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226A -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226A
KR20100124226A KR1020100103029A KR20100103029A KR20100124226A KR 20100124226 A KR20100124226 A KR 20100124226A KR 1020100103029 A KR1020100103029 A KR 1020100103029A KR 20100103029 A KR20100103029 A KR 20100103029A KR 20100124226 A KR20100124226 A KR 20100124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osit
balance
account
periodic
sub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0454B1 (ko
Inventor
서경옥
강창성
Original Assignee
서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옥 filed Critical 서경옥
Publication of KR20100124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시스템의 통장관리 서버는 수신된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요구불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플러스 통장의 잔액을 상기 요구불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특정일에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대응된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 중 설정 금액을 가입금으로 하여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로 이체시켜 관리하는 단계,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 생성에 대응하여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일부터 만기일까지 매일마다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금보다 적어지는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금보다 제1 금액만큼 적어지는 날마다 상기 마이너스 대출에서 상기 제1 금액만큼을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보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Method for time deposit bankbook service based on balance of account}
본 발명은 금융상품 중 정기예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요구불통장의 잔액 및 대출금을 기반으로 정기예금의 만기를 보장하는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권(예; 은행 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혜택을 주는 요구불 예금통장(일정조건의 금액에 고금리 제공, 수수료 면제 등) 및 정기예금을 금융상품으로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다.
요구불예금은 입출금이 자유로운 관계로 고금리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정기예금은 가입 조건이 있고 가입 조건에 따라 가입금액과 금리가 결정되는데, 기본적으로 계약한 만기일까지 가입 금액을 찾지 않아야 계약한 금리를 보장받는다. 즉, 가입자가 만기전에 정기예금을 해지하게 되면, 계약 불이행에 따라 낮은 금리를 받거나 금리를 받지 못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정기예금의 해지는 정기예금에 가입한 이후에 일정금액의 자금을 필요로 하는 부득이한 경우가 발생되는 경우에 주로 발생된다. 특히 정기예금에 가입한 후 급히 단기 자금이 꼭 필요한 경우에 고객은 어쩔 수 없이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있다.
물론, 금융권에서는 정기예금을 담보로 하는 대출상품이 있으며, 고객은 이러한 정기예금을 담보로 하는 대출상품을 이용하여 가입된 정기예금을 해지하지 않고 운영하기도 한다.
그러나 정기예금을 담보로 하는 대출상품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창구를 방문하거나 인터넷으로 대출상품을 신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대출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정기예금 이자보다 정기예금을 담보로 하는 대출상품의 이자가 더 많아 정기예금 만기시에 오히려 고객이 추가금액을 부담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기예금은 가입자가 제한적이며, 누구나가 쉽게 가입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과제는 누구나가 쉽게 정기예금에 가입할 수 있게 하는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잔액을 기반으로 가입된 정기예금에 대하여 만기일까지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이 운영방법은 (a) 금융시스템의 통장관리 서버는 수신된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요구불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플러스 통장의 잔액을 상기 요구불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특정일에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대응된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 중 설정 금액을 가입금으로 하여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로 이체시켜 관리하는 단계, (c)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 생성에 대응하여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일부터 만기일까지 매일마다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금보다 적어지는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금보다 제1 금액만큼 적어지는 날마다 상기 마이너스 대출에서 상기 제1 금액만큼을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보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의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일의 상기 요구불예금 잔액과 설정된 가입제한금액을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된 가입제한금액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 상기 정기예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이너스 대출은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 또는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 중 하나에 부여되어 관리되거나, 별도의 마이너스 대출 계좌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일은 상기 플러스 통장의 개설일인 경우에,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는 처음에 0원보다 크고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g) 상기 통장 개설일 이후의 제1 설정일에 상기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를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특정일은 금융사 또는 고객이 지정한 설정일이고, 이때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는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은 고객 또는 금융사가 지정한 금액이거나, 상기 요구불예금에 대한 N 개월의 평균잔액으로 결정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제공한다. 이 운영방법은 (a) 금융시스템의 통장관리 서버는 수신된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요구불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플러스 통장의 잔액을 상기 요구불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제1 특정일에 상기 요구불예금의 N 개월 평균잔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평균잔액을 설정단위금액으로 나누어지는 최대값인 K(자연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K개의 개별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을 상기 K개의 개별정기예금의 계좌에 각각 이체시켜 관리하는 단계, (d)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K개의 개별정기예금의 계좌 생성에 대응하여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제2 특정일에 상기 요구불예금의 N 개월 평균잔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평균잔액을 설정단위금액으로 나누어지는 최대값인 P(자연수)를 파악하는 단계, (f)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P가 상기 K보다 크면 차이만큼 상기 개별정기예금을 생성하고, 상기 P가 상기 K보다 작으면 차이만큼 상기 개별정기예금을 해지하는 단계, (g)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f) 단계의 결과로 남은 개별정기예금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를 조정하는 단계, (h)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매일마다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운영중인 상기 개별정기예금들의 총 가입금보다 적어지는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i)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총 가입금보다 제2 금액만큼 적어지는 날마다 상기 마이너스 대출에서 상기 제2 금액만큼을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보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f) 단계에서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P 또는 상기 K가 '0'이더라도 적어도 하나의 개별정기예금을 생성하고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하다.
상기 (b) 단계의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일의 상기 요구불예금 잔액과 설정된 가입제한금액을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된 가입제한금액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 상기 개별정기예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너스 대출은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 또는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 중 하나에 부여되어 관리되거나, 별도의 마이너스 대출 계좌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 및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는 운영중인 개별정기예금의 총 가입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플러스 통장을 자연스럽게 이용하는 것만으로 정기예금에 가입되고 만기가 보장되어 높은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사는 부실 가능성이 없는 마이너스 대출로 대출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금융상품을 제공함으로써 타 금융사와의 고객 유치 경쟁에서 우월한 위치에 설 수 있으며, 이러한 장점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대한 기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가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입일 조건에 따른 정기예금 가입시에 적용되는 대출금 운영 방법을 보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에서 각 구성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관련된 정기예금, 요구불예금 및 마이너스 대출에 대한 원장관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대한 제1 타입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대한 제2 타입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대한 기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20)의 요청에 따라 플러스 통장(10)을 개설하는 것으로 서비스의 제공을 시작한다.
플러스 통장(10)은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요구불 통장이며, 3개의 계정 과목 즉, 요구불예금(d1)과 정기예금(d2) 및 마이너스 대출(d3) 과목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스 통장(10)의 잔액을 항상 요구불 예금(d1)(이하에서 기재한 요구불예금과 동일함)으로 관리하면서, 정기예금 가입 조건을 확인하고 잔액(또는 평잔)이 정기예금 가입 조건을 만족하면 일정 잔액(또는 설정 잔액)을 정기예금 가입금으로 하여 정기예금(d2)에 가입시켜 관리한다. 정기예금 가입금은 은행이 별도로 설정한 금액 범위 중에서 고객이 정한 금액이거나, 은행에서 고정적으로 설정한 금액일 수 있으며, 플러스 통장 개설시에 가입금을 결정하지 않은 경우에 플러스 통장(즉, 요구불예금)의 N개월 평균 잔액 또는 N개월 평균 잔액을 기반으로 파악되는 금액이다. 이때 N 개월 평균 잔액을 기반으로 파악되는 금액은 평균 잔액이 357만원인 경우에 350만원 또는 300만원 등과 같이 50만원 단위 또는 100만원 단위의 금액이다.
여기서 플러스 통장(10)의 잔액을 항상 요구불예금(d1)으로 관리하는다는 의미는 일정 잔액이 정기예금(d2)에 가입되어 있어도, 고객의 인출 요구가 있는 경우에 정기예금(d2)으로 관리중인 금액까지도 인출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정기예금(d2)으로 관리중인 금액까지도 인출할 수 있게 되면, 정기예금(d2)은 가입 조건(일정 금액을 만기시까지 유지하는 조건 등)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어 해지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요구불 예금(d1)의 잔액(즉, 통장 잔액)의 부족에 따른 정기예금(d2)의 해지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정기예금(d2)의 가입시에 플러스 통장(10)의 잔액 중 가입금을 정기예금(d2)의 계좌로 이체시켜 요구불 통장(d1)의 계좌와 분리시킨다.
그런데, 플러스 통장(10)의 잔액 중 정기예금의 가입금을 정기예금(d2)의 계좌로 옮기면, 정기예금(d2)에 옮겨진 요구불 통장(10)의 잔액(가입금)은 고객이 자유로이 인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입금한 금액을 자유로이 찾을 수 있게 하는 요구불 통장(10)의 기능이 상실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정기예금(d2)의 가입과 동시에 정기예금(d2)에 대응하는 마이너스 대출(d3)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한 마이너스 대출(d3)을 요구불 예금(d1)의 계좌에 부여하여 해당 플러스 통장을 마이너스 대출 통장으로 만든다. 이때 마이너스 대출(d3)의 대출금은 정기예금(d2)의 계좌로 옮겨진 요구불 통장(10)의 잔액인 정기예금(d2)의 가입금이며, 이 금액은 요구불 예금(d1)의 계좌에서 관리된다.
따라서, 플러스 통장(10)에서 정기예금(d2)으로 옮겨진 금액만큼이 마이너스 대출금으로 충당되었기 때문에, 실제 고객의 입장에서는 잔액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인식한다.
요구불 예금(d1)의 잔액(플러스 통장의 잔액)은 마이너스 대출금 + (고객의 입금 및 출금 합산금(이하 "일반 잔액"이라 함))으로 표시되며, 잔액 인출시에 일반 잔액이 먼저 사용되고 일반 잔액이 없으면 마이너스 대출금이 사용된다. 마이너스 대출금이 사용되면 즉시 마이너스 이자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평균잔액(또는 평잔)은 일반 잔액에 대한 평균잔액이다.
결국, 요구불 예금(d1)의 잔액으로 생성된 정기예금(d2)은 요구불 예금(d1)의 잔액 변동에 무관하게 만기일까지 유지되어, 만기 금리를 보장받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요구불 예금(d1)의 잔액에 따른 정기예금 가입 조건 및 가입조건의 일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가입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기예금(d2)의 가입 조건은 가입일을 기준으로 하는 2가지의 가입일 조건과, 가입금을 기준으로 하는 2가지의 가입금 조건을 포함한다.
2가지 가입일 조건 중 제1 가입일 조건은 기본적인 정기예금(d2) 가입일 조건으로, 통장 개설일 후 설정 가입기준일에 요구불예금(d1)의 일정 잔액을 정기예금 가입금으로 하여 정기예금(d2)에 가입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가입일 조건은 고객이 플러스 통장(10)을 개설하는 즉시 통장 개설일에 요구불예금(d1)의 일정 잔액을 정기예금 가입금으로 하여 정기예금(d2)에 가입시키는 것이다.
제1 가입일 조건에서 설정 가입기준일은 요구불 예금(d1)에 대하여 N 개월의 평균잔액(평잔)을 산출할 수 있는 최소일이거나, 요구불 예금(d1)에 대하여 N 개월의 평균잔액(평잔)을 산출할 수 있는 매월 초이다. 예컨대, 통장개설일이 1월 5일이고 N 개월이 3개월이면, 최소 정기예금 가입가능 확인일은 4월 5일이이다. 여기서, 정기예금 가입기준일을 매월 초로 설정된 경우에 정기예금 가입기준일은 4월 5일이 아니라 5월 1일로 변경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정기예금(d2)의 가입기준일은 고객이 설정한 날짜로 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객이 설정한 날짜가 정기예금 가입가능 확인일보다 이전이면 제2 가입조건의 정기예금 운영을 하고, 정기예금 가입가능 확인일보다 이후이면 제1 가입조건의 정기예금 운영을 한다.
다음으로, 2가지 가입금 조건 중 제1 가입금 조건은 요구불예금의 잔액에 관계없이 상기 제1 및 제2 가입일 조건 중 설정된 가입일 조건에 따라 통장 잔액 중 일정 잔액을 설정 가입금으로 정기예금에 가입하는 것이다. 여기서, 설정 정기예금 가입금은 은행이 별도로 설정한 금액 범위 중에서 고객이 정한 금액이거나, 은행에서 고정적으로 설정한 금액일 수 있으며, 플러스 통장 개설시에 가입금을 결정하지 않은 경우에 플러스 통장(즉, 요구불예금)의 N개월 평균 잔액이다.
그리고 제2 가입금 조건은 가입 제한 금액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입일 조건 중 설정된 가입일에서 평균 잔액 또는 통장 잔액이 가입제한금액 이상인 경우에 통장 잔액 중 일정 잔액을 설정 정기예금 가입금으로 정기예금(d2)에 가입하는 것이다.
이때, 가입제한금액은 금융사에서 결정하거나 고객이 결정할 수 있으며, 고객의 통장 재무 상태나 이용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금액이며, 경우에 따라 정기예금 가입금일 수 있다. 이러한 가입제한금액은 고객의 통장 재무 상태가 나쁘거나 실 사용하는 통장으로 이용하지 않는 경우이면, 본 발명에 따른 정기예금 운영에 따르면 마이너스 대출 이자가 정기예금 만기 이자보다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제2 가입금 조건의 경우에, 해당 가입일에 제2 가입금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정기예금에 가입되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에 다음 가입일은 다음달 초이거나, 가입일로부터 설정된 날짜범위(예; 10일, 20일, 30일 등)가 경과한 직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입일 조건(플러스 통장 개설과 동시에 정기예금에 가입)에 대응한 대출금 운영 방법을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가입일 조건에 따른 정기예금 가입시에 적용되는 대출금 운영 방법을 보인 그래프이다.
제2 가입일 조건은 제1 가입일 조건과 달리, 정기예금(d2)의 가입 기간이 만기일까지이고 마이너스 대출(d3)의 이용 기간 또한 정기예금(d2)의 만기일로 동일하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정기예금(d2)의 금리보다 마이너스 대출(d3)의 금리보다 낮기 때문에 고객이 만기일까지 통장 잔액을 0원으로 유지하게 되면 정기예금 이자와 마이너스 대출 이자를 합산한 최종 이자가 마이너스가 되어 고객이 최종 이자만큼을 금융사에 제공해야 하는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정기예금(d2) 가입시에 정기예금(d2) 금리와 마이너스 대출(d3)의 금리의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마이너스 이자를 보상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단으로서 가입제한금액을 정기예금(d2) 가입조건 및 플러스 통장의 인출 제한 조건으로 설정하여, 통장 잔액이 가입제한 금액 이상에서만 정기예금에 가입되고, 또한 금액의 인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입제한금액은 정기예금(d2) 금리와 마이너스 대출(d3)의 금리의 차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마이너스 이자보다 크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예컨대, 정기예금(d2)의 금리가 월 8%이고, 마이너스 대출의 이자율이 월 10%이며 만기가 6개월이고 가입금이 100만원이면, 한달에는 최대 2만원의 이자 손실이 발생하고, 6개월 동안에는 최대 12만원의 이자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 가입제한금액은 12만원 이상으로 설정된다.
다른 수단으로서, 제2 가입일 조건에 대응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정기예금(d2) 가입시에 마이너스 대출금을 정기예금(d2)의 가입금보다 적게 약정하고, 추후 미지급된 이자가 발생하는 경우(즉, 정기예금 이자보다 마이너스 대출 이자보다 많은 경우)에 설정개월 후에 자동으로 정기예금(d2)의 가입금 전액으로 대출금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정기예금 가입일로부터 설정개월까지 마이너스 대출한도를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적게 하면, 최악의 경우 즉, 고객이 마이너스 대출한도를 다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 마이너스 대출금을 정기예금 가입금과 동일하게 하는 것에 비해 마이너스 이자를 적게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가입일로부터 설정개월까지 마이너스 대출한도를 적정하게 조절하면, 이 구간 동안의 정기예금 이자가 마이너스 대출금의 이자보다 많아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입일로부터 설정개월까지 마이너스 대출한도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설정개월부터 만기일까지 통장 잔액이 0원인 경우에 발생하는 이자 손실(정기예금 이자와 마이너스 대출 이자에 따른 이자 손실)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3을 참조로 한 대출금 운영 방법은 제1 가입일 조건에서 통장 잔액이 0원 또는 소액으로 가입되어 만기일까지 유지함에 따라 이자 손실이 발생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수행하는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은 통상의 은행의 금융 레거시(legacy)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금융 레거시 시스템은 기간계 시스템, 정보계 시스템, 계정계 시스템, 뱅킹 시스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은 계정계 시스템 내에 본 발명을 위한 기능 또는 본 발명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또는 장치)가 추가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은 도 4를 참조로 하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시스템은 통장관리 서버(100), 전자문서 서버(200),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300), 전자문서 DB(400)와, 뱅킹 서버(500)를 포함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통장관리 서버(100)는 금융 레거시 시스템의 계정계 시스템 내에 위치하며, 플러스 통장(10)의 개설 및 운영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요구불 계좌(d1)의 개설 및 운영, 적어도 하나의 정기예금(d2)의 개설 및 운영 및 마이너스 대출(d3)의 생성 및 운영을 담당한다.
이러한 통장관리 서버(100)는 계정계 시스템 내에 금융상품의 계좌를 생성하는 통상의 계좌생성서버(미도시) 내에 구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금융 서비스 상품을 위해 별도의 서버(또는 장치)로 구축될 수 있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영업점의 창구 단말(32)과 금융망(예; 금융 공통망 또는 로컬망 등)을 통해 연결되며, 다른 구성(200 내지 500)과 해당 은행망(즉, 로컬망)을 통해 연결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조건에 부합하면 요구불 예금(d1)의 계좌에 대응하여 정기예금(d2)의 계좌 및 마이너스 대출(d3)을 생성하며, 전자문서 서버(200)와 DBMS(300)와 연계하여 생성한 각 계좌(d1 내지 d3)에 대한 전자문서 및 원장(a, c, b1 등)이 생성되게 한다.
그리고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d2)의 계좌 생성과 더불어 요구불 통장(d1)의 일정 잔액을 상기 생성한 정기예금(d2)의 계좌로 관리한다. 즉, 일정 잔액(즉, 정기예금 가입금)을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 또한 통장관리 서버(100)는 마이너스 대출을 요구불예금 계좌에 부여하여 관리하며, 요구불예금(d1)의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액보다 적은 경우에 마이너스 대출금에서 부족 금액만큼을 보충한다.
전자문서 서버(200), 금융시스템(DBMS(300) 포함), 전자문서 DB(400)와 뱅킹 서버(500)는 금융 거래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이다. 여기서 금융시스템은 금융 레거시 시스템 중 전자문서 서버(200), 전자문서 DB(400)와 뱅킹 서버(500)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서버) 및 시스템을 총칭한 것이다.
전자문서 서버(200)와 전자문서 DB(500)는 고객이 은행의 금융상품 중 어떠한 금융상품에 가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문서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문서 서버(200)는 통장관리 서버(100)로부터 플러스 통장에 대한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전자문서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문서 DB(400)는 전자문서 서버(400)에서 생성한 전자문서 정보를 저장한다.
뱅킹 서버(500)는 인터넷을 통해 고객 단말(31)과 연결되어 있다. 뱅킹 서버(500)는 금융 시스템의 DBMS(300)와 연계하여 고객 단말(31)과의 접속으로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금융 서비스(예; 조회, 이체 등)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DBMS(300)는 통장관리 서버(100)로부터 요구불예금, 정기예금 및 마이너스 대출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신하여 원장을 생성/저장하고, 플러스 통장 및 플러스 통장을 개설한 고객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플러스 통장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금융 거래의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DBMS(300)에 저장된 정보로서 특정 고객이 플러스 통장을 개설하였는지, 플러스 통장을 통한 입출금 내역, 정기예금의 가입과 해지 여부, 정기예금의 가입 기간, 정기예금의 이자, 마이너스 대출금의 이용 내역 및 이자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도 3에 도시된 각 서버(100 내지 5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각 구성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로컬 인터페이스부(101), I/O 인터페이스부(102), 이미지 수신부(103), 전자문서 전송부(104), 요구불예금 처리부(105), 정기예금 처리부(106), 잔액 파악부(107), 정기예금 운영부(108)와 이자 제공부(109)를 포함한다.
로컬 인터페이스부(101)는 해당 은행망(즉, 로컬망)을 통해 고객 단말(31) 창구 단말(32)과 인터페이스되게 하며, 창구 단말(32)에게 본 발명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창구 단말(32)로부터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I/O 인터페이스부(10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각종 서버와의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로컬 인터페이스부(101) 및 I/O 인터페이스부(102)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접속하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I/O 인터페이스부(102)는 통장관리 서버(100)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구성(200 내지 500 등) 모두에 위치한다.
이미지 수신부(103)는 로컬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고객에 대한 플러스 통장 가입신청서의 이미지 컨텐츠(예; 이미지 파일)를 수신한다.
이때 플러스 통장 가입신청서에는 고객의 개인신상정보 등의 고객정보, 해당 은행에서 제공하는 플러스 통장의 가입을 알리는 가입정보, 플러스 통장의 정기예금에 대한 운영조건 정보가 기재된다. 정기예금 운영조건 정보는 통장 잔액에 따라 자동으로 정기예금이 가입 또는 해지되는 약관 정보와, 정기예금의 가입금 정보, 요구불예금의 금리와 정기예금의 금리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정기예금 가입금은 은행이 별도로 설정한 금액 범위 중에서 고객이 정한 금액이거나, 은행에서 고정적으로 설정한 금액일 수 있으며, 플러스 통장 개설시에 가입금을 결정하지 않은 경우에 플러스 통장(즉, 요구불예금)의 N개월 평균 잔액이다. 정기예금의 금리는 고객이 설정 금액을 결정하는 경우에 설정 금액 및 해당 금융기관 거래실적에 따라 우대금리를 추가로 지급하는 등 차이가 날 수 있다.
전자문서 전송부(104)는 플러스 통장 가입서의 이미지 컨텐츠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만들어 전자문서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문서 전송부(104)는 플러스 통장 가입서의 이미지 컨텐츠에 금융상품 가입신청정보에 포함된 고객정보, 플러스 통장 가입정보, 고객예금정보, 고객계좌정보(즉, 요구불예금의 계좌정보), 금융상품 운영조건 정보를 더하여 이미지 파일의 금융상품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이때 이미지 파일은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HWP/DOC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파일,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파일 등이다.
요구불예금 처리부(105)는 로컬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창구 단말(32)로부터 플러스 통장의 개설을 요청을 수신하면 플러스 통장 가입신청서에 포함된 고객(20)의 개인정보에 대응하여 플러스 통장의 요구불예금 계좌를 생성한다. 그리고 요구불예금 처리부(105)는 금융 시스템과 연계하여 고객(20)의 개인정보에 대응하여 요구불예금에 대한 원장을 생성하고 DBMS(300)에 저장한다. 또한 요구불예금 처리부(105)는 요구불예금 계좌를 생성하면 전자문서 전송부(104)에 요구불예금 계좌의 정보를 제공하여 전자문서에 포함되게 한다.
잔액 파악부(107)는 DBMS(300)에 저장된 각 플러스 통장의 요구불예금에 대응하는 잔액(즉, 플러스 통장의 잔액)을 매일(즉, 현재일)마다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잔액 파악부(107)는 현재일의 은행 영업시간 동안에 통장 잔액을 파악하며, 휴일인 경우에 자정을 기준으로 잔액을 파악한다. 은행 영업시간의 경우에 통장 잔액은 플러스 통장의 입/출금이 있는 경우에 잔액을 파악하게 되면, 잔액의 변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잔액 파악부(107)는 파악한 잔액과 정기예금 운영조건 정보에 포함된 정기예금의 가입금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정기예금 운영부(108)에 제공한다. 이때 정기예금 운영부(108)에 제공하는 결과는 일 예로, 요구불 예금의 계좌 정보와 잔액 정보를 결과 정보로 제공하거나 고객 정보와 잔액 정보(예; 가입금액 이상 또는 가입금액 미만)를 결과 정보로 제공한다.
정기예금 운영부(108)는 잔액 파악부(107)로부터 각 플러스 통장(즉, 요구불 계좌)에 대한 잔액 정보를 수신하고, DBMS(300)와 연계하여 해당 플러스 통장에 대응하여 정기예금을 가입할 것인지 또는 마이너스 대출을 이용할 것인지를 파악한다.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정기예금 운영부(108)와 연동하며, 정기예금 운영부(108)로부터 정기예금 가입 이벤트를 수신하면, 고객(20)의 개인정보(또는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대응하여 정기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금융 시스템과 연계하여 고객(20)의 개인정보에 대응하여 정기예금에 대한 원장을 생성하고 DBMS(300)에 저장한다. 이렇게 정기예금 계좌를 생성하면,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DBMS(300)에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요구불계좌에서 새로 생성한 정기예금 계좌로 전환하여 관리됨을 알리는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정기예금 계좌의 생성과 동시에,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여 요구불계좌에 부여한다.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정기예금 운영부(108)로부터 마이너스 대출 이벤트를 수신하면, 마이너스 대출금 및 이의 이자를 산출하고, 마이너스 대출의 원장에 해당 마이너스 대출금 및 이자를 기록한다.
이자 제공부(109)는 월말이나 설정된 특정일을 주기로 DBMS(300)에 접속하여, 각 플러스 통장에 대응하여 정기예금의 가입 기간 또는/및 요구불예금의 가입 기간을 파악하고, 해당 정기예금, 저축 예금 및 마이너스 대출에 대응하여 결정된 금리를 이용하여 한달간 이자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자 제공 이력으로 해당 플러스 통장의 거래 내역에 기록하여 통장 잔액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전자문서 서버(2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문서 서버(200)는 금융 레거시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로서, 가입자가 가입한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정보를 전자문서로 하여 금융 레거시 시스템에서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전자문서 서버(200)는 전자문서 수신부(210), 정보 생성부(220)와 전자문서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전자문서 수신부(210)는 통장관리 서버(100)의 전자문서 전송부(103)에서 제공한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금융상품 전자문서를 수신한다.
정보 생성부(220)는 전자문서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금융상품 전자문서에 할당할 소정의 전자문서 고유번호(또는 고유정보)와, 전자문서 수신부(210)를 통해 금융상품 전자문서가 수신된 날짜와 시간(또는 상기 금융상품 전자문서가 저장된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전자문서 보관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전자문서 저장부(230)는 정보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전자문서 고유정보와 전자문서 관리 정보를 전자문서 DB(400)에 저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관련된 정기예금, 요구불예금 및 마이너스 대출에 대한 원장관리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객의 플러스 통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원장정보는 DBMS(300)의 원장 DB에 저장된다. 플러스 통장의 원장정보는 소정의 고객원장과 요구불예금 원장(a)과 적어도 하나의 정기예금 원장(b1 또는 b1, b2 등) 및 마이너스 대출 원장(c)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플러스 통장에 대응하여 하나의 요구불예금 계좌 및 원장이 생성되지만, 하나의 요구불예금 계좌(즉, 하나의 요구불예금 계좌)에 대응하는 정기예금 계좌 및 원장은 제1 타입으로는 하나가 형성되고(도 7 참조), 제2 타입으로는 복수개가 생성될 수 있다(도 10 참조). 그리고 하나의 요구불예금 계좌에 대응하여 마이너스 대출 원장이 생성된다.
정기예금 계좌 및 원장 그리고, 마이너스 대출 원장은 해당 고객식별정보와 해당 요구불예금 계좌 및 원장과 대응하여 관리된다.
고객원장은 고객식별정보(예; CIF(Customer Information File) 번호 등), 국가코드, 은행 담당자 ID, 고객분류, 고객이름, 고객주소, 지역분류코드, 전화번호, 분류코드, 유효기일, 상태본점정보, 결산일, 현금가용일, 성, 이름, 주민등록번호, 회사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요구불예금 원장(a)은 고객원장(또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으며, 고객 정보, 요구불예금 계좌번호, 운영정보, 가입정보, 고객 예금정보, 운영조건 정보,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고객 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예컨대,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고객의 회원정보(예컨대, 고객이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가입함에 의해 상기 고객에 대응한 고객원장에 구비된 회원ID 정보, 또는 CIF(Customer Information File) 번호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가입정보는 플러스 통장의 가입정보로서, 플러스 통장에 대한 고객 가입동의 정보와, 금융상품 운영사 정보(예; 하나은행, 우리 은행)를 포함한다.
요구불예금 계좌정보는 플러스 통장에 대응된 요구불 예금을 관리 및 운영하는 계좌 정보로서, 기본적으로 소정의 계좌번호를 포함한다.
고객 예금정보는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연동하여 관리되는 플러스 통장의 잔액 정보, 요구불예금 가입일자, 요구불예금 가입기간, 요구불예금에 대응하는 이자 정보를 포함한다.
운영조건 정보는 플러스 통장의 운영조건 정보에 해당하며, 요구불 예금의 운영 즉,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 이상인 경우에 정기예금에 가입되고, 정기예금에 가입되지 않는 나머지 잔액을 요구불 예금으로 운영하되, 요구불계좌에 대응된 정기예금이 가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통장 잔액 전부를 요구불 예금으로 운영한다는 정보이다.
다음으로, 정기예금 원장을 설명한다.
하나의 요구불예금 원장에 대응하여 관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기예금 원장 각각에는 정기예금 계좌번호, 가입정보, 고객 예금정보, 운영조건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정기예금 계좌정보는 플러스 통장의 요구불예금 계좌(또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정기예금을 관리 및 운영하는 계좌 정보로서, 기본적으로 소정의 계좌번호를 포함한다.
가입정보는 해당 정기예금에 대한 가입정보로서, 해당 정기예금 가입을 알리는 정보, 해당 정기예금의 가입금액 정보, 금융상품 운영사 정보(예; 우리은행, 하나 은행 등)를 포함한다.
고객 예금정보는 정기예금의 계좌에 연동하여 관리되는 플러스 통장의 잔액 정보, 정기예금 가입금, 정기예금 가입일자, 정기예금 만기일자, 정기예금 가입기간(즉, 유지기간), 정기예금에 대응하는 이자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기예금 가입기간은 정기예금 가입일자부터 정기예금 만기일자까지의 기간이다.
운영조건 정보는 가입정보에 포함된 정기예금의 가입금액 이상인 경우에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를 하고 가입금액 미만인 경우에 해지하는 조건, 정기예금 계약기간(예; 1개월, 3개월, 6개월 등),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에 따른 금리(즉, 금융채 금리)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에 따른 금리는 해당 정기예금을 만기일까지 유지하는 경우와, 만기일 이전에 해지되는 경우에 따른 적용되는 금리이다.
여기서, 정기예금 계약기간은 정기예금을 유지해야 하는 기간으로, 고객이 플러스 통장 가입시 임의로 결정한다. 정기예금 계약기간은 은행에서 복수의 기간을 설정하고 있으며, 고객은 복수의 기간 중 하나를 결정한다.
마이너스 대출 원장(c)은 마이너스 대출이 부여된 요구불예금 계좌번호와, 마이너스 대출금이 이용된 날짜 및 이용금액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고객예금 정보, 마이너스 대출의 금리 및 대출한도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용조건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의 개념 및 가입 방법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는 2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 제1 타입은 통장 잔액의 변동에 관계없이 정기 예금을 운영하는 것이고, 제2 타입은 통장 잔액의 변동에 따라 하나 또는 2 이상의 정기 예금을 운영하는 것이다.
제1 타입의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고, 도 2 타입의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로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대한 제1 타입의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타입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은 요구불 예금(d1)의 잔액 중 일정 금액을 가입금으로 하여 하나의 정기예금(d2)에 가입하고, 하나의 정기예금(d2)을 만기시까지 운영한다.
이때 정기예금 가입금액은 금융사에서 지정한 금액이거나, 설정일에 파악한 통장 잔액의 평균 잔액이거나, 고객이 지정한 금액일 수 있다. 다만, 정기예금 가입금액은 고객이 정기예금 가입금액에 대한 상한금을 지정하는 경우에, 상기 상한금을 초과하지 못한다. 상기 상한금은 고객 스스로가 가능한 정도의 통장 잔액을 파악하고 설정하게 하여, 무리한 금액으로 정기예금에 가입하여 만기시의 이자가 마이너스 대출 이자로 인해 손실을 보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제1 타입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은 매일마다 요구불 계좌(10)의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적은지를 감시하고, 통장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적은 경우에 부족분만큼을 마이너스 대출금으로 충당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타입에 따른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20)이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플러스 통장의 개설을 요청하며, 영업점 직원은 고객(20)의 요청에 따라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게 플러스 통장의 개설을 요청한다(S801).
이때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을 위해 영업점 직원은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작성을 요청하고, 고객(20)은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작성한다. 여기서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에는 정기예금에 대한 가입금(이하 일 예로 200만원이라 한다)이 결정되어 기입되고, 정기예금의 종류(3개월 정기예금, 6개월 정기예금, 12개월 정기예금 등)가 결정되어 기입된다.
이에 영업점 직원은 작성된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스캐닝 등으로 이미지 컨텐츠로 만들어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또한 영업적 직원은 창구 단말(32)을 통해 플러스 통장을 위한 고객 정보나 기타 정보 등을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플러스 통장에 대응되는 요구불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요구불예금 원장을 만들어 DBMS(300)에 등록한다(S802).
플러스 통장이 개설되면, 고객(20)은 요구불예금 계좌를 통해 입금 또는 출금, 이체 등을 하게 되고, 금융 레거시 시스템의 계정계 시스템은 이러한 고객(20)의 금융 거래를 처리하여 요구불예금 원장에 금융 거래 내역 및 이에 따른 통장 잔액을 산출하여 반영한다(S803).
통장관리 서버(100)는 고객의 플러스 통장 개설 후에 날짜를 카운트하여 현재일이 정기예금 가입기준일인지를 파악한다. 또는 고객이 특정일을 정기예금 가입기준일로 설정한 경우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특정일인지를 파악한다(S804).
현재일이 특정일 또는 가입기준일인 경우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N개월의 평균잔액을 산출하고(S805), 평균잔액이 설정된 가입제한금액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806).
상기 S806 판단에서 평균잔액이 설정된 가입제한금액보다 작으면 설정된 다음 정기예금 가입기준일에 다시 평균 잔액을 산출하고 상기 S806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S806 판단에서 평균잔액이 설정된 가입제한금액보다 크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d2)의 계좌를 생성하고 요구불 계좌의 잔액 중 설정된 정기예금 가입금(또는 평잔에 따라 파악된 정기예금 가입금)을 정기예금의 계좌에 옮겨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S807).
그리고 통장관리 서버(100)는 S807 과정과 동시에, 정기예금 가입금만큼의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고, 마이너스 대출을 요구불 계좌에 부한다(S808).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서, S806 과정을 생략하여 통장 잔액에 관계없이 정기예금 가입기준일에 정기예금에 가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더불어 도 3을 참조로 한 만기시 정기예금 이자와 마이너스 대출 이자의 차이에 따른 이자 손실을 보상하는 정기예금 대출금 운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요구불예금에 대응한 정기예금을 생성하면, 매일 요구불예금의 잔액을 확인하고(S809), 일반잔액(고객이 입금한 금액과 출금한 금액으로 파악되는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810).
통장관리 서버(100)는 상기 S810의 판단으로 일반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작으면 마이너스 대출금 사용이라고 파악하고(S811), 해당 일의 마이너스 대출 이자를 산출한다(S812).
이때 요구불예금의 계좌에서 마이너스 대출금을 정기예금 가입금의 부족분을 마이너스 대출금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정기예금은 해지되지 않고 유지된다.
반면에, 상기 S810 판단으로 일반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크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은 채 정기예금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S809 과정 내지 S812 과정을 만기일까지 반복하며(S813), 만기일이 되면 정기예금(d2)의 만기이자와 그동안의 마이너스 대출 이자를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지불할 이자를 산출하고 제공한다(S814).
다음으로 도 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20)이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플러스 통장의 개설을 요청하며, 영업점 직원은 고객(20)의 요청에 따라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게 플러스 통장의 개설을 요청한다(S901).
이에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가 작성되고, 영업점 직원은 작성된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스캐닝 등으로 이미지 컨텐츠로 만들어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또한 영업적 직원은 창구 단말(32)을 통해 플러스 통장을 위한 고객 정보나 기타 정보 등을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플러스 통장에 대응되는 요구불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요구불예금 원장을 만들어 DBMS(300)에 등록한다(S902).
이와 동시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d2)의 계좌를 생성하고 요구불 계좌의 잔액 중 설정된 정기예금 가입금(또는 잔액에 따라 파악된 정기예금 가입금)을 정기예금의 계좌에 옮겨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S903).
그리고 통장관리 서버(100)는 S903 과정과 동시에, 정기예금 가입금만큼의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고, 마이너스 대출을 요구불 계좌에 부한다(S904).
통장관리 서버(100)는 요구불예금에 대응한 정기예금을 생성하면, 매일 요구불예금의 잔액을 확인하고(S905), 일반잔액(고객이 입금한 금액과 출금한 금액으로 파악되는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906).
통장관리 서버(100)는 상기 S810의 판단으로 일반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작으면 마이너스 대출금 사용이라고 파악하고(S907), 해당 일의 마이너스 대출 이자를 산출한다(S908).
이때 요구불예금의 계좌에서 마이너스 대출금을 정기예금 가입금의 부족분을 마이너스 대출금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정기예금은 해지되지 않고 유지된다.
반면에, 상기 S810 판단으로 일반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크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은 채 정기예금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S809 과정 내지 S812 과정을 설정된 정상운용일 즉, 설정개월까지 반복하며, 설정개월 후에 정상운용일이 되면(S910), 요구불예금(d1)에 부여된 마이너스 대출한도를 정기예금 가입금만큼 증액시킨다(S911).
그런 다음, 통장관리 서버(100)는 S809 과정 내지 S812 과정을 만기일까지 반복하고, 만기일이 되면(S912), 정기예금(d2)의 만기이자와 그동안의 마이너스 대출 이자를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지불할 이자를 산출하고 제공한다(S913).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로 하여 제2 타입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대한 제2 타입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의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은 처음 생성하는 정기예금(d2) 및 마이너스 대출(d3)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즉, 제1 및 제2 가입일 조건 중 하나, 제1 및 제2 가입금 조건 중 하나를 기반으로 정기예금 및 마이너스 대출이 생성된다.
이러한 제2 타입의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3가지 특징을 포함한다.
첫번째 특징은 요구불예금의 잔액에 연동하여 가입되는 정기예금을 설정 단위 금액(예; 100만원, 200만원 등)의 정기예금(이하 "개별정기예금"이라 함)으로 분할하여 운영한다.
두번째 특징은 일정 기간마다 요구불예금의 평잔을 산출하고 평잔에 따라 개별정기예금의 추가 생성 또는 해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일정 기간은 고객이 정한 매월 특정일이거나, 고객이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매월 1일이다.
세번째 특징은 적어도 하나의 개별정기예금을 만기시까지 유지시킨다. 이하에서는 개별정기예금 중 만기시까지 유지시키는 개별정기예금을 기본 정기예금이라 하고, 나머지 개별정기예금을 가변 정기예금이라 칭한다.
이러한 3가지 특징으로 포함하는 제2 타입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은 세번째 특징이 제1 타입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해당된다.
이런 상태에서, 첫번째 및 두번째 특징은 고객에게 보다 높은 이자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전달까지의 요구불예금 평잔이 높을수록 더 많은 개별정기예금을 생성하여 운영하여 적어도 1개월의 정기예금 이자를 제공하게 한다. 그리고, 현재 운영중인 개별정기예금의 수(즉, 총 정기예금 가입금액)가 이전달까지의 요구불 예금 평잔보다 낮아지게 되면 마이너스 대출 이자가 자주 발생하게 되어 이자 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평잔에 부합하는 정도로 현재 운영중인 개별정기예금 중 적어도 하나를 해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타입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은 제1 타입에 따른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에 비해 보다 높은 이자 소득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도 10에 도시된 구체적인 숫자를 기반으로 일 예를 설명한다.
기본 정기예금에만 가입된 상태이고 설정 단위 금액이 100만원이며 매월 초에 정기예금 가입/해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1월 1일에 파악된 요구불예금의 평잔이 300만원을 초과하므로 1월 1일에는 빗금친 기본 정기예금과 더불어, 2개의 가변 정기예금이 생성된다.
그리고 2월 1일에 파악된 요구불예금의 평잔이 500만원을 초과하고 600만원미만이므로, 2월 1일에는 빗금친 기본 정기예금과 더불어, 추가로 2개의 가변 정기예금이 생성되어 총 4개의 가변 정기예금이 운영된다.
3월 1일에 파악된 요구불예금의 평잔이 400만원을 초과하고 500만원 미만이므로, 3월 1일에는 빗금친 기본 정기예금과 더불어 3개의 가변 정기예금이 운영되어야 하므로, 하나의 가변 정기예금을 해지한다.
그리고, 4월 1일에 파악된 요구불예금의 평잔이 400만원을 초과하고 500만원 미만이므로, 4월 1일에는 빗금친 기본 정기예금과 더불어 3개의 가변 정기예금이 운영되어야 하므로, 현재 운영중인 4개의 정기예금 모두를 유지한다.
여기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전자문서 서버(200)와 DBMS(300) 등과 연계하여 새로 생성되거나 해지되는 가변 정기예금에 대응하여 별도의 계좌를 요구불예금의 계좌와 링크시켜 생성하거나 해지하며, 생성된 계좌로 요구불예금의 잔액 중 설정 단위 금액을 이체하여 관리된다.
매월 초에 새로운 가변 정기예금이 생성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에 따르면 생성된 총 가변 정기예금의 가입금만큼에 해당하는 마이너스 대출한도가 증액되어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부여된다. 예컨대, 2개의 가변 정기예금이 생성되고 설정 단위 금액이 100만원이면, 200만원의 마이너스 대출금이 증액되어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부여된다.
물론, 매월 초에 운영중인 가변 정기예금 중 적어도 하나의 가변 정기예금이 해지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에 따르면 해지된 총 가변 정기예금의 가입금만큼에 해당하는 마이너스 대출한도가 요구불예금의 계좌에서 감액된다. 예컨대, 2개의 가변 정기예금이 해지되고 설정 단위 금액이 100만원이면, 200만원의 마이너스 대출금이 요구불예금의 계좌에서 감액된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개별정기예금을 운영중에 일반 잔액이 운영중인 개별정기예금의 총 가입금보다 적으면, 총 가입금과 일반 잔액과의 차이분만큼(A, B)에 대하여 마이너스 대출 이자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결국 부족분만큼을 마이너스 대출금으로 충당하게 되는 효과와 동일하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제2 타입에 따르면, 평균 잔액이 가입 상한금(즉, 정기예금 가입 상한가)인 600만원을 초과하여 700만원 또는 800만원이면, 하나의 기본 정기예금과 5개의 가변 정기예금을 생성하여 운영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타입에 따른 잔액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제2 가입일 조건 및 제1 가입금 조건을 기반으로 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20)이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플러스 통장의 개설을 요청하며, 영업점 직원은 고객(20)의 요청에 따라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게 플러스 통장의 개설을 요청한다.
이에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가 작성되고, 영업점 직원은 작성된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스캐닝 등으로 이미지 컨텐츠로 만들어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또한 영업적 직원은 창구 단말(32)을 통해 플러스 통장을 위한 고객 정보나 기타 정보 등을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플러스 통장의 가입신청서 작성시에 고객 또는 금융사에 의해 설정 단위 금액이 결정되고, 고객의 요청에 따라 정기예금 상한가가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설정 단위 금액이 100만원이라고 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플러스 통장에 대응되는 요구불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요구불예금 원장을 만들어 DBMS(300)에 등록한다(S1101).
플러스 통장에 대응한 요구불예금 계좌가 생성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개설일로부터 3개월 후의 해당 월 초에 요구불예금의 3개월 평균잔액을 산출한다(S1102, S1103).
통장관리 서버(100)는 산출한 3개월 평균잔액이 K1과 같거나 많고 K2(K1+100만원)보다 작다고 판단한다(S1104). 여기서 평균잔액이 436만원이면 K1은 400만원이고 K2는 500만원이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평균잔액이 436만원임에 따라, 가입금이 100만원인 하나의 기본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더불어 가입금이 100만원인 3개의 가변 정기예금의 계좌 각각을 생성한다. 그런 다음 통장관리 서버(100)는 요구불예금에 400만원의 마이너스 대출을 부여하고(S1106), 마이너스 대출이 부여된 요구불예금에서 400만원을 인출하여 하나의 기본 정기예금의 계좌와 3개의 가변 정기예금 계좌 각각에 100만원씩 이체시켜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S1105).
물론 각 정기예금에 가입되고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전자문서와 원장을 만들어 각각의 서버(200, 300)에 제공하여 관리되게 한다.
이렇게 통장 잔액의 일정 금액이 정기예금에 가입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매일 요구불예금의 잔액을 확인하고(S1106), 일반잔액(고객이 입금한 금액과 출금한 금액으로 파악되는 잔액)이 개별정기예금의 총 가입금인 400만원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1107).
통장관리 서버(100)는 상기 S1107의 판단으로 일반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작으면 마이너스 대출금 사용이라고 파악하고 해당 일의 마이너스 대출 이자를 산출한다(S1108).
이에 따라 요구불예금의 계좌에서 마이너스 대출금을 정기예금 가입금의 부족분을 마이너스 대출금으로 충당하기 때문에 각 개별정기예금은 해지되지 않고 유지된다(S1109).
한편, 상기 S1107 판단으로 일반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크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은 채 각 개별정기예금을 그대로 유지시킨다(S1109).
한달이 흘러 다음 달 1일이 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다시 한번 요구불예금의 3개월 평균잔액을 산출한다(S1111).
통장관리 서버(100)는 산출한 3개월 평균잔액이 K3과 같거나 많고 K4(K3+100만원)보다 작다고 판단한다(S1112).
여기서 평균잔액이 525만원이면 K3은 500만원이고 K3는 600만원이다.
따라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마이너스 대출금을 100만원 증액시켜 요구불예금 계좌에 부여하고(S1114), 하나의 가변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한 후 요구불예금의 잔액에서 100만원을 새로 생성한 가변 정기예금에 이체시켜 관리되게 한다(S1113).
반면에, S1112 판단에서 판단한 평균잔액이 240만원이면 K3는 200만원이고 K3은 300만원이다.
따라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요구불예금 계좌에서 마이너스 대출금을 200만원 감액시키고(S1114), 현재 운영중인 3개의 하나의 가변 정기예금 중 2개를 해지한다(S1113).
통장관리 서버(100)는 S1102 과정 내지 S1113 과정 및 S1114 과정까지를 기본 정기예금의 만기일까지 수행하며, 만기일이 되면(S1115), 기본 정기예금 및 가변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각 정기예금의 이자 및 그동안의 마이너스 대출 이자를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고객에게 지불할 이자를 산출하고 제공한다(S1116).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S1115 과정 및 S1116 과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변형 가능하다. 즉, 기본 정기예금만 해지하고 남아있는 가변 정기예금 중 가장 오랫동안 유지한 가변 정기예금을 기본 정기예금으로 바꾸어 운영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마이너스 대출이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부여되어 운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마이너스 대출은 정기예금의 계좌에 가입금만큼 부여되고, 요구불예금 계좌로부터는 금액을 이체받지 않게 한다. 이때 마이너스 대출의 이자는 요구불예금의 계좌가 정기예금의 계좌에 부여된 마이너스 대출금보다 작아질때에 작아지는 금액만큼을 마이너스 대출 이자로 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마이너스 대출은 별도의 마이너스 대출 계좌로 운영하되, 정기예금 계좌에는 가입금이 명목상으로 기재되고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작아질때에 마이너스 계좌로부터 작아진 금액만큼이 요구불예금에 이체되어 충당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많아지게 되고 마이너스 계좌로부터 충당된 금액이 있으면, 충당된 금액만큼이 요구불예금 계좌에서 마이너스 계좌로 이체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는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실시 예가 조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조합은 전술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설명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 또는 예측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플러스 통장 20 : 고객
100 : 통장관리 서버 200 : 전자문서 서버
300 : DBMS 400 : 전자문서 DB

Claims (14)

  1. (a) 금융시스템의 통장관리 서버는 수신된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요구불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플러스 통장의 잔액을 상기 요구불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특정일에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대응된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 중 설정 금액을 가입금으로 하여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로 이체시켜 관리하는 단계,
    (c)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 생성에 대응하여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일부터 만기일까지 매일마다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금보다 적어지는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e)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정기예금의 가입금보다 제1 금액만큼 적어지는 날마다 상기 마이너스 대출에서 상기 제1 금액만큼을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보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일의 상기 요구불예금 잔액과 설정된 가입제한금액을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된 가입제한금액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 상기 정기예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대출은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 또는 상기 정기예금의 계좌 중 하나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대출은 별도의 마이너스 대출 계좌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일은 상기 플러스 통장의 개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생성한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는 처음에 0원보다 크고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g) 상기 통장 개설일 이후의 제1 설정일에 상기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를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일은 금융사 또는 고객이 지정한 설정일이고, 이때 상기 (c) 단계에서 생성한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는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예금 가입금은 고객 또는 금융사가 지정한 금액이거나, 상기 요구불예금에 대한 N 개월의 평균잔액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9. (a) 금융시스템의 통장관리 서버는 수신된 플러스 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요구불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상기 플러스 통장의 잔액을 상기 요구불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제1 특정일에 상기 요구불예금의 N 개월 평균잔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평균잔액을 설정단위금액으로 나누어지는 최대값인 K(자연수)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K개의 개별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을 상기 K개의 개별정기예금의 계좌에 각각 이체시켜 관리하는 단계,
    (d)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K개의 개별정기예금의 계좌 생성에 대응하여 마이너스 대출을 생성하는 단계,
    (e)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제2 특정일에 상기 요구불예금의 N 개월 평균잔액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평균잔액을 설정단위금액으로 나누어지는 최대값인 P(자연수)를 파악하는 단계,
    (f)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P가 상기 K보다 크면 차이만큼 상기 개별정기예금을 생성하고, 상기 P가 상기 K보다 작으면 차이만큼 상기 개별정기예금을 해지하는 단계,
    (g)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f) 단계의 결과로 남은 개별정기예금의 수에 대응하여 상기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를 조정하는 단계,
    (h)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매일마다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운영중인 상기 개별정기예금들의 총 가입금보다 적어지는지를 감시하는 단계, 및
    (i)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h) 단계에서 상기 요구불예금의 잔액이 상기 총 가입금보다 제2 금액만큼 적어지는 날마다 상기 마이너스 대출에서 상기 제2 금액만큼을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에 보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및 상기 (f) 단계에서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P 또는 상기 K가 '0' 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개별정기예금을 생성하고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일의 상기 요구불예금 잔액과 설정된 가입제한금액을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된 가입제한금액보다 같거나 큰 경우에 상기 개별정기예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12.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대출은 상기 요구불예금의 계좌 또는 상기 개별정기예금의 계좌 중 하나에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 대출은 별도의 마이너스 대출 계좌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및 상기 (g) 단계의 상기 마이너스 대출의 대출한도는 운영중인 개별정기예금의 총 가입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KR1020100103029A 2010-06-16 2010-10-21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KR101070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57245 2010-06-16
KR1020100057245 2010-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226A true KR20100124226A (ko) 2010-11-26
KR101070454B1 KR101070454B1 (ko) 2011-10-05

Family

ID=4340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029A KR101070454B1 (ko) 2010-06-16 2010-10-21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6078A1 (en) * 2019-10-17 2021-04-22 Turkiye Garanti Bankasi Anonim Sirketi A prepaid interest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063B1 (ko) 2014-11-11 2015-08-20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시스템 하이브리드 계좌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681767B1 (ko) 2015-08-13 2016-12-02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시스템 하이브리드 계좌를 이용한 자동투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665408B1 (ko) 2015-08-13 2016-10-24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시스템 하이브리드 계좌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699536B1 (ko) 2016-08-16 2017-01-25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시스템 하이브리드 계좌를 이용한 자동투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702858B1 (ko) 2016-08-16 2017-02-08 주식회사 로지코스 하이브리드 계좌를 이용한 자동투자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6078A1 (en) * 2019-10-17 2021-04-22 Turkiye Garanti Bankasi Anonim Sirketi A prepaid interes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0454B1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50407A1 (en) Systems, methods and machine-readable mediums for consolidating financial information from multiple accounts maintained with a plurality of financial institutions
US20100250355A1 (en) Redemption of Reward Points as Cash and Deposit of Cash to Checking, Savings or Other Accounts
CN101826186A (zh) 综合支付集中器系统中管理支付处理的系统、方法和程序
KR101070454B1 (ko)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WO2007103576A2 (en) Method for future payment transactions
JP4887562B2 (ja) 取引処理システム
KR101303300B1 (ko) 담보거래 서비스 방법
JP2003323547A (ja) 口座情報提供方法及び口座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09075925A (ja) 給与支払い管理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78933A (ko) 통장 잔액을 기반으로 한 예금 서비스 방법
KR20120134496A (ko) 마이너스 대출기반 정기예금 운용방법
KR20150094571A (ko) 통장 잔액을 기반으로 한 예금 서비스 방법
KR101497627B1 (ko) 세금 관련 금융 서비스 서버 및 이와 연계된 세금 정보 서비스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세금 관련 금융 상품의 운용 방법
US20210365944A1 (en) Dynamic financial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device
US20140324686A1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for Management and Optimization of Financial Accounts and Financial Obligations of a User
JP2019125199A (ja) 情報処理装置
KR102395872B1 (ko) 계좌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KR100981782B1 (ko)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KR20150061288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EP2355029A1 (en) Electronic clearing and payment system
KR102220210B1 (ko) 결제 수수료 차액 정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결제 대행 서버
KR20110109067A (ko) 계좌 이체 시스템 및 계좌 이체 처리방법
JP6668444B2 (ja) 賃貸料決済システム及び賃貸料決済方法
KR2016003654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N112862592A (zh) 一种产品管理方法、装置、后台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