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639A - 세탁물 수거함 - Google Patents

세탁물 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639A
KR20100122639A KR1020090041642A KR20090041642A KR20100122639A KR 20100122639 A KR20100122639 A KR 20100122639A KR 1020090041642 A KR1020090041642 A KR 1020090041642A KR 20090041642 A KR20090041642 A KR 20090041642A KR 20100122639 A KR20100122639 A KR 2010012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shutter
main body
storage pack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855B1 (ko
Inventor
이현규
Original Assignee
세명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명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1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855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G07F17/1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comprising lockable containers, e.g. for accepting clothes to be clea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30Accessories, e.g. signalling devices, lamps, means for leaving me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4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 A47G29/141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 A47G2029/146Deposit receptacles for food, e.g. breakfast, milk, or large parcels; Similar receptacles for food or large parcels with appliance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removal of the deposited articles, i.e. food or large parcels comprising electronically controlled locking means the receptacle comprising identification means, e.g. a bar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수거함에 셔터를 설치하여 세탁물의 도난 방지와 외부 요인에 의한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물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에 셔터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도어가 설치된 본체와, 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셔터개부구를 밀폐하는 셔터가 구비된 셔터부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드인식부와, 본체에 설치되며 카드인식부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셔터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이 제공된다.
세탁물, 수거함, 셔터, 카드인식부, 접수증 토출부재, 세탁물보관팩 공급부

Description

세탁물 수거함{LAUNDARY COLLECTION BOX}
본 발명은 세탁물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물 등의 투척이나 유입에 의해서 보관된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세탁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세탁물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의 복잡, 다양화로 인하여 가정에 머무는 시간이 줄어듦에 따라 주거에 필요한 각종 활동, 예를 들면 세탁, 조리 등의 활동을 전문적으로 대행해주는 업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최근에는 각종 의류뿐만 아니라 운동화 등의 세탁물을 수거하여 배달해주는 세탁업이 성행하고 있으나, 이러한 전문적인 세탁업은 해당업의 종사자가 일일이 세탁요구자의 집을 방문하여 세탁물을 수거 및 배달하거나 세탁요구자가 세탁물을 가지고 세탁업소까지 가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세탁물의 수거를 위해 세탁물 수거함을 세탁업자가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9329호(2003.04.07) "광고기능을 갖는 세탁물 수거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세탁물 수거함체를 구비한 세탁물 수거함에 있어서, 세탁물 수거함체의 상부에 광고지의 배포 또는 전시가 가능한 광고함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기능을 갖는 세탁물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세탁물의 무인 수거와 광고지의 배포 또는 전시를 함께 함으로써 세탁물의 수거 및 광고에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세탁물의 의뢰인에게 배달정보 기록지와 인증용 스탬프가 찍힌 접수증을 제공함으로써 세탁업자가 세탁물을 해당 의뢰인에게 정확하게 배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수거함에 세탁물을 담을 수 있는 비닐 등의 보관팩이 없어 사용자가 미리 준비하지 않은 경우 불편을 겪게 되고, 세탁물에 일일이 접수증을 붙여야 하므로 접수증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염물 등의 투척이나 유입에 의해서 보관된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세탁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세탁물 수거함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측에 셔터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도어가 설치된 본체와, 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셔터개부구를 밀폐하는 셔터가 구비된 셔터부와,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드인식부와, 본체에 설치되며 카드인식부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셔터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오염물 등의 투척이나 유입에 의해서 보관된 세탁물의 오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세탁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세탁물 수거함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체에 형성된 투시창에 의해서 사용자가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본체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셔터를 닫지 않고 가 버린경우 이 상태를 인식하여 셔터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수거된 세탁물을 보호할 수 있다.
넷째,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세탁물보관팩 공급부에 의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탁물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소 주인도 보관팩에 보관된 세탁물을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수거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셔터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셔터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에 채용된 권취축에 세탁물 보관팩이 결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도 4에 도시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에 채용된 세탁물 보관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은 도 4에 도시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8 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수거함(1)은 본체(10), 셔터부(20), 카드 인식부(30), 접수증 토출부재(40), 세탁물보관팩 공급부(50)를 포함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세탁물이 수용되며, 본체(10)의 상측에는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셔터개구부(11)가 형성되고, 본체(10)의 하측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2)가 설치된다. 이 본체(10)의 하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13)가 설치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세탁물을 수거한 후 셔터(25)를 수동으로 닫히게 하는 셔터닫이버튼(14)과 사용자가 수거된 세탁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15)이 형성된다.
상기 셔터개구부(11)가 형성된 본체(10)의 내부 측벽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셔터(25)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16a)을 갖는 셔터가이드판(16)이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유무를 인식하는 인체감지센서(17)가 설치된다. 이 인체감지센서(17)는 사용자의 유무을 인식하여 후술할 제어부(60)에 신호를 보내고, 이 신호에 의해서 제어부(60)는 셔터구동모터(22)를 작동시켜 본체(10)의 셔터개구부(11)를 폐쇄한다. 인체감지센서(17)는 적외선 센서, 열원감지센서 등과 같은 인체의 이동 및 유무 상태를 감지하는 모든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5)은 사용자가 보관된 세탁물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원형이나 긴 직사각형 등의 타원체, 다각형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셔터부(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 측벽에 고정되며 절개홈(21a)을 갖는 셔터부브래킷(21)과, 바람직하게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벽과 서터부브래킷(21) 사이에 위치되도록 본체(10)의 내부 측벽에 고정되는 셔터구동모터(22)와, 단부가 셔터부브래킷(21)을 관통하며 셔터구동모터(22)에 연동되는 샤우드(23)와, 셔터구동모터(22)와 셔터부브래킷(21) 사이에 위치되도록 샤우드(23)에 고정되며 샤우드(23)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휠(24)과, 이 회전휠(24)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셔터(25)로 구성된다. 셔터구동모터(22)는 셔터닫이버튼(14)에 의해서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인체감지센서(17)에 의해서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작동 원리는 후술할 제어부(60)에서 설명한다. 상기 셔터부(20)는 공지된 틸팅 방식이나 솔레노이드 등의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카드 인식부(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바람직하게는 알에프(RF) 카드 등을 카드 인식부(30)에 근접 시키면 이를 인식하여 후술할 제어부(60)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60)에서는 이 신호에 의해서 전술할 셔터부(20)를 구동시켜 셔터(25)가 열리도록 한다. 이 카드 인식부(30)는 공지된 카드 인식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접수증 토출부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카드 인식부(30)에 카드를 근접시키면 후술할 제어부(60)에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접수번호 등이 인쇄된 접수증을 토출한다. 이 접수증 토출부재(40)는 공지된 프린터 등의 장치를 사용하며, 사용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공지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접수증은 바람직하게는 2부분으로 나누어지며, 일측은 일반 용지 형식으로 되어 있고 타측은 스티커 형식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스티커 형식으로 된 부분을 떼어내어 후술할 세탁물 보관팩(53)에 붙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탁물보관팩 공급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셔터부(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본체(10)의 내부 측벽에 브래킷에 의해서 고정되며 일측에 공급홀(51a)이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급부케이스(51)와, 이 공급부케이스(51)의 내부 측벽에 형성된 권취축 지지홈(51b)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권취축(52)과, 일측은 권취축(52)에 권취되고 타측은 공급부케이스(51)의 공급홀(51a)을 통해서 공급부케이스(51)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물 보관팩(53)과, 공급홀(51a)과 인접한 위치의 측벽에 설치되어 공급홀(51a)로 배출되는 세탁물 보관팩(53)을 지지하는 보관팩 지지부재(54)와, 공급홀(51a)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공급부케이스(51)의 외측 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55)와, 이 가이드롤러(55)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공급부케이스(51)의 외측 전면에 설치되며 일측에 커팅날(56a)이 구비된 커팅부(56)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축(5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홈(52a)이 형성되고, 이 권취홈(52a)에는 세탁물 보관팩(53)이 보관팩 고정로드(52b)에 의해서 바람직하게는 끼워 맞춤 고정된다.
상기 세탁물 보관팩(53)에는 커팅날(56a)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단홈(53a)이 형성된다.
상기 보관팩 지지부재(5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케이스(51)의 내부 측벽에 바람직하게는 용접 또는 볼트 고정되며 일측에 출입홀(54aa)이 형성된 지지부재몸체(54a)와, 이 지지부재몸체(54a)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54b)와, 일측은 걸림턱(54ca)에 의해서 지지부재몸체(54a)의 내부에 지지되고 타측은 바닥면에 지지된 탄성체(54b)에 의해서 출입홀(54aa)을 통해 지지부재몸체(54a)의 외부로 돌출되는 지지로드(54c)로 구성된다.
상기 보관팩 지지부재(5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세탁물 보관팩(53)의 두께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탁물 보관팩(53)의 상하면을 가압로드(54c)에 의해 지지하여 세탁물 보관팩(53)이 절단된 후 공급부케이스(51)의 내부로 말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탁물 보관팩(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55)와 커팅 날(56a) 사이에서 S자 형상으로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세탁물 보관팩(53)이 가이드롤러(55)와 커팅날(56a)에 의해서 이중으로 지지되므로 편리하게 절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어부(6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셔터닫이버튼(14), 인체감지센서(17), 셔터구동모터(22), 카드 인식부(30), 접수증 토출부재(40)와 연결되어 상기 요소를 제어한다.
이하에서 제어부(60)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수거함(1)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평상시에 본체(10)에 설치된 셔터(25)는 닫힌 상태로 있어 외부 물질에 의해 세탁물이 훼손되거나 세탁물이 도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소에서 미리 접수하여 받은 카드를 카드 인식부(30)에 근접시키면 카드 인식부(30)는 미리 입력된 정보에 의해 사용자를 인식하여 제어부(60)에 신호를 전달한다. 제어부(60)에서는 이 신호에 의해 셔터구동모터(22)를 작동시켜 셔터(25)가 열리도록 함과 동시에 접수증 토출부재(40)에서 접수증이 토출되도록 한다. 셔터(25)가 열리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50)가 보이고, 사용자는 세탁물 보관팩(53)의 절단홈(53a)이 커팅날(56a)에 닿도록 세탁물 보관팩(53)을 당긴 후 커팅날(56a)에 의해서 세탁물 보관팩(53)을 절단한다. 이 절단된 세탁물 보 관팩(53)에 세탁물을 담은 후 접수증 토출부재(40)에서 토출된 접수증에서 스티커를 떼어내에 세탁물 보관팩(53)에 붙인 후 세탁물을 담은 세탁물 보관팩(53)을 본체(10) 내부에 넣는다. 마지막으로, 셔터닫이버튼(14)을 누르면 셔터(25)가 닫힌다. 사용자가 셔터닫이버튼(14)을 누르지 않고 자리를 떠난 경우 인체감지센서(17)는 사용자의 유무를 인식하여 제어부(60)에 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60)에서는 이 신호에 의해 셔터(25)를 자동으로 닫게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수거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셔터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셔터부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도 4에 도시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에 채용된 권취축에 세탁물 보관팩이 결합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도 4에 도시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에 채용된 세탁물 보관팩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도 4에 도시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의 작동 상태도,
도 8 은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수거함에 채용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세탁물 보관함 10 : 본체
11 : 셔터개구부 12 : 도어
13 : 롤러 14 : 셔터닫이버튼
15 : 투시창 16 : 셔터가이드판
16a : 가이드홈 17 : 인체감지센서
20 : 셔터부 21 : 셔터부브래킷
22 : 셔터구동모터 23 : 샤우드
24 : 회전휠 25 : 셔터
30 : 카드 인식부 40 : 접수증 토출부재
50 : 세탁물보관팩 공급부 51 : 공급부 케이스
51a : 공급홀 51b : 권취축 지지홈
52 : 권취축 52a : 권취홈
52b : 보관팩 고정로드 53 : 세탁물 보관팩
54 : 보관팩 지지부재 54a : 지지부재몸체
54aa : 출입홀 54b : 탄성체
54c : 지지로드 54ca : 걸림턱
55 : 가이드롤러 56 : 커팅부
56a : 커팅날 60 : 제어부

Claims (8)

  1. 상측에 셔터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도어가 설치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셔터개부구를 밀폐하는 셔터가 구비된 셔터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드인식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카드인식부를 통해서 사용자를 인식하여 상기 셔터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접수증 토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권취축과, 상기 권취축에 권취되며 상기 셔터가 열렸을 때 사용자가 세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세탁물 보관팩이 구비된 세탁물보관팩 공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시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셔터닫이버튼이 설치되며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은 후 상기 셔터닫이버튼을 누르면 상기 셔터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세탁물을 넣은 사용자의 유무를 인식하는 인체감지센서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보관팩 공급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 공급홀이 형성된 공급부케이스와, 상기 공급부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권 취축과, 상기 권취축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공급부케이스의 공급홀을 통해서 배출되는 세탁물 보관팩과, 상기 공급부케이스의 측벽에 한 쌍이 이격 설치되며 상기 공급부케이스에서 배출된 세탁물 보관팩을 탄성지지하는 보관팩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보관팩 공급부는 상기 공급부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부케이스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물 보관팩이 절단되도록 하는 커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수거함.
KR1020090041642A 2009-05-13 2009-05-13 세탁물 수거함 KR10107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642A KR101076855B1 (ko) 2009-05-13 2009-05-13 세탁물 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642A KR101076855B1 (ko) 2009-05-13 2009-05-13 세탁물 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639A true KR20100122639A (ko) 2010-11-23
KR101076855B1 KR101076855B1 (ko) 2011-10-26

Family

ID=4340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642A KR101076855B1 (ko) 2009-05-13 2009-05-13 세탁물 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8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18A (ko) * 2017-01-03 2018-07-11 유비라커산업(주) 장바구니 배달물품분실을 방지한 물품보관함 패킹시스템
CN110667941A (zh) * 2019-09-24 2020-01-10 烟台职业学院 环保型快递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0018A (ko) * 2017-01-03 2018-07-11 유비라커산업(주) 장바구니 배달물품분실을 방지한 물품보관함 패킹시스템
CN110667941A (zh) * 2019-09-24 2020-01-10 烟台职业学院 环保型快递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855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3068T3 (es) Sistema y método de aceptación de depósito de máquina bancaria automática de distribución de efectivo
ES2331615T3 (es) Maquina bancaria automatizada que distribuye, recibe y almacena billetes y otros instrumentos financieros en forma de hojas.
US7337955B1 (en)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KR101402162B1 (ko) 냄새와 습기유출 및 곤충 출입 방지형 rfid기반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기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PL218327B1 (pl) Urządzenie do automatycznego przeprowadzania transakcji bankowych
KR20140010847A (ko)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
KR101076855B1 (ko) 세탁물 수거함
US8448856B2 (en) Medium processing apparatus
JP6402790B2 (ja) 物品回収装置
JP5268687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302962B1 (ko)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3123764A (ja) 物品回収装置
KR101074854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JP4017052B2 (ja) Icカード使用可能な自動販売機
JP7173633B2 (ja) 物品回収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076851C (en) Record medium reading apparatus, ball dispenser and medal dispenser
JP7423105B2 (ja) ペットボトル減容装置
ES2375193T3 (es) Máquina bancaria automatizada dispensadora de efectivo con validación y desapilamiento de billetes.
JP3784899B2 (ja) 記録単体自動回収装置
JP7348630B2 (ja) 物品回収装置
CN218738775U (zh) 集尘装置、清洁设备及清洁设备组件
JP7286193B2 (ja) 物品回収装置
US8651371B1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dependent on unique data bearing record reader operation
JP6500260B2 (ja) 顧客操作型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