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407B1 - 전동 배관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배관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407B1
KR101746407B1 KR1020150079835A KR20150079835A KR101746407B1 KR 101746407 B1 KR101746407 B1 KR 101746407B1 KR 1020150079835 A KR1020150079835 A KR 1020150079835A KR 20150079835 A KR20150079835 A KR 20150079835A KR 101746407 B1 KR101746407 B1 KR 101746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cleaning
clamping
clamp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309A (ko
Inventor
공민규
Original Assignee
공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민규 filed Critical 공민규
Priority to KR102015007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40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전동 배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투입구멍과 인출구멍이 마련되고, 상단 일측에 클램핑 레버 작동장공이 마련되는 본체; 본체의 내부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동모터; 본체의 내부 상부의 투입구멍과 인출구멍의 사이에 마련되고, 청소부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핑 조를 가지는 가이드모듈;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모듈의 클램핑 조를 작동하는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고, 본체의 투입구멍을 통해 가이드모듈로 투입되고 인출구멍을 통해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 또는 소직경 청소부재를 가지는 소직경 청소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기술 구성을 통하여
대직경 배관 및 소직경 배관의 내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동 배관 청소장치 { PIPE CLEANNING APPARATUS USING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배관 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전동모터를 통해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 및 배수관이 막히게 되면 하수나 빗물이 역류하게 되어 많은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2011년 7월 서울 도심에 발생한 물난리 사건을 보면 비가 많이 온 장마 기간에 하수관 및 배수관 막힘으로 인한 빗물 역류로 인해 적지 않은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상기 하수관 및 배수관의 막힘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주로 배관의 노후화에 따른 문제와 배관 내의 이물질 등 불순물의 침척으로 인해 하수 및 배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근본적 해결은 노후 배관의 교체나 증설 등을 통해 가능하지만 현실적인 부분에서 경제적, 사회적인 부담 요인들로 인해 전면적인 시행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며, 대안으로 기존 배관 내의 불순 이물질 등을 주기적으로 꾸준히 제거하는 관리공정을 통해 이를 대부분 해소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리공정에 활용되는 장비 및 공법들은 여러 가지로 나눠볼 수 있지만, 현장 접근 용이성 및 작업의 편의성,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해 볼 때 주로 직접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포섭형 형태의 전동 배관 청소장치를 대부분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전동모터를 통해 배관에 삽입된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배관 스케일 제거를 위한 플렉시블 와이어가 개시되어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와이어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배관 스케일 제거장치는 모두 전동모터를 통해 와이어형 청소부재를 회전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를 전동모터로 회전시키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경우 배관의 직경에 따라 알맞은 직경의 청소부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배관 직경이 직경 50mm일 때 16mm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청소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청소과정에서 배관의 파손이나 그 밖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많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4263호(2012년 05월 30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60902호(2007년 09월 21일 공고)
그러나 종래의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압축코일형의 청소부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 조의 유효 직경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직경 배관과 소직경 배관을 함께 청소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클램핑 조가 16mm 이하의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를 클램핑하지 못하도록 설계된 경우 직경 50mm 이하의 소직경 배관을 청소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클램핑 레버의 손잡이의 무게 중심이 맞지 않고 손잡이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므로 클램핑 레버의 손잡이를 통한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전동모터를 통해 배관 내부로 투입한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를 회전 작동하여 배관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대직경 배관은 물론 소직경 배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소직경 청소부재를 가지는 소직경 청소모듈을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클램핑 레버를 무게 중심에서 고정하여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투입구멍과 인출구멍이 마련되고, 상단 일측에 클램핑 레버 작동장공이 마련되는 본체; 본체의 내부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동모터; 본체의 내부 상부의 투입구멍과 인출구멍의 사이에 마련되고, 청소부재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핑 조를 가지는 가이드모듈;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모듈의 클램핑 조를 작동하는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고, 본체의 투입구멍을 통해 가이드모듈로 투입되고 인출구멍을 통해 본체의 외부로 인출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 또는 소직경 청소부재를 가지는 소직경 청소모듈;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가이드모듈이 투입구멍 측과 인출구멍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체; 양 고정체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체; 양 회전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클램핑 조; 투입구멍 측의 회전체에 설치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클램핑 레버가 본체의 상부로 돌출되고, 투입구멍 측이 낮고 인출구멍 측이 높은 경사를 가지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 마련되고, 본체의 클램핑 레버 작동장공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투입되는 수직축; 수직축의 하단에 마련되고, 가이드모듈의 투입구멍 측 고정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회전링크; 회전링크와 가이드모듈의 이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링크; 본체와 회전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크 및 수직축, 손잡이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소직경 청소모듈이 소직경의 청소부재가 수용되는 수용함체; 수용함체의 일측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이 마련된 청소부재 가이드관; 청소부재 가이드관을 통해 수용함체의 내외부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직경 청소부재; 가이드관의 수용함체 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관 및 수용함체의 회전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고정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본체의 투입구멍 측에 소직경 청소모듈의 고정블록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고, 본체 상단의 투입구멍 측에 상단부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삽입공간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핀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소직경 청소모듈의 고정블록의 상단에 상기 고정핀이 결합되는 고정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본체의 내부 상부 투입구멍 측에 스톱퍼부재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 상단의 투입구멍 측에 상단부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본체의 내부로 돌출되어 스톱퍼부재의 투입구멍 측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핀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는 클램핑 레버의 회전링크 상단의 투입구멍 측에 스톱퍼부재 접속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에 의하면, 일정 직경의 압축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를 전동모터로 회전시켜 대직경 배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소직경 청소부재를 가지는 소직경 청소모듈을 통해 소직경 배관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에 의하면, 고정핀을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소직경 청소모듈을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본체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에 의하면, 클램핑 레버의 손잡이를 무게 중심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운반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요부 배면 사시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 장치의 고정핀 설치부위의 종단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 장치의 가압핀 설치부위의 종단면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대직경 배관용 청소부재 삽입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 삽입상태의 사시도,
도 8a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 삽입상태의 종단면도,
도 8b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의 청소부재 클램핑 상태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요부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100)는 본체(110), 전동모터(120), 가이드모듈(130), 클램핑 레버(140), 청소부재(150), 소직경 청소모듈(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동모터(120) 등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10)는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투입구멍(111)과 인출구멍(112)이 마련되고, 상단 일측에 클램핑 레버 작동장공(113)이 마련된다.
본체(110)의 투입구멍(111) 측 하부에는 전동모터 작동스위치(미도시)가 마련된다.
전동모터(120)는 청소부재(150)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작동시키는 것으로, 본체(110)의 내부 하부에 고정 설치된다.
전동모터(120)의 회전축(121)에는 구동 타이밍기어(122)가 설치된다.
가이드모듈(130)은 청소부재(15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의 내부 상부의 투입구멍(111)과 인출구멍(112)의 사이에 설치된다.
가이드모듈(130)은 투입구멍(111) 측과 인출구멍(112)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체(131); 양 고정체(131)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체(132); 양 회전체(132)의 사이에 설치되는 클램핑 조(133); 투입구멍(111) 측의 회전체(132)에 설치되는 이동체(13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모듈(130)의 인출구멍(112) 측 회전체(132)에는 타이밍 벨트(123)를 통해 구동 타이밍기어(122)와 접속되는 종동 타이밍기어(135)가 마련된다.
클램핑 레버(140)는 가이드모듈(130)의 이동체(134)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청소부재(150)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클램핑 레버(140)는 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고, 투입구멍(111) 측이 낮고 인출구멍(112) 측이 높은 경사를 가지는 손잡이(141); 상기 손잡이(141)의 하단에 마련되고, 본체(110)의 클램핑 레버 작동장공(113)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수직축(142); 수직축(142)의 하단에 마련되고, 가이드모듈(130)의 투입구멍(111) 측 고정체(1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회전링크(143); 회전링크(143)와 가이드모듈(130)의 이동체(134)를 연결하는 연결링크(144); 본체(110)와 회전링크(143)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크(143) 및 수직축(142), 손잡이(141)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45);을 포함한다.
청소부재(150)는 배관 내부로 투입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 형태를 가진다.
상기 청소부재(150)는 배관 내부에 회전하면서 배관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의 사시도이다.
소직경 청소모듈(160)은 소직경 배관의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소직경 청소모듈(160)은 소직경의 청소부재(150)가 수용되는 수용함체(161); 수용함체(161)의 일측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162a)이 마련된 청소부재 가이드관(162); 청소부재 가이드관(162)을 통해 수용함체(161)의 내외부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직경 청소부재(150); 가이드관(162)의 수용함체(150) 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관(162) 및 수용함체(161)의 회전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고정블록(163);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100)에 있어서 본체(110)의 투입구멍(111) 측에는 소직경 청소모듈(160)의 고정블록(163)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간(115)이 마련된다.
또한, 본체(110) 상단의 투입구멍(111) 측에 상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삽입공간(115)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핀(17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 장치의 고정핀 설치부위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고정핀(170)은 지지스프링(171)을 통해 하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되며, 그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핀(170)의 하단부는 삽입공간(115) 내부로 돌출된다.
또한, 본체(110)의 삽입공간(115)으로 삽입되는 소직경 청소모듈(160)의 고정블록(163)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핀(170)이 결합되는 고정홈(163a)이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100)에 있어서 본체(110)의 내부 상부 투입구멍(111) 측에 스톱퍼부재(18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체(110) 상단의 투입구멍(111) 측에 상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본체(1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스톱퍼부재(180)의 투입구멍(111) 측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핀(19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가압핀 설치부위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가압핀(190)은 지지스프링(191)을 통해 하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되며, 그에 따라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핀(191)의 하단은 스톱퍼부재(180)의 투입구멍(111) 측 상단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클램핑 레버(140)의 회전링크(143) 상단의 투입구멍(111) 측에는 스톱퍼부재 접속홈(143a)이 마련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14는 본체(1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커버이다.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대직경 배관용 청소부재 삽입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100)에 있어서 대직경의 배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직경 배관에 알맞은 직경의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150)를 본체(110)의 투입구멍(111)에 삽입하고 인출구멍(112)으로 인출한다.
상기 인출구멍(112)으로 인출된 청소부재(150)를 배관 내부로 투입하고,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부로 잡아당긴 후 전동모터(120)의 작동스위치를 작동한다.
상기에서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수직축(142) 및 회전링크(143)가 하향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링크(144)와 그에 접속된 가이드모듈(130)의 이동체(134)가 인출구멍(112)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클램핑 조(133)를 압축시키게 되어 청소부재(150)를 회전체(132)에 클램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청소부재(150)의 클램핑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놓게 되면 지지스프링(145)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링크(143) 및 수직축(142), 손잡이(14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연결링크(144)와 가이드모듈(130)의 이동체(134)가 투입구멍(111)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클램핑 조(133)가 이완되어 청소부재(150)가 회전체(132)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클램핑 레버(140)의 작동에 의한 청소부재(150)의 클램핑 및 언클램핑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 삽입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a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 삽입상태의 종단면도이고, 도 8b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의 소직경 청소모듈의 청소부재 클램핑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100)에 있어서 소직경 배관의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때는 본체(110)에 소직경 청소부재(150)를 가지는 소직경 청소모듈(160)을 설치한다.
이때 소직경 청소모듈(160)의 가이드관(162)의 외부로 인출된 코일스프링 형태의 소직경 청소부재(150)를 본체(110)의 투입구멍(111)에 삽입하고 인출구멍(112)으로 인출한다.
다음에 소직경 청소모듈(160)의 가이드관(162)을 본체(110)의 투입구멍(111)에 삽입하고, 고정핀(170)을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고정블록(163)을 본체(110)의 삽입공간(115)에 삽입한 후 고정핀(170)을 놓아 고정핀(170)의 하단부가 고정블록(163)의 고정홈(163a)에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에 소직경 청소부재(150)를 소직경 배관 내부로 투입하고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부로 잡아당긴 후 전동모터(120)의 작동스위치를 작동하여 이물질 제거를 실시한다.
상기에서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축(142) 및 회전링크(143)가 하향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링크(144)와 그에 접속된 가이드모듈(130)의 이동체(134)가 인출구멍(112)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클램핑 조(133)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때 압축되는 클램핑 조(133)는 복수의 슬릿(162a)이 형성된 가이드관(162)의 선단부를 압축하게 되고, 그에 따라 가이드관(162)과 소직경 청소부재(150)가 클램핑되어 소직경 청소부재(150)에 전동모터(12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소직경 청소부재(150)의 클램핑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놓게 되면 지지스프링(145)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링크(143) 및 수직축(142), 손잡이(141)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연결링크(144)와 가이드모듈(130)의 이동체(134)가 투입구멍(111)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클램핑 조(133)가 이완되어 가이드관(162)이 가이드모듈(132)의 회전체(132)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소직경 청소부재(150)가 가이드관(162)과 언클램핑된다.
한편, 소직경 배관에 대한 청소를 마친 후 소직경 청소모듈(160)을 본체(11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때는 고정핀(170)을 상부로 들어올려 고정블록(163)과 고정핀(170)을 분리한 상태에서 수용함체(161)를 투입구멍(111) 반대쪽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가이드관(162) 및 소직경 청소부재(150)를 투입구멍(111)을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 배관 청소장치(100)는 스톱퍼부재(180)를 통해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강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본체(110)에서 청소부재(150)를 제거하고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부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상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가압핀(190)을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스톱퍼부재(180)가 자종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스톱퍼부재(180)의 인출구멍(112) 측이 하부로 회전된 회전링크(143)의 스톱퍼부재 접속홈(143a)의 일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놓게 되면 회전링크(14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톱퍼부재 접속홈(143a)에 스톱퍼부재(180)의 인출구멍(112) 측이 걸리게 되고, 이때 회전링크(143)의 시계반대방향 회전이 제한되므로 본체(110)에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강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가 하강상태로 고정된 경우 클램핑 레버(140)의 좌우방향 유동이 없게 되고, 손잡이(141)가 무게 중심에 위치하게 되므로 손잡이(141)를 통해 전동 배관 접속장치(100) 전제를 상부로 들어올리기가 수월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동 배관 접속장치(100)를 보다 용이하게 다른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클램핑 레버(140) 고정 상태에서 다시 클램핑 레버(140)의 손잡이(141)를 하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회전링크(14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톱퍼부재 접속홈(143a)에서 스톱퍼부재(180)가 이탈되고, 이때 가압핀(19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톱퍼부재(18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인출구멍(112) 측 선단이 본체(110)의 내상부면에 접촉되는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상태가 해제된 클램핑 레버(140)의 회전링크(143) 및 수직축(142), 손잡이(141)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손잡이(141)의 인출구멍(112) 측이 상승된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전동 배관 청소장치
110 : 본체
120 : 전동모터
130 : 가이드모듈
140 : 클램핑 레버
150 : 청소부재
160 : 소직경 청소모듈
170 : 고정핀
180 : 스톱퍼부재
190 : 가압핀

Claims (7)

  1.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투입구멍(111)과 인출구멍(112)이 마련되고, 상단 일측에 클램핑 레버 작동장공(113)이 마련되는 본체(110);
    본체(110)의 내부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전동모터(120);
    본체(110)의 내부 상부의 투입구멍(111)과 인출구멍(112)의 사이에 마련되고, 청소부재(150)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클램핑 조(133)를 가지는 가이드모듈(130);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141)를 통해 상기 가이드모듈(130)의 클램핑 조(133)를 작동하는 클램핑 레버(140);를 포함하고,
    본체(110)의 투입구멍(111)을 통해 가이드모듈(130)로 투입되고 인출구멍(112)을 통해 본체(110)의 외부로 인출되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청소부재(150) 또는 소직경 청소모듈(160);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되,
    소직경 청소모듈(160)은
    소직경의 청소부재(150)가 수납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용함체(161);
    수용함체(161)의 일측에 돌출 설치되고,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162a)이 마련된 청소부재 가이드관(162);
    가이드관(162)의 수용함체(150) 측에 설치되고, 가이드관(162) 및 수용함체(161)의 회전을 지지하는 원통형의 고정블록(163);을 포함하고,
    본체(110)의 투입구멍(111) 측에 소직경 청소모듈(160)의 고정블록(163)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공간(115)이 마련되고,
    본체(110) 상단의 투입구멍(111) 측에 상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삽입공간(115)의 내부로 돌출되는 고정핀(17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핀(170)은 지지스프링(171)을 통해 하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핀(170)의 하단부가 삽입공간(115) 내부로 돌출되고,
    소직경 청소모듈(160)의 고정블록(163)의 상단에 상기 고정핀(170)이 결합되는 고정홈(163a)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모듈(130)은
    투입구멍(111) 측과 인출구멍(112)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체(131);
    양 고정체(131)의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체(132);
    양 회전체(132)의 사이에 설치되는 클램핑 조(133); 투입구멍(111) 측의 회전체(132)에 설치되는 이동체(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클램핑 레버(140)는
    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고, 투입구멍(111) 측이 낮고 인출구멍(112) 측이 높은 경사를 가지는 손잡이(141);
    상기 손잡이(141)의 하단에 마련되고, 본체(110)의 클램핑 레버 작동장공(113)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수직축(142);
    수직축(142)의 하단에 마련되고, 가이드모듈(130)의 투입구멍(111) 측 고정체(13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회전링크(143);
    회전링크(143)와 가이드모듈(130)의 이동체(134)를 연결하는 연결링크(144);
    본체(110)와 회전링크(143)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링크(143) 및 수직축(142), 손잡이(141)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본체(110)의 내부 상부 투입구멍(111) 측에 스톱퍼부재(18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10) 상단의 투입구멍(111) 측에 상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부가 본체(110)의 내부로 돌출되어 스톱퍼부재(180)의 투입구멍(111) 측 상단을 가압하는 가압핀(19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클램핑 레버(140)의 회전링크(143) 상단의 투입구멍(111) 측에 스톱퍼부재 접속홈(143a)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배관 청소장치.
KR1020150079835A 2015-06-05 2015-06-05 전동 배관 청소장치 KR101746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35A KR101746407B1 (ko) 2015-06-05 2015-06-05 전동 배관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835A KR101746407B1 (ko) 2015-06-05 2015-06-05 전동 배관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09A KR20160143309A (ko) 2016-12-14
KR101746407B1 true KR101746407B1 (ko) 2017-06-13

Family

ID=5757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835A KR101746407B1 (ko) 2015-06-05 2015-06-05 전동 배관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4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721B1 (ko) 2023-01-30 2023-05-04 김승우 배수 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릴
KR102574388B1 (ko) 2023-03-14 2023-09-04 주식회사 삼영 배관 세척용 세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655922U (zh) * 2018-08-10 2023-03-21 米沃奇电动工具公司 排水管清洁机
CN216586960U (zh) 2019-05-15 2022-05-24 米沃奇电动工具公司 排水管清洁装置
CN114423533B (zh) 2019-09-30 2024-01-23 米沃奇电动工具公司 排水管清洁机器的电机控制
US20210245208A1 (en) * 2020-02-12 2021-08-1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Drain cleaning machi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508B1 (ko) * 2003-04-23 2005-12-06 이광호 배관 스케일 제거기
KR101055602B1 (ko) * 2009-05-21 2011-08-10 (주)아리수텍 배관 스케일 제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902B1 (ko) 2006-10-27 2007-09-21 주식회사 이투스텍 배관 스케일 제거기용 와이어 헤드
KR20120054263A (ko) 2010-11-19 2012-05-30 전성은 배관 스케일 제거를 위한 플렉시블 와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508B1 (ko) * 2003-04-23 2005-12-06 이광호 배관 스케일 제거기
KR101055602B1 (ko) * 2009-05-21 2011-08-10 (주)아리수텍 배관 스케일 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721B1 (ko) 2023-01-30 2023-05-04 김승우 배수 배관용 플렉시블 호스 릴
KR102574388B1 (ko) 2023-03-14 2023-09-04 주식회사 삼영 배관 세척용 세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09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07B1 (ko) 전동 배관 청소장치
CN109163462B (zh) 一种太阳能热水器的集热管内壁除垢设备
CN210146626U (zh) 一种医疗科室用容器冲洗装置
CN112570390B (zh) 一种电缆管道管口清理和封堵装置
CN112588736B (zh) 一种污水管道表面处理工艺
CN112792066A (zh) 一种市政给排水管道的内壁清洗设备
CN110424527B (zh) 一种给排水工程用排污管道清通设备及其使用方法
CN219038497U (zh) 一种市政污水处理用的采样装置
CN216208686U (zh) 一种城市排水管道内窥质量检测装置
CN216781239U (zh) 一种化工钢管加工用内孔修磨装置
CN109290878B (zh) 一种用于水泵泵体生产的除毛刺设备
CN113000430A (zh) 一种智能制造用清洁装置
CN220318748U (zh) 一种管道清理装置
CN219463467U (zh) 一种带洗水槽的实验桌
CN218157018U (zh) 一种污水处理用质检采样设备
CN109433757A (zh) 一种锅炉水垢清洁装置
CN213805570U (zh) 一种河道治理清淤设备
CN219783979U (zh) 一种污水处理用清理杆
CN216446156U (zh) 一种水利工程用管道清理装置
CN215236516U (zh) 一种用于建筑给排水的管道清理装置
CN220837056U (zh) 一种水利管道清污装置
CN218591382U (zh) 一种桶装水的水桶内部清洁消毒设备
CN210864185U (zh) 一种口腔及耳鼻喉科用显微镜支撑臂
CN219027151U (zh) 一种用于义齿打磨的固定装置
CN218396304U (zh) 一种用于转向器齿条的攻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