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5465B1 -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5465B1
KR100725465B1 KR1020050092517A KR20050092517A KR100725465B1 KR 100725465 B1 KR100725465 B1 KR 100725465B1 KR 1020050092517 A KR1020050092517 A KR 1020050092517A KR 20050092517 A KR20050092517 A KR 20050092517A KR 100725465 B1 KR100725465 B1 KR 10072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currency
deposit
account
paym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2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7212A (ko
Inventor
이용종
황성구
송종섭
이규원
윤태웅
김형우
강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050092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5465B1/ko
Publication of KR20070037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7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의 외화 예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에 사용되는 유동성 예치 통화 대상의 고객의 외화를 은행의 단일한 외화 계좌에 적어도 2 건 이상 다중으로 입금하고, 각각의 입금 건에 대하여 외화 정기 예금을 설정하되 그 만기일을 고객이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에 해당 외화 정기 예금 계좌에 입금된 외화를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중, 외화, 정기 예금, 시스템, 송금, 수입 결제

Description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Foreign currency deposit system being capable of multiple fixed foreign currency deposit}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화 예금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화 예금 시스템의 구성도,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화 예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도 3 은 본 발명 외화 예금 방법에 따라서 외화 예금 계좌를 설정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 외화 예금 방법에 따라서 설정된 외화 예금 계좌를 모계좌로 하는 외화 정기 예금을 설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거래 단말기
20; 인트라넷
30; 외화 예금 관리서버
31; 고객 데이터베이스 32; 계좌 데이터베이스
33; 송금 데이터베이스 34; 수입 결제 데이터베이스
40; 외화 송금 모듈
50; 수입 결제 모듈
본 발명은 은행의 외화 예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에 사용되는 유동성 예치 통화 대상의 고객의 외화를 은행의 단일한 외화 계좌에 적어도 2 건 이상 다중으로 입금하고, 각각의 입금 건에 대하여 외화 정기 예금을 설정하되 그 만기일을 고객이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에 해당 외화 정기 예금 계좌에 입금된 외화를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외화 예금이란 원화 또는 다양한 통화의 외화를 특정 대상의 외화로 환전하여 이체시키는 예금을 가리킨다.
이러한 외화 예금은 자산 운용 차원에서 외화 자산에 투자하려는 고객과, 해외 유학, 여행, 이민 등 소정 목적에 대비하여 일정기간 운용하고 외화 필요 시기에 맞추어 해외로 송금하고자 하는 고객과, 외화 자금을 물품의 수입 결제 기일에 맞추어 수입 결제 처리하고자 하는 수입 업체와, 빈번하게 발생하는 해외 비용을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송금하고자하는 수출 업체 등에 필요한 금융 상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외화 예금은 수시로 외화의 입출금이 일어나는 유동성 외 화 예금인 외화 보통 예금과, 만기일을 지정하여 소정 기간 동안 고정적으로 예금되는 정기성 외화 예금인 외화 정기 예금으로 나뉠 수 있다.
이중 상기 정기성 외화 예금에 있어서, 종래 외화 정기 예금은 하나의 정기 예금 계좌에 관하여 한 건의 정기 예금 만이 가능하므로, 기 개설한 외화 정기 예금 계좌를 가진 고객이 또 다른 한 건의 신규 외화 정기 예금을 개설할 경우 해당 필요 서류를 다시 준비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해당 통화(예를 들어 미국의 달러화, 일본의 엔화, 유럽의 유로화 등)에 따라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 계좌를 개설하여야 하였으므로 다른 통화로 외화 정기 예금을 개설하려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 서류의 준비 과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시로 외화의 입출금이 일어나는 유동성 외화 예금이라 하더라도, 송금할 필요 시기 또는 수입 결제할 기일이 될 때까지는 외화 예금 계좌에 잔액으로 남아있게 되는데, 이는 정기 예금보다는 저금리이어서 고객의 자산 관리상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유동성 외화 예금의 해외 송금 시기 또는 수입 결제의 기일은 하루중에는 오후 시간대, 월중에는 월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서, 고객이 업무 처리를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이 증가되어 불편을 주게 됨은 물론, 전산망 등 관련 자원의 부하가 늘어나 업무 처리 시간도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일한 외화 정기 예금 계좌에 관하여 적어도 2 건 이상의 외화 정기 예금을 설정하여 각각 다른 통화의 외화를 함께 입금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의 자산 사용의 극대화 및 적시성을 제고시키고,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외화 정기 예금 계좌로부터 해당 필요 시기에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하는 부가서비스를 접목시킴으로써 고객의 편의성 증대와 은행의 관련 자원의 활용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외화 정기 예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에 사용되는 유동성 예치 통화 대상의 고객의 외화를 은행의 단일한 외화 계좌에 적어도 2 건 이상 다중으로 입금하고, 각각의 입금 건에 대하여 외화 정기 예금을 설정하되 그 만기일을 고객이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에 해당 외화 정기 예금 계좌에 입금된 외화를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화 예금의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화 예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외화 예금은 은행 고객의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에 사용되는 유동성 예치 통화 대상의 외화를 통화의 종류와 상관없이 은행의 단일 외화 계좌에 적어도 2 건 이상 다중으로 입금시킬 수 있도록 하되, 각각의 입금 건에 대하여 고객이 그 만기일을 임의로 지정하여 외화 정기 예금을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1 의 개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개의 단일한 외화 예금 계좌를 모계좌로하여 이 모계좌의 만기일 기간내에서 순차적으로 입금된 외화 입금건 별로 만기일을 각각 지정하여 이를 외화 정기 예금으로 설정하되, 그 만기일을 고객의 해외 송금 시기 또는 수입 결제의 시기에 맞추어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부가서비스도 함께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면의 예는 단일한 외화 정기 예금 모계좌에 2005. 8. 11 일자 입금액 US$ 10,000 을 고객의 요청에 의하여 만기일을 1 개월 후로 지정한 외화 정기 예금으로 설정하고 만기일인 1 개월 후에 은행의 송금 전산망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이 되도록 한 것이며, 연이어 순차적으로 입금된 2005. 8. 16 자 입금액 JPY 500,000 을 만기일을 45 일로 지정하여 외화 정기 예금으로 설정하고 만기일인 45 일후 은행의 수입 결제 전산망과 연동하여 고객의 수입 대금의 결제를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2005. 9. 8 일자 입금액 EUR 10,000 및 2005. 9. 12 일자 입금액 GBP 5,000 과 같이 만기일을 해외 자동 송금 또는 수입 자동 결제와 같은 부가서비스와 연동하지 아니한 채 순수한 외화 정기 예금으로만 설정하여도 되며, 이러한 경우 만기일이 되면 예치된 원금의 상환 및 그 기간 동안의 이자 지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객은 상기와 같이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동성 외화 자금에 대하여 단일한 외화 계좌에 대상 통화에 상관없이 예금의 만기일을 고객의 선택에 의하여 자유롭게 지정하여 외화 보통 예금보다 비교적 높은 금리의 이자가 지급되는 외화 정기 예금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고객의 필요에 따라서 모계좌의 기간 내에서 자유롭게 필요한 금액 만큼 입금할 수 있는 적립식 예금의 장점도 아울러 겸비할 수 있게 되므로, 종래의 외화 보통 예금과 비교하여 고객의 자산 관리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고객의 정보 변경이 없는 한 모계좌 설정시 최초 제출되는 서류로서 상기와 같은 다중 외화 입금건에 대한 외화 정기 예금을 단일한 모계좌 내에서 자유롭게 입금시킴으로써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각종 필요 서류의 제출이 간소화되고,
또한, 고객의 해외 송금일 또는 수입 결제의 기일을 그 만기일로서 지정하여 그 만기일에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할 수 있으므로 고객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해외 송금이나 수입 결제 등의 외환 업무가 하루중 오후, 월중에는 월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는데 본 발명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외환 업무를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 당일 오전이나 월초에 수입 결제함으로써 은행은 전산망 등 관련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은행은 단일한 모계좌에 설정될 수 있는 외화 정기 예금의 건수를 특정 갯수의 건으로서 제한하거나 설정된 외화 정기 예금의 가입 기간 등을 별도로 제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한 모계좌를 통하여 설정되는 외화 정기 예금의 건수를 50 회로 제한하고, 설정된 외화 정기 예금의 가입 기간은 1 개 월 이상 24 개월 이하에서 일(日) 단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예금 가능 통화는 이율 고시 통화로 제한하였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은행의 외화 예금 시스템은, 은행 기간망인 인트라넷(20)을 통하여 외화 예금 관련 요청 정보를 입력하는 금융거래용 거래 단말기(10)와,
상기 인트라넷(20)과 연결되며 상기 거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된 외화 예금 관련 요청 정보에 따라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에 사용되는 유동성 예치 통화 대상의 고객의 외화를 이체할 외화 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이체할 외화를 이체 조건에 의하여 적립 대상의 외화로 환전하여 상기 외화 예금 계좌에 이체시키고,
상기 외화 예금 계좌를 모계좌로 하고 고객이 만기일을 지정한 외화 정기 예금을 적어도 2 건 이상 상기 외화 예금 계좌에 설정하는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와,
상기 외화 예금 관리서버(300)에서 처리된 정보가 종류별로 저장되고 유지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31,32,33,34)와,
상기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와 연동되어 해외 송금이나 수입 결제 처리의 부가서비스를 처리하는 외화 송금 모듈(40)과 수입 결제 모듈(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고객의 유동성 예금에 대한 외화 환전의 이체 조건을 설정하여 외화 예금의 계좌 생성시 이 를 적용하는데, 상기 이체 조건으로서 예금 과목, 고객 대상, 만기일, 예금 통화, 예금 금액의 제한 금액, 적용 금리, 분할 해지 조건, 외화 정기 예금의 최대 입금 건수, 이자 지급 방법, 중도 해지 금리, 만기후 금리 등의 이체 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화 예금 관리 서버(30)는 외화 예금 계좌에 입금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에 대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의 여부 및 송금이나 결제 금액의 액수 등의 부가서비스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부가서비스 조건에 따라서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에 해당 외화 정기 예금 계좌에 입금된 외화를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또한, 상기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거래 단말기(10)로부터 요청된 외화 예금 관련 금융 거래의 프로세스를 처리한 후, 처리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갱신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32,33,34)에 저장하고 이를 유지 관리한다.
고객 데이베이스(31)에는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에 의하여 생성된 외화 정기 예금의 고객에 관한 신상 정보가 저장되고 유지 관리된다.
계좌 데이터베이스(32)에는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에 의하여 생성된 외화 정기 예금의 계좌 정보, 해당 계좌의 전체 잔액 정보, 해당 계좌에 설정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잔액 정보,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상기 이체 조건에 관한 정보(상술한 예금 과목, 고객 대상, 만기일, 예금 통화, 예금 금액의 제한 금액, 적용 금리, 분할 해지 조건, 외화 정기 예금의 최대 입금 건수, 이자 지급 방법, 중도 해지 금리, 만기후 금리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되고 유지 관리된다.
송금 데이터베이스(33)는 상기 계좌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외화 예금 계좌에 설정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해외 송금의 부가서비스의 설정 여부에 관한 정보와, 해외로 송금된 외화 금액과 송금일자, 송금처 등의 송금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 관리한다.
수입 결제 데이터베이스(34)는 상기 계좌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외화 예금 계좌에 설정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수입 결제의 부가서비스의 설정 여부에 관한 정보와, 수입 결제된 외화 금액과 수입 결제 일자, 결제처 등의 수입 결제의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 관리한다.
한편, 상기 거래 단말기(60)는 은행의 기간망인 인트라넷(20)과 연동되는 은행의 CD 기, 은행 직원용 단말기 또는 인터넷 뱅킹(Internet Banking)을 위한 제반 솔루션이 실행되는 컴퓨터 단말기, 유선/무선 전화기 등, 고객이나 은행 직원이 고객의 은행 계좌에 대한 금융 거래를 수행시킬 수 있는 모든 터미널을 총칭한다.
상기 각 구성 요소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나 통신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의 관리 방법 및 보안/인증 등 통상의 은행 거래를 위하여 필요한 제반 기술은 당업자에 의하여 공지된 기술을 채용하여 실시하게 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화 예금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 외화 예금 방법에 따라서 외화 예금 계좌를 설정하는 방법 의 순서도이다.
먼저, 은행 기간망인 인트라넷(20)에 연결된 거래 단말기(10)를 통하여 이체시킬 고객의 외화의 금액 정보와 이를 이체할 외화 예금 계좌의 생성을 요청하는 정보를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에 전달한다(단계 S 301).
상기 외화 예금 계좌의 생성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달받은 외화 예금 관리 서버(30)는 외화 예금으로 이체될 고객의 외화가 입금 가능한 통화인지 판단한다(단계 S 302). 입금 가능한 통화로 판단되면,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를 생성하고(단계 S 303), 생성된 외화 예금 계좌에 이체시킬 고객의 외화를 이체시킨다(단계 S 304). 이때, 이체의 방법은 거래 단말기(10)를 통한 외화 현금의 직접 입금 또는 고객의 다른 외화 예금 계좌로부터의 계좌 이체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화 예금 계좌에 고객의 외화가 이체되면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서버에 설정된 외화 이체 조건에 관한 정보(예금 과목, 고객 대상, 만기일, 예금 통화, 예금 금액의 제한 금액, 적용 금리, 분할 해지 조건, 외화 정기 예금의 최대 입금 건수, 이자 지급 방법, 중도 해지 금리, 만기후 금리 등)를 독출하거나(단계 S 305) 또는 상기 거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아(단계 S 306), 이체된 외화의 금액 정보와 고객의 신상 정보 및 상기 외화 이체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외화예금 원장정보를 생성한 후(단계 S 307), 상기 외화예금 원장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 308).
이어서,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외화 예금 계좌의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의 여부 및 송금 또는 결제 금액 등의 부가서비스 조건에 관한 정보를 상기 거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아(단계 S 309), 상기 부가서비스 조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 310). 이후,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부가서비스 조건에 따라서 해당 외화 예금의 만기일에 해당 외화 예금 계좌에 입금된 외화를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외화예금 원장정보와 부가서비스 조건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해당 외화 예금 계좌의 통장 및 전표를 인자하여 거래 단말기(10)를 통하여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단계 S 311).
다음으로, 도 4 를 참조하여 도 3 의 방법에 의하여 생성된 외화 예금 계좌를 모계좌로 하여 외화 정기 예금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은행 기간망인 인트라넷(20)에 연결된 거래 단말기(10)를 통하여 이체시킬 고객의 외화의 금액 정보와 이를 이체할 외화 예금 계좌의 정보를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에 전달한다(단계 S 401).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로의 외화 이체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달받은 외화 예금 관리 서버(30)는 외화 예금 계좌로 이체될 고객의 외화가 입금 가능한 통화인지 판단한다(단계 S 402). 입금 가능한 통화로 판단되면,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외화예금 원장정보를 검색하여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의 입금 건수가 상기 외화예금 원장정보에 저장된 외화 정기 예금의 최대 입금 건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 403).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최대 입금 건수를 50 건으로 제한하였다.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로 이체할 외화의 입금 건수가 외화 정기 예금의 최대 입금 건수를 초과하지 아니하면,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로 고객의 외화를 이체시킨다(단계 S 404). 이때, 이체의 방법은 거래 단말기(10)를 통한 외화 현금의 직접 입금 또는 고객의 다른 외화 예금 계좌로부터의 계좌 이체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슴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고객의 외화가 이체되면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서버에 설정된 외화 이체 조건에 관한 정보(만기일, 예금 통화, 예금 금액의 제한 금액, 적용 금리, 분할 해지 조건, 외화 정기 예금의 최대 입금 건수, 이자 지급 방법, 중도 해지 금리, 만기후 금리 등)를 독출하거나(단계 S 405) 또는 상기 거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아(단계 S 406),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를 모계좌로 하는 외화 정기 예금의 외화의 금액 정보와 상기 외화 이체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외화정기예금 설정정보를 생성한 후(단계 S 407), 상기 외화정기예금 설정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단계 S 408), 저장된 외화정기예금 설정정보에 따라서 모계좌인 외화 예금 계좌의 외화예금 원장정보를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 409).
이어서, 외화 예금 관리서버(30)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외화 정기 예금의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의 여부 및 송금 또는 결제 금액 등의 부가서비스 조건에 관한 정보를 상기 거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받아(단계 S 410), 상기 부가서비스 조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단계 S 411). 이후, 외화 예금 관리서버(30) 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부가서비스 조건에 따라서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를 모계좌로 하는 해당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에 해당 외화 정기 예금액을 은행의 전산망과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이후, 외화 예금 관리서버(30)가 상기와 같이 저장된 외화정기예금 설정정보 및 외화예금 원장정보와 부가서비스 조건에 관한 정보를 통장 및 전표를 인자하여 거래 단말기(10)를 통하여 출력한다(단계 S 412).
차후 동일한 외화 예금 계좌로 입금되는 외화 입금건에 대하여 상기의 단계 S 401 내지 단계 S 412 가 반복 수행되어 고객의 외화 예금 계좌의 입금 건수가 외화 정기 예금의 최대 입금 건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계속적으로 외화 정기 예금이 설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은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동성 외화 자금을 단일한 외화 계좌에 대상 통화에 상관없이 예금의 만기일을 고객이 지정하여 자유롭게 입금할 수 있으므로, 외화 보통 예금보다 비교적 높은 금리의 이자를 지급받을 수 있는 외화 정기 예금의 장점 및 고객의 필요에 따라서 모계좌의 기간 내에서 자유롭게 필요한 금액 만큼 입금할 수 있는 적립식 예금의 장점을 겸비하게 되어 종래의 외화 보통 예금과 비교하여 고객의 외화 자산 관리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모계좌의 외화 예금 계좌의 생성시 최초 제출되는 서류로서 차후에 입금되는 외화 입금건에 대한 서류의 증빙이 원용되므로 불필요하게 발생되는 각종 필요 서류의 제출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고객의 선택에 따라서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을 고객의 해외 송금일 또는 수입 결제의 기일로서 지정하여 그 만기일에 자동적으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은행 거래시의 고객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은행은 해외 송금이나 수입 결제 등의 외환 업무가 집중되는 시기를 회피하여 해당 외화 정기 예금의 해외 송금이나 수입 결재 등의 업무를 해당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 당일 오전이나 월초에 수입 결제할 수 있게 되어 은행의 전산망 등 관련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은행 기간망인 인트라넷(20)을 통한 통상의 은행의 외화 예금 시스템에 있어서,
    외화 예금 관련 요청 정보를 입력하는 금융거래용 거래 단말기(10)와,
    상기 인트라넷(20)과 연결되며 상기 거래 단말기(10)로부터 전달된 외화 예금 관련 요청 정보에 따라서 유동성 예치 통화 대상의 고객의 외화를 이체할 외화 예금 계좌를 생성하고, 이체할 외화를 이체 조건에 의하여 적립 대상의 외화로 환전하여 상기 외화 예금 계좌에 이체시키고, 상기 외화 예금 계좌를 모계좌로 하고 고객이 만기일을 지정한 외화 정기 예금을 적어도 2 건 이상 상기 외화 예금 계좌에 설정하는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와,
    상기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에 의하여 생성된 외화 정기 예금의 고객에 관한 신상 정보가 저장되고 유지 관리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31)와, 외화 예금 관리서버(30)에 의하여 생성된 외화 정기 예금의 계좌 정보, 해당 계좌의 전체 잔액 정보, 해당 계좌에 설정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잔액 정보,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상기 이체 조건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유지 관리되는 계좌 데이터베이스(32)와, 상기 계좌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외화 예금 계좌에 설정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해외 송금의 부가서비스의 설정 여부에 관한 정보와, 해외로 송금된 외화 금액과 송금일자, 송금처 등의 송금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 관리되는 송금 데이터베이스(33)와, 상기 계좌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외화 예금 계좌에 설정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의 수입 결제의 부가서비스의 설정 여부에 관한 정보와, 수입 결제된 외화 금액과 수입 결제 일자, 결제처 등의 수입 결제의 정보를 저장하고 유지 관리되는 수입 결제 데이터베이스(34)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외화 예금 관리 서버(30)가 외화 예금 계좌에 입금된 각각의 외화 정기 예금에 대한 해외 송금 또는 수입 결제 처리의 여부 및 송금이나 결제 금액의 액수 등의 부가서비스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상기 부가서비스 조건에 따라서 외화 정기 예금의 만기일에 해당 외화 정기 예금 계좌에 입금된 외화를 해외 송금하거나 수입 결제 처리 처리하는 외화 송금 모듈(40) 및 수입 결제 모듈(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화 예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50092517A 2005-09-30 2005-09-30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KR10072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517A KR100725465B1 (ko) 2005-09-30 2005-09-30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2517A KR100725465B1 (ko) 2005-09-30 2005-09-30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12A KR20070037212A (ko) 2007-04-04
KR100725465B1 true KR100725465B1 (ko) 2007-06-08

Family

ID=3815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2517A KR100725465B1 (ko) 2005-09-30 2005-09-30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5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162B1 (ko) * 2007-11-01 2012-05-25 주식회사 신한은행 계좌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서버,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1041118B1 (ko) * 2008-07-22 2011-06-13 주식회사 신한은행 환전전용계좌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1513608B1 (ko) * 2014-10-17 2015-04-21 류일윤 거스름돈 이체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거스름돈 이체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79A (ko) * 2000-04-12 2001-11-07 문창호 인터넷 외환거래 방법
KR20020087299A (ko) * 2001-05-15 2002-11-22 주식회사 한국외환은행 외환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879A (ko) * 2000-04-12 2001-11-07 문창호 인터넷 외환거래 방법
KR20020087299A (ko) * 2001-05-15 2002-11-22 주식회사 한국외환은행 외환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7212A (ko) 200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3246E1 (en) Money fund bank system
JP3847560B2 (ja) 1日のネッティング支払い決済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7716131B2 (en) Money fund banking system with multiple banks and/or rates
US7809640B1 (en) Money fund banking system
US8015085B2 (en) System for distributing funds
US8452702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minimizing fund movements
US8589289B1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administering fund movements
US20080035723A1 (en) Mone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for travelers
JP2004213124A (ja) 資金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1103395A1 (en) Ticketed funds transfers between a brokerage account and a deposit account
KR100855380B1 (ko) 통합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1243400A (ja) 関連口座を用いた口座管理システム
KR100725465B1 (ko) 다중 외화 정기 예금이 가능한 외화 예금 시스템
JP4065669B2 (ja) 複数の口座間における資金移動方法
AU2007201616B2 (en) Money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KR20120134496A (ko) 마이너스 대출기반 정기예금 운용방법
JP4653506B2 (ja) 外貨預金を用いた為替取引方法および銀行システム
JP2003168004A (ja) 出金処理方法、融資認証処理方法および金融機関システム
KR100616202B1 (ko)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채권 매매 시스템 및 매매 방법
JP2002207952A (ja) 仮受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仮受金管理方法
KR20040002807A (ko) 은행 거래용 합산 계좌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8997B1 (ko) 금융 자산 및 부채의 통합 관리 방법과 그 방법이 기록된기록매체
KR100821851B1 (ko) 통장 발급 및 관리방법과 시스템, 이를 위한 통장관리서버
JP2006252280A (ja) 金券代金の支払い処理方法
KR20050051293A (ko)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수익증권 매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