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382B1 - 도어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382B1
KR101338382B1 KR1020120073128A KR20120073128A KR101338382B1 KR 101338382 B1 KR101338382 B1 KR 101338382B1 KR 1020120073128 A KR1020120073128 A KR 1020120073128A KR 20120073128 A KR20120073128 A KR 20120073128A KR 101338382 B1 KR101338382 B1 KR 10133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olenoid
bar
cov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화
Original Assignee
(주)엔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티텍 filed Critical (주)엔티텍
Priority to KR1020120073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덮는 덮개와 일측에 돌출되는 바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외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락부와 상기 락부 하단에 형성되며, Y자 형상으로 함몰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 내측에 마련되며, 하트모양으로 돌출된 캠이 형성되는 하트캠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라인 및 하트캠의 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과 상기 락부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덮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점검바와 상기 덮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점검바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락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락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안전장치{A DOOR SAFETY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의 전자장치를 사용 중에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안전하게 세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내부에 세탁수가 저장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세탁조와, 상기 수조를 선택적으로 차폐하여 상기 세탁조 내부로 세탁물을 삽입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를 통해 세탁조 내부로 세탁물을 삽입하고, 상기 수조에 세탁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세탁조를 회전하여 세탁물을 세탁 및 탈수하고, 상기 수조 일측에 마련된 배수구를 통해 세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세탁물이 세탁조 내에서 세탁 또는 탈수 중에, 도어를 오픈하게 되면 세탁조의 회전에 의해 사람이 다치거나, 세탁물 및 세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관련하여, 본 출원인이 도어 안전장치에 관하여 특허출원 제10-2010-0008818호와 같이 출원한 바 있다. 상기한 출원 발명은, 하우징 내부의 락부의 슬라이딩 검사여부를 덮개의 체결이후에 확인 할 수 있는 애로사항이 있다.
또한, 락부와 솔레노이드 사이의 간격을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압축시 탄성부재의 겹침 현상으로 엉김 및 소정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애로사항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08818호 (2010.01.2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점검바를 사용하여 락부를 하우징 내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품 조립전 불량 여부를 미연에 확인할 수 있는 도어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락부와 솔레노이드 사이의 간격을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줄어드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압축시 겹침 현상으로 엉김 및 원기둥 형상의 탄성부재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덮는 덮개와 일측에 돌출되는 바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외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락부와 상기 락부 하단에 형성되며, Y자 형상으로 함몰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 내측에 마련되며, 하트모양으로 돌출된 캠이 형성되는 하트캠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라인 및 하트캠의 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과 상기 락부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덮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점검바와 상기 덮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점검바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락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락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트캠의 한쌍의 상부 중 일측의 상부가 타측의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의 Y자 형상에서 상단의 두 개의 갈라진 부분은 상기 캠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큰 상부방향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의 Y자 형상에서 하단의 형상은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쪽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의 한 쌍의 상부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락부의 바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의 하단에 위치할 때, 상기 락부의 바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락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줄어드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락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락부가 상기 하우징 내외부를 슬라이딩 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후단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관통홀을 차페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도어 안전장치는, 점검바를 사용하여 락부를 하우징 내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품 조립전 불량 여부를 미연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락부와 솔레노이드 사이의 간격을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줄어드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압축시 겹침 현상으로 엉김을 방지하고 및 원기둥 형상의 탄성부재 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장치를 나타낸 덮개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장치를 나타낸 락부 하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장치를 나타낸 가이드라인 및 하트캠 평면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인 도어 안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 내외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락부(200)와, 상기 락부(20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300)와, 상기 락부(20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도어 안전장치에는, 하우징(100)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소정을 공간을 가지며 외부 몸체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락부(200)가 마련된다. 상기 락부(200)는, 일측에 돌출되는 바(210)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 내외부를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락부(200)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바(210)는, 상기 락부(200)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외부를 이동하면서 도어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구속한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210)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면, 도어를 구속하여 열리지 않게 하고, 상기 바(210)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면, 도어를 오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210)에는, 프레임(2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1)은, 상기 바(21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210)의 강성을 더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바(210)가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구속할 때, 상기 바(210)의 파손에 의해 도어가 임의로 오픈되지 않도록 큰 강성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211)은, 큰 강성을 가지기 위해 금속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한다.
상기 락부(200) 상단에는, 점검바(220)가 마련된다. 상기 점검바(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락부(200) 상단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점검바(220)는, 본 발명인 도어 안전장치의 조립 후 불량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최종 조립전에 본 발명인 도어 안전장치의 불량 여부를 미연에 체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감지스위치(600)가 마련된다. 상기 감지스위치(600)는, 상기 락부(200)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락부(200)가 상기 하우징(100) 내외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스위치(600)의 일측이 상기 락부(2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락부(200)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돌출부가 상하방향(도 1에서)으로 이동하면서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바(21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면 상기 감지스위치(600)의 돌출부가 상부방향(도 1에서)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고, 상기 바(210)가 상기 하우징(100) 위치하면 상기 감지스위치(600)의 돌출부가 하부방향(도 1에서)으로 이동하여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락부(200) 일측에는, 솔레노이드(300)가 마련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상기 락부(200)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락부(20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케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락부(20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00)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락부(20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락부(20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 사이의 간격을 멀어지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락부(20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 사이의 간격을 이격시키기 용이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으로 구성된 탄성부재(40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줄어드는 원뿔기둥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는, 원뿔기둥 형상의 상기 탄성부재(400)가 압축될 때, 상기 탄성부재(400)의 겹침 현상으로 상기 탄성부재(400)가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고, 원기둥 형상의 상기 탄성부재(400)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공간을 차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0)와 접하는 상기 락부(200) 일측과 솔레노이드(300) 일측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락부(200)와 솔레노이드(300)의 접하는 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300) 후단에는, 플레이트(310) 및 완충부재(320)가 마련된다. 상기 플레이트(310)는, 상기 솔레노이드(300)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솔레노이드(300) 내부를 이동하는 플런저가 상기 솔레노이드(300) 후단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플레이트(310)와 상기 하우징(100) 사이에는, 완충부재(320)가 마련된다. 상기 완충부재(320)는, 상기 플레이트(310)에 전달된 하중을 상기 하우징(100)에 전달하지 않고 완충작용을 한다. 이는 상기 솔레노이드(300)의 플런저의 반복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이 상기 플레이트(310)로 전달되고, 상기 플레이트(310)에 전달된 하중은 상기 완충부재(320)에 의해 상쇄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00) 상부에는 덮개(500)가 마련된다. 상기 덮개(500)는,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100)을 덮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덮개(500)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홀(510)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홀(510)은, 상기 점검바(220)가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덮개(500) 조립 이후에 점검바(22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이는. 본 발명인 도어 안전장치의 최종조립 이후에 상기 점검바(220)를 사용하여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락부(200)의 하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230)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라인(230)은, Y자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 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라인(230)의 Y자 형상에서 상단의 두 개의 갈라진 부분 중 좌측은(도 5에서) 수직으로 형성되고, 우측은(도 5에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쪽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라인(230) 내측에는, 하트캠(240)이 마련된다. 상기 하트캠(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라인(230)의 Y자 형상에서 상단의 두 개의 갈라진 부분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트캠(240)의 한 쌍의 상부 중 일측의 상부가 타측의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트캠(240)은, 상기 가이드라인(230)과 동일하게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 핀(11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는, 가이드 핀(110)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 핀(110)은, 상기 락부(200) 하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라인(230) 및 상기 하트캠(24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탄성부재(400)에 의해 상기 락부(200)를 외부로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안전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기의 도어를 닫고 세탁물을 세탁하는 작업 중에는, 상기 가이드 핀(110)이 a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핀(110)이 a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락부(200)의 바(210)는, 상기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한편 세탁기의 동작이 완료되어, 세탁물을 외부로 반출하려고 도어를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작동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에서 신호를 입력받은 솔레노이드(300)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락부(200)를 상기 솔레노이드(3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락부(200)가 상기 솔레노이드(30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 핀(110)이 상기 하트캠(240)의 하단인 b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핀(110)이 b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하트캠(240)의 일측을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230)의 c 지점까지 이동한 후 상기 하트캠(240)의 한 쌍의 상부 사이의 d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라인(230)이 d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락부(200)가 상기 솔레노이드(300)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바(210)가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하여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핀(110)은, 상기 하트캠(240)의 d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락부(200)가 상기 솔레노이드(300)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세탁물을 외부로 반출하고 도어를 닫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상기 솔레노이드(300)에 작동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솔레노이드(300)는 동작하여, 상기 가이드 핀(110)이 e위치에 가도록 상기 락부(200)를 동작시킨다. 상기 가이드 핀(110)이 e위치에 위치하면 상가 탄성부재(400)가 탄성을 회복하면서 상기 가이드 핀(110)을 a위치까지 이동시키므로, 상기 락부(200)와 상기 솔레노이드(300)가 이격되며 상기 바(210)가 하우징(100)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가이드 핀
200 : 락부 210 : 바
211 : 프레임 220 : 점검바
230 : 가이드라인 240 : 하트캠
300 : 솔레노이드 310 : 플레이트
320 : 완충부재 400 : 탄성부재
500 : 덮개 510 : 가이드 홀
600 : 감지스위치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부가 개방된 상기 하우징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덮는 덮개;
    일측에 돌출되는 바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외부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락부;
    상기 락부 하단에 형성되며, Y자 형상으로 함몰되는 가이드라인;
    상기 가이드라인 내측에 마련되며, 하트모양으로 돌출된 캠이 형성되는 하트캠;
    상기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라인 및 하트캠의 캠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핀;
    상기 락부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덮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점검바;
    상기 덮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덮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점검바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 및
    상기 락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락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동력을 제공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트캠의 한쌍의 상부 중 일측의 상부가 타측의 상부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의 Y자 형상에서 상단의 두 개의 갈라진 부분은 상기 캠의 상부 중 상대적으로 큰 상부방향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라인의 Y자 형상에서 하단의 형상은 상기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쪽으로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의 한 쌍의 상부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락부의 바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핀이 상기 하트캠의 하단에 위치할 때, 상기 락부의 바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줄어드는 원뿔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락부와 상기 솔레노이드 사이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락부가 상기 하우징 내외부를 슬라이딩 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후단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관통홀을 차페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후단에 마련되어 상기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안전장치.
KR1020120073128A 2012-07-05 2012-07-05 도어 안전장치 KR10133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28A KR101338382B1 (ko) 2012-07-05 2012-07-05 도어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128A KR101338382B1 (ko) 2012-07-05 2012-07-05 도어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82B1 true KR101338382B1 (ko) 2014-01-03

Family

ID=5014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128A KR101338382B1 (ko) 2012-07-05 2012-07-05 도어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0689A (zh) * 2017-03-31 2018-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絮凝洗衣机的控制方法及絮凝洗衣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790A (ko) * 2005-11-24 2007-05-30 (주)엔티텍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20090126456A (ko) * 2008-06-04 2009-12-09 (주)엔티텍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100125071A (ko) * 2009-05-20 2010-11-30 (주)엔티텍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20110089027A (ko) * 2010-01-29 2011-08-04 (주)엔티텍 도어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4790A (ko) * 2005-11-24 2007-05-30 (주)엔티텍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20090126456A (ko) * 2008-06-04 2009-12-09 (주)엔티텍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20100125071A (ko) * 2009-05-20 2010-11-30 (주)엔티텍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20110089027A (ko) * 2010-01-29 2011-08-04 (주)엔티텍 도어 안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0689A (zh) * 2017-03-31 2018-10-1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絮凝洗衣机的控制方法及絮凝洗衣机
CN108660689B (zh) * 2017-03-31 2022-01-04 天津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絮凝洗衣机的控制方法及絮凝洗衣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609B2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EP3272927B1 (en) Washing machine
EP2700743B1 (en) Auxiliary washing machine
CA2898938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suspension assembly having elastic member o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support member
CN104246052B (zh) 洗衣机的双减振器
KR101606725B1 (ko) 세탁기의 리드 로커
KR101338382B1 (ko) 도어 안전장치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KR10194024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68505B1 (ko) 벽걸이형 세탁기
KR1023156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89280B1 (ko) 세탁기
KR20090126456A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장치
KR101370293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CN105088662A (zh) 滚筒洗衣机
KR20110089027A (ko) 도어 안전 장치
EP2628840A1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damper apparatus
CN203751632U (zh) 一种薄形零件分料机构
KR10194024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68716B1 (ko) 세탁기
KR10232305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4024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839079B1 (ko) 세탁기
KR20160022149A (ko) 세탁기
KR20110083316A (ko) 드럼세탁기용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