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782B1 -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1782B1 KR100981782B1 KR1020100020893A KR20100020893A KR100981782B1 KR 100981782 B1 KR100981782 B1 KR 100981782B1 KR 1020100020893 A KR1020100020893 A KR 1020100020893A KR 20100020893 A KR20100020893 A KR 20100020893A KR 100981782 B1 KR100981782 B1 KR 1009817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osit
- balance
- periodic
- account
- management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스텝 종합통장 개설시에 잔액을 요구불 예금에 가입시켜 관리하고, 현재일마다 상기 잔액을 확인한 후, 확인한 잔액이 설정금액 이상인 경우에, 잔액을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정기 예금으로 관리하고, 상기 확인한 잔액이 상기 설정금액 미만인 경우에 잔액을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장 잔액을 기반으로 한 예금 서비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입출금이 자유로운 하나의 요구불통장의 잔액을 금액 및 일정한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요구불 예금이 저축성 예금으로 또는, 저축성 예금이 요구불 예금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예금 상품으로는 누구나가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요구불 예금과,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저축성 예금이 대표적이다.
요구불 예금은 수시로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으로 낮은 이율이 적용되는 예금 상품으로, 보통 예금(저축 예금이라 불림), 별단 예금, 당좌 예금 등이 이에 속한다. 저축성 예금은 요구불 예금에 비해 높을 이율을 보장하는데 대신에, 일정 금액 이상을 입출금없이 일정 기간 동안 유지해야 하는 등의 가입 조건이 있으며, 정기 예금, 주택청약 예금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으로, 고객은 자금의 보관, 운용, 대출 등을 위해 은행 등의 금융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보다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금융기관의 금융 상품 중 고금리 상품이나 고수익 상품 또는 단기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상품 등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예금 상품 중 고금리 상품이나 고수익 상품은 특정 가입 조건을 만족해야 가입이 가능하므로, 가입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고객 즉, 단기 유동성 자금을 보유한 고객이나 수시로 입출금을 해야 하는 고객, 예금 가입 금액이 낮은 고객 등은 예금을 통해 얻어지는 보다 높은 수익의 보장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소외되고 있다.
현재 각 금융기관에서는 고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금융 상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거래를 유지하고 있는 고객의 니즈(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한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금융기관에서는 상품 개발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축성 예금에 가입하지 못하는 다양한 종류의 자금을 일반 요구불 예금보다 높은 이율을 보장하는 상품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의 입출금통장의 편의성을 유지하면서 일정조건하에 자동으로 정기예금에 가입되어 높은 이율을 보장하는 금융 상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객의 자금 상황을 고려하여 정기 예금에 비견되는 금리를 제공할 수 있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설정 금액 등의 가입조건을 고객이 결정하고, 결정한 가입 조건에 따라 통장 잔액을 저축성 예금 또는 요구불 예금으로 자동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a) 설정금액의 정보를 포함하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을 개설하고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요구불 예금에 가입시켜 관리하는 단계, (b) 현재일마다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확인하고 확인한 잔액을 상기 설정금액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상인 경우에, 상기 잔액을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저축성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금액 미만인 경우에, 상기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a)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을 개설하고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요구불 예금에 가입시켜 관리하는 단계, (b) 현재일마다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금액 이상이면, 상기 잔액을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제1 저축성 예금-상기 이상인 기준금액 중 최대 기준금액(이하 "제1 기준금액" 이라 함)-으로 관리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금액 이상이 아니면 상기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시로 입출금을 하는 고객의 통장 잔액이 설정된 정기 예금 조건에 부합하게 되면 자동으로 정기예금에 가입되어 높은 금리를 제공받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기관에게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된 예금 상품으로 타 금융기관에 비해 고객 유치에 있어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 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각 구성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위해 DBMS에서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한 저축 예금의 정보와 정기 예금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에 적용되는 금리 산출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 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각 구성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위해 DBMS에서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한 저축 예금의 정보와 정기 예금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에 적용되는 금리 산출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고객이 하나의 요구불 통장을 거래하면서 저축성 예금 가입 및 해지 조건에 따라 저축성 예금에 자동으로 가입과 해지가 되어 요구불 통장의 편의성과 저축성 예금의 수익성을 결합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을 도 1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객(20)의 요청에 따라 더스텝(the step) 종합통장(10)을 개설하는 것으로 서비스의 제공을 시작한다.
더스텝 종합통장(10)은 본 발명을 위한 통장으로,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이며, 2개의 계정 과목(즉, 요구불 예금(d1)과 저축성 예금(d2))을 가진다.
이하에서, 요구불 예금(d1)은 일반 예금, 당좌 예금 등과 같이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한 통상의 모든 예금 상품을 총칭하여 사용되고, 저축성 예금(d2)은 정기 예금, 주택 청약 예금 등과 같이 입출금이 자유롭지 않으며 특정 가입 조건을 가진 통상의 모든 예금 상품을 총칭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은 더스텝 종합통장(10)을 개설하면, 개설 즉시 고객 명의로 요구불 예금(d1)의 계좌(이하 "저축예금 계좌"라 한다)를 생성하고, 저축성 예금의 계좌(이하 "정기예금 계좌"라 한다)를 생성하기 전까지 통장 잔액을 저축예금 계좌에 대응하여 관리하며, 요구불 예금(d1)에 대한 설정 이율을 적용시킨다. 요구불 계좌는 더스텝 종합통장(10)을 폐지하지 않은 이상 계속해서 고객 명의로서 관리된다.
더스텝 종합통장(10)의 계정 과목 중 저축성 예금의 계좌(즉, 정기예금 계좌)는 더스텝 조합통장(10)의 잔액에 따라 생성되고 해지된다. 즉,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은 금액의 크기가 설정 금액을 이상 및 미만 여부에 따라 저축성 예금(d2)에 가입되고 해지된다.
즉, 저축성 예금(d2)의 가입은 통장 잔액이 설정 금액 이상이면 경우에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가입일은 고객(20)의 요청한 날 또는, 고객(20)이 별도로 가입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디폴트로 설정된 설정일(예; 매월 1일)에 자동으로 가입되게 한다. 이때 고객이 지정한 가입일을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되는 모든 저축성 예금(d2)에 적용할 수 있으나, 처음 가입되는 저축성 예금에 한해 적용하고, 가입된 해당 저축성 예금이 해지된 이후 다시 가입되는 저축성 예금부터는 디폴트로 설정된 설정일에 가입되게 하는 것이 저축성 예금 가입 절차의 간결성에 부합된다.
저축성 예금(d2)의 해지는 금융기관 일일 업무 마감시 통장 잔액이 설정 금액 미만인 경우에만 자동으로 해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루 중 잔액이 설정금액 미만이어도 저축성 예금 해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리고 저축성 예금(d)의 해지는 저축성 예금(d2) 가입시 설정된 만기일이 초과하는 경우에 해지된다. 이때 만기일(예치기간)은 해당 상품 판매기관의 설계에 따라 6개월, 12개월 등으로 정할 수 있으며, 만기일 내에서도 10일 이나 1개월, 3개월 등 기간별 금리(즉, 금융채 금리)를 설정하여 요구불예금의 설정잔액 유지기간에 따라 고객에게 유리하게 자동으로 저축성 예금을 지급한다.
여기서, 설정 금액은 고객(20)의 의지와 무관하게 디폴트된 형태이거나, 고객(20)에 의해 설정된 조건이며, 설정 금액이다. 예컨대, 설정 조건은 100만원, 200만원, 500만원 등의 설정 금액이다. 설정금액 종류의 수에 따라 정기예금의 계좌 수도 설정금액의 개수만큼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저축성 예금(d2)의 가입은 설정일에 통장 잔액이 설정금액 이상일 때 가장 큰 설정금액으로 정기예금 계좌를 생성하여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을 저축예금 계좌에서 정기예금 계좌로 전환하여 대응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저축성 예금(d2)의 해지는 정기예금 계좌를 폐지하여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을 정기예금 계좌에서 저축예금 계좌로 전환하여 대응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본 발명은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이 설정 금액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에 따라,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을 저축예금 계좌 또는 정기예금 계좌로 자동 전환하여 관리한다.
더스텝 종합통장(10)에 대응하여 고객에게 지급하는 금리는 한달 단위를 예로 하면,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이 요구불 예금에 예치된 기간만큼의 금리와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이 저축성 예금에 예치된 기간만큼의 금리를 더하여 산출된다. 여기서 요구불 예금은 통장 잔액이 클수록 이자가 높아지지만, 저축성 예금은 금액이 결정되어 가입되므로 통장 잔액이 커져도 한 달 단위로 제공되는 이자는 변함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구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통상의 은행의 금융 레거시(legacy)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금융 레거시 시스템은 기간계 시스템, 정보계 시스템, 계정계 시스템, 뱅킹 시스템,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계정계 시스템 내에 본 발명을 위한 기능 또는 본 발명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또는 장치)가 추가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시스템은 도 2를 참조로 하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로서, 저축 예금을 요구불 예금의 일 예로 하였고, 정기 예금을 저축성 예금의 일 예로 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은 통장관리 서버(100), 전자문서 서버(200),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300), 전자문서 DB(400)와, 뱅킹 서버(500)를 포함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금융 레거시 시스템의 계정계 시스템 내에 위치하며,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및 운용을 담당한다. 이러한 통장관리 서버(100)는 계정계 시스템 내에 금융상품의 계좌를 생성하는 통상의 계좌생성서버 내에 구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금융 서비스 상품을 위해 별도의 서버(또는 장치)로 구축될 수 있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영업점의 창구 단말(32)과 금융망(예; 금융 공통망 또는 로컬망 등)을 통해 연결되며, 다른 구성(200 내지 500)과 해당 은행망(즉, 로컬망)을 통해 연결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창구 단말(32)의 요청에 따라 더스텝 종합통장(10)을 개설하며, 더스텝 종합통장(10)에 대응하는 2개의 계정과목(저축예금, 정기예금)에 대한 계좌를 생성하고 더스텝 종합통장(10)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거래(입금, 출금, 이체 등)를 관리한다. 이때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10)의 개설과 즉시 저축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저축예금에 대한 전자문서 및 원장(a)을 만든다.
반면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이 특정 가입조건(예; 설정금액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에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정기예금에 대한 원장(b1, b2, b3 중 하나)을 만든다. 이러한 정기예금의 계좌와 원장(b1, b2, b3 중 하나)은 각각 저축예금의 계좌와 원장(a)에 대응되어 관리된다. 물론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이 특정 가입조건(예; 설정금액 이상)을 만족하는 못하는 경우에 정기예금의 계좌를 폐지한다.
정기예금의 계좌를 폐지한 후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이 다시 특정 가입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다시 새로운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원장을 만들어 저축예금의 계좌와 원장에 대응시켜 관리한다.
이로 인해, 하나의 더스텝 종합통장(10)에 대하여, 하나의 저축예금 계좌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정기예금 계좌가 대응되어 관리되지만, 하나의 저축예금 원장에 대해서는 반복적으로 생성한 정기예금의 원장이 대응되어 관리된다.
그리고 정기예금의 가입과 해지를 위해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10)의 잔액을 체크하여 특정 가입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한다.
전자문서 서버(200), 금융시스템(DBMS(300) 포함), 전자문서 DB(400)와 뱅킹 서버(500)는 금융 거래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이다. 여기서 금융시스템은 금융 레거시 시스템 중 전자문서 서버(200), 전자문서 DB(400)와 뱅킹 서버(500)를 제외한 나머지 장치(서버) 및 시스템을 총칭한 것이다.
전자문서 서버(200)와 전자문서 DB(500)는 고객이 은행의 금융상품 중 어떠한 금융상품에 가입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문서로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문서 서버(200)는 통장관리 서버(100)로부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한 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전자문서 정보를 생성하고, 전자문서 DB(400)는 전자문서 서버(400)에서 생성한 전자문서 정보를 저장한다.
뱅킹 서버(500)는 인터넷을 통해 고객 단말(31)과 연결되어 있다. 뱅킹 서버(500)는 금융 시스템의 DBMS(300)와 연계하여 고객 단말(31)과의 접속으로 고객이 인터넷을 통해 금융 서비스(예; 조회, 이체 등)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DBMS(300)는 통장관리 서버(100)로부터 저축예금과 정기예금에 대한 원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더스텝 종합통장 및 더스텝 종합통장을 개설한 고객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며, 더스텝 종합통장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금융 거래의 정보를 저장한다.
따라서, DBMS(300)에 저장된 정보로서 특정 고객이 더스텝 종합통장을 개설하였는지, 더스텝 종합통장을 통한 입출금 내역, 정기예금의 가입과 해지 여부, 정기 예금의 가입 기간, 정기예금이 가입되고 해지된 횟수, 정기예금에 가입한 일자, 정기예금이 해지된 일자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더스텝 종합통장의 계좌 번호 즉, 저축예금의 계좌를 이용하여 입금/출금/이체 등의 금융거래를 하게 하며, 저축예금의 계좌를 통해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체크한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여 각 서버(100 내지 5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각 구성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로컬 인터페이스부(101), I/O 인터페이스부(102), 이미지 수신부(103), 전자문서 전송부(104), 저축예금 처리부(105), 정기예금 처리부(106), 잔액 파악부(107), 예금전환 관리부(108)와 이자 제공부(109)를 포함한다.
로컬 인터페이스부(101)는 해당 은행망(즉, 로컬망)을 통해 고객 단말(31) 창구 단말(32)과 인터페이스되게 하며, 창구 단말(32)에게 본 발명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창구 단말(32)로부터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I/O 인터페이스부(10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각종 서버와의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로컬 인터페이스부(101) 및 I/O 인터페이스부(102)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는 접속하는 통신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I/O 인터페이스부(102)는 통장관리 서버(100)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구성(200 내지 500 등) 모두에 위치한다.
이미지 수신부(103)는 로컬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특정 고객에 대한 더스텝 종합통장 가입신청서의 이미지 컨텐츠(예; 이미지 파일)를 수신한다.
이때 더스텝 종합통장 가입신청서에는 고객의 개인신상정보 등의 고객정보, 해당 은행에서 제공하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을 알리는 가입정보, 더스텝 종합통장의 정기예금에 대한 운용조건 정보가 기재된다. 정기예금 운용조건 정보는 통장 잔액에 따라 자동으로 정기 예금이 가입 또는 해지되는 약관 정보와, 정기예금의 가입 조건인 설정 금액의 정보이며, 저축 예금의 금리와 정기 예금의 가입 기간에 따른 정기 예금의 금리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 금액은 은행이 별도로 설정한 금액 범위 중에서 고객이 정한 금액이거나, 은행에서 고정적으로 설정한 금액일 수 있다. 정기 예금의 금리는 고객이 설정 금액을 결정하는 경우에 설정 금액 및 해당 금융기관 거래실적에 따라 우대금리를 추가로 지급하는 등 차이가 날 수 있다.
전자문서 전송부(104)는 더스텝 종합통장 가입서의 이미지 컨텐츠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만들어 전자문서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전자문서 전송부(104)는 더스텝 종합통장 가입서의 이미지 컨텐츠에 금융상품 가입신청정보에 포함된 고객정보, 더스텝 종합통장 가입정보, 고객예금정보, 고객계좌정보(즉, 저축예금의 계좌정보), 금융상품 운용조건 정보를 더하여 이미지 파일의 금융상품 전자문서를 생성한다. 이때 이미지 파일은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HWP/DOC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파일,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파일 등이다.
저축예금 처리부(105)는 로컬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해 창구 단말(32)로부터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을 요청을 수신하면 더스텝 종합통장 가입신청서에 포함된 고객(20)의 개인정보에 대응하여 더스텝 종합통장의 저축예금 계좌를 생성한다. 그리고 저축예금 처리부(105)는 금융 시스템과 연계하여 고객(20)의 개인정보에 대응하여 저축예금에 대한 원장을 생성하고 DBMS(300)에 저장한다. 또한 저축예금 처리부(105)는 저축예금 계좌를 생성하면 전자문서 전송부(104)에 저축예금 계좌의 정보를 제공하여 전자문서에 포함되게 한다.
잔액 파악부(107)는 DBMS(300)에 저장된 각 더스텝 종합통장의 저축예금에 대응하는 잔액(즉,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매일(즉, 현재일)마다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잔액 파악부(107)는 현재일의 은행 영업시간 동안에 통장 잔액을 파악하며, 휴일인 경우에 자정을 기준으로 잔액을 파악한다. 은행 영업시간의 경우에 통장 잔액은 더스텝 종합통장의 입/출금이 있는 경우에 잔액을 파악하게 되면, 잔액의 변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잔액 파악부(107)는 파악한 잔액과 정기예금 운용조건 정보에 포함된 설정 금액과 비교한 후, 설정 금액미만인지 이상인지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예금전환 관리부(108)에 제공한다. 이때 예금전환 관리부(108)에 제공하는 결과는 일 예로, 저축 예금의 계좌 정보와 잔액 정보를 결과 정보로 제공하거나 고객 정보와 잔액 정보(예; 설정금액 이상 또는 설정금액 미만)를 결과 정보로 제공한다.
예금전환 관리부(108)는 잔액 파악부(107)로부터 각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한 잔액 정보를 수신하고, DBMS(300)와 연계하여 해당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정기 예금을 가입할 것인지 또는 가입된 정기 예금을 해지할 것인지를 파악한다.
예금전환 관리부(108)는 정기 예금의 가입 또는 해지 이벤트라고 파악하면, 정기예금 처리부(106)에 해당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한 정기 예금 가입 또는 해지 이벤트를 알리며, 정기 예금 가입 이벤트와 정기 예금 해지 이벤트가 아닌 경우에 현재 상태가 유지되도록 더 이상의 액션을 취하지 않는다.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예금전환 관리부(108)로부터 정기 예금 가입 이벤트를 수신하면, 고객(20)의 개인정보(또는 저축예금의 계좌)에 대응하여 정기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금융 시스템과 연계하여 고객(20)의 개인정보에 대응하여 정기예금에 대한 원장을 생성하고 DBMS(300)에 저장한다. 이렇게 정기 예금 계좌를 생성하면,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DBMS(300)에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저축예금 계좌에서 새로 생성한 정기예금 계좌로 전환하여 관리됨을 알리는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예금전환 관리부(108)로부터 정기 예금 해지 이벤트를 수신하면, 고객(20)의 개인정보(또는 저축예금의 계좌)에 대응하여 설정된 정기예금 계좌를 폐지하고, 정기예금의 원장에 해당 정기예금의 만료 사실을 기록한다. 그리고 정기예금 처리부(106)는 DBMS(300)에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정기예금 계좌에서 저축예금 계좌로 전환되어 관리됨을 알리는 정보를 기록한다.
이자 제공부(109)는 월말이나 설정된 특정일을 주기로 DBMS(300)에 접속하여, 각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정기예금의 가입 기간 또는/및 저축예금의 가입 기간을 파악하고, 해당 정기 예금 및 저축 예금에 대응하여 결정된 금리를 이용하여 한달간 이자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자 제공 이력으로 해당 더스텝 종합통장의 거래 내역에 기록하여 통장 잔액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전자문서 서버(200)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문서 서버(200)는 금융 레거시 시스템에 포함된 서버로서, 가입자가 가입한 금융상품에 대한 가입정보를 전자문서로 하여 금융 레거시 시스템에서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전자문서 서버(200)는 전자문서 수신부(210), 정보 생성부(220)와 전자문서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전자문서 수신부(210)는 통장관리 서버(100)의 전자문서 전송부(103)에서 제공한 이미지 컨텐츠를 포함하는 금융상품 전자문서를 수신한다.
정보 생성부(220)는 전자문서 수신부(410)를 통해 수신된 금융상품 전자문서에 할당할 소정의 전자문서 고유번호(또는 고유정보)와, 전자문서 수신부(210)를 통해 금융상품 전자문서가 수신된 날짜와 시간(또는 상기 금융상품 전자문서가 저장된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는 전자문서 보관 일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전자문서 저장부(230)는 정보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전자문서 고유정보와 전자문서 관리 정보를 전자문서 DB(400)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위해 DBMS에서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한 저축 예금의 정보와 정기 예금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객의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원장정보는 DBMS(300)의 원장 DB에 저장된다. 더스텝 종합통장의 원장정보는 소정의 고객원장과 저축예금 원장(a)과 적어도 하나의 정기예금 원장(b1, b2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하나의 저축예금 계좌 및 원장이 생성되지만, 하나의 더스텝 종합통장(즉, 하나의 저축예금 계좌)에 대응하는 정기예금 계좌 및 원장은 복수개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정기예금 계좌 및 원장은 복수개가 동시에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가 생성(정기예금 가입)되고 폐지(정기예금 해지)되는 것이 반복된다.
정기예금 계좌 및 원장은 해당 고객식별정보와 해당 저축예금 계좌 및 원장과 대응하여 관리된다.
고객원장은 고객식별정보(예; CIF(Customer Information File) 번호 등), 국가코드, 은행 담당자 ID, 고객분류, 고객이름, 고객주소, 지역분류코드, 전화번호, 분류코드, 유효기일, 상태본점정보, 결산일, 현금가용일, 성, 이름, 주민등록번호, 회사전화번호 등을 포함한다.
저축예금 원장(a)은 고객원장(또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어 있으며, 고객 정보, 저축예금 계좌번호, 운용정보, 가입정보, 고객 예금정보, 운용조건 정보,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고객 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예컨대,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고객의 회원정보(예컨대, 고객이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가입함에 의해 상기 고객에 대응한 고객원장에 구비된 회원ID 정보, 또는 CIF(Customer Information File) 번호 등)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한다.
가입정보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정보로서,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한 고객 가입동의 정보와, 금융상품 운용사 정보(예; 하나은행, 우리 은행)를 포함한다.
저축예금 계좌정보는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저축예금을 관리 및 운용하는 계좌 정보로서, 기본적으로 소정의 계좌번호를 포함한다.
고객 예금정보는 저축예금의 계좌에 연동하여 관리되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 정보, 저축예금 가입일자, 저축예금 가입기간, 저축예금에 대응하는 이자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축예금 가입기간은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정기예금에 가입되어 있는 기간 중에는 카운트되지 않는다.
운용조건 정보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운용조건 정보에 해당하며, 저축예금의운용 즉, 잔액이 설정금액 미만인 경우에 저축 예금으로 운용되고, 잔액이 설정금액 이상인 경우에 정기예금으로 운용됨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정기예금 원장을 설명한다.
하나의 저축예금 원장에 대응하여 관리되는 복수의 정기예금 원장 각각에는 정기예금 계좌번호, 가입정보, 고객 예금정보, 운용조건 정보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정기예금 계좌정보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저축예금 계좌(또는 고객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생성된 정기예금을 관리 및 운용하는 계좌 정보로서, 기본적으로 소정의 계좌번호를 포함한다.
가입정보는 해당 정기예금에 대한 가입정보로서, 해당 정기예금 가입을 알리는 정보, 해당 정기예금의 가입금액 정보, 금융상품 운용사 정보(예; 우리은행, 하나 은행)를 포함한다.
고객 예금정보는 정기예금의 계좌에 연동하여 관리되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 정보, 정기예금 가입일자, 정기예금 만기일자, 정기예금 가입기간(즉, 유지기간), 정기예금에 대응하는 이자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기예금 가입기간은 정기예금 가입일자부터 정기예금 만기일자까지의 기간이다.
운용조건 정보는 가입정보에 포함된 정기예금의 가입금액 이상인 경우에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를 하고 가입금액 미만인 경우에 해지하는 조건, 정기예금 계약기간(예; 1개월, 3개월, 6개월 등),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에 따른 금리(즉, 금융채 금리)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에 따른 금리는 해당 정기예금을 만기일까지 유지하는 경우와, 만기일 이전에 해지되는 경우에 따른 적용되는 금리이다.
여기서, 정기예금 계약기간은 정기예금을 유지해야 하는 기간으로, 고객이 더스텝 종합통장 가입시 임의로 결정한다. 정기예금 계약기간은 은행에서 복수의 기간을 설정하고 있으며, 고객은 복수의 기간 중 하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정기예금에 대한 운용조건에 따라 더스텝 종합통장에 제공하는 금리가 차이가 발생하고, 정기예금의 해지 및 가입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정기예금에 대한 운용조건에 따른 차이는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20)이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을 요청하며, 영업점 직원은 고객(20)의 요청에 따라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게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을 요청한다(S501).
이때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을 위해 영업점 직원은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작성을 요청하고, 고객(20)은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작성한다. 여기서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에는 정기예금에 대한 설정금액(이하 일 예로 "200만원"이라 한다)이 결정되어 기입되고, 정기예금의 종류(1개월 정기예금, 3개월 정기예금, 6개월 정기예금 등)가 결정되어 기입된다.
이에 영업점 직원은 작성된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스캐닝 등으로 이미지 컨텐츠로 만들어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또한 영업적 직원은 창구 단말(32)을 통해 더스텝 종합통장을 위한 고객 정보나 기타 정보 등을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되는 저축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저축예금 원장을 만들어 DBMS(300)에 등록한다(S502).
더스텝 종합통장이 개설되면, 고객(20)은 저축예금 계좌를 통해 입금 또는 출금, 이체 등을 하게 되고, 금융 레거시 시스템의 계정계 시스템은 이러한 고객(20)의 금융 거래를 처리하여 저축예금 원장에 금융 거래 내역 및 이에 따른 통장 잔액을 산출하여 반영한다(S503).
통장관리 서버(100)는 개설된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하여 매일(즉, 현재일)마다 DBMS(300)에 접속하여 저축계좌에 대응된 고객예금정보를 확인하여 통장 잔액을 확인한다(S504).
통장관리 서버(100)는 S504 과정의 확인을 통해 통장 잔액에 따른 예금계좌 전환을 수행한다. 예금계좌 전환은 현재 통장 잔액이 관리되는 계좌가 저축예금인지 또는 정기예금인지에 따라 그 동작을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저축예금에 가입(즉, 예치)된 경우를 설명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S504 과정에서 확인한 통장 잔액이 설정금액인 200만원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505).
상기 판단(S505)에서, 통장 잔액이 200만원보다 작으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저축예금 계좌에 계속 예치되게 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S505)에서, 통장 잔액이 200만원 이상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조건이 만족되었음을 판단하고, 현재일이 정기예금 자동 가입일인 해당 월의 초(1일)인지를 판단한다(S506).
물론 고객(20)에 의해 정기예금 가입일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고객(20)이 지정한 가입일인지를 판단하여 지정한 가입일이면 통장 잔액을 정기예금에 예치하여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
한편, 상기 S506 과정의 판단으로 현재일이 월초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계좌와 원장을 생성하여 DBMS(300)에 저장한 후(S507), 통장 잔액을 저축예금 계좌에서 정기예금 계좌로 전환하여 관리한다(즉,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S508).
다음으로,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정기예금에 가입(즉, 예치)된 경우를 설명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S504 과정에서 확인한 통장 잔액이 설정금액인 200만원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509).
상기 판단(S509)에서, 통장 잔액이 200만원 이상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해당 정기예금의 만기일인지를 판단하고(S511), 만기일이 아니면 통장 잔액이 정기예금 계좌에 계속 예치되게 한다.
반면에, S509 판단 또는 S511 판단에서, 통장 잔액이 200만원 미만이거나 현재일이 해당 정기예금의 만기일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해지조건이 만족되었음을 판단하고, 해당 정기예금 계좌를 폐지한 후 통장 잔액을 정기예금 계좌에서 저축예금 계좌로 전환하여 관리한다(즉, 정기예금을 해지한다)(S508).
이때 정기예금의 해지가 정기예금 기간 만기에 따른 해지가 아닌, 통장 잔액부족에 따른 정기예금의 해지인 경우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한 기간을 저축예금에 가입한 기간으로 정정하여 저축예금의 금리가 적용되게 한다. 물론 당업자라면 통장 잔액 부족에 따른 정기예금이 해지된 경우에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된 통장 잔액에 대해 별도의 금리가 적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별도의 금리는 저축예금의 금리보다 높지만 정기예금 금리보다 낮은 금리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저축예금 또는/및 정기예금에 가입되는 중에, 이자 지급일(즉 이자 산출일)이 되면(S513), 통장관리 서버(100)는 DBMS(300)의 저축예금 원장과 정기예금 원장을 확인하여 저축예금과 정기예금 각각에서 통장 잔액을 관리하였던 기간을 산출하고, 각 예금의 금리를 파악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514).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한 이자가 산출되면 산출된 이자를 금융 거래 내역으로 하여 더스텝 종합통장에 반영한다. 즉, 산출된 이자가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에 추가되게 한다(S515).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에 적용되는 금리 산출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은 유지기간에 따라 정기예금의 종류를 복수개로 한 후, 정기예금의 가입을 최대 유지기간의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시키고, 정기예금 해지시 유지기간에 따라 최대의 금리가 적용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정기예금을 1개월 정기예금, 3개월 정기예금, 6개월 정기예금으로 분류되는 "1.3.6 정기 예금"이라 하면, 1.3.6 정기 예금 가입시 6개월 정기예금에 가입시키고, 정기예금이 은행 영업시간을 기준으로 매일의 표면잔액이 항상 자동 가입된 정기 예금 이상일 때 만기 지급한다.
1.3.6 정기 예금은 6개월 정기 예금을 기본 구조로 하고 6개월 이전에 해지되면 1개월, 3개월, 정기 예금 만기이자를 1개월 단위로 끊어 지급한다. 예컨대, 3개월 이전에 해지되면 2개월을 1개월 정기 예금 금리로 지급하며, 5개월 이전에 해지되면 4개월을 3개월 정기 예금 금리로 지급한다.
이때 고객은 신규시 통장잔액의 유지에 따라 자동으로 정기 예금에 가입되는 금액의 종류를 3가지를 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정기 예금은 매월 초일을 기준으로 고객이 정한 3가지 금액 중 표면잔액 내에서 가장 큰 금액으로 6개월 정기 예금으로 자동 가입되며, 고객은 언제나 정기 예금의 시작일을 정할 수 있으나, 시작일을 정할 때 신규 가입된 정기 예금에 한하고 그 정기 예금이 해지된 때는 정기 예금의 시작일은 다시 매월 1일로 환원된다.
일개월 이전에 즉, 일개월 만기 이전에 표면잔액이 가입된 정기 예금 금액에 하루라도 미달되어 중도해지될 경우 익월 1일에 다시 표면잔액 기준으로 고객이 정한 금액 중 가장 큰 금액으로 자동 가입된다.
이전 자동 가입된 정기 예금이 1개월 내에 중도 해지되었을 경우에도 고객이 정한 금액 중 표면잔액을 유지한 경우가 있을 때 다음달 자동 가입된 정기 예금의 1개월 이상 유지되어 만기 해지될 경우에는 만기 해지 달성 보너스로 이전월 달성된 정기 예금 금리를 지급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 제공 방법이 본 발명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과 거의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은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한 정기예금이, 예컨대 3가지 종류(즉, 1개월, 3개월, 6개월 정기예금)가 있으며, 자동으로 6개월 정기예금에 가입되는 것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다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은 정기 예금 해지시(만기 해지 제외)의 금리 산출 방법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다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도 6에 도시된 금리 산출 방법을 S512 과정에 대치시키고, 6개월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되게 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6개월 정기예금에 예치된 상태에서 현재일의 통장 잔액이 설정 금액 미만이면, 정기예금 가입기간을 파악한다(S601).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기간이 5개월 이상이고 6개월 미만이면(S602), 5개월을 3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한다(S603).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기간이 5개월 이상이고 6개월 미만이면(S602), 5개월을 3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한다(S603).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기간이 4개월 이상이고 5개월 미만이면(S604), 4개월을 3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한다(S605).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기간이 3개월 이상이고 4개월 미만이면(S606), 3개월을 3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한다(S607).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기간이 2개월 이상이고 3개월 미만이면(S608), 2개월을 1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한다(S609).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기간이 1개월 이상이고 2개월 미만이면(S610), 1개월을 1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한다(S611).
그리고,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가입기간이 1개월 미만이면 해당 가기입기간을 저축예금의 금리를 적용시킨다(S612).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로 하여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에 부가되는 부가 개념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부가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가 개념은 설정금액을 복수로 지정하고, 지정한 설정금액의 수만큼 정기예금의 종류를 가지며, 각 설정금액의 정기예금은 서로 다른 금리가 적용되게 한다.
이때 설정금액은 고객(20)에 의해 결정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은행사에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설정금액을 복수로 하는 것은 통장 잔액을 높일수록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은행은 1개월, 3개월, 6개월 만기일(유지기간)에 따른 금리(I%, J%, K%, I<J<K)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1개월, 3개월, 6개월 만기일은 은행에서 결정되거나 고객(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객(20)은 단독으로 또는 은행에서 제시한 금액을 통해, 더스텝 종합통장 개설시 복수개, 예컨대 3개의 설정금액-제1 기준금액(예; 100만원), 제2 기준금액(예; 300만원), 제3 기준금액(예; 700만원)-을 결정한다. 이때 설정금액이 가장 낮은 제1 기준금액(예; 100만원)의 정기예금은 3.5%의 금리로 결정되고, 제2 기준금액(예; 300만원)의 정기예금은 4%의 금리로 결정되며, 제3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은 4.5%의 금리로 결정된다.
따라서 각 정기예금에 기준금액에 따른 금리와 만기일에 따른 금리가 더하여져 고객(20)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각각의 금리가 결정 및 설정된 상태에서 부가 개념은 통장 잔액에 따라 가입이 가능한 기준 금액의 정기 예금을 파악하되, 최고 만기일의 정기예금(즉, 6개월 정기예금)에 자동으로 가입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가 개념에 따르면, 정기 예금의 가입은 매월 지정한 날짜에 해당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정기 예금이 가입되어 있지 않거나 이전월 가입된 정기예금 금액보다 더 큰 설정 금액에 해당되었을 때 발생되는 이벤트이고, 정기 예금의 해지는 통장 잔액이 설정 금액 미만이면서 해당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정기 예금이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되는 이벤트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가 개념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복수의 기준금액 중 통장 잔액 이상인 최대의 기준금액을 파악하고, 최대의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시켜 통장 잔액에 따른 최고의 금리가 제공되게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20)이 은행의 영업점에 방문하여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을 요청하며, 영업점 직원은 고객(20)의 요청에 따라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게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을 요청한다(S801).
이때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을 위해 영업점 직원은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작성을 요청하고, 고객(20)은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작성한다. 여기서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에는 정기예금에 대한 복수의 기준금액이 결정되어 기입되고, 정기예금의 종류(1개월 정기예금, 3개월 정기예금, 6개월 정기예금 등)가 결정되어 기입된다(S802).
이에 영업점 직원은 작성된 더스텝 종합통장의 가입신청서를 스캐닝 등으로 이미지 컨텐츠로 만들어 창구 단말(3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또한 영업적 직원은 창구 단말(32)을 통해 더스텝 종합통장을 위한 고객 정보나 기타 정보 등을 통장관리 서버(100)에 제공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에 따라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되는 저축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저축예금 원장을 만들어 DBMS(300)에 등록한다(S803).
더스텝 종합통장이 개설되면, 고객(20)은 저축예금 계좌를 통해 입금 또는 출금, 이체 등을 하게 되고, 금융 레거시 시스템의 계정계 시스템은 이러한 고객(20)의 금융 거래를 처리하여 저축예금 원장에 금융 거래 내역 및 이에 따른 통장 잔액을 산출하여 반영한다(S804).
통장관리 서버(100)는 개설된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하여 매일마다 DBMS(300)에 접속하여 저축계좌에 대응된 고객예금정보를 확인하여 통장 잔액을 확인한다(S805).
통장관리 서버(100)는 S805 과정의 확인을 통해 통장 잔액에 따른 예금계좌 전환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저축예금에 가입(즉, 예치)된 경우를 설명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S805 과정에서 확인한 통장 잔액이 최저 기준금액(예; 300만원)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808).
상기 판단(S806)에서, 통장 잔액이 최저 기준금액인 300만원보다 작으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저축예금 계좌에 계속 예치되게 한다.
반면에, 상기 판단(S806)에서, 통장 잔액이 최저 기준금액인 300만원 이상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을 각 기준 금액과 비교하여 통장 잔액 이상인 최대 기준금액을 파악한다(S807).
통장관리 서버(100)는 최대 기준금액을 파악하면 파악한 최대 기준금액에 대응된 6개월 만기의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한 계좌에 통장 잔액을 대응시켜 관리한다(S809). 이때 정기예금 가입일은 고객이 지정한 일자 또는 익월 초가 된다.
S809 과정의 예를 들면, 최저 기준금액(제1 기준금액)이 300만원, 제2 기준금액이 500만원, 제3 기준금액이 700만원이라 하고, 통장 잔액이 600만원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500만원의 6개월 만기의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
다음으로,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정기예금에 가입(즉, 예치)된 경우를 설명하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S805 과정에서 확인한 통장 잔액이 최소 기준금액(예; 300만원)원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S810).
상기 판단(S810)에서, 통장 잔액이 300만원 이상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해당 정기예금의 만기일인지를 판단하고(S811), 만기일이 아니면 통장 잔액이 정기예금 계좌에 계속 예치되게 한다.
반면에, S810 판단 또는 S811 판단에서, 통장 잔액이 300만원 미만이거나 현재일이 해당 정기예금의 만기일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정기예금 해지조건이 만족되었음을 판단하고, 해당 정기예금 계좌를 폐지한 후 통장 잔액을 정기예금 계좌에서 저축예금 계좌로 전환하여 관리한다(즉, 정기예금을 해지한다)(S812).
이때 정기예금의 해지가 정기예금 기간 만기에 따른 해지가 아닌, 통장 잔액부족에 따른 정기예금의 해지인 경우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한 기간을 저축예금에 가입한 기간으로 정정하여 저축예금의 금리가 적용되게 한다. 물론 당업자라면 통장 잔액 부족에 따른 정기예금이 해지된 경우에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된 통장 잔액에 대해 별도의 금리가 적용되도록 한다. 여기서 별도의 금리는 저축예금의 금리보다 높지만 정기예금 금리보다 낮은 금리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저축예금 또는/및 정기예금에 가입되는 중에, 이자 지급일(즉 이자 산출일)이 되면(S814), 통장관리 서버(100)는 DBMS(300)의 저축예금 원장과 정기예금 원장을 확인하여 저축예금과 정기예금 각각에서 통장 잔액을 관리(예치)하였던 기간을 산출하고, 각 예금의 금리를 파악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815).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한 이자가 산출되면 산출된 이자를 금융 거래 내역으로 하여 더스텝 종합통장에 반영한다. 즉, 산출된 이자가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에 추가되게 한다(S816).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특정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가입되어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통장 잔액이 특정 기준금액을 넘어 특정 기준금액보다 큰 상위 기준금액 이상이면 자동으로 상위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가입되게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특정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가입되어 유지되는 중에 정기예금 해지조건이 되더라도 통장 잔액이 특정 기준금액보다 낮은 하위 기준금액 이상이면 되면 하위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되게 하여 정기예금의 가입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도 9 및 도 9를 참조로 하는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용어를 정의한다.
하위 기준금액은 통장 잔액과 기준금액을 비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기준금액보다 낮은 기준금액이며, 하위 정기예금은 하위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이다.
동일 기준금액은 통장 잔액과 기준금액을 비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기준금액과 동일한 기준금액이며, 동일 정기예금은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 즉, 동일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이다.
상위 기준금액은 통장 잔액과 기준금액을 비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기준금액보다 높은 기준금액이며, 상위 정기예금은 하위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이다.
예컨대, 현재 제1 기준금액(예; 300만원)의 정기예금에 가입된 경우에 동일 기준금액은 제1 기준금액이고, 상위 기준금액은 제2 기준금액(예; 500만원) 또는 제3 기준금액(예; 700만원)이다. 다른 예로, 제2 기준금액(예; 500만원)의 정기예금에 가입된 경우에 동일 기준금액은 제2 기준금액이고, 상위 기준금액은 제3 기준금액(예; 700만원)이며, 하위 기준금액은 제1 기준금액(예; 300만원)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와 유사하나, 복수의 기준 금액을 기준으로 한 통장 잔액에 따른 정기예금 가입 및 해지시의 동작과 이에 따른 금리 산출 방법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기준 금액을 기준으로 한 통장 잔액에 따른 정기예금 가입 및 해지시의 동작과 이에 따른 금리 산출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월초(또는 고객이 지정한 날)에 특정 기준금액 이상이면 특정 기준금액의 정기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기예금 계좌에 통장 잔액을 대응시켜 관리한다(즉,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S901).
이때 가입되는 정기예금은 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개월 수(예; 1개월, 3개월, 6개월 중 하나)의 정기예금이거나, 자동으로 가입되는 6개월 만기의 정기예금이다.
그런 후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한달 동안 동일 기준금액 이상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여 동일 기준금액을 유지하는 경우에(S902), 통장관리 서버(100)는 익월초에 통장 잔액을 확인한 후(S903),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들 중 초과하는(즉, 해당 금액 이상인) 상위 기준금액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904).
만약 S902 과정에서, 한달 중 하루라도 통장 잔액이 동일 기준금액 미만이 되는 경우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동일 정기예금을 해지한 후 통장 잔액이 하위 기준금액을 만족(즉, 이상)하는 경우에 하위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시키고 하위 기준금액을 만족하지 않으면 저축예금의 계좌로 통장 잔액을 대응시켜 관리한다..
한편, 상기 S904 판단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초과(즉, 해당 금액이상)하는 상위 기준금액이 존재하면 현재 가입된 동일 정기예금을 해지한 후 상위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동일 정기예금에서 해지된 통장 잔액을 6개월 만기의 상위 정기예금 계좌에 대응시켜 관리한다(S905).
여기서, S901 과정에서 가입한 정기예금이 S906 과정에서 해지되지만, S901 과정에서 가입한 정기예금이 해지되는 즉시 상위 정기예금에 가입되므로,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한 정기예금은 해지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같게 된다. 결국 S905 과정은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한 정기예금을 해지하는 것이 아니라, 더 좋은 조건의 정기예금으로 옮기는 동작이다.
그러므로, S901 과정에서 가입한 정기예금과 S905 과정에서 가입한 상위 정기예금은 서로 다른 정기예금의 계좌와 원장으로 관리되나, 하나의 정기예금으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하나의 정기예금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2개의 정기예금에 대한 원장에 포함된 운용조건 정보 각각에 2개의 정기예금이 관련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예; 코드, 식별자, 태그 등)을 포함시키며, 이에 따라 통장관리 서버(100)가 상기 정보를 확인하여 하나의 정기예금과 같이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통장 잔액이 상위 정기예금에 가입된 상태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매일 통장 잔액을 확인하고(S906), 확인한 통장 잔액이 동일 기준금액(즉, 현재 가입된 상위 정기예금의 기준금액)미만인지를 판단한다(S907).
상기 S907의 판단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동일 기준금액 이상이면 현재일이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만기일인지를 확인한다(S908).
상기 확인 과정(S908)의 결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만기일이 아니면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 이상인지를 확인한다(S904).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 이상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S905 과정과 S906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S909 과정에서 S904 과정으로 리턴하는 과정은 설정된 기준금액의 수가 한정적이므로,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기준금액이 가장 높은 기준금액이면 더 이상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상기 확인 과정(S908)의 결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만기일이면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을 해지한다(S909).
그런 다음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 가입된 6개월 정기예금에 대하여 6개월치의 이자를 산출하고, S901 과정에서 가입한 정기예금에 대하여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된 개월수에 대응하는 이자를 산출하여, 산출한 두 정기예금의 이자를 합산한다(S910).
다시 S907 과정으로 돌아가서, 상기 S908의 판단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동일 기준금액 미만이면 통장 잔액이 하위 기준금액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911).
이 판단(S911)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하위 기준금액 미만이 아니면 즉, 만족하는 하위 기준금액이 있으면 동일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이자를 산출한 후(S912), 하위 정기예금 계좌를 생성하여 통장 잔액을 하위 정기예금 계좌에 대응시켜 관리한다(S913).
그리고 상기 판단(S911)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하위 기준금액 미만이면 동일 정기예금을 해지한 후(S914), 동일 정기예금 유지기간과 동일 정기예금의 금리를 파악하여 이자를 산출하고 S901 과정에서 가입한 정기예금에 대하여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된 개월수에 대응하는 이자를 산출하며, 산출한 두 정기예금의 이자를 합산한다(S915).
통장관리 서버(100)는 S910 과정에서 산출한 이자 또는 S916 과정에서 산출한 이자를 더스텝 종합통장의 통장잔액에 반영한다(S916).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장 잔액이 변동되어 하나의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서 다른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으로 전환되는 경우에 전환 후의 정기예금이 해지된 경우에 전환 전 정기예금 및 전환 후 정기예금에 대한 이자를 같이 산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환 전 정기예금 및 전환 후 정기예금 각각의 정기예금 해지 시점에서 즉시 이자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10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에 평잔(더스텝 종합통장의 평균 잔액)을 도입하여 만기 해지되지 않은 정기예금에게 보다 많은 개월수로 정기예금 금리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고객(20)의 더스텝 종합통장(10)에 대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기준금액 즉, 제1 기준금액(300만원), 제2 기준금액(500만원), 제3 기준금액(700)만원 및 이에 대응되는 3개의 정기예금이 결정되어 있다고 한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0을 참조로 하는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 기준금액, 상위 기준금액, 상위 정기예금은 전술한 도 9를 참조로 한 설명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월초(또는 고객이 지정한 날)에 설정된 복수의 기준금액 중 하나의 기준금액(이하에서는 제1 기준금액(300만원)을 초과(즉, 300만원 이상)하면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즉, 제2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2 정기예금 계좌에 통장 잔액을 대응시켜 관리한다 (S1001).
이때 가입되는 제1 정기예금은 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개월 수(예; 1개월, 3개월, 6개월 중 하나)의 정기예금이거나, 자동으로 가입되는 6개월 만기의 정기예금이다.
그런 후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한달 동안 제1 기준금액 이상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여 제1 기준금액을 유지하는 경우에(S1002), 통장관리 서버(100)는 익월초에 통장 잔액을 확인한 후(S1003),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04).
상기 S1004 판단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제2 기준금액 이상이면 제1 정기예금을 해지한 후 익월초에 제2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즉, 제2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통장 잔액을 제2 정기예금 계좌에 대응시켜 관리한다(S1005). 상기 S1005 과정은 전술한 S905 과정과 동일한 처리를 통해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과 제2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이 하나의 정기예금처럼 통장관리 서버(100)가 처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S1004과정 및 S1005 과정에서 통장 잔액이 제3 기준금액(700만원) 이상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제2 정기예금이 아닌 제3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의 계좌에 대응하여 통장잔액을 관리한다.
이렇게 통장 잔액이 제2 정기예금에 가입된 상태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매일 통장 잔액을 확인하고(S1006), 확인한 통장 잔액이 현재 가입된 제2 정기예금의 제2 기준금액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007).
상기 S1007의 판단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동일 기준금액 이상이면 현재일이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만기일인지를 확인한다(S1008).
상기 확인 과정(S1008)의 결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만기일이 아니면 S1006 과정으로 리턴하여 계속해서 매일(현재일)마다 통장 잔액을 확인하게 하며, 이러한 S1006 과정으로의 리턴은 기준금액의 수가 한정적이므로,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기준금액이 가장 높은 기준금액이면 더 이상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상기 확인 과정(S1008)의 결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만기일이면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을 해지한다(S1009).
그런 다음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 가입된 6개월의 제2 정기예금에 대하여 6개월치의 이자를 산출하고, S1001 과정에서 가입한 제1 정기예금에 대하여 해당 정기예금에 가입된 개월수에 대응하는 이자를 산출하여, 산출한 두 정기예금의 이자를 합산한다(S1010).
다시 S1007 과정으로 돌아가서, 상기 S1007의 판단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제2 기준금액 미만이면 제2 정기예금을 해지한다(S1011).
그런 다음 통장관리 서버(100)는 해지된 제2 정기예금의 금리가 적용될 기간(즉, 개월치)를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제2 정기예금이 해지된 해당 월의 말일을 기준으로 해당 월의 평잔(즉, 평균잔액)을 파악하고, 파악한 평잔을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한다(S1012).
이 비교에서 평잔이 설정치보다 크면, 제2 정기예금이 해지된 해당 월을 제2 정기예금을 유지한 기간으로 인정하여 이자를 산출한다. 예컨대, 제2 정기예금이 해지된 해당월을 제2 정기예금의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하고(S1014), 제1 및 제2 정기예금이 유지된 기간(개월수)에 제1 정기예금의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015).
반면에, 상기 비교(S1012)에서 평잔이 설정치보다 작으면 제1 정기예금의 유지기간 및 제2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을 파악한 후(S1016). 제1 및 제2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에 제1 정기예금의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하고(S1017), (제1 기준금액-제2 기준금액)의 차에 해당하는 금액을 1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018).
여기서, 평잔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 (제1 및 제2 정기예금 유지기간 +1개월)에 정기예금의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할 수 있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제2 정기예금의 해지에 따른 이자가 산출하면(S1014와 S1015 및 S1017와 S1018), 산출된 이자를 더하여 더스텝 종합통장에 반영한다(S1019, S1020).
여기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들어본다.
구체적인 예는 고객이 금액을 300만원, 500만원, 700만원과 같이 3가지를 정하였 경우이다.
고객이 1월 1일 500만원 정기 예금에 자동가입된 후, 2월 1일 표면잔액이 800만원이 되면 700만원 정기 예금에 자동가입되며, 3월 20일 표면잔액이 700만원 미만이 되고 3월말일 기준으로 은행에서 정한 평균잔액에 미달되면 이자가 계산된다.
이때, 이자 계산은, 1월 1일부터 2월 말까지 500만원은 1개월 정기 예금 금리로 2개월 지급하고, 2월 1일부터 2월 말까지는 200만원을 1개월 정기 예금 금리로 지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정기예금이 1개월 내에 해지되는 경우에 평잔을 도입하여 1개월에 대한 만기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게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설정금액 이상임에 따라 해당 설정금액의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S1101).
그런 다음 통장관리 서버(100)는 매일마다 통장 잔액을 확인하고(S1102), 통장 잔액이 설정금액 미만이 되는지를 판단한다(S1103).
상기 판단(S1103)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설정금액보다 작으면 해당 정기예금을 해지시킨 후(S1104),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1개월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105).
만약 1 개월 이상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1개월에 대해 해당 정기예금의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106).
반면에, 1개월 미만이면 통장관리 서버(100)는 해당 정기예금이 해지된 해당 월의 말일을 기준으로 통장 잔액에 대한 평잔을 산출하고 평잔이 비교금액(예; 설정금액의 2배)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1107).
상기 판단(S1107)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평잔이 비교금액보다 작으면 해당월의 통장잔액에 대해 저축예금의 금리를 적용하고(S1108), 평잔이 비교금액보다 크면 설정금액의 1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109).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정기 예금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을 만기일까지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정기예금 유지기간에 따라 금리를 차등적으로 지급한 후 익월초에 다시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장관리 서버(100)는 고객의 요청 또는, 통장 잔액에 따라 특정 기준금액(예; 제1 기준금액이라 한다)의 6개월 정기예금에 통장 잔액을 가입시키고(S1201), 매일마다 통장 잔액을 확인한다(S1202).
그리고 통장관리 서버(100)는 확인한 통장 잔액을 제1 기준금액 미만인지를 판단하고(S1203), 통장 잔액이 제1 기준금액 미만인 경우에 해당 6개월 정기예금(또는 3개월 정기예금도 가능)을 해지한다(S1204).
통장관리 서버(100)는 6개월 정기예금이 만기일 전에 해지되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을 파악한다(S1205).
상기 파악(S1205)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1개월 미만이라고 판단하면(S1206), 저축예금의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207).
상기 파악(S1205)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2개월 미만이라고 판단하면(S1208), 1개월에 대해 1개월 만기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209).
상기 파악(S1205)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3개월 미만이라고 판단하면(S1210), 2개월에 대해 1개월 만기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211).
상기 파악(S1205)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4개월 미만이라고 판단하면(S1212), 3개월에 대해 2개월 만기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213).
상기 파악(S1205)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5개월 미만이라고 판단하면(S1214), 4개월에 대해 3개월 만기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215).
상기 파악(S1205)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6개월 미만이라고 판단하면(S1216), 5개월에 대해 3개월 만기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217).
물론,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해 해당 정기예금의 유지기간이 6개월을 초과하여 만기일을 만족하는 경우에 6개월에 대해 6개월 만기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한다(S1218).
한편, 통장관리 서버(100)는 해당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이자를 산출한 후에 해당 정기예금이 해지된 익월초에 다시 제1 기준금액의 6개월 정기예금에 자동가입되게 한다(S1219).
여기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구제적인 예는 2009년 5월 1일 고객이 금액을 300만원, 500만원, 1000만원으로 정하고, 1000만원 정기 예금에 가입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첫번째 예로, 2009년 6월 20일에 표면잔액이 1000만원 미만으로 되었을 시 2009년 5월 30일까지의 1개월 만기이자로 지급되고, 7월 1일에 다시 자동 가입시킨다.
두번째 예로, 2009년 8월 10일 표면잔액이 1000만원 미만으로 되었을 시 2009년 7월 30일 3개월 만기 이자 지급후 9월 1일에 자동 가입시킨다.
세번째 예로, 2009년 10월 10일 표면잔액이 1000만원 미만으로 되었을 시 2009년 9월 30일까지는 3월 정기 예금 금리로 지급하고, 2009년 11월 1일 6개월 정기 예금 금리로 자동 가입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는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대한 변형은 6개월 300만원 신규 자동 가입되었는데, 익월 표면잔액이 500만원이면 1개월 300만원 만기금리로 이자를 지급하고, 익월 1일 500만원 신규 정기 예금으로 신규 가입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1월 1일 500만원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된 후, 1월 말에 500만원 정기예금이 달성되지 못하고 은행이 정한 평잔에도 못 미쳐 중도 해지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통장 잔액이 300만원 이상을 유지한 경우라면 다음달 자동 신규된 정기예금이 만기로 유지되면 500만원 정기예금에 대해 300만원에 대한 1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하게 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1월 1일 500만원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된 후, 1월 말에 500만원 정기예금이 달성되지 못하고 은행이 정한 평잔에도 못 미쳐 중도 해지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통장 잔액이 300만원 이상을 유지한 경우라면 이전달에 가입한 정기예금의 기준금액이 300만원이상이고 1개월 이상 유지된 경우이면 500만원 정기예금에 대하여 300만원에 대한 1개월 정기예금 금리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특정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가입되어 유지되는 상태에서도 통장 잔액이 특정 기준금액을 넘어 특정 기준금액보다 큰 상위 기준금액 이상이면 자동으로 현재 가입된 특정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을 유지한 채, 상위 기준금액과 특정 기준금액의 차에 해당하는 정기예금에 가입되게 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는 제1 내지 제3 실시 예와 유사하나, 복수의 기준 금액을 기준으로 한 통장 잔액에 따른 정기예금 가입 및 해지시의 동작과 이에 따른 금리 산출 방법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기준 금액을 기준으로 한 통장 잔액에 따른 정기예금 가입 및 해지시의 동작과 이에 따른 금리 산출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통장관리 서버(100)는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이 월초(또는 고객이 지정한 날)에 특정 기준금액(예; 제1 기준금액) 이상이면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생성한 정기예금 계좌에 통장 잔액을 대응시켜 관리한다(즉,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가입시킨다)(S1301).
이때 가입되는 정기예금은 가입자에 의해 지정된 개월 수(예; 1개월, 3개월, 6개월 중 하나)의 정기예금이거나, 자동으로 가입되는 6개월 만기의 정기예금이다.
그런 후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한달 동안 제1 기준금액 이상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하여 제1 기준금액을 유지하는 경우에(S1302), 통장관리 서버(100)는 익월초에 통장 잔액을 확인한 후(S1303),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즉, 제2 기준금액, 제3 기준금액) 중 초과(즉, 해당금액 이상)하는 상위 기준금액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04).
만약 S132 과정에서, 한달 중 하루라도 통장 잔액이 동일 기준금액 미만이 되는 경우에, 통장관리 서버(100)는 동일 정기예금을 해지한 후 통장 잔액이 하위 기준금액을 만족하는 경우에 하위 정기예금에 자동 가입시키고 하위 기준금액을 만족하지 않으면 저축예금의 계좌로 통장 잔액을 대응시켜 관리한다.
한편, 상기 S1304 판단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초과(즉, 해당금액 이상)하는 상위 기준금액이 존재하면 현재 가입된 제1 정기예금을 유지한 채(S1305), 상위 정기예금의 계좌를 생성하여 제1 정기예금과의 차액을 6개월 만기의 상위 정기예금 계좌에 대응시켜 관리한다(S1306).
예컨대, 제1 기준금액이 100만원이고, 제2 기준금액이 300만원이며, 제3 기준금액이 500만원이라고 하고, 익월초 통장 잔액이 400만원이면 S1306 과정은 정기예금의 가입이 가능한 상위 기준금액이 제2 기준금액이므로, 동일 정기예금이 유지된 채 제2 기준금액과 제1 기준금액의 차인 200 만원의 정기예금에 가입된다.
이때 각각 가입한 정기예금(동일 정기예금 및 상위 정기예금)은 서로 다른 정기예금의 계좌와 원장으로 관리되며, 각각의 정기예금은 각각의 기준금액과 연관되어 예금잔액이 기준금액 이상으로 유지될 때 각각의 정기예금 계좌로 유지된다.
이렇게 통장 잔액에 따라 자동으로 만들어진 상태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매일 통장 잔액을 확인하고(S1307), 확인한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308).
S1308의 판단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 이상이면 현재일이 현재 가입된 정기예금의 만기일인지를 확인한다(S1309).
상기 확인 과정(S1309)의 결과로, 통장관리 서버(100)는 현재일이 만기일이 아니면 S1307로 리턴하여 계속해서 매일마다 통장 잔액을 확인하고, 현재일이 만기일이면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과 상위 기준금액의 정기예금 모두를 해지한다(S1310).
그런 다음 통장관리 서버(100)는 해지한 2개의 정기예금 중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대해 만기 금리를 적용하고, 상위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에 대해서는 차액에 따라 결정된 만기 금리를 적용하여 2개의 정기예금에 대한 이자를 산출하고 합산한다(S1311).
다시 S1308 과정으로 돌아가서, 상기 S1308의 판단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상위 기준금액 미만 통장 잔액이 제1 기준금액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1312).
이 판단(S1312)을 통해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제1 기준금액 미만이 아니면 즉, 제1 기준금액 이상이면 상위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은 그대로 유지시킨다(S1313).
반면에, 상기 판단(S1312)에서 통장관리 서버(100)는 통장 잔액이 제1 기준금액 미만이면 상위 정기예금과 제1 기준금액의 정기예금을 해지하고(S1314), 2개의 정기예금 각각의 유지기간을 파악한 후 파악한 유지기간에 따른 금리를 적용하여 이자를 산출하고 합산한다(S1315).
통장관리 서버(100)는 S1311 과정 또는 S1315 과정에서 산출한 이자를 더스텝 종합통장의 통장잔액에 반영한다(S1316).
전술한 본 발명의 각 실시 예는 당업자 수준에서 용이하게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실시 예가 조합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조합은 전술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설명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 또는 예측할 수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 : 고객 100 : 통장관리 서버
200 : 전자문서 서버 300: DBMS
400 : 전자문서 DB 500 : 뱅킹서버
200 : 전자문서 서버 300: DBMS
400 : 전자문서 DB 500 : 뱅킹서버
Claims (23)
- 금융기관의 금융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금융시스템의 통장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된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설정금액의 정보를 포함-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요구불 예금을 개설하여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통장관리 서버가 현재일마다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확인하고 확인한 잔액을 상기 설정금액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금액 이상인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잔액이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 중이면 특정일에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정기 예금을 개설하여 상기 잔액을 상기 설정금액의 상기 정기 예금에 가입하여 관리하고, 상기 잔액이 상기 정기 예금에 가입된 상태이면 계속해서 상기 정기 예금을 유지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설정금액 미만인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잔액이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 중이면 계속해서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고, 상기 잔액이 상기 정기 예금에 가입된 상태이면 상기 정기 예금을 해지한 후 상기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정기 예금을 해지한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해지한 정기 예금의 가입에서 해지까지의 유지기간을 파악하여 상기 유지기간에 대응하는 설정 금리를 적용하여 상기 설정금액에 대한 제1 이자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이자를 지급하는 설정일에, 상기 잔액이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된 기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상기 요구불 예금의 금리를 이용하여 상기 잔액에 대한 제2 이자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이자에 상기 제1 이자를 합산하여 최종 이자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요구불 예금은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하나의 계좌로 관리되며, 상기 정기 예금은 가입시마다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새로 생성된 하나의 계좌로 관리되고 상기 해지시에 상기 생성된 계좌가 폐지되며,
상기 요구불 예금과 상기 정기 예금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장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금융시스템에 포함된 원장 DB에 원장 정보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기 예금은 N 개월 만기의 정기예금이며,
상기 (e) 단계는 상기 N 개월 이전에 상기 정기 예금이 해지되는 경우에 상기 정기 예금의 유지기간이 설정된 K(K<N) 개월 이상이면 설정된 K 개월 만기의 금리를 상기 정기 예금의 금리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정기 예금의 유지기간이 1개월 미만이면 상기 정기 예금의 유지기간 동안 평균잔액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잔액이 설정된 평잔비교금액 이상인 경우에 1개월 만기 금리를 상기 정기 예금의 금리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일은 고객이 지정한 날짜 또는 익월 초이되,
상기 고객이 저장한 날짜는 처음 생성되는 정기 예금에 적용되고, 추후 생성되는 정기 예금에 대해서는 상기 익월 초가 상기 특정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금융기관의 금융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금융시스템의 통장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송된 더스텝 종합통장의 개설 요청-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요구불 예금을 개설하여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b) 상기 통장관리 서버가 현재일마다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의 잔액을 확인하고 확인한 잔액을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금액 이상인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잔액이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 중이면 특정일에 상기 잔액 미만의 기준금액 중 최대 기준금액(이하 "제1 기준금액"이라 함)의 제1 정기 예금을 생성하고 상기 잔액을 상기 제1 정기 예금에 가입하여 관리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복수의 기준 금액 중 하나의 기준금액 이상인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잔액을 상기 하나의 기준금액의 정기 예금에 가입하여 관리 중이면 상기 잔액을 계속해서 상기 정기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e)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 중 최소 기준금액 미만인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잔액이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 중이면 상기 잔액을 계속해서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f) 상기 (b) 단계의 비교에서 상기 잔액이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 중 최소 기준금액 미만인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잔액을 제2 기준금액의 제2 정기 예금으로 관리 중이면 상기 제2 정기 예금을 해지한 후 상기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제2 정기 예금을 해지한 경우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가입에서 해지까지의 유지기간을 파악하고 상기 유지기간에 대응하는 설정 금리를 적용하여 상기 제2 기준금액에 대한 제1 이자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h)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이자를 지급하는 설정일에,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잔액이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된 기간을 기준으로 설정된 상기 요구불 예금의 금리를 이용하여 상기 잔액에 대한 제2 이자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이자에 상기 제1 이자를 합산하여 최종 이자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요구불 예금은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된 하나의 계좌로 관리되며, 상기 정기 예금은 가입시마다 상기 더스텝 종합통장에 대응하여 새로 생성된 하나의 계좌로 관리되고 상기 해지시에 상기 생성된 계좌가 폐지되며,
상기 요구불 예금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및 제2 정기 예금에 대한 정보는 상기 통장관리 서버에 의해 상기 금융시스템에 포함된 원장 DB에 원장 정보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기 예금은 N 개월 만기의 정기예금이며,
상기 (g) 단계는 상기 N 개월 이전에 상기 제2 정기 예금이 해지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유지기간이 설정된 K(K<N) 개월 이상이면 설정된 K 개월 만기의 금리를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금리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유지기간이 1개월 미만이면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유지기간 동안 평균잔액을 산출하고, 산출한 평균잔액이 설정된 평잔비교금액 이상인 경우에 1개월 만기 금리를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금리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산출한 평균잔액이 상기 평잔비교금액 미만인 경우에,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잔액이 상기 제1 기준금액보다 작은 기준금액 중 하나 이상을 유지하였다면 상기 유지한 기준금액 중 가장 큰 기준금액의 1개월 만기금리를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금리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산출한 평균잔액이 상기 평잔비교금액 미만인 경우에, 전월 정기예금의 기준금액이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크고 상기 전월 정기예금을 1개월 유지하였으며,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잔액을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유지하였다면 상기 유지한 기준금액 중 가장 큰 기준금액의 1개월 만기금리를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금리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상기 산출한 평균잔액이 상기 평잔비교금액 미만인 경우에, 익월 정기예금의 기준금액이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크고 상기 익월 정기예금을 1개월 유지하였으며,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잔액을 상기 복수의 기준금액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금액 이상을 유지하였다면 상기 유지한 기준금액 중 가장 큰 기준금액의 1개월 만기금리를 상기 제2 정기 예금의 금리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일은 고객이 지정한 날짜 또는 익월 초이되,
상기 고객이 저장한 날짜는 처음 생성되는 정기 예금에 적용되고, 추후 생성되는 정기 예금에 대해서는 상기 익월 초가 상기 특정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i) 현재일이 월초이고 상기 제2 정기 예금에 적어도 1개월 이상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잔액이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큰 제3 기준금액 이상이면 상기 제2 정기 예금을 유지한 채, 상기 잔액을 상기 제2 기준금액과 상기 제3 기준금액 간 차이의 제3 정기 예금에 가입시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j) 상기 제2 정기 예금 및 상기 제3 정기 예금에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잔액이 상기 제3 기준금액보다 작고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크면 상기 제3 정기 예금을 해지하고 상기 제2 정기 예금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k) 상기 제2 정기 예금 및 상기 제3 정기 예금에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잔액이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제2 정기 예금 및 제3 정기 예금을 해지하고 상기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l) 현재일이 월초이고 상기 제2 정기 예금에 적어도 1개월 이상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잔액이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큰 제3 기준금액 이상이면 상기 제2 정기 예금을 해지한 후 상기 잔액을 상기 제3 기준금액의 제4 정기 예금에 가입시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j) 상기 제4 정기 예금에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잔액이 상기 제3 기준금액보다 작고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크면 상기 제4 정기 예금을 해지한 후 상기 잔액을 상기 제2 정기 예금에 가입시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k) 상기 제4 정기 예금에 가입된 상태에서, 상기 통장관리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확인한 잔액이 상기 제2 기준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제4 정기 예금을 해지하고 상기 잔액을 상기 요구불 예금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119301 | 2009-12-03 | ||
KR1020090119301 | 2009-12-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1782B1 true KR100981782B1 (ko) | 2010-09-10 |
Family
ID=4301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0893A KR100981782B1 (ko) | 2009-12-03 | 2010-03-09 |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178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162B1 (ko) * | 2011-11-16 | 2014-06-09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금융 서버 및 금융 서비스 방법 |
KR101409862B1 (ko) * | 2012-04-26 | 2014-06-20 | 주식회사 신한은행 | 적금과 결합된 예금상품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111B1 (ko) | 2003-07-25 | 2007-11-19 | (주)개미집소프트 | 리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증권투자 관리시스템 |
KR20090023444A (ko) * | 2009-01-28 | 2009-03-04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계좌 운용 시스템 |
-
2010
- 2010-03-09 KR KR1020100020893A patent/KR10098178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7111B1 (ko) | 2003-07-25 | 2007-11-19 | (주)개미집소프트 | 리스크 관리 기능을 가진 증권투자 관리시스템 |
KR20090023444A (ko) * | 2009-01-28 | 2009-03-04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계좌 운용 시스템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우리은행상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162B1 (ko) * | 2011-11-16 | 2014-06-09 | 주식회사 신한은행 | 금융 서버 및 금융 서비스 방법 |
KR101409862B1 (ko) * | 2012-04-26 | 2014-06-20 | 주식회사 신한은행 | 적금과 결합된 예금상품의 운용 방법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47529B2 (en) | Method and system of check presentation | |
US20050240526A1 (en) | Automated financial service system | |
US20030132282A1 (en) | Point-of-transaction machine with improved versatility and related method | |
JP5292646B2 (ja) | 預金口座に対する入出金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CA2557137A1 (en) | System and methods for transaction processing | |
US20150161725A1 (en) | Moving a financial account from one enterprise to another | |
KR101070454B1 (ko) |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 |
KR20160078933A (ko) | 통장 잔액을 기반으로 한 예금 서비스 방법 | |
KR100981782B1 (ko) | 잔액 기반의 예금 전환 서비스 방법 | |
KR20120134496A (ko) | 마이너스 대출기반 정기예금 운용방법 | |
JP2002183445A (ja) |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カード利用代金決済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 |
US20030041024A1 (en) | System for managing inter-company settlement and the method therefor | |
KR101497627B1 (ko) | 세금 관련 금융 서비스 서버 및 이와 연계된 세금 정보 서비스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한 세금 관련 금융 상품의 운용 방법 | |
KR20150094571A (ko) | 통장 잔액을 기반으로 한 예금 서비스 방법 | |
KR100725465B1 (ko) |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 |
EP2355029A1 (en) | Electronic clearing and payment system | |
US20130046682A1 (en) | Electronic clearing and payment system | |
JP2002207952A (ja) | 仮受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仮受金管理方法 | |
WO2023063017A1 (ja) | 決済支援システム | |
KR20180067387A (ko) | 요구불예금의 잔액을 이용한 이자 제공 서비스 방법 | |
KR20050076417A (ko) |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서비스 방법 | |
KR20090023436A (ko) | 자산관리 방법 | |
KR20040093340A (ko) | 온라인 환경의 지로요금 납부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722874B1 (ko) | 수수료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금융 자동화 기기 | |
JP2018097873A (ja) | 要求払預金の残額を利用した利子提供サービス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