간단해져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Claims (4)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선상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한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이동력을 부여하는 이동력 부여수단과,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와이어가 내장되는 와이어 보관통 및 상기 와이어 보관통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플렉시블 와이어가 척킹되도록 하는 콜렛척부로 구성된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에 있어서,
    모터는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판과 함께 이동되되, 상기 모터의 모터축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의 연장선상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부에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장치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보관통과 상기 콜렛척부의 사이에 연결되는 파이프형의 중공회전부가 부가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중공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이동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중공회전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한쌍의 환봉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환봉은 상기 이동판에 설치되는 베어링 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이동력 부여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이동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된 랙부재;
    상기 랙부재와 치합되는 피니언;
    상기 이동판에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프레임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의 중심축과 연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20050048293A 2005-04-01 2005-06-07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06395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8961 2005-04-01
KR2020050008961 2005-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95A KR20060105395A (ko) 2006-10-11
KR100639591B1 true KR100639591B1 (ko) 2006-10-30

Family

ID=3763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293A KR100639591B1 (ko) 2005-04-01 2005-06-07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5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26B1 (ko) 2009-01-23 2011-05-06 (주)스카이텍 배관 내부 스케일 제거장치의 와이어 수납구조 및 와이어 수거방법
KR101055602B1 (ko) 2009-05-21 2011-08-10 (주)아리수텍 배관 스케일 제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284B1 (ko) * 2007-07-26 2009-04-06 이광호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와이어 클램핑 장치
KR100918971B1 (ko) * 2007-07-26 2009-09-25 이광호 배관스케일 제거기
CN105797994B (zh) * 2016-04-29 2018-01-26 天津君晟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汽车后桥壳体内清扫装置
KR102103197B1 (ko) * 2017-06-13 202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관 내의 플러깅 제거를 위한 드릴 장치
CN117753738B (zh) * 2024-02-22 2024-05-07 山东濡祥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建筑暖通管道水垢清除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626B1 (ko) 2009-01-23 2011-05-06 (주)스카이텍 배관 내부 스케일 제거장치의 와이어 수납구조 및 와이어 수거방법
KR101055602B1 (ko) 2009-05-21 2011-08-10 (주)아리수텍 배관 스케일 제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5395A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591B1 (ko)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KR100528285B1 (ko)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JP2019015394A (ja) 配管検査補修装置
KR101334807B1 (ko) 배관스케일 제거기
CN210524225U (zh) 一种钢带焊接装置
JP4897925B2 (ja) 配管のスケール除去機用フレキシブルワイヤ
CN116099839A (zh) 一种t型管道内壁清理设备
CN108787660B (zh) 用于二次供水储水桶的水垢清洗机
KR100701830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랙시블 와이어
KR100960654B1 (ko) 배관용 스케일 제거기
CN214367497U (zh) 一种机电设备减震工作台
CN212469122U (zh) 一种旋转清理机构以及管道表面清理机
KR100320565B1 (ko) 케이블배선용 삽입장치
CN211726812U (zh) 一种能够对铜管内外壁进行清洗的设备
KR20060131326A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플렉시블 와이어
CN109013609B (zh) 一种用于金属罐的内部清洗装置
CN210834235U (zh) 一种场地环境调查土壤取样装置
KR100668482B1 (ko)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
JP5135626B2 (ja) 排水管の洗浄装置
CN216051089U (zh) 一种工程监理用材料拉力检测设备
CN214289881U (zh) 一种麻醉科试剂烧杯清洗装置
CN212469069U (zh) 一种用于喷丝板清洗机的支撑装置
CN220781582U (zh) 一种基于超声波清洗的玻璃清洁槽装置
KR100891284B1 (ko)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와이어 클램핑 장치
CN202850162U (zh) 一种洁身冲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