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4115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4115A
KR20100124115A KR1020090043201A KR20090043201A KR20100124115A KR 20100124115 A KR20100124115 A KR 20100124115A KR 1020090043201 A KR1020090043201 A KR 1020090043201A KR 20090043201 A KR20090043201 A KR 20090043201A KR 20100124115 A KR20100124115 A KR 2010012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member
dust
condens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574B1 (ko
Inventor
김동정
이남교
김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3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57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4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2Electrical effects
    • B01D2321/226Interruption of electric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4Filters in the air flow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2Cleaning means for refrige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기계실에 설치된 응축기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 먼지, 응축기, 기계실, 포집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기계실 내부에 설치된 응축기상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열교환을 실시하기 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업소에 설치된 냉장고는 기계실에 설치된 응축기의 방열을 위해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응축기에 공급하고, 유입된 외부 공기는 응축기와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방열시킨다.
상기한 냉장고의 기계실은 팬에 의한 강제 순환 방식에 의해 응축기의 방열을 실시하는 경우에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기계실 내부에 다량의 먼지가 쌓이게 된다. 상기한 먼지는 응축기에 쌓이기 시작하면서 응축기의 성능은 점진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응축기의 전면에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설치하였으나, 에어컨과 달리 냉장고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상기한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기한 필터에 다량의 먼지가 적층되면서 응축기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양이 감소되고 응축기 방열에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시켜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기의 전면에 적층되는 먼지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의 일부분이 응축기로 이동되지 않도록 집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응축기로는 균일한 기류(Air Current) 흐름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응축기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응축기와, 팬 및 압축기를 갖는 기계실; 및 상기 응축기로 이동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집진부재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은 응축기와, 팬 및 압축기를 갖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 내부의 흡입 유로를 정의하는 유동 경계부상에 구비되는 집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동 경계부는 기계실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응축기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 경계부는 외부 공기를 응축기 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소정 각도의 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곡면부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집진부재는 먼지가 부착되도록, 다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집진부재의 전영역 또는 일부영역에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의 백커버(Back Cover)에 형성된 유입공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의 바닥판에 구비된 고정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먼지가 부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부착돌기와; 상기 부착돌기의 후방에 각각 마련 되고,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매쉬(Mesh)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부착 시키기 위해 고전압이 인가되고,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상기 먼지가 집진부재에 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의 일부가 상기 집진부재에서 적층되면서 응축기에 적층되는 먼지량을 감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응축기상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응축기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집진부재 설치에 따른 외부 공기의 유동 저항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응축기 쪽으로 외부 공기를 이동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응축기의 전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냉장고의 방열 성능 향상과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설치되는 집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d는 본 발명 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집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설치되는 집진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동 상태도이다.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재(200)는 응축기(10)로 이동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여기서 외부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는 응축기(10)의 전면을 제외한 곳 중, 공기 유입구(133)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33)와 대응되는 위치 집진부재(200)가 위치할 경우에는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또한 집진부재(200)를 통해 포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집진부재(200)는 공기 유입구(133)의 전면에서 이ㅣㄹ전 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재(200)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과 평행한 위치는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기계실(130) 내부로 유입되어 이동되는 경로를 의미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유입구(133)를 통과한 외부 공기가 응축기(10)로 이동되는 경로 중의 어느 한 지점을 위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 한다.
첨부된 도 2c를 참조하면, 집진부재(200)는 기계실(130) 내부의 흡입 유로를 정의하는 유동 경계부(300)상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동 경계부(300)는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응축기(10)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덕트(Duct)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유동 경계부(300)는 외부 공기를 응축기(10)로 가이드 하기 위해 라운드지게 이루어진 곡면부(310)를 갖는다. 상기 곡면부(310)는 냉장고 본체(100)의 전면을 향해 라운드지게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외부 공기가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응축기(10)로 이동될 때 곡면부(310)의 곡률을 따라 응축기(10)를 향해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 집진부재(200)는 먼지가 부착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개구부(202)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202)는 먼지가 부착되기 위한 홀로서 개수 및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개구부(202)는 집진부재(200)의 전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개구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구(133)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집진부재(200)의 일부 영역에만 한정하여 개구부(202)를 구비하거나, 전영역에 걸쳐서 개구부(202)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집진부재(200)의 높이는 공기 유입구(133)의 높이와 유사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는 응축기의 전면까지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집진부재가 기계실의 바닥면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첨부된 도 2d를 참조하면, 집진부재(200)는 냉장고 본체(100)에 구비된 기계실(130)의 바닥에 구비된 고정홈(131)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집진부재(200)는 고정홈(131) 없이도 설치될 수 있으나, 기계실(130)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응축기(10) 쪽으로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서 고정홈(13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홈(131)은 도면에 도시된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 둔다.
집진부재(200)의 상면에는 냉장고 본체(100)의 기계실(130)과 별도로 구획되는 냉동실(110) 또는 냉장실(120)의 영역과 구획되는 격벽(미도시)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a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집진부재(200)는 홀타입, 돌기 타입 및 매시(Mesh) 형태의 망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3a를 참조하면, 홀타입에 의한 집진부재(200)는 다수개의 개구부(202)가 동일 간격으로 이격 되어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202)에 먼지가 쌓이도록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3b를 참조하면, 돌기 타입의 집진부재(200)는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유입된 먼지가 부착돌기(204)에 의해 적층되도록 상기한 공기 유입구(133)를 향해 돌출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부착돌기(204)의 돌출 길이와 각도 및 형상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지 는 않으나, 외부 공기가 집진부재(200)를 따라 이동되면서 먼지가 용이하게 적층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면 된다.
또한, 다량의 먼지가 쌓여도 유동 저항은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관통홀(206)에서 이격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3c를 참조하면, 집진부재(200)는 매쉬(Mesh) 형태의 망이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매쉬의 크기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먼지가 용이하게 적층되도록 조밀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재는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부착시키기 위해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전압이 집진부재상에 인가될 경우에는 상기 집진부재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통과되면서 방전현상에 의해 먼지는 대전되면서 상기 집진부재상에 먼지가 적층된다.
고전압 방식을 통한 집진부재는 다량의 먼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포집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상기 집진부재를 가격하여 적층된 먼지를 떨어뜨리는 별도의 가격기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를 참조하면, 압축기(30)(도 2c참조)가 작동되면서 냉매는 상변화되어 응축기(10)로 이동된다. 상기 냉매는 고온 고압의 상태로서 핀 튜브 타입의 응축기(10)에 구비된 튜브를 따라 냉매가 이동되면서 다수개의 핀을 통해 방열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팬(20)에 설치된 횡류팬이 작동되면서 외부공기가 기계실(100)의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집진부재(200)로 이동된다. 상기 집진부재(200)는 공기 유입구(133)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응축기(10)로 유동하는 외부 공기의 안정적인 유동 흐름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의 일부를 필터링 하는 것도 가능하진다.
첨부된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재(200)는 공기 유입구(133)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설치될 경우에는 응축기(10)로 이동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응축기(10)로 이동되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포집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a를 참조하면, 압축기(30)가 작동되면서 냉매는 상변화되면서 응축기(10)로 이동된다. 상기 냉매는 고온 고압의 상태로서 핀 튜브 타입의 응축기(10)에 구비된 튜브를 따라 냉매가 이동되면서 다수개의 핀을 통해 방열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팬(20)에 설치된 횡류팬이 작동되면서 외부공기가 기계실(100)의 공기 유입구(133)을 통해 도면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경계부(300)에 구비된 집진부재(200)로 이동된다.
외부공기는 상기 유동 경계부(300)에 의해 응축기(10)로 안내되고, 곡면부(310)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응축기(10) 쪽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곡면부(310)에 설치된 집진부재(200)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상기 유동 경계부(300)에 의해 안내되면서 보다 안정적인 유동 흐름이 이루어지며, 집진부재(200)에 구비된 개구부(202)에 서서히 쌓이게 된다.
일단 먼지가 개구부(202) 상에 쌓이기 시작하면 공기 유입구(133)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중의 먼지는 이미 먼지가 쌓인 곳에 계속해서 쌓이게 된다.
개구부(202)는 먼지가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응축기(10)의 전면에 먼지가 적층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개구부(202)는 적층된 먼지에 의해 막히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202)의 직경 크기를 적절히 선정 하여야한다. 예를 들어 개구부(202)의 직경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먼지에 의해 쉽게 막힐 수 있고, 유로저항이 증가되므로 다수회의 실험에 의해 상기 개구부(202)의 직경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는 집진부재(200)에 의해 다량의 먼지가 적층되면서 응축기(10)의 전면에는 최소한의 먼지 만이 이동되며, 응축기(10)로 이동된 외부 공기에 의해 안정적인 방열을 실시하게 된다.
외부 공기는 응축기(10)와 팬(20)을 경유하여 압축기(30)로 이동되며, 압축기(30)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팬(20)의 블레이드와 팬모터 및 압축기(30)의 표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기계실(130) 내부에 설치된 구성품상에 최소한의 먼지만이 쌓이게 된다.
외부 공기는 압축기(30)에서 발생되는 고열과 열교환을 실시한 후에 기계실(130)의 백커버(132) 또는 측벽에 형성된 홀을 통해 냉장고(1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응축기(10)와 압축기(20)는 안정적인 방열을 실시하고, 10년 이상의 장기간 사용시에도 응축기(10)에 먼지가 최소한으로 적층되면서 방열 성능 향상과 함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게 된다.
첨부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재(200)는 위에서 설명한 홀타입 이외에도 돌기타입으로 이루어진 부착돌기(204)와 관통홀(206)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집진부재(200)에 다수개가 설치된 부착돌기(204)는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층시키기 위해 공기 유입구(133)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공기 유입구(133)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는 부착돌기(204)의 돌출된 부위에 적층이 이루어지면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응축기(10)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집진부재(200)에 의한 외부 공기의 유동 저항이 감소되지 않도록 먼지는 부착돌기(204)에 적층되고 관통홀(206)을 통해서는 상기 외부 공기가 응축기(10)의 측면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먼지 포집과 함께 유동 저항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한 부착돌기(204)는 먼지가 안정적으로 포집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상이 변경되어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통홀(206)을 중심으로 상, 하로 부착 돌기가 위치되거나, 상기 부착돌기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는 집진부재(200)에 의해 다량의 먼지가 적층되면서 응축기(10)의 전면에는 최소한의 먼지만이 적층되며 응축기(10)로 이동된 외부 공기에 의해 안정적인 방열을 실시하게 된다.
첨부된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재(200)는 매쉬 타입으로 이루어진 형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집진부재(200)가 매쉬 타입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외부 공기의 흐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외부 공기는 유입구(133)를 통해 상기 집진부재(200)로 이동되고, 매쉬로 이루어진 집진부재(200)를 경유하여 이동되면서 다량의 먼지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다.
외부 공기는 집진부재(200)를 경유하여 응축기(10)에서 발생되는 고온과 방열을 실시한 이후에 압축기(30)로 이동되어 상기 압축기(30)의 방열을 실시한 후에 냉장고(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부재는 위에서 설명한 방식 이외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기 집진 타입으로 먼지를 포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집진부재가 전기 집진 방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부재를 통과하면서 방전현상에 의해 상기 먼지는 대전되고, 외부 공기는 응축기(10)로 이동되어 상기 응축기(10)상에 먼지가 적층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 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설치되는 집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집진부재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집진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설치되는 집진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장고 본체 130 : 기계실
133 : 공기 유입구 200 : 집진부재
202 : 개구부 204 : 부착돌기
206 : 관통홀 300 : 유동 경계부
310 : 곡면부

Claims (15)

  1. 응축기와, 팬 및 압축기를 갖는 기계실; 및
    상기 응축기로 이동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집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과 평행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응축기와, 팬 및 압축기를 갖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 내부의 흡입 유로를 정의하는 유동 경계부상에 구비되는 집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경계부는
    기계실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를 응축기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경계부는
    외부 공기를 응축기 쪽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소정 각도의 곡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곡면부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먼지가 부착되도록, 다수개의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집진부재의 전영역 또는 일부영역에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의 백커버(Back Cover)에 형성된 유입공과 마주보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기계실의 바닥판에 구비된 고정홈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먼지가 부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부착돌기;
    상기 부착돌기의 후방에 각각 마련 되고, 외부 공기가 통과되는 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매쉬(Mesh)형태의 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를 부착 시키기 위해 고전압이 인가되고,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상기 먼지가 집진부재에 부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외부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의 일부가 상기 집진부재에서 적층되면서 응축기에 적층되는 먼지량을 감소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43201A 2009-05-18 2009-05-18 냉장고 KR101667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01A KR101667574B1 (ko) 2009-05-18 2009-05-1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01A KR101667574B1 (ko) 2009-05-18 2009-05-1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4115A true KR20100124115A (ko) 2010-11-26
KR101667574B1 KR101667574B1 (ko) 2016-10-19

Family

ID=4340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201A KR101667574B1 (ko) 2009-05-18 2009-05-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5091A (zh) * 2020-04-10 2020-08-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压缩机仓和制冷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752A (ja) * 1995-01-13 1996-07-2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2318059A (ja) * 2001-02-14 2002-10-31 Hoshizaki Electric Co Ltd 機械室の吸気構造
JP2003336958A (ja) * 2002-05-16 2003-11-28 Hoshizaki Electric Co Ltd フィルタの取付構造
KR20040107252A (ko) * 2003-06-13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유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9752A (ja) * 1995-01-13 1996-07-2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2002318059A (ja) * 2001-02-14 2002-10-31 Hoshizaki Electric Co Ltd 機械室の吸気構造
JP2003336958A (ja) * 2002-05-16 2003-11-28 Hoshizaki Electric Co Ltd フィルタの取付構造
KR20040107252A (ko) * 2003-06-13 2004-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기계실 유로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5091A (zh) * 2020-04-10 2020-08-28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压缩机仓和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574B1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7841B2 (en) Turbo fan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EP3462111B1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and refrigeration device
CN108168198B (zh) 冷凝散热总成和具有其的冰箱
EP2413069B1 (en) Ice making machine
EP2410267A2 (en) Refrigerator
JP6024111B2 (ja) 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20100124115A (ko) 냉장고
JP5423523B2 (ja) 冷蔵庫
KR20100124114A (ko) 냉장고
CN110017641B (zh) 送风系统及具有其的冰箱
CN110017639B (zh) 冰箱
JP2008002733A (ja) 冷蔵庫
US11713915B2 (en) Air supply assembly, air supply system and refrigerator
CN210267853U (zh) 冰箱
KR20170083793A (ko) 먼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JPH07167547A (ja) 冷蔵庫
JP5011905B2 (ja) 冷蔵庫
JP2008002730A (ja) 冷蔵庫
KR100480703B1 (ko) 빌트인 냉장고
JP5694697B2 (ja) 冷却装置
CN113124605B (zh) 一种具有减霜模块的冷柜及其控制方法
KR102252569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041919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0017645B (zh) 送风组件及具有其的冰箱
CN110017640B (zh) 送风组件及具有其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