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577A - 대차 - Google Patents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577A
KR20100123577A KR1020090074985A KR20090074985A KR20100123577A KR 20100123577 A KR20100123577 A KR 20100123577A KR 1020090074985 A KR1020090074985 A KR 1020090074985A KR 20090074985 A KR20090074985 A KR 20090074985A KR 20100123577 A KR20100123577 A KR 20100123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er
folded
main caster
trolle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가나야
Original Assignee
산에이니야쿠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에이니야쿠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에이니야쿠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5Foldable rol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앞쪽으로 기운 자세로 자립 보관할 수 있는 대차의 동 대차에 있어서, 보관시에 후측으로 전도되는 것에 대한 안정성을 늘릴 수 있게 하고, 동 대차의 짐받이인 저판의 접는 방향을, 종래의 대차에 있어서의 저판의 접는 방향과 동일한 백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대차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짐받이는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전측 주캐스터는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짐받이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히고, 전측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되면, 보조 캐스터가 전측 주캐스터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대차로서, 짐받이가 후측 주캐스터 (8) 방향으로 접히고, 전측 주캐스터 (7) 가 후측 주캐스터 (8)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전측 주캐스터 (7) 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를, 후측 주캐스터 (8)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대차{CARRIAGE}
본 발명은, 물품의 운반에 사용되는 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립한 상태로 보관해 둘 수 있는 대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의 운반에 사용되는 대차는, 보관시나 차량 운반시에 가능한 한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도록, 또한 자립 상태를 유지한 채로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발명에 의한 대차 (특허 문헌 1 참조) 가 있다.
이 대차는, 짐받이를 접어 자립하는 대차를 보조 캐스터에 의해 앞쪽으로 기운 자세에서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짐을 싣기 위해 견고하게 만들어져 있는 짐받이인 저판 (底板) 을 접은 대차의 앞쪽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립하는 대차의 동 (同) 중심이 가능한 한 전방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대차를 접을 때, 짐받이인 저판을 대차의 후측 즉, 백 프레임 부재측으로 기립 상태로 접는 종래부터 많은 사람들이 익숙해져 있는 접이 방법과 달리, 저판을 대차의 좌우측 프레임 부재에 있어서의 한 쪽으로 기립 상태로 접도록 하고 있으므로, 본 대차를 접을 때, 크게 당황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늦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927220호 (제 1 ∼ 9 페이지, 도 1 ∼ 12)
본 발명은, 앞쪽으로 기운 자세로 자립 보관할 수 있는 대차에 있어서, 보관시에 후측으로 전도 (顚倒) 되는 위험성을 매우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 대차의 짐받이인 저판의 접는 방향을, 종래 대차에 있어서의 저판의 접는 방향과 동일한 백 (back)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대차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대차는, 짐을 싣는 짐받이와, 대차 전후에 배치되는 대차 이동용 주캐스터와, 대차 보관시용 보조 캐스터가 설치되고, 짐받이는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또한 전측 주캐스터는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짐받이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히고, 전측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보조 캐스터가 전측 주캐스터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차로서, 상기 짐받이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히고, 전측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동 전측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를,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짐받이가 접혀 대차가 자립하는 상태에서 동 대차가 후방으로 기울었을 때에,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일방의 전측 주캐스터에 의해 자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짐받이가, 저판 부재와 좌우측 프레임 부재와 백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저판 부재는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또 좌우측 프레임 부재 각각도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접는 동작에 동기하여, 전측 주캐스터가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가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힐 때,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힌 저판 부재의 전방에 위치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짐받이가 접혀 자립하는 대차를 포개어 늘어놓았을 때,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것의 전측 주캐스터를, 포개어 늘어놓은 후측 대차에 있어서의 접힌 짐받이의 하방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대차에 의하면, 이 대차는, 짐받이를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고, 또한 대차 전측에 갖는 주캐스터를 후측 주캐스터 부근까지 이동시킴으로써 전측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전측 주캐스터의 이동에 의해 보조 캐스터가 동 이동된 전측 주캐스터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짐받이인 저판의 접는 방향을 종래부터 많은 사람들이 익숙해져 있는 대차의 후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짐받이가 접혀 대차가 자립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동 대차의 중심이 이전보다 후방으로 이동되어 대차가 후측으로 전도될 우려가 증가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대차를 접어 자립 상태로 하였을 때, 전측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므로, 자립하는 대차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측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에 의해 자립을 유지할 수 있어, 후방으로 기운 대차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캐스터는, 짐받이를 접음으로써 중심이 전방으로 치우쳐 자립하는 대차를 동 대차의 전방으로부터 지지하기 때문에, 대차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은 이 보조 캐스터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소한 접촉으로도 자립 안정 상태가 무너져 전도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는 경량화, 예를 들어, 대차의 짐받이를 수지 소재로 형성한 경우에도, 대차가 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측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가 방지하고, 또한 대차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상기 보조 캐스터에 의해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동 경량화된 대차를 안전하게 자립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짐받이가 접혀 자립하는 대차를 복수 대 포개어 늘어놓았을 때,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측 주캐스터가, 포개어 늘어놓은 후측 대차에 있어서의 접힌 짐받이의 하방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동 대차는 간극 없이 포개어 늘어놓을 수 있음과 함께, 전방에 똑바로 포개어 늘어놓을 수 있으므로, 대차의 보관이나 운반시에도 불필요한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대차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대차이고, 또한 그 대차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 은 대차의 후측이 되는 백 프레임 (5)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또한 도 2 는 대차의 전측이 되는 접힌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3), 사이드 프레임 (4))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대차 (1) 는, 저판 (2) 부재와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3), 사이드 프레임 (4)) 부재와 백 프레임 (5) 부재와, 이동용 차륜이 되는 전후의 주캐스터 (전측 주캐스터 (7), 후측 주캐스터 (8)) 와, 접힌 대차 (1) 를 안전하게 자립시켜 두기 위한 보조 캐스터 (10) (도 2 참조) 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의하면, 대차 (1) 가 접힌 상태에 있어서는, 짐받이가 되는 저판 (2) 이 백 프레임 (5) 의 전측으로 기립한 상태로 접혀 위치하고, 사이드 프레임 (4) 이 백 프레임 (5) 의 전측으로 기립한 상태로 접힌 저판 (2) 의 전측으로 접혀 위치하고, 사이드 프레임 (3) 이 사이드 프레임 (4) 의 전측으로 접혀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하는 대차 (1) 의 저판 (2) 상방에 형성되는 짐 무너짐 방지용의 각 프레임 부재 (사이드 프레임 (3), 사이드 프레임 (4), 백 프레임 (5)) 에 있어서는, 백 프레임 (5) 의 양측에 각각 사이드 프레임 (3) 과 사이드 프레임 (4) 이 자유롭게 절곡되어 연결구 (6) 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동 연결구 (6) 의 백 프레임 (5) 측은 이 백 프레임 (5) 과 고정되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 (3) 및 사이드 프레임 (4) 측은 이들 사이드 프레임 (3) 및 사이드 프레임 (4) 이 연결구 (6) 내를 유회하고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 (3) 및 사이드 프레임 (4) 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동용 차륜이 되는 전후의 주캐스터는 대차 (1) 의 전후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전측 주캐스터 (7) 의 일방은 사이드 프레임 (3) 부재의 전단 (前端) 에, 타방은 사이드 프레임 (4) 부재의 전단에 고정되고, 또한 후측 주캐스터 (8) 는 백 프레임 (5) 부재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하는 바와 같이, 짐받이가 되는 저판 (2) 이 백 프레임 (5) 의 전측으로 기립한 상태로 접히고, 사이드 프레임 (4) 이 백 프레임 (5) 의 전측으로 기립한 상태로 접힌 저판 (2) 의 전측으로 접히고, 사이드 프레임 (3) 이 사이드 프레임 (4) 의 전측으로 접힘으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 (4) 에 설치되어 있는 전측 주캐스터 (7) 가, 백 프레임 (5) 에 설치되어 있는 후측 주캐스터 (8)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 캐스터 (10) 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접힌 대차 (1) 를 측면에서 본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주캐스터 (7) 가 백 프레임 (5) 에 설치되어 있는 후측 주캐스터 (8)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보조 캐스터 (10) 가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 보조 캐스터 (10) 는, 전후의 주캐스터 (전측 주캐스터 (7), 후측 주캐스터 (8)) 가 바닥면 (12) 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3 중의 우측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 (12) 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벌어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 접힌 대차 (1) 의 보관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4 의 (a) 에 따르면, 동 대차 (1) 는 후측 주캐스터 (8) 를 축으로 하여 전방인 보조 캐스터 (10) 측으로 경사지고, 보조 캐스터 (10) 에 의해 앞쪽으로 기운 자세로 자립이 지지되고, 또한 동 대차 (1) 는 동 보조 캐스터 (10) 측으로 중심이 이동되어 후방으로 잘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인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의 각도는, 보조 캐스터 (10) 의 돌출 길이와, 이 보조 캐스터 (10) 가 대차 (1) 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주캐스터보다 약간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높이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보조 캐스터 (10) 의 돌출량은, 각 프레임 부재 (사이드 프레임 (3), 사이드 프레임 (4), 백 프레임 (5)) 의 높이, 저판 (2) 의 좌우 방향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도 4 의 (a) 에 나타낸 보조 캐스터 (10) 측으로 중심이 이동되어 후방으로 잘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인 상태에 있는 대차 (1) 에, 이 도 4 의 (a) 중에 나타내고 있는 화살표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져 대차 (1) 의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도 4 의 (b) 와 같이 대차 (1) 의 보조 캐스터 (10) 가 바닥면 (12) 으로부터 부상하여 동 대차 (1) 가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대차 (1) 에 있어서의 후측 주캐스터 (8)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전측 주캐스터 (7) 가 버텨, 동 대차 (1) 가 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측 주캐스터 (8)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측 주캐스터 (7) (본 실 시예의 대차 (1) 에서는 사이드 프레임 (4) 에 설치되어 있다) 는, 동 전측 캐스터 (7) 를 장착하고 있는 단차를 가진 지지 스테이 (2a) 에 있어서의 하단 (下段) 상면 (도 9 의 (b) 참조) 을, 대차 (1) 의 짐받이에 있어서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힌 대차 (1) 를 포개어 늘어놓았을 때, 포개어 늘어놓아진 앞 대차의 전측 주캐스터 (7) (본 실시예의 대차 (1) 에서는 사이드 프레임 (4) 에 설치되어 있다) 와 함께 이 주캐스터 (7) 를 장착하고 있는 단차를 가진 지지 스테이 (2a) 에 있어서의 하단 부위가, 포개어 늘어놓아진 후방의 접힌 대차의 짐받이 하방으로 들어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차 (1) 를 다수 포개어 늘어놓을 때에도 이들 대차를 간극 없이 포개어 늘어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 스테이 (2a) 에 있어서의 상단 (上段) 부분은, 짐받이가 되는 저판 (2) 을 지지하기 위한 저판의 받침부가 된다.
또한, 보조 캐스터 (10) 에 있어서도, 동 보조 캐스터 (10) 를 장착하는 지지 아암 (9) 을,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함과 함께, 지지 아암 (9) 의 형상을 단면 (斷面) 역 U 자 형상 부재 (도시 생략) 또는 역 L 자 형상 부재 (도시 생략) 로 함으로써,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힌 대차 (1) 를 포개어 늘어놓았을 때, 포개어 늘어놓아진 뒷 대차의 지지 아암 (9) 이, 앞에 포개어 늘어놓아진 대차의 지지 아암 (9) 내에 네스팅 (nesting) 식으로 들어가 (도 8 참조), 포개어 늘어놓을 때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캐스터 (10) 의 돌출 길이가 커질 때에는, 상기 서술한 설명과 같이 (도 7 및 도 8 참조), 지지 아암 (9) 을 앞에 포개어 늘어놓아진 대차의 지지 아암 (9) 내에 들어가도록 해도 되는데, 실시예 중의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지만, 지지 아암 (9) 을 예를 들어 그 근원에서 비스듬히 전방을 향하여 돌출시켜, 포개어 늘어놓아진 뒷 대차의 지지 아암 (9) 이, 앞에 포개어 늘어놓아진 대차의 지지 아암 (9) 을 피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주캐스터 (전측 주캐스터 (7), 후측 주캐스터 (8)) 의 각 프레임 부재에 대한 장착은, 동 주캐스터를 바로 각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직접적인 장착이어도 되고, 또는 어떠한 부재를 개재시켜 장착하는 간접적인 장착이어도 되고, 동 장착에 의한 고정은 나사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고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주캐스터 (전측 주캐스터 (7), 후측 주캐스터 (8)) 는, 일부 (통상적으로는 전측 주캐스터 (7)) 에 브레이크가 달린 것을 채용하고, 또 전륜 (全輪) 이 자유롭게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자재 (自在) 차 캐스터로 하거나, 또는 전후 좌우의 원하는 부위를 자재 차 캐스터로 하고, 다른 것을 고정 차 캐스터로 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2
도 9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대차에 있어서의 좌우 사이드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3), 사이드 프레임 (4)) 부재와 백 프레임 (5) 부재를, 패널 (사이드 패널 (3a), 사이드 패널 (4a), 백 패널 (5a)) 부재로 구성한 다른 실시예이고, 또한 대차의 접는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이 도 9 에 나타낸 대차 (1) 의 저판 (2) 의 상방에 형성되는 짐 무너짐 방지용의 각 패널 부재에 있어서는, 백 패널 (5a) 의 양측에 각각 사이드 패널 (3a) 과 사이드 패널 (4a) 이 자유롭게 절곡되어 연결구 (6a) 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동 연결구 (6a) 의 백 패널 (5a) 측은 이 백 패널 (5a) 과 고정되고, 또한 사이드 패널 (3a) 및 사이드 패널 (4a) 측은 연결구 (6a) 의 경첩 (6b) 을 개재하고 있으므로, 동 경첩 (6b) 에 의해 이들 사이드 패널 (3a) 및 사이드 패널 (4a) 이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대차 (1) 의 이동용 차륜이 되는 전후의 주 캐스터는 대차 (1) 의 전후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전측 주캐스터 (7) 의 일방은 사이드 패널 (3a) 부재의 전단에, 타방은 사이드 패널 (4a) 부재의 전단에 고정되고, 또한 후측 주캐스터 (8) 는 백 패널 (5a) 부재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에 나타낸 대차 (1) 의 접는 동작은, 도 1, 도 2 에 나타낸 대차의 접는 동작과 공통되는 것이다. 이 도 9 에 있어서의 대차 (1) 의 접는 동작을 동 도 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 의 (a) 는 사용 상태의 대차 (1) 를 나타내고 있고, 이 상태에서 먼저 짐받이가 되는 저판 (2) 을 백 패널 (5a) 측으로 기립시키고, 이 저판 (2) 을 백 패널 (5a) 에 구비되는 고정구 (도시 생략) 에 의해 고정시킨다 (도 9 의 (b) 참조).
이어서, 사이드 패널 (4a) 을 백 패널 (5a) 의 전측으로 기립하는 저판 (2) 의 전측으로 접고 (도 9 의 (c) 참조), 마지막으로 사이드 패널 (3a) 을 사이드 패 널 (4a) 의 전측으로 접음 (도 9 의 (d) 참조) 으로써, 동 대차 (1) 를 접을 수 있다.
그리고, 도 9 의 (c) 와 같이, 사이드 패널 (4a) 을 백 패널 (5a) 의 전측으로 기립하는 저판 (2) 의 전측으로 접음으로써 사이드 패널 (4a) 의 전단에 고정되어 있는 전측 주캐스터 (7) 가, 도 1 에 나타낸 대차와 동일하게, 백 패널 (5a) 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어 있는 후측 주 캐스터 (8)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또한, 도 9 의 (d) 와 같이, 사이드 패널 (3a) 을 사이드 패널 (4a) 의 전측으로 접음으로써 사이드 패널 (3a) 의 하방에 감춰져 있는 보조 캐스터 (10) 가, 도 2 에 나타낸 대차와 동일하게,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나타나게 된다.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도면 중의 부호 11 은, 지지 아암 (9) 에 접속되는 보조 캐스터 (10) 의 지주이고,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도면 중의 부호 2b 는, 짐받이가 되는 저판 (2) 을 지지하기 위한 저판 받침구이다.
또한, 종래의 대차에 있어서의 각 캐스터는 접히면 평행이 되는데 비해, 본 실시예의 대차는, 전측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보다 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방의 사이드 프레임을 백 프레임측으로 접은 후, 타방의 사이드 프레임를 접을 때에도, 2 개의 후측 주캐스터 (8) 와 앞서 접은 사이드 프레임측의 주캐스터 (7) 가 버텨, 동 대차 (1) 가 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심하고 대차 (1) 를 접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대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대차의 반대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접힌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보관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2 대의 대차를 포개어 늘어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다수의 대차를 포개어 늘어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대차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대차를 포개어 늘어놓았을 때의 보조 캐스터 부분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9 는 대차의 다른 형태를 나타냄과 함께 접는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차 2 : 저판
2a : 지지 스테이 2b : 저판 받침구
3 : 사이드 프레임 3a : 사이드 패널
4 : 사이드 프레임 4a : 사이드 패널
5 : 백 프레임 5a : 백 패널
6 : 연결구 6a : 연결구
6b : 경첩 7 : 전측 주캐스터
8 : 후측 주캐스터 9 : 지지 아암
10 : 보조 캐스터 11 : 지주
12 : 바닥면

Claims (5)

  1. 짐을 싣는 짐받이와, 대차 전후에 배치되는 대차 이동용 주캐스터와, 대차 보관시용 보조 캐스터가 설치되고, 짐받이는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또한 전측 주캐스터는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짐받이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히고, 전측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보조 캐스터가 전측 주캐스터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대차로서,
    상기 짐받이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접히고, 전측 주캐스터가 후측 주캐스터 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동 전측 주캐스터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방의 주캐스터를,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짐받이가 접혀 대차가 자립하는 상태에서 동 대차가 후방으로 기울었을 때에,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일방의 전측 주캐스터에 의해 자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짐받이가, 저판 부재와 좌우측 프레임 부재와 백 프레임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저판 부재는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을 수 있고, 또 좌우측 프레임 부재 각각도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대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 각각의 접는 동작에 동기하여, 전측 주캐스터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대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프레임 부재가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힐 때, 백 프레임 부재 내측으로 접힌 저판 부재의 전방에 위치하게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대차.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짐받이가 접혀 자립하는 대차를 포개어 늘어놓았을 때, 후측 주캐스터보다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는 것의 전측 주캐스터를, 포개어 늘어놓은 후측 대차에 있어서의 접힌 짐받이의 하방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대차.
KR1020090074985A 2009-05-15 2009-08-14 대차 KR201001235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8166 2009-05-15
JP2009118166A JP2010264889A (ja) 2009-05-15 2009-05-15 台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577A true KR20100123577A (ko) 2010-11-24

Family

ID=4307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985A KR20100123577A (ko) 2009-05-15 2009-08-14 대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64889A (ko)
KR (1) KR20100123577A (ko)
CN (1) CN101885344A (ko)
TW (1) TW2010400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69U (ko) * 2018-03-15 2019-09-25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다용도 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3462A (zh) * 2011-06-24 2012-02-29 无锡杰思物流设备有限公司 新型物流台车
CN107472330A (zh) * 2017-09-28 2017-12-15 辽宁工业大学 一种多功能折叠式家用便利车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7152U (ko) * 1972-06-10 1974-03-08
JPS5232865U (ko) * 1975-08-29 1977-03-08
JP3927220B1 (ja) * 2006-03-31 2007-06-06 三栄荷役機械株式会社 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369U (ko) * 2018-03-15 2019-09-25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다용도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40057A (en) 2010-11-16
CN101885344A (zh) 2010-11-17
JP2010264889A (ja)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7220B1 (ja) 台車
JP5827289B2 (ja) 貨物用ラック
CN203267923U (zh) 车辆行李箱地板组件
JP2013256327A (ja) 貨物用ラック
KR20100123577A (ko) 대차
JP2009227042A (ja) 運搬台車
EP2018342B1 (en) Battery change table and reach truck equipped with a battery change table
JP2741412B2 (ja) ショッピング用手押車
JP5827501B2 (ja) 運搬用台車及び荷下ろし小運搬方法
GB2316368A (en) Mounting means on a mobile load carrier
JP2010100240A (ja) スタッキング椅子の移動保管用台車
JP6714341B2 (ja) 運搬台車
WO2023119679A1 (ja) 台車、台車システム
JP6664626B2 (ja) タイヤ運搬台車
JP3153898B2 (ja) プッシュバック収納台車装置
JP2020029122A (ja) 折り畳み運搬カート
CN209142770U (zh) 汽车运输架
JP3361734B2 (ja) 荷台移動傾斜装置
JP3713186B2 (ja) 引き出し式昇降装置
CN110893941A (zh) 汽车运输架
JP7047170B1 (ja) 台車搬送用パレット
CN110304389B (zh) 利用货架支撑保持平衡的侧向装卸货装置及方法
JP3115375U (ja) 折畳式ラック
JP3155660U (ja) 台車
JP2002068186A (ja) ボックス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