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732B1 - 세탁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732B1
KR102658732B1 KR1020190034687A KR20190034687A KR102658732B1 KR 102658732 B1 KR102658732 B1 KR 102658732B1 KR 1020190034687 A KR1020190034687 A KR 1020190034687A KR 20190034687 A KR20190034687 A KR 20190034687A KR 102658732 B1 KR102658732 B1 KR 102658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oor
control panel
laundry
power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875A (ko
Inventor
김명상
김현상
윤유술
이철연
장호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732B1/ko
Priority to US17/442,740 priority patent/US12006613B2/en
Priority to PCT/KR2019/003997 priority patent/WO2020196974A1/ko
Publication of KR2020011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 상기 몸체에 제공되고,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전원 송신기;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고, 상기 무선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로 전달하는 전원 수신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 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의류를 포함하는 세탁물을 세탁 또는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와 건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 투입구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상면에 형성되는 탑 로딩 방식과, 세탁물 투입구가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전면에 형성되는 프런트 로딩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의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을 회전시키는 드럼의 회전축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프런트 로딩 방식의 세탁물 처리 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 본체에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세탁기 본체의 내부에 전선체가 구비된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6517호,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용사출금형"이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사용자가 세탁물을 세탁기 본체에 투입 시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조작부가 오작동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최근에는 상기에서 언급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도어에 조작부가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4325호, 의류처리장치 및 도어"가 개시된다. 상세히,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기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도어에 조작부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통해 세탁물 처리 장치를 조작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도어에 구비되는 조작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도어와 세탁기 본체를 연결하는 전선이 요구된다. 상기 전선은 도어와 세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있기에, 도어를 개폐 시 상기 전선에 반복적으로 움직임이 발생되어 상기 전선의 내구성이 감소되고, 상기 전선의 내구성이 감소되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전선이 상기 도어와 상기 세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있기에 상기 도어를 상기 세탁기 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어렵기에 세탁물 처리 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도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되는 조작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탁기 본체에 대해 이동하는 도어에 구비된 조작부로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에 구비되는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세탁기 본체가 작동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 상기 몸체에 제공되고,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전원 송신기;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고, 상기 무선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로 전달하는 전원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송신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수신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전원 수신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송신기와,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수신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전원 수신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송신기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및 몸체에 제공되는 전원 수신기 및 전원 송신기에 의해 도어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로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에 대해 도어가 이동되어도 도어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로 원활하게 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구비된 전원 수신기와 몸체에 구비된 전원 송신기가 서로 분리될 수 있기에 세탁물 처리 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와 몸체가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컨트롤 패널의 조작 신호가 몸체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 패널이 도어에 제공되기에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불필요하게 컨트롤 패널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원 송신기 및 전원 수신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A-A를 절단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는 몸체(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5)에는 베이스(6), 캐비닛(7), 탑 커버(8)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바닥과 대응하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7)의 네 모서리 부근에 설치된 4개의 지지다리(61)에 의해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 상에는 배수 펌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7)은 상기 베이스(6) 상면 가장자리에 세워지며, 전면, 후면, 및 좌우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7)의 개구된 상단에는 상기 탑 커버(8)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8)에는 세탁물(또는,"포")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8)에는 세탁물에 작용하는 첨가제를 후술할 수조(9) 내부로 물과 함께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81)에 의해 공급되는 첨가제는 세제와 섬유 유연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81)에는 물과 함께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수용부(81a)와, 물과 함께 섬유 유연제를 공급하는 섬유 유연제 수용부(81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7) 내부에는 수조(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조(9)는 외조(미도시)와 내조(9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외조(미도시)는 상기 캐비닛(7) 내부에 물을 담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외조는 상기 캐비닛(7) 내에 매달린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완충하기 위한 서스펜션(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조(9b)는 상기 외조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조(9b)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며, 상기 외조의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내조(9b)에는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멍들을 통해 상기 내조(9b)와 상기 외조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조(5)의 내부 바닥에는 펄세이터(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는 상측으로 돌출된 다수의 방사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가 회전할 때, 상기 리브들에 의해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내조(5)와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세탁 모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는 상기 외조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축은 상기 펄세이터와 항상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내조(5)와는 클러치(미도시)의 전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내조(5)와 결합된 상태로 동작할 때에는 상기 펄세이터와 상기 내조(5)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세탁 모터의 회전축이 상기 내조(5)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내조(5)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세이터만이 회전한다.
한편,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에는 상기 외조로부터 외부로 물을 배출시키는 배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구성에는 밸로우즈(미도시), 배수밸브(미도시), 배수펌프(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구성의 작동에 의해 세탁수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는 도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탑 커버(8)의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탑 커버(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와 상기 탑 커버(8)는 힌지부(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투명부재(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투명부재(11)가 설치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11)는 상기 도어(10)의 개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11)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내조(9b)에 수용된 세탁물이 사용자에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투명부재(11)를 사용하여 세탁물이 세탁되는 상태를 사용자의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컨트롤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을 통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투명부재(11)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투명부재(11)에 제공되거나, 상기 투명부재(11)에 수밀형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 패널(12)이 상기 투명부재(11)에 제공되면, 상기 투명부재(11)를 통해 상기 내조(9b)에 수용된 세탁물의 상태를 사용자의 눈으로 확인한 후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 상기 컨트롤 패널(12)이 제공되기에 상기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 컨트롤 패널(12)이 제공되기에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12)이 가압되어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2)이 수밀형 구조로 제공되기에 물이 상기 컨트롤 패널(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입력부(121)와 표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제공하는 각종 운전 모드를 설정, 선택, 및 조정할 수 있는 키, 버튼,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1)를 조작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운전 상태, 상기 운전 모드의 선택에 따른 응답, 경고, 알림 등을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22)는 램프, LCD 패널, LE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입력부(121)와 상기 표시부(122)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10)는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는 전원 수신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5)는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전원 송신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으로 작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는 몸체(5)와 도어(1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도어(10)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2)로 무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몸체(5)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몸체(5)는 제1제어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51)는 상기 몸체(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51)는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후술할 전원 송신기(5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제어부(51)가 무선 전원을 송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5)는 전원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5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52)로 공급되는 전원의 일부를 상기 전원 송신기(53)에 의해 무선 전원으로 송신하고, 상기 전원부(52)로 공급되는 전원의 나머지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5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를 작동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몸체(5)는 전원 송신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도어(10)로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전원부(5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전달받은 전원을 무선 전원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무선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구성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코일, 안테나, 공진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제1제어부(51)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몸체(5)는 전원 발진기(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발진기(54)는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의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발진기(54)에 의해 변화되는 주파수는 공진 주파수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발진기(54)에 의해 특정 주파수로 변화된 무선 전원이 상기 전원 송신기(53)로부터 상기 도어(10)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51)는 상기 전원 발진기(54)를 제어하여 특정 주파수로 변화된 무선 전원이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 발진기라 칭하고 있으나 전원 증폭기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5)는 제1통신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55)는 다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55)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통신부(55)는 상기 도어(10)의 컨트롤 패널(12)로부터 작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몸체(5)는 상기 제1통신부(55)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통신부(55)는 상기 도어(10)의 컨트롤 패널(12)로부터 작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도어(10)의 컨트롤 패널(12)로 송신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12)에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몸체(5)는 제1저장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56)에는 다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51)는 상기 제1저장부(56)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몸체(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부(56)에 저장되는 다수의 정보에는 상기 몸체(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전원 송신기(53)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의 주파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어(10)에는 컨트롤 패널(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을 구동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도어(10)에 구비되는 구성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제2제어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01)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제어부(101)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입력부(121)와 표시부(12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01)는 상기 도어(10)에 구비되는 구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01)는 상기 전원 송신기(53)로부터 송신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전원 수신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전원 송신기(53)로부터 송신된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무선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 구성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코일, 안테나, 공진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제2제어부(101)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에 의해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전원 정류기(1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정류기(103)는 상기 전원 수신기(102)에서 수신된 무선 전원을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정류기(103)는 주파수가 변경된 무선 전원을 상기 컨트롤 패널(12)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원으로 정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정류기(103)에서 정류된 전원은 상기 컨트롤 패널(12)에서 소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배터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04)는 상기 전원 정류기(103)에 의해 정류된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04)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을 작동하기 위한 전원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04)는 상기 전원 송신기(53)로부터 송신된 무선 전원으로 충전되고, 상기 컨트롤 패널(12)로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전원 공급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04)는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무선 전원이 미 송신 시 상기 배터리(104)의 전원을 소비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작동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04)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대기 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작동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제2통신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106)는 다수의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부(106)는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통신부(106)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의에 대한 정보를 상기 몸체(5)의 제1통신부(55)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신부(106)는 상기 제1통신부(55)로부터 송신되는 다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부(55)와 상기 제2통신부(106)에 의해 상기 몸체(5)와 상기 컨트롤 패널(12)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제2저장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107)에는 다수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107)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에 대한 정보,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작동에 대한 정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101)는 상기 제2저장부(107)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부(107)에 저장된 다수의 정보는 상기 제2통신부(106)에 의해 상기 제1통신부(55)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입력부(121)를 작동하면, 상기 제2통신부(106)는 상기 입력부(121)에서 입력되는 조작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통신부(55)로 전달하여,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통신부(55)로부터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를 상기 제2통신부(106)가 수신하고,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에 따른 정보를 상기 컨트롤 패널(12)의 표시부(12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 패널(12)에는 입력부(121)와 표시부(1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 변화에 따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22)에는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시간, 잔여 시간, 작동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조작 신호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이 제공되는 도어(10)로부터 상기 몸체(5)로 전달되며,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가 작동되면,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를 상기 표시부(122)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어(10)에 컨트롤 패널(12)이 제공되기에 상기 도어(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12)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투명부재(11)가 제공되기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몸체(5)의 내부를 사용자의 눈으로 신속하게 확인한 후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5)와 상기 몸체(5)에 대해 회전하는 도어(10)에 무선 전원을 송수신하는 전원 송신기(53)와 전원 수신기(102)가 제공되기에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를 연결하는 전선이 미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원 송신기 및 전원 수신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송신기(53)는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기(53) 및 전원 수신기(102)는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무선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원 송신기(53) 및 전원 수신기(102)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코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1차측 코일로 정의되고,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2차측 코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1차측 코일인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이 2차측 코일인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제1코일(532)과 제1코일 지지부(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532)은 특정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코일(532)은 원형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1코일 지지부(53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532)은 상기 제1코일 지지부(5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5)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코일(532)은 상기 제1코일 지지부(5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 지지부(531)에는 상기 제1코일(532)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에는 제1단자(53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533)는 원형으로 권취된 제1코일(532)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자(533)는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제1제어부(5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단자(533)를 통해 상기 제1코일(532)로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의 제1코일(532)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코일(532)에서 전자기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일(532)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은 후술할 전원 수신기(102)의 제2코일(102b)에서 기전력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2b)에 기전력이 유도되면 상기 제2코일(102b)에서 전류의 흐름이 발생되어 상기 전원 수신기(102)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제2코일(102b)과 제2코일 지지부(10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2b)은 특정 형상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코일(102b)은 원형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2코일 지지부(102a)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2b)은 상기 제2코일 지지부(102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코일(102b)은 상기 제2코일 지지부(102a)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 지지부(102a)에는 상기 제2코일(102b)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에는 제2단자(102c)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102c)는 원형으로 권취된 제2코일(102b)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자(102c)는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제2제어부(10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단자(102c)를 통해 상기 제2제어부(101)로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의 제2코일(102b)은 상기 제1코일(532)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2b)에 전자기장이 인가되면, 상기 제2코일(102b)에서 기전력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102b)에 기전력이 유도되면, 상기 전원 수신기(102)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가 상기 전원 송신기(53)로부터 멀어지면, 상기 전원 송신기(53)로부터 상기 전원 수신기(102)에 전자기장이 미 수신되어 전원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제2제어부(101)는 배터리(1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1)의 도어(10)에는 컨트롤 패널(1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도어(10)의 이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10)의 개방하거나 폐쇄한 후, 상기 컨트롤 패널(12)을 이용하여 세탁물 처리 장치(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에 제공되는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의 몸체(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몸체(5)는 상기 도어(10)를 향해 무선으로 전원을 송신하고, 상기 도어(10)는 상기 몸체(5)에 송신된 무선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12)을 구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에는 전원 송신기(53)와 전원 수신기(10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몸체(5)에 제공되고,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도어(1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몸체(5)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몸체(5)와 분리 가능하도록 제공되기에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몸체(5)와 상기 도어(1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도어(10)의 일측과 몸체(5)의 일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5)에 대해 회전하는 도어(10)의 일면, 및 상기 도어(10)의 일면과 마주하는 몸체(5)의 일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도어(10)가 개방 시 상기 도어(10)의 전원 수신기(102)로 전원을 송신하는 제1전원 송신기(53a) 및 상기 도어(10)가 폐쇄 시 상기 도어(10)의 전원 수신기(102)로 전원을 송신하는 제2전원 송신기(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송신기(53a)와 상기 제2전원 송신기(53b)는 하나의 전원 송신기(53)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10)가 개방 시 상기 제1전원 송신기(53a)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 시 상기 제2전원 송신기(53b)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상기 몸체(5)에 대해 회전 시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전원을 송신할 수 있는 전원 송신기(5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몸체(5)로부터 상기 전원 수신기(102)를 향해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몸체(5)에는 상기 전원 송신기(53)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52)는 상기 세탁물 처리 장치(1) 및 상기 전원 송신기(53)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전원부(52)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일부를 상기 전원 수신기(102)가 구비되는 도어(1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전원 송신기(53)로부터 송신된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컨트롤 패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전선(W)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무선 전원이 수신되면, 수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컨트롤 패널(1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된 무선 전원으로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가 배치되는 도어(10)의 일측은 상기 몸체(5)에 대해 회전되는 도어(10)의 회전축(C)이 위치하는 도어(10)의 일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0)의 타측은 손잡이가 위치하는 도어(10)의 타측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도어(10)의 회전축(C)이 고정되는 몸체(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10)의 회전축(C)은 상기 몸체(5) 중 탑 커버(8)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C)은 상기 도어(10)가 상기 몸체(5)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중심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의 일부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의 일부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는 상기 몸체(5)의 투입구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도어(1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어도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무선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전원 송신기(53)가 서로 마주하면,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이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도어(10)가 상기 몸체(5)에 대해 회전되어도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5)로부터 상기 도어(10)로 공급되는 무선 전원이 단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1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를 연결하기 위한 전선을 제거하면, 상기 도어(10)를 상기 몸체(5)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세탁물 처리 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의 사이를 방수하여 습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전기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 수신기(102) 및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도어(10)의 개방 여부에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 및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전원 수신기(102)와 복수개의 전원 송신기(53)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개방 또는 폐쇄 시 상기 복수개의 전원 수신기(102) 중 일부와 상기 복수개의 전원 송신기(53) 중 일부가 서로 마주하여 무선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10)에는 하나의 전원 수신기(10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5)에는 제1전원 송신기(53a) 및 제2전원 송신기(53b)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개방 시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제1전원 송신기(53a)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가 폐쇄 시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제2전원 송신기(53b)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송신기(53a) 및 제2전원 송신기(53b)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가 서로 마주하면 무선 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 송신기(53a) 및 제2전원 송신기(53b)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가 서로 마주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2)에 구비되는 배터리(1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가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성 일부는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도어(10)와 몸체(5)를 연결하는 힌지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의 일측은 상기 도어(10)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13)의 타측은 상기 몸체(5)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부(13)의 타측은 상기 몸체(5)의 탑 커버(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몸체(5)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는 제1힌지(131) 및 제2힌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31)의 일부와 상기 제2힌지(132)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31)에는 회전축(131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132)는 상기 회전축(131a)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는 상기 몸체(5)와 상기 도어(1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31)는 상기 몸체(5)에 고정되고, 상기 제2힌지(132)는 상기 도어(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전원 수신기(102) 및 전원 송신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제2힌지(132)에 제공되고,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제1힌지(131)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31)와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132)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131)와 상기 제2힌지(132)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131) 및 제2힌지(132)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 및 전원 송신기(53)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힌지부(13)에서 전기적인 쇼트 및 누전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몸체(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몸체(5)의 제1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된 전원은 상기 도어(10)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2)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은 상기 전원 수신기(102)에서 수신된 전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도어(10)에 제공되는 제2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제2힌지(132)를 마주하는 제1힌지(131)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마주하는 제2힌지(132)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은 상기 제2힌지(132)가 상기 제1힌지(131)에 대해 회전되어도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의 사이에는 스토퍼(135)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회전축(131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35)는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상기 제1힌지(131)에서 회전축(131a)이 돌출되는 제1힌지(131)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는 상기 회전축(131a)에 연결되며, 상기 제1힌지(131)의 일면을 마주하는 제2힌지(13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와 상기 전원 송신기(53)는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기(53)에서 송신되는 무선 전원은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기(102)로 수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컨트롤 패널(12)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원 송신기(53)와 상기 전원 수신기(102)를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를 연결하는 힌지부(13)에 제공하여 상기 도어(10)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2)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2)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몸체(5)와 상기 도어(10)를 연결하는 전선이 미 제공되기에, 상기 도어(10)의 개폐가 원활하고, 상기 도어(10)의 개방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13)를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도어(10)와 상기 몸체(5)가 서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부(13)를 결합하면, 상기 몸체(5)로부터 상기 도어(10)의 컨트롤 패널(12)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는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가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구성 일부는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래서,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의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2)는 외관 및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5)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5)은 육면체의 상부 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25a), 육면체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25b), 육면체의 하부 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25c), 육면체의 전방 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커버(25d) 및 육면체의 후방 면을 형성하는 백 커버(25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커버(25d)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원형의 도어(30)가 상기 프런트 커버(25d)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일측은 힌지부(29)로 결합되고, 상기 도어(30)의 타측은 힌지부(29)를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타측에는 누름식 로킹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3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상기 도어(3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30)가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의 일부는 투명부재(31)로 구비되어, 세탁, 탈수 및 건조 행정이 진행되는 세탁물을 외부 공간에서 확인할 수 잇다. 상기 도어(30)의 상단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가 구비되어, 세탁, 탈수 및 건조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모드의 선택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는 상기 도어(3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5)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세탁물이 투입되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드럼(27)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드럼(27)의 내주면에는 리프터가 설치되며, 상기 드럼(27)의 회전 시 상기 리프터에 의해 세탁물이 상승 및 낙하하여 세탁물이 세척될 수 있다. 상기 드럼(27)은 상기 도어(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커버(25d)의 오른쪽 상단에는 전원 버튼(34)이 구비되어, 세탁물 처리 장치(2)의 세탁, 탈수 및 건조 행정 시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상기 캐비닛(25)의 하부에는 세제 공급부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고, 세제 공급부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26)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 장치(2)는 전원 송신부(153)와 전원 수신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153)는 상기 캐비닛(25)에 제공되고, 상기 전원 수신부(202)는 상기 도어(3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송신부(153)는 상기 힌지부(29)에 제공되고, 상기 전원 수신부(202)는 도어(3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가 상기 캐비닛(25)을 폐쇄하면, 상기 전원 송신부(153)와 상기 전원 수신부(20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1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은 상기 전원 수신부(202)로 수신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153)는 힌지부(29)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수신부(202)는 상기 힌지부(29)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29)의 일측은 상기 캐비닛(25)에 고정되는 힌지부(29)의 일부로 정의되고, 상기 힌지부(29)의 타측은 상기 도어(30)에 고정되는 힌지부(29)의 또 다른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송신부(153)와 상기 전원 수신부(202)가 상기 힌지부(29)에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전원 송신부(153)가 상기 캐비닛(25)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수신부(202)가 상기 전원 송신부(153)를 마주하는 도어(30)의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30)가 폐쇄 시, 상기 전원 수신부(202)와 상기 전원 송신부(153)가 서로 마주하여 무선 전원이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0)가 개방 시, 상기 전원 송신부(153)에서 송신된 무선 전원을 수신하는 전원 수신부(202)를 더 설치하여, 상기 도어(30)가 개방 시에도 무선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153)는 상기 캐비닛(25)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 수신부(202)로 무선 전원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송신부(153)는 상기 캐비닛(25)의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202)는 상기 전원 송신부(153)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전원을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전원을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송신부(153)는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의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에는 배터리가 더 제공되며, 상기 전원 수신부(202)로 수신된 무선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수신부(202)가 상기 전원 송신부(153)로부터 무선 전원을 미 송신 받을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전원으로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와 상기 캐비닛(25)은 서로 통신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를 조작하면, 상기 캐비닛(25)은 상기 터치식 디스플레이부(32)로부터 전달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세탁물을 처리할 수 있다.
1: 세탁물 처리 장치 5: 몸체
10: 도어 11: 투명부재
12: 컨트롤 패널 53: 전원 송신기
102: 전원 수신기

Claims (14)

  1.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세탁물을 처리하기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컨트롤 패널;
    상기 몸체에 제공되고, 무선 전원을 송신하는 전원 송신기; 및
    상기 도어에 제공되고, 상기 무선 전원을 수신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로 전달하는 전원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송신기는,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수신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전원 수신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전원 송신기와,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수신기와 마주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상기 전원 수신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전원 송신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전원 송신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전원 송신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컨트롤 패널과 다수의 정보를 통신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제1저장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
    상기 제1통신부와 다수의 정보를 통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는 제2저장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전원 송신기에서 송신된 전원으로 충전되는 배터리가 제공되고,
    상기 배터리는 상기 컨트롤 패널로 대기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세탁물의 처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되는 세탁물 처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90034687A 2019-03-26 2019-03-26 세탁물 처리 장치 KR102658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687A KR102658732B1 (ko) 2019-03-26 2019-03-26 세탁물 처리 장치
US17/442,740 US12006613B2 (en) 2019-03-26 2019-04-04 Laundry treatment device
PCT/KR2019/003997 WO2020196974A1 (ko) 2019-03-26 2019-04-04 세탁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687A KR102658732B1 (ko) 2019-03-26 2019-03-26 세탁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75A KR20200113875A (ko) 2020-10-07
KR102658732B1 true KR102658732B1 (ko) 2024-04-19

Family

ID=7261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687A KR102658732B1 (ko) 2019-03-26 2019-03-26 세탁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58732B1 (ko)
WO (1) WO20201969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6943A (zh) * 2018-07-03 2020-01-10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气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541B2 (ja) * 1994-09-20 2002-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JPH08215478A (ja) * 1995-02-16 1996-08-27 Hitachi Ltd 電気洗濯機
KR102023005B1 (ko) * 2011-03-24 2019-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327840B1 (ko) * 2017-04-10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0251B1 (ko) * 2017-08-23 2019-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75A (ko) 2020-10-07
US20220220651A1 (en) 2022-07-14
WO2020196974A1 (ko)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893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234309B2 (en)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876199B1 (en) Washing machine
KR102040791B1 (ko) 세탁기
CN113355883A (zh) 衣物处理装置
KR101709480B1 (ko)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10130089A (ko) 세탁장치
US10718080B2 (en)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050183471A1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CN113279218A (zh) 衣物处理装置
KR102658732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US20230020963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60128581A (ko) 세탁기 및 세탁방법
KR101936638B1 (ko) 세탁기
JP2017086481A (ja) 電気機器
US7395682B2 (en) Button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00125071A (ko) 세탁기의 도어 잠금 장치
CN110965261B (zh) 洗衣机
US12006613B2 (en) Laundry treatment device
EP2065506B1 (en) Laundry machine
KR10167220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21007635A (ja) 衣類処理装置
KR20160100613A (ko) 세탁기
KR20200128999A (ko) 세탁물 처리 기기
EP4365349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