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071A -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071A
KR20100125071A KR1020090044087A KR20090044087A KR20100125071A KR 20100125071 A KR20100125071 A KR 20100125071A KR 1020090044087 A KR1020090044087 A KR 1020090044087A KR 20090044087 A KR20090044087 A KR 20090044087A KR 20100125071 A KR20100125071 A KR 20100125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latch
solenoid
case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692B1 (ko
Inventor
김용덕
Original Assignee
(주)엔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티텍 filed Critical (주)엔티텍
Priority to KR102009004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69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 동작 중의 도어 개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세탁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걸쇠레버가 설치된 세탁기 도어와 체결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결합되어 연동되며 캠이 구비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캠과 체결되는 로커핀을 가지는 로커; 상기 케이스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쇠레버와 체결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체와 래치는 위치에 따라 서로의 이동을 구속하여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의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도어, 안전

Description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Door locker for 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과 헹굼 그리고 배수 및 탈수 과정 등이 제어부의 마이콤에 프로그램화되어 있으며, 프로그램화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종래의 세탁기는 하우징 내부에 현가 설치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수조와, 이 수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벽면 전역에 걸쳐 탈수공이 천공된 회전조와, 회전조의 저부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세탁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와, 회전조와 펄세이터를 동시 또는 펄세이터 만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갖추고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에는 회전조에 세탁물을 넣고 꺼낼수 있도록 형성된 투입구와, 이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힌지결합된 도어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에는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투입구가 개방되어 세탁물을 넣거나 꺼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세탁기에서는 세탁 동작 중의 도어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세 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였으나, 세탁기 센서의 오동작, 외부 충격 등의 원인으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세탁기가 운전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세탁기 내에 들어가서 이러한 경우가 발생된 경우, 회전조 내부에서 도어를 열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 동작 중의 도어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탁의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걸쇠레버가 설치된 세탁기 도어와 체결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결합되어 연동되며 캠이 구비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캠과 체결되는 로커핀을 가지는 로커; 상기 케이스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쇠레버와 체결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체와 래치는 위치에 따라 서로의 이동을 구속하여 체결된다.
상기 이동체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래치를 구속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상기 캠이 함몰형성된다.
상기 래치는 세탁기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되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의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세탁기 동작시에 상기 래치의 회동반경에 위치하여 래치의 회동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체와의 결합방향이 변경된다.
상기 솔레이드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세탁기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의 관통홀로 흡인되어 이동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일부 외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솔레노이드와 이동체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개구된 면을 덮는 커버가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와 커버의 외주면에는 서로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이동체가 솔레노이드부 방향으로 이동시에 세탁기의 전원과 연결되는 감지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는, 세탁기의 세탁 동작이 시작되기 전 또는 세탁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래치는 자유롭게 회동가능하여 도어의 개폐를 자유롭게 한다. 그리고, 세탁기가 동작하는 중에는 래치가 이동체의 걸림돌기에 걸림에 따라 회동이 불가능하여 도어가 무단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탁동작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동작에 대한 신호가 솔레노이드부에 인가될 경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래치의 일단이 걸림돌기의 마주하여 배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래치가 이동체의 이동을 간섭하게 되며, 이동체의 이동에 따른 감지부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추후에 만일의 세탁기가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상황에서 세탁기의 세탁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므로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세탁기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를 잠글 수 있도록 도어와 맞닿는 세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세탁기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에 성형된 걸쇠레버(미도시)와 체결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보여지는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외형은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커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될 래치(200), 솔레노이드부(300), 이동체(500), 로커(600) 등이 유기적으로 동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는 평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커버(120)와 케이스(110)의 외주면에는 체결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수단(112)이 제공된다. 상기 체결수단(112)은 후크 등으로 구성가능할 것이며, 케이스(110)와 커버(120)를 체결하는 데 있어서 별도의 나사나 볼트가 없어도 용이하게 가능할 것이다.
래치(200)는 'ㄷ' 자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세탁기 도어(미도시)에 설치된 걸쇠레버(미도시)와 체결된 상단부(220)와, 케이스(110)에 성형되어 있는 원통형 돌기에 끼워져 래치(200)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래치축(240)과, 이동체(500)의 걸림돌기(544)와 구속되는 체결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래치(200)는 상기 래치축(240)을 기준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며, 체결부(260)의 후측에 형성된 스프링 고정돌기(262)에는 스프링(270)이 끼워져서 래치축(240)과 대응되는 방향의 케이스(110) 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결합하게 된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래치(200)의 스프링(270)은 인장응력을 받게 되어, 래치는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260)의 좌측단부는 라운드지며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체결부(260)의 후술할 걸림돌기(544)와 선택적으로 구속된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부(300)는, 세탁기 동작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솔레노이드(320)와, 상기 솔레노이드(320)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320) 내부의 관통홀로 흡인되어 이동하는 플런저(340)와, 상기 플런저(340)의 일부 외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솔레노이드(320)와 이동체(500)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20)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감겨진 전기 코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 코일부(322)의 중심은 원통형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플런저(340)는 철과 같은 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솔레노이드(320)의 관통홀 내부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따라 관통홀 내부를 왕복 운행할 수 있도록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340)의 우측 일부는 함몰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20)에 자기장이 형성되기 전 상태에서는 플런저(340)의 하부는 상기 관통홀 내부에 진입하여 있고, 상부의 종단부는 관통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동작과 관련하여,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부(322)에 전류를 흘리면 솔레노이드(320)의 관통홀에 자기장이 생긴다. 이 자기장은 관통홀 내부에 진입하여 있던 플런저(340)의 하부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 자기장으로 인하여 발생된 흡인력에 인하여 플런저(340)는 관통홀 내부로 깊숙이 당겨진다.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320)의 우측, 즉 외부로 노출된 플런저(340)의 외부 둘레에 탄성부재(360)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360)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가능하며, 솔레노이드(320)의 우측면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좌우위치가 고정되며 추후 설명할 이동체(500)의 좌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플런저(340)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360)는 압축인장되며, 상기 이동체(50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 내에 로커와 이동체의 모습을 보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플런저(340)의 우측부에는 이동체(500)가 결합된다. 상기 이동체(500)는 플런저(340)가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520)와, 상기 래치(200)가 체결되는 몸체부(5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520)는 상기 플런저(340)가 삽입되도록 공간을 가지면서 돌출형성되며, 중심부근으로 함몰 형성된 결합공(5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522)은 상기 플런저(340) 우측 함몰된 부분이 삽입되어 끼워지며, 상기 플런저(340)는 결합부(520)에 걸림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플런저(340)의 양방향 이동에 의해 이동체(500)도 동시에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54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후술할 로커핀(620)이 왕복 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하트 형상의 유도홈(552)을 갖는 캠(550)이 형성된다. 상기 캠(550)은 중앙부근에는 하트 형상의 캠돌기(554)가 형성되며, 우측에는 가이드돌기(556)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홈(552)은 평탄한 면이 아니고, 로커핀(620)의 핀돌기(6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가능하도록 유도홈(552)의 중간중간에는 소정의 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도홈(552)의 "a"부위는 하트 형상의 캠돌기(554) 중에서 움푹 들어간 부위를 나타내며, "b"부위는 "a"부위를 이탈하여 일시적으로 옮겨지는 유도홈(552)의 우측 상단부위를 나타내며, "c"부위는 일시적으로 옮겨진 "b"부위로 부터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옮겨지는 유도홈(552)의 최좌측부로 "a"부위의 좌측부분에 위치하며, "d"부위는 "c"부위를 이탈하여 일시적으로 옮겨지는 유도홈(552)의 우측하단부위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556)는 이동체(500)의 이동시 핀돌기(622)가 위치(a)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위치(a)에 있는 핀돌기(622)가 위치(b)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안내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로커(600)는 상기 이동체(500)의 하방에 케이스(110)의 저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로커(600)와 솔레노이드부(300)와 탄성부재(360)는 모두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로커(600)는 상기 플런저(340)의 이동과 플런저(340)와 연결된 이동체(500)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유도홈(552)을 따라 이동하는 로커핀(620)과 상기 로커핀(6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단(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로커핀(620)의 종단부에는 일자형 로커핀(6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하는 핀돌기(622)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핀돌기(622)가 형성된 로커핀(620)의 모양은 대략 '└ '이다. 상기 핀돌기(622)는 이동체(500)의 좌우 왕복 이동에 대응하여 유도홈(552)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유도홈(552) 내의 위치(a) 또는 위치(c)에서 정지하게 된다.
상세히, 핀돌기(622)가 위치(a)에 머무른다는 것은 이동체(500)가 솔레노이드부(300) 방향으로 당겨져 있음을 의미하고, 위치(c)에 머무른다는 것은 탄성부재(360)의 복원력에 의하여 래치(200) 방향으로 밀려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640)은 상기 로커핀(620)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로커핀(620)의 이동시에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로커핀(620)이 상기 캠(550)의 유도홈(552)을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수단(640)은 판스 프링으로 형성되며, 소재와 형상은 고무, 스펀지 등으로 변경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540)의 상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래치(200)가 체결된다. 상기 몸체부(540)에는 상기 래치(200)의 좌측단이 회동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 회동로(542)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로(542)의 우측에는 걸림돌기(544)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로(542)는 상기 래치(200)가 스프링(270)에 의해 최대한 탄성복원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후술할 걸림돌기(544)와 상기 래치(200)가 넓은 면적으로 접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돌기(544)는 몸체부(540)의 전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우측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544)는 상기 래치(200)의 좌측단부와 면접촉을 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544)의 높이는 상기 체결부(260)의 좌측단부에서 돌출형성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것이다.
즉, 상기 래치(200)의 일단은 이동체(500)의 위치에 따라 이동체(500)와의 체결여부가 결정되며, 타단은 상기 걸쇠레버와 체결된다. 결국, 상기 이동체(500)와 래치(200)는 위치에 따라 서로의 이동을 구속하여 체결된다.
상기 이동체(500)와 상기 래치(200)의 체결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걸쇠레버와 상기 래치(200)의 체결 및 분리가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200)는 래치축(240)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일 경우 상기 래치(200)의 좌측단부는 스프링(270)에 의해 탄성복원되어 상기 회동로(542)를 통과하면서 회동하며, 상기 걸림돌기(544)는 상기 래치(200)의 좌측단부와 마주보게 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544) 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는 이동체(5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체결부(260)와 걸리도록 구속한다. 따라서, 만약의 경우 세탁기의 오작동으로 센서가 이동체(500)를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상기 걸림돌기(544)가 막음으로써 추후에 발생할 세탁기의 동작을 미리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세탁기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이동체(5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44)는 좌측단부의 전방 즉, 상기 래치(200)의 회동반경에 위치하여 래치의 탄성복원을 간섭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래치는 구속되어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게된다. 이와같이, 상기 걸림돌기(544)는 상기 이동체(500)의 이동에 따라 이동체(500)와의 결합방향이 변경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에 고정 부착된 감지부(700)는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스위치(720)와, 스위치(720)와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도전성 재료의 접점부(740)와 전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720)는 상기 이동체(500)가 좌측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체(500)에 의해 눌러지게 된다.
상기 스위치(720)는 이동체(500)에 의하여 눌려지는 경우에는 접점부(740)와 접촉하여 전선을 상호연결시키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전선이 상호 연결되는 것을 차단한다. 전선은 세탁기 본체의 전원선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선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는 세탁기의 운전이 가능하나, 전선이 상호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세탁기의 운전이 불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세탁기 도어 개폐가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래치(200)는 래치축(24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도어의 개폐 상태에 따라 래치(200)의 회동한 상태가 다를 것이다. 도 4에서는 도어가 개방된 상황으로, 상기 래치(200)는 스프링(270)에 의해 도어 열림방향으로 탄성복원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로커(600)와 이동체(500)는 중립상태로 결합되며, 이동체(500)가 탄성부재(360)의 탄성복원력으로 회복된 상태이다. 상기 중립상태는 래치(200)가 래치축(240)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만약의 세탁기 센서의 오동작 등으로 상기 솔레노이드(320)의 코일부(322)로 전류가 흘러, 플런저(340)가 관통홀 내부로 끌어당겨진다고 하여도 상기 래치(200)가 몸체부(540)의 걸림돌기(544)에 걸림구속된 상태가 되어 상기 이동체(500)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결국 이동체(500)의 이동이 방지되므로, 스위치(720)가 이동이 되지 않으므로 세탁기의 전원과 연결되지 않아 추후 만약의 상황에서 세탁기가 구동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래치(200)는 상기 래치축(240)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스프링(270)은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래치(200)의 좌측단부는 걸림돌기(544)와 결합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이동체(500)가 플런저(340)의 이동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며 세탁 동작을 위한 준비가 된 상태가 된다.
도 5 는 세탁기가 세탁동작을 수행할 때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세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인가시, 대략 1초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솔레노이드(320)의 코일부(322)로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의 영향으로 관통홀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참고로, 세탁 동작을 수행하라는 명령이 버튼 등을 통하여 인가되면 세탁기 내의 제어부는 이를 인식하여 솔레노이드부(300)의 코일부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된 흡인력은 플런저(340)를 관통홀 내부로 끌어당긴다.
그 결과, 상기 플런저(340)와 연결되어 있던 이동체(5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캠(550)과 로커(600)의 결합위치가 변경되어 이동체(500)의 위치를 좌측(솔레노이드 방향)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 때에는 상기 몸체부(540)의 걸림돌기(544)는 상기 래치(200)의 좌측단부의 전측이자 회동반경에 위치하여, 래치(200)의 회동을 걸림구속한다. 또한, 상기 걸쇠레버는 고정되어 있는 래치(200)로 인하여 더 이상 자유롭지 못하며, 그 결과 걸쇠레버가 부착된 도어의 개폐는 가능하지 않게 된다. 즉, 세탁기의 구동 중에 도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720)가 접점부(740)를 누르게 되어 세탁기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된 상태에서 세탁, 탈수 등과 같은 세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세탁기가 세탁동작을 종료할 때의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의 동작을 설 명하는 도면이다.
세탁 동작이 종료시, 이 종료 신호에 응답하여 또 다시 짧은 시간 동안 코일부(322)로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의 영향으로 관통홀 내부에 자기장이 형성된다(참고로, 세탁 동작을 종료하라는 명령이 버튼 등을 통하여 인가되면 세탁기 내의 제어부는 세탁 동작이 시작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를 인식하여 코일부(322)의 전류를 공급한다). 이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된 흡인력은 플런저(340)를 관통홀 내부로 끌어당긴다. 그 결과 플런저(340)와 연결되어있는 이동체(500)는 솔레노이드부(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짧은 시간이 경과하여 코일부(322)에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면, 플런저(340)를 당기는 힘의 근원인 자기장이 사라지게 되며, 그 결과 탄성부재(3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플런저(340)는 래치(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플런저(340)의 이동시, 이와 연결되어 있던 이동체(500) 역시 래치(20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다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래치(200)는 래치축(240)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며, 사용자가 세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에서 보여지는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 내에 로커와 이동체의 모습을 보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내부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케이스 120..... 커버
200..... 래치 220..... 상단부
240..... 래치축 260..... 체결부
300..... 솔레노이드부 320..... 솔레노이드
340..... 플런저 360..... 탄성부재
500..... 이동체 520..... 결합부
540..... 몸체부 550..... 캠
600..... 로커 620..... 로커핀
640..... 탄성수단 700..... 감지부

Claims (8)

  1. 걸쇠레버가 설치된 세탁기 도어와 체결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부;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결합되어 연동되며 캠이 구비된 이동체;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캠과 체결되는 로커핀을 가지는 로커;
    상기 케이스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쇠레버와 체결되는 래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체와 래치는 위치에 따라 서로의 이동을 구속하여 체결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일측에는 상기 래치를 구속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상기 캠이 함몰형성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세탁기 도어 열림 방향으로 복원력을 받도록 탄력 설치되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의 일단은 상기 걸림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 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세탁기 동작시에 상기 래치의 회동반경에 위치하여 래치의 회동을 방지하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체와의 결합방향이 변경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이드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세탁기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 솔레노이드;
    상기 솔레노이드에 형성되는 자기장의 영향에 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의 관통홀로 흡인되어 이동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일부 외부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솔레노이드와 이동체 사이에 제공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개구된 면을 덮는 커버가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와 커버의 외주면에는 서로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이동체가 솔레노이드부 방향으로 이동시에 세탁기의 전원과 연결되는 감지부가 제공되는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1020090044087A 2009-05-20 2009-05-20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101128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087A KR101128692B1 (ko) 2009-05-20 2009-05-20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087A KR101128692B1 (ko) 2009-05-20 2009-05-20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071A true KR20100125071A (ko) 2010-11-30
KR101128692B1 KR101128692B1 (ko) 2012-04-12

Family

ID=4340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087A KR101128692B1 (ko) 2009-05-20 2009-05-20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6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82B1 (ko) * 2012-07-05 2014-01-03 (주)엔티텍 도어 안전장치
KR101370293B1 (ko) * 2012-11-12 2014-03-06 (주)엔티텍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1409958B1 (ko) * 2013-02-22 2014-06-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용 도어 래치
KR101438066B1 (ko) * 2012-11-12 2014-09-15 (주)엔티텍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US20190309542A1 (en) * 2016-07-06 2019-10-10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Lock
US20200354993A1 (en) * 2019-05-10 2020-11-12 Emz-Hanauer Gmbh & Co. Kgaa Door lock for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8222B2 (ja) 1997-03-31 2007-05-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アスイッチ装置
JP3585203B2 (ja) 1997-04-11 2004-11-04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洗濯機用ドアロック装置
KR100716002B1 (ko) * 2000-06-24 2007-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잠금장치
KR100735048B1 (ko) * 2005-11-24 2007-07-06 (주)엔티텍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382B1 (ko) * 2012-07-05 2014-01-03 (주)엔티텍 도어 안전장치
KR101370293B1 (ko) * 2012-11-12 2014-03-06 (주)엔티텍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1438066B1 (ko) * 2012-11-12 2014-09-15 (주)엔티텍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1409958B1 (ko) * 2013-02-22 2014-06-20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용 도어 래치
US20190309542A1 (en) * 2016-07-06 2019-10-10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Lock
US11519125B2 (en) * 2016-07-06 2022-12-06 Illinois Tool Works Inc. Door lock
US20200354993A1 (en) * 2019-05-10 2020-11-12 Emz-Hanauer Gmbh & Co. Kgaa Door lock for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US11624209B2 (en) * 2019-05-10 2023-04-11 Emz Hanauer Gmbh & Co. Kgaa Door lock for a domestic electrical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692B1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8692B1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US9869049B2 (en) Washing machine having lid locker
KR102598820B1 (ko) 세탁기
KR100735048B1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EP2251477B1 (en) Washing machine
CN109082855A (zh) 壁装式洗衣机及其机盖
KR1019402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521525B1 (ko) 세탁기의 뚜껑 잠금장치
KR20160128581A (ko) 세탁기 및 세탁방법
KR20080090043A (ko) 세탁기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444954B1 (ko) 도어 잠금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2385798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90126456A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0716002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잠금장치
KR20110089027A (ko) 도어 안전 장치
KR101236951B1 (ko) 세탁기 도어 잠금장치
KR20070036468A (ko) 드럼 세탁기
KR102658732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101370293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US7536880B2 (en) Magnetic lid switch
KR10201865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8678B1 (ko) 세탁물 처리장치
JP2004344294A (ja) 洗濯機
KR1019402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