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061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0613A
KR20160100613A KR1020150023264A KR20150023264A KR20160100613A KR 20160100613 A KR20160100613 A KR 20160100613A KR 1020150023264 A KR1020150023264 A KR 1020150023264A KR 20150023264 A KR20150023264 A KR 20150023264A KR 20160100613 A KR20160100613 A KR 20160100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valve
fixing device
wat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718B1 (ko
Inventor
오민환
김도행
김영현
한원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718B1/ko
Publication of KR20160100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급수밸브의 고정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와,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수조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밸브와, 급수밸브를 본체에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급수밸브의 외면 중 일부와 접촉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급수밸브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급수밸브의 고정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회전조 및 펄세이터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세탁기에는 세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가 마련되고, 본체의 하부에는 세탁 시 사용된 터브 내의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마련된다.
급수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의 급수를 제어하는 복수의 급수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급수밸브의 고정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급수밸브의 곡면을 지지할 수 있는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높은 강도를 확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의 외면 중 일부와 접촉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상기 급수 밸브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가이드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급수밸브와 면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지지부 또는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와의 조립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및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급수밸브의 외면 중 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급수밸브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가이드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격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지지부 또는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와의 조립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 급수밸브의 고정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급수밸브의 곡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은 강도를 확보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와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 고정장치에 의해 본체에 설치되는 급수밸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 고정장치의 가이드 리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 은 도 1 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 고정장치에 의해 본체에 고정된 급수밸브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도 8 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기도록 마련되는 수조(11)와,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12)와, 회전조(12)를 회전시키기 위해 수조(11)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13)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케이스(10a)와, 케이스(10a)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를 포함한다.
상부케이스(20)의 중심부에는 세탁물이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된 세탁물 투입구(21)가 형성되고, 세탁물 투입구(21)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도어(22)가 설치된다.
또, 상부케이스(20)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조작버튼(20b)과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0c)가 마련되는 조작패널부(20a)가 마련될 수 있다.
수조(11)는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걸리는 복수의 현가장치(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수조(11)의 상부에는 수조(11)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7)가 설치되고, 수조(11)의 하부에는 수조(11)의 세탁수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16)가 설치된다.
회전조(12)는 수조(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통공(12a)을 구비한다. 회전조(12)의 바닥에는 펄세이터(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펄세이터(14)는 회전조(12)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동장치(13)는 회전조(12)와 펄세이터(14)를 회전시키는 클러치(미도시)와, 클러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장치(17)는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는 복수의 급수관(40)과, 복수의 급수관(40)에 각각 연결되는 급수밸브(30)를 포함한다.
급수밸브(30)는 외부의 급수원(미도시)과 세제공급장치(23) 사이를 연결하여 세제공급장치(23)에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세탁기(1)의 동작은 사용자가 조작패널부(20a)를 통해 조작버튼(20b)을 조작하면, 급수밸브(30)를 통해 공급되는 물과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채워지고, 회전조(12) 내부에 세탁물이 채워진 후 구동모터에 의해 펄세이터(14)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한다.
또한, 세탁 후에는 반복적으로 급수와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세탁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통한 세탁물의 헹굼을 수행하고, 헹굼 후에는 배수장치(16)를 통해 세탁수를 배수한다. 배수 동작 후에는 회전조(12)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의 탈수를 수행한다.
한편, 이러한 급수를 위해 마련되는 급수장치(17)는 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에는 급수밸브(30)와 세제공급장치(23)가 위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급수 프레임(25)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급수 프레임(25)은 상부 케이스(20)의 후단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급수 프레임(25)은 케이스(10a)의 상단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세제공급장치(23)는 급수 프레임(25)의 하부에 결합되는 세제함 케이스(23b)와, 세제함 케이스(23b)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세제함(23a)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케이스(23b)에는 후술하게 되는 급수밸브(30)의 유출부(33)에 연결되어 급수밸브(30)로부터 유출되는 물을 공급받는 급수 연결부(23c)가 마련된다. 급수 연결부(23c)는 세제함 케이스(23b)의 상부에 배치되어 급수밸브(3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세제함(23a) 내부의 세제로 낙하되어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세제함(23a)은 각각의 세제가 수납될 수 있도록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급수밸브(3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23)를 경유하여 세제함(23a)의 세제와 함께 수조(11)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세제함 케이스(23b)에는 세제함(23a)을 통과한 세탁수를 토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밸브(30)는 급수 프레임(25)에 급수밸브 고정장치(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밸브(30)는 내부에 유로(미도시)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31)과, 밸브 하우징(31)의 중앙부 일측에 마련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플런저(미도시)가 내장되는 솔레노이드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31)은 물의 유입을 위한 유입부(32)와 유출부(33)가 각각 마련된다. 유입부(32)는 밸브 하우징(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 급수원과 급수관(40)을 통해 연결된다. 유출부(33)는 밸브 하우징(31)의 타측에 배치되어 유입부(32)를 통해 유입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밸브 하우징(3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입부(32)와 유출부(33)는 세탁기 본체(10)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하우징(31)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는 밸브 하우징(31)의 상부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부(36)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솔레노이드부(36)는 전류가 공급되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코어(미도시)와, 자기코어 내부에 배치되어 자기코어에 형성된 자기장에 따라 밸브 하우징(31)의 내부에 마련된 유로를 개폐하는 샤프트(미도시)와, 자기코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35)를 포함한다.
급수밸브(30)는 솔레노이드부(36)를 밸브 하우징(31)에 지지시키기 위한 지지 프레임(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에는 자기코어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전원공급단자(35a)가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원공급단자(35a)는 코일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수밸브(30)는 외부의 온수 공급관(41)에 연결되는 제1급수밸브(30a)와, 외부의 냉수 공급관(42)에 연결되는 제2급수밸브(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급수밸브(30a)는 밸브 하우징(31a)에 형성되는 하나의 유입부(32a)와 하나의 배출부(33a)를 가지며, 제2급수밸브(30b)는 밸브 하우징(31)에 형성되는 하나의 유입부(32b)와 두 개의 배출부(33b,33c)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급수밸브(30b)는 냉수 공급관(42)을 통해 급수되는 물이 두 개의 배출부(33b,33c)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유로의 개폐 및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급수 프레임(25)은 그 후면 상단에 형성되는 급수밸브 설치부(27)와, 급수밸브 고정장치(100)가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설치면(25a)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프레임(25)은 상부케이스(20)의 후방에 마련된다. 급수 프레임(25)은 조작패널부(20a)의 하부에 배치되며, 조작패널부(20a)에 의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급수밸브 설치부(27)는 제1급수밸브(30a)와 제2급수밸브(30b)가 설치될 수 있도록 급수 프레임(25)의 후면 상단부에 마련된다. 급수밸브 설치부(27)는 제1급수밸브(30a)가 설치되는 제1급수밸브 설치부(27a)와, 제2급수밸브(30b)가 설치되는 제2급수밸브 설치부(27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급수밸브 설치부(27)는 급수밸브(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원형의 홈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급수밸브 설치부(27)의 형상은 급수밸브(30)의 밸브 하우징(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급수 프레임(25)의 양측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설치면(25a)이 마련될 수 있다. 설치면(25a)은 그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설치면(25a)의 중심에는 급수밸브 고정장치(100)가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밸브(30)는 급수밸브 고정장치(100)에 의해 급수 프레임(25)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급수밸브 고정장치(100)는 급수밸브(3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120)와, 급수밸브(30)를 급수 프레임(25)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110)와, 지지부(120)와 고정부(1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0)는 급수밸브(3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급수밸브(30)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의 양 단부에는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30)가 마련된다. 연결부(130)는 급수밸브(30)의 수직방향으로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20)와 연결부(1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S)는 급수밸브(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수용부(S)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지지부(120)로부터 연장되는 격벽(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S)는 격벽(140)을 중심으로 격벽(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수용부(S1)와, 격벽(14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수용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S1)에는 제1급수밸브(30a)가 수용되고, 제2수용부(S2)에는 제2급수밸브(30b)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1수용부(S1)의 제1가로길이(l1)는 제1급수밸브(30a)의 제1폭(t1)에 대응되며, 제2수용부(S2)의 제2가로길이(l2)는 제2급수밸브(30b)의 제2폭(t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격벽(140)은 한 개가 형성되어 급수밸브 고정장치(100)가 두 개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격벽은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밸브 고정장치(100)의 지지부(120)와 연결부(130)와 고정부(110), 그리고 격벽(140)은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복수로 형성되는 격벽(140) 역시 급수밸브 고정장치(100)와 함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10)는 급수밸브 고정장치(100)를 급수 프레임(25)의 설치면(25a)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130)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다.
고정부(110)는 연결부(130)의 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설치면(25a)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0)에는 설치면(25a)의 고정홀(26)에 대응되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고정부(110)의 관통홀(111)과 설치면(25a)의 고정홀(26)은 나사 등 별도의 고정부재(200)가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급수밸브 고정장치(100)의 고정부(110)와 설치면(25a)의 고정홀(26)이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홀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고정부와 고정홀은 돌기 또는 후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부(110)의 저면에는 급수 프레임(25)의 설치면(25a)과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이드 리브(17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170)는 고정부(110)의 저면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리브(170)는 설치면(25a)의 모서리(25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170)는 고정부(110)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171)와, 제1가이드(171)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171)와 제2가이드(172)의 접점에는 급수 프레임(25)의 설치면(25a) 상단 모서리가 결합됨으로써 급수밸브 고정장치(100)와 급수 프레임(25) 사이의 조립을 원활하게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급수밸브 고정장치(100)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150)는 지지부(120)와 연결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50)는 지지부(120)의 테두리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리브(150)는 연결부(130)의 테두리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밸브 고정장치(100)는 급수밸브(30)의 외면 중 일부와 면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접촉 가이드(1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접촉 가이드(160)는 급수밸브(30)의 밸브 하우징(31)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밸브 하우징(31)의 외면에 면 접촉할 수 있어 급수밸브(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접촉 가이드(160)는 연결부(130)의 내면(130a)에 형성될 수 있다. 접촉 가이드(16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161a,161b)를 포함한다. 접촉 가이드(160)는 제1가이드돌기(161a)와 제2가이드돌기(161b)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돌기(161a)와 제2가이드돌기(161b)는 그 중심 방향을 향해 곡률을 갖는 곡면을 형성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61a)와 제2가이드돌기(161b)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은 급수밸브(30)의 외측 곡률(R)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 가이드(160)의 제1가이드돌기(161a)와 제2가이드돌기(161b)에 의해 형성되는 곡률은 급수밸브(30)의 밸브 하우징(31)의 곡률(R)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촉 가이드(160)는 수용부(S)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130)와 격벽(14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접촉 가이드(160)는 연결부(130)의 내면(130a)과 격벽(140)의 양측면(140a,140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격벽(140)은 제1수용부(S1)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격벽(141)과, 제1격벽(141)으로부 일정 간격 이격되며 제2수용부(S2)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격벽(142)을 포함한다. 제1격벽(141)과 제2격벽(142)의 사이는 연결벽(14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벽(143)은 격벽(1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격벽(140)은 그 단면이 대략 'H'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격벽(140)의 형상은 제1수용부(S1)와 제2수용부(S2)를 구획할 수 있으며, 급수밸브(30)와 면 접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촉 가이드(160)가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 : 본체
11 : 수조 12 : 회전조
13 : 구동장치 14 : 펄세이터
15 : 현가장치 20 : 상부 케이스
20a : 조작패널부 21 : 세탁물 투입구
22 : 도어 23 : 세제공급장치
23a : 세제케이스 23b : 세제함
25 : 급수 프레임 25a : 설치면
27 : 설치부 30 : 급수밸브
30a : 제1급수밸브 30b : 제2급수밸브
31a,31b,31c : 밸브 하우징 32a,32b : 유입부
33a,33b,33c : 유출부 40 : 급수관
41 : 온수 공급관 42 : 냉수 공급관
100 : 급수밸브 고정장치 110 : 고정부
120 : 지지부 130 : 연결부
140 : 격벽 150 : 보강 리브
160 : 접촉 가이드 161a : 제1가이드돌기
161b : 제2가이드돌기 162 : 곡면

Claims (22)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수조;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급수밸브;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설치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의 외면 중 일부와 접촉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상기 급수 밸브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가이드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급수밸브와 면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지지부 또는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와의 조립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및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급수밸브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급수밸브의 외면 중 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급수밸브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촉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급수밸브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부와,
    상기 급수밸브를 상기 본체에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가이드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가이드는 상기 격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지지부 또는 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밸브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와의 조립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는 상기 고정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50023264A 2015-02-16 2015-02-16 세탁기 KR102396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264A KR102396718B1 (ko) 2015-02-16 2015-02-16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264A KR102396718B1 (ko) 2015-02-16 2015-02-16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613A true KR20160100613A (ko) 2016-08-24
KR102396718B1 KR102396718B1 (ko) 2022-05-11

Family

ID=5688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264A KR102396718B1 (ko) 2015-02-16 2015-02-16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67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947B1 (ko) *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CN111350057A (zh) * 2018-12-20 2020-06-3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72U (ko) * 1996-08-20 1998-05-25 추호석 중장비용 유압호스 고정장치
KR19990020484U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세탁기용 급수밸브의 고정구조
KR101105865B1 (ko) * 2011-07-26 2012-01-16 이노화학 주식회사 배관 연결 받침대
KR20140002952U (ko) * 2012-11-09 2014-05-20 (주)수맥이엔씨 누수 방지용 볼트 결합식 핏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72U (ko) * 1996-08-20 1998-05-25 추호석 중장비용 유압호스 고정장치
KR19990020484U (ko) * 1997-11-26 1999-06-15 전주범 세탁기용 급수밸브의 고정구조
KR101105865B1 (ko) * 2011-07-26 2012-01-16 이노화학 주식회사 배관 연결 받침대
KR20140002952U (ko) * 2012-11-09 2014-05-20 (주)수맥이엔씨 누수 방지용 볼트 결합식 핏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0057A (zh) * 2018-12-20 2020-06-3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KR102049947B1 (ko) * 2019-05-22 2019-11-28 정호민 살균 기능이 있는 가정용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718B1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819B1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856593B2 (en) Washing machine
US10465325B2 (en) Wall-mounted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1257703B1 (ko) 드럼세탁기
US7481082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20070059425A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US20110041567A1 (en) Washing machine
US10669664B2 (en)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68222B1 (ko) 세탁기
KR20050100554A (ko) 세탁기의 급수 제어 방법
KR20190027454A (ko) 세탁기
KR20160100613A (ko) 세탁기
US7254966B2 (en) Washing machine
KR20180136141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JP6943604B2 (ja) 洗濯機
JP2015217178A (ja) 洗濯機
US11939717B2 (en) Hinge assembly for an appliance
KR20180015872A (ko) 세탁기
US11352732B2 (en) Washing machine
KR20040046969A (ko) 세탁기의 세제통 조립 구조
KR102658732B1 (ko) 세탁물 처리 장치
KR20180074460A (ko) 세탁기
JP6223274B2 (ja) 洗濯機
KR20170084455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