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453A -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453A
KR20100122453A KR1020100043734A KR20100043734A KR20100122453A KR 20100122453 A KR20100122453 A KR 20100122453A KR 1020100043734 A KR1020100043734 A KR 1020100043734A KR 20100043734 A KR20100043734 A KR 20100043734A KR 20100122453 A KR20100122453 A KR 20100122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hole
sides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아펠
라이너 코흐
Original Assignee
한스 링클 안라겐바우 운트 페어파렌스테히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링클 안라겐바우 운트 페어파렌스테히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한스 링클 안라겐바우 운트 페어파렌스테히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12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6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profiling, e.g. mak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1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by u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B28B11/16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for extrusion or for materials supplied in lo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2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the material is extruded
    • B28B3/26Extrusion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6Rod-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009Measured parameter
    • B29C2948/92076Position, e.g. linear or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323Location or phase of measurement
    • B29C2948/92438Conveying, transporting or storage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28Width or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50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8/92609Dimensions
    • B29C2948/92638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857Extrusion unit
    • B29C2948/92904Die; Nozzle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8/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extrusion moulding
    • B29C2948/9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8/92819Location or phase of control
    • B29C2948/92933Conveying, transporting or storage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2Extrusion nozzles or die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홀(5)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오리피스(14)를 구비하며, 마우스홀의 홀 에지(6)는 특정한 형태 및 크기의 홀 횡단면을 결정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7)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홀 에지(6)의 하나 이상의 원주 섹션(6a)은 마우스홀(5)의 축(6e)에 대해 횡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조절 장치(17)에 의해 내향 및 외향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장치{DEVICE WITH ORIFICE FOR PRODUCING A BLOCK OUT OF EXTRUSIBLE MATERIAL}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건축 분야용 벽돌과 같은 성형체 또는 건축 석재를 제조하는 경우, 압출기로부터 점토질의 재료와 같이 압출 가능한 재료에서 블록을 배출(press-out)시켜, 적합한 종방향 섹션으로 커팅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종방향 섹션은 예컨대 건조 또는 베이킹에 의한 후처리 이후 목표한 강도를 갖는 성형체 또는 건축 석재가 된다.
예컨대 DE 제3306852 C1호 및 WO 제2006/119929 A2호에는 종방향 섹션으로의 분리를 위한 커팅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블록의 커팅은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커팅 와이어에 의해, 상기 블록의 원주의 노치에서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예컨대 콘크리트로 성형 벽돌을 제조하기 위해 상응하는 재료를 프레스 다이 내에 주입해서 프레스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성형 벽돌은 프레스 다이의 형태를 유지한다. 작은 돌출부 형태로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재료 부가부를 성형 벽돌의 측면에 형성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으며, 성형 벽돌이 엇갈려 축조된 상태일 때 재료 부가부로 인해 틈이 형성되고, 틈은 스페이서의 높이 치수에 상응하며 접합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성형 벽돌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간격을 두고 스페이서가 위치하기 때문에, 틈이 채워진 상태일 때 스페이서는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프레스 다이에서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에 스페이서가 형성되면, 다이로부터의 제거 즉, 방출(ejection)이 문제가 되는데, 그 이유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성형 부품이 스페이서의 높이 방향으로만 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성형체의 2개 이상의 측면에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경우, 성형체 방출을 위해 다이가 특수하게 분할되어야 하므로 구성 시뿐만 아니라 관리 시에도 비용이 많이 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를 갖는 블록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도록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장치 또는 오리피스는 간단하면서도 비용 면에서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도록 구성 또는 조립 또는 해체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해당 종속항들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마우스홀의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 조절될 수 있는 마우스홀 에지의 원주 섹션을 구비한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재료 부가부가 블록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재료 부가부의 이격 치수는 원주 섹션의 내향 및 외향 조절 장치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원주 섹션이 상응하게 외향 또는 내향 조절된 위치에 있을 때 재료 부가부를 갖거나 재료 부가부를 갖지 않는 블록의 측면이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장치는 재료 부가부를 갖는 블록 뿐만 아니라 재료 부가부를 갖지 않는 블록을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상기 장치는, 압출 중 외향 및 내향 조절에 의해 원하는 이격 치수로 재료 부가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압출 속도의 고려하에 목표한 원주 섹션의 외향 및 내향 조절에 의해 재료 부가부의 시작과 끝을 결정하고, 이로써 그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서도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블록의 종방향 섹션에 의해 형성된 성형체가 형성되도록 블록이 횡방향으로 커팅되는 커팅 지점으로부터 종방향으로 간격을 갖도록 재료 부가부의 시작과 끝을 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성형체의 커팅면에 대해 재료 부가부가 간격을 가짐으로써, 재료 부가부는 이와 같이 형성된 건축 석재 또는 포석(paving stone)이 엇갈려 축조된 상태일 때 건축 석재 또는 포석의 상부 측면에 대해 간격을 가지므로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압출만으로 블록에 재료 부가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료 손실은 없다.
내향 및 외향 조절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원주 섹션은, 마우스홀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오리피스에 지지되고 구동 장치에 의해 내부 및 외부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에 의해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의 배치는, 슬라이드가 적어도 그 내부 위치에서 마우스홀의 가장 확대된 횡단면 내에 잠입되어 작용 횡단면을 축소하도록, 그리고 그 외부 위치에서는 축소된 횡단면을 확대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장치와 상기 장치에 할당된 압출 커팅 장치에 의해 제조된 성형체에는 다수의 요건들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건들에는 한편으로, 간단하면서 비용 면에서 유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어야 하는 통상적인 양산이 해당된다. 다른 한편으로, 반제품인 블록으로부터 성형체가 커팅되는데 이러한 제조는 소성 재료로 구성되므로 위치 설정 및 이송과 같은 처리가 어렵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용 및 시간을 적게 들이고도 제조가 가능하도록 상기 유형의 성형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성형체는 또한 실질적인 재료 손실 없이 제조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종속항 제17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는 해당 종속항들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의 실질적인 특징은, 재료 부가부를 포함하여 상기 성형체가 압출만으로 성형되고 재료 부가부는 압출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성형체의 단부면들 중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대해 간격을 갖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반제품인 블록이 연속적으로 성형되어 성형체가 커팅되기만 하면 되므로 적은 비용의 제조가 보장될 뿐만 아니라, 재료 부가부는 성형체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대해 간격을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료 손실 없이 제조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압출 중 재료 부가부를 성형하는, 오리피스의 홀 에지에 있는 리세스의 깊이가 0으로 감소하는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부가부는 압출에 의해서만 형성되고, 이로써 실질적으로 재료 손실 없이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대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블록으로부터 성형체를 커팅하는 경우, 커팅 장치, 예컨대 커팅 와이어를 구비한 커팅 장치의 유형에 따라 약간의 재료 손실이 일어날 수 있지만, 미미한 정도이므로 무시해도 된다.
성형체의 또 다른 특징은 하나의 성형체 축조물(bond)에서 성형체가 간단하게 엇갈려 축조되는 것을 보장한다. 예컨대 길쭉하게 형성된 형성체, 바람직하게는 길쭉한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 성형체는 하나의 측면, 예컨대 그 넓은 측면에,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상기 넓은 측면에 후속하는 하나의 측면, 예컨대 좁은 측면에 또는,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측면, 예컨대 좁은 측면 또는 넓은 측면에도 하나 이상의 재료 부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홀 또는 성형체의 형태는 길쭉한 하나의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예컨대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질적인 특징은, 좁은 측면에 배치된 재료 부가부들이 서로 나란히 위치하도록, 좁은 측면에 대해 직각인 프로젝션에서 볼 때, 상기 재료 부가부들이 서로 오프셋 배치된다는 데 있다. 이로써 축조물에서 성형체가 엇갈려 축조될 때 서로 대향 배치된 측면 상에 재료 부가부가 배치되는 경우, 재료 부가부는 성형체들 사이에 형성된 틈의 폭을 보장하고 서로간에 충돌하지 않으며, 합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나란히 놓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는 축조물에서 엇갈려 축조되는 성형체의 재료 부가부들이 연달아 놓이도록, 측방향 또는 좁은 측면의 또는 넓은 측면의 프로젝션에서 볼 때 좁은 측면 및/또는 넓은 측면에 배치된 재료 부가부를 연달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재료 절약을 위해 바람직하므로, 재료 부가부의 이격 치수가 합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격 치수는 상기 틈 폭의 절반에만 상응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를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압출기의 부품인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전방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장치에 의해 형성된 블록과,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체와 함께 장치를 마찬가지로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약간 확대하여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선상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장치의 변형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장치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또는 도 6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베이스 상에서 엇갈려 축조된 복수의 성형체들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모든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비교 가능한 부품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면들에서 1로 표시된 장치는 프레스 공간(3)과, 상기 프레스 공간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화살표로 간단하게 도시된(도 4) 프레스 요소(4)를 구비한 간단하게 도시된 압출기(2)의 다이 또는 오리피스의 부품이며, 상기 프레스 요소는 압출기(2)의 전방 단부에 있는 마우스홀(5)을 통해 압출 가능한 재료를 배출하기 위해 제공된다. 마우스홀(5)의 홀 에지(6)는 도 2에 도시된 블록(7)의 형태 및 횡단면 크기를 결정하며, 블록은 압출기(2)의 기능 작동 시 마우스홀(5)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압출 방향(8)으로 배출되며 적합한 이송 장치(9) 상에서 계속해서 이송된다.
상기 장치(1)는 압출기(2)의 전방 단부에 배치된 다이(11) 내에 통합되거나 부착되며, 다이는 예컨대 수직의 부착 플레이트(13)를 이용하여 압출기(2)의 하우징(12)의 전방 측면에 부착되고, 바람직하게 평평한 부착 플레이트의 후방 측면은 하우징(12)의 전방 측면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마우스홀(5)은 다이(11) 내에 배치되며 오리피스(14) 내에 위치하고, 오리피스는 다이(11)에 일부재로 형성되거나 부착 플레이트(13)에, 예컨대 부착 플레이트(13)의 전방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부착 플레이트(13)는, 마우스홀(5)에 대해 거의 동축으로 배치되고 예컨대 마우스홀(5)보다 약간 더 클 수 있는 관통 홀(15)을 포함하며, 이 경우 마우스홀(5)과 관통 홀(15) 사이의 전환 영역에는 전방을 향해 집중되는(convergent) 홀 축소부(16)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마우스홀(5)은 선택적으로 소정의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횡단면 형태는 실질적으로 사각형 및 직사각형이며 길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예컨대 보다 긴 수평의 제1 횡단면 치수(a)와 예컨대 수직의 횡단면 치수(b)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서로 각각 대향 배치된 마우스홀(5)의 횡단면 형태의 좁은 측면과 넓은 측면이 형성된다. 배출된 블록(7)의 표면 압력을 가급적 낮게 유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더 긴 횡단면 치수(a)는 수평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좁은 측면의 횡단면 치수가 수평으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이는 분할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함이다.
압출 방향(8)으로 연장되는 마우스홀(5)의 내부 자켓면의 치수(c)는 이론적으로 작을 수 있다. 블록(7)의 사이즈 정확도 및 횡단면 형태를 가급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횡단면 치수(a 또는 b)의 대략 1/5 내지 1/8이 되는 크기로 치수(c)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치수(c)를 더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4개의 내부 측면(5a, 5b, 5c, 5d)에 의해 형성된 마우스홀(5)의 내부 원주면은 마우스홀의 중앙축(5e)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장치(1)는 마우스홀(5)의 축(5e)에 대해 횡방향으로 홀 에지(6)의 하나 이상의 원주 섹션(6a)이 선택적으로 내향 및 외향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 장치(17)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원주 섹션(6a)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마우스홀(5)의 횡단면 치수는 선택적으로 축소 및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변동에 의해 앞서 언급한 횡단면 치수의 축소 또는 확대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이(11)로부터 블록(7)이 배출되는 속도의 고려 하에 마우스홀(5)의 횡단면 치수의 축소 및 확대가 요구되는 종방향 위치의 결정도 가능하다. 이 경우 횡단면 축소 또는 확대는 압출기(2)의 기능 시작 전 또는 그 이후에 실행될 수 있거나, 압출 중에 실행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횡단면 치수는 단계형으로 변동되는 반면, 후자의 경우 블록(7)의 길이에 대해 횡단면이 연속적으로 축소 또는 확대되고, 이 경우 블록(7)의 자켓면 섹션 또는 정면 섹션은 축(5e)에 대해 경사지게 또는 라운딩 또는 쐐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예컨대 점형 또는 리브형인 하나 이상의 재료 부가부(19)를 블록(7)의 측면 중 하나 이상에 또는 블록(7)의 종방향 섹션에 의해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포석일 수 있는 성형체(21)의 측면(21a, 21b, 21c) 중 하나 이상에 형성하기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방향 섹션 또는 성형체(21)는 블록(7)을 횡방향으로 커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축(5e)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간에 종방향 간격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커팅 와이어(22a)를 포함하는 공지된 커팅 장치(2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팅 장치는 예컨대 출원인의 DE 제10 2005 063 327 A1호에서 횡방향 커팅 전 블록(7)의 노치와 연관해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커팅 장치(22)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단 하나의 커팅 장치(22)만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원주 섹션(6a)의 조절 가능성에 의해, 압출 속도 및 장치(1)에 대한 커팅 장치(22)의 축방향 간격(f)의 고려 하에 횡단면 치수의 확대 또는 축소는, 재료 부가부(19)가 성형체(21)의 하나 이상의 커팅면에 대해 축방향 간격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1)는 재료 부가부(19)를 하나 이상의 측면에 포함하는 포석을 제조하기에 적합하며, 재료 부가부는 서로 인접하게 엇갈려 축조된 2개의 성형체들(21) 또는 포석들 사이에 틈(23)을 형성하기 위한 측방향 치수(g)(도 7)를 보장한다. 포석으로서 엇갈려 축조된 성형체(21)에서 커팅면으로 형성된 상부 측면 또는 가시 측면(21e)에 대해 재료 부가부(19)가 축방향 간격(e)을 또한 포함하면, 재료 부가부(19)는 해당 포석이 엇갈려 축조되어 접합된 상태일 때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재료 부가부(19)가 간격(e)으로 인해 접합 재료로 덮히므로 눈에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재료 부가부(들)(19)의 종방향 횡단면 형태는 예컨대 사다리꼴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재료 부가부(19)는 성형체(21)의 하부 측면(21f)과 관련해서는 하부 측면(21f)에 대해 간격(e)을 두고 배치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성형체의 하부 측면 영역은 위쪽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성형체의 2개의 커팅면 또는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에 대한 재료 부가부의 간격(e)은 특히 바람직하므로, 성형체의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은 위쪽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는 면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점형 또는 리브형 재료 부가부(19)를 블록(7) 또는 성형체(21)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형성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1)가 적합하다는 것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뚜렷해진다. 부가부(들)(19)의 제조를 위해 홀 에지(6)의 조절 가능한 원주 섹션(들)(6a)이 마우스홀(5)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재료 부가부(19)는 성형체(21)의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포석의 경우 엇갈린 축조를 쉽게 하기 위해 즉, 인접한 포석에 대한 부착을 쉽게 하고, 인접한 포석에 대해 해당 측면에 걸쳐서 동일한 크기의 간격을 얻도록 하기 위해, 성형체(21)의 하나 이상의 측면, 특히 넓은 측면에 2개의 재료 부가부(19)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재료 부가부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측면, 특히 넓은 측면의 단부 영역에 위치한다.
직육면체형의 성형체(21)의 경우 좁은 측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L)를 넓은 측면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성형체(21)의 폭(B)보다 대략 2배 크게 형성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 넓은 측면의 중앙 종방향 영역(L)에는 제3 재료 부가부(19)가 배치되며 바람직하게 수형 방향으로 간격을 갖는 2개의 재료 부가부(19)는 하나 또는 2개의 좁은 측면에 배치된다. 특히 전술한 후자의 실시예는 복수의 성형체들(21)이 도 8에 따른 소위 하나의 헤링본 패턴 내에서 엇갈려 축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엇갈린 축조 패턴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a) 넓은 측면이 서로 접해 있는 직육면체형의 복수의 성형체(21)는, 계단형으로 배치된 성형체들로 구성되고 측방향 스텝 리세스를 갖는 경사진 제1 열이 형성되도록, 성형체의 넓은 측면을 따라 절반이 서로 오프셋 배치된다.
b) 이러한 제1 열의 양 측면에는 제1 열의 성형체(21)에 대해 90°회전된 성형체(21)를 갖는 각각 하나의 경사진 제2 열이 부착되며, 제2 열의 성형체는 제1 열의 스텝 리세스를 채우도록 그리고 제1 열 반대편 측면에 다음 제1 열의 성형체를 위한 스텝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마찬가지로 넓은 측면을 따라 절반이 오프셋된다.
엇갈린 축조 가능성을 확대시키기 위해 성형체(21)는 2개의 좁은 측면 상에 재료 부가부(19)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좁은 측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프로젝션(P1)(도 8)에서 상기 재료 부가부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므로, 서로 대향 배치된 2개의 좁은 측면에 배치된, 예컨대 2개의 재료 부가부(19)는 인접한 성형체(21)의 재료 부가부(19)와 일렬로[그 치수(g)가 합해질 수도 있음] 놓이는 것이 아니라, 서로 나란하게, 바람직하게는 커팅면 또는 가시 측면(21e)에 대해 평행하게 놓인다.
전술한 형태로 성형체(21)를 제조할 수 있도록, 장치(1)는 전술한 재료 부가부(19)에 상응하는 원주 섹션(6a)을 포함하며, 원주 섹션은 마우스홀(5)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상응하게 확대되거나 축소됨으로써 선택적으로 내향 및 외향 조절될 수 있다.
마우스홀(5)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신의 치수가 해당 횡방향 치수(a, b)의 일부분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재료 부가부(19)가 형성되어야 하면, 리세스의 깊이(t)가 0과 최대 치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도록 홀 에지(6)의 하나의 리세스(25) 영역에 원주 섹션(6a)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재료 부가부(19)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단부측의 2개의 리세스 또는 중앙의 하나의 리세스(25)도 마우스홀(5)의 넓은 측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또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리세스(25)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마우스홀(5)의 측면들에서 하나의 측면에, 본원에서는 좁은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원주 섹션(6a)은, 홀 에지(6)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해당 리세스(25)의 베이스에 대해 횡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 조절될 수 있으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슬라이드(26)에 의해 간단하고 바람직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다이(11)에 배치되며 축(5e)에 대해 횡방향을 향하는 가이드(27) 내에서 해당 리세스(25)의 횡단면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리세스(25)의 깊이(t)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리세스(25) 전체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운동할 수 있는 각각 하나의 슬라이드(26)를 도시하고 있다.
성형체(21)에서와 마찬가지로, 장치(1)에서도 마우스홀(5)의 서로 대향 배치된 측면에 특히 좁은 측면에 배치된 리세스(25)는 상기 측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프로젝션에서 화살표(P2)에 따라(도 3)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 해당 리세스들(25)은 마우스홀(5)의 각각 하나의 측면 상에서 예컨대 하부 홀 에지(6) 쪽 하나의 리세스(25), 예컨대 좌측의 하부 리세스(25)의 측면의, 하부 홀 에지(6)에 대한 간격(k)이 대향 배치된 리세스(25)의 하부 홀 에지(6a) 반대편 측면의 간격(l)보다 더 크도록 마우스홀(5)의 원주 방향으로 오프셋 배치된다. 이는, 각각의 횡단면에서 각각의 좁은 측면 상에 2개의 리세스(25)가 배치될 때 하부 또는 상부 홀 에지에 대한 간격 비율로 상기 리세스에 상응하게 적용된다. 인접한 각각의 성형체(21)에 대해 충분히 큰 각 안정성을 갖는 지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2개의 리세스(25)가 각각의 좁은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리세스를 수평의 해당 횡방향 중앙축(6b)의 상부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의 리세스는 상기 횡방향 중앙축(6b)의 하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홀 에지에는 예컨대 홀 에지(6)의 단부 영역에 배치된 2개 이상의 리세스(25)가 존재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바람직하게 3개의 리세스(25)가 제공되며, 이들 중 중앙의 리세스는 중앙에 위치하며, 장치(1)에 의해 성형된 성형체(21)의, 재료 부가부(19)를 포함하지 않는 2개의 넓은 측면이 재료 부가부(19)를 포함하는 제1 성형체(21)의 넓은 측면에 부착되고[이 경우 성형체의 절반의 치수(L) 만큼 수평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중앙의 재료 부가부(19)에 접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m)을 포함한다.
이로써 재료 부가부(19)의 형태와, 크기 및 위치가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재료 부가부의 수와, 형태 및 위치는 전술한 설명과 다를 수 있으며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해당 리세스(25)에 대한 슬라이드(26)의 배치 및 구성은 원칙적으로는 모든 리세스(25)에서 또는 리세스의 리세스 베이스에 의해 형성된 원주 에지 섹션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해당 리세스(25)에 대한 단 하나의 슬라이드(26)의 배치 및 기능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 플랫 슬라이드로서 형성된 슬라이드(26)의 넓은 측면은 마우스홀(5)의 중앙축(5e)에 대해 횡방향으로, 해당 홀 에지(6a)에 대해서도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드(26)는 구동 모터(31a)를 구비한 구동 장치(31)에 의해 외부 위치와 그 내부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외부 위치에서 슬라이드(26)의 내부 정면 단부(26a)는 해당 리세스(25)의 횡단면을 개방할 수 있으며 리세스(25)의 베이스(25a)에 대해 외부 쪽으로 오프셋될 수 있거나 리세스(25) 안으로 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위치는 개방 위치로서도 표현될 수 있다. 내부 위치에서 슬라이드(26)는 리세스(25)를 폐쇄하므로, 슬라이드의 정면 단부(26a)는 마우스홀(5)의 원주 또는 홀 에지(6)에 의해 끝난다. 따라서 리세스(25)의 깊이(t)는 슬라이드(26)의 조절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드(26)는 해당 구동 장치(31)에 의해 그 내부 폐쇄 위치와 외부 개방 위치에만 고정되거나 상기 위치들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중간 위치에도 고정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형태 결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원의 기계식 구동 장치(31)의 경우에 해당되는 바와 같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슬라이드(26)의 폭(o)은 리세스(25)의 폭(m)과 같다. 그러나 슬라이드(26)의 폭(o)은 폭(m)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마우스홀(5)의 동일한 측면에 있는 복수의,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리세스들(25)을 위해 하나의 공동 슬라이드(2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예컨대 조인트 볼트(26c)를 구비한 조인트에 의해 하나의 공동 슬라이드 베이스(26b)에 예컨대 포크형으로 지지됨으로써 공동으로 구동 장치(31)에 의해 내향 및 외향으로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2개 또는 3개의 슬라이드(26)를 도시하고 있다. 조인트 볼트(26c)를 구비한 하나의 조인트 대신에, 예컨대 나사 조임 형태의 분리 가능한 연결부와 같이 강성의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또는 모든 슬라이드(26)를 위해 하나의 공동 구동 장치(31) 및/또는 하나의 공동 구동 모터(31a)가 제공되면 구성이 더욱 간단해질 수 있다.
원주 방향을 향한 기어 슬라이드(32a)의 운동을 원주 방향에 대해 횡방향을 향한 슬라이드(26) 또는 슬라이드 베이스(26b)의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32)를 포함하는 구동 장치(31)가 제공되면, 작으면서도 강력한 구동이 가능한 구조가 얻어진다. 이 경우 기어(32)는 각각 조인트(32b, 26d)에 의해 기어 슬라이드(32a) 및 슬라이드 베이스(26b)에 연결된 연결 로드(32c)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 로드는 기어 슬라이드(32a)의 출발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26)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하며 토글 레버(toggle-lever)의 구동 시 기어 슬라이드(32a)의 부분 원호 형태의 운동에 의해 연결 로드와 홀 에지(6) 사이의 각(W1)을 확대시키는 선회 운동으로 선회되며 슬라이드(26)는 그 내부 폐쇄 위치로 운동하고 반대의 위치로도 운동한다.
기어 슬라이드(32a)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가이드(33) 내에서 왕복으로 변위될 수 있다.
모든 실시예의 경우 예컨대 2개의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피스톤 실린더(34)가 구동 모터(31a)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 조인트(35)에 의해 장치(1)의 정상(staionary) 부품에 지지되며 조인트(36)에 의해서는 기어 슬라이드(32)에 연결되어, 마우스홀(5)의 축(6e)에 대해 수직 방향을 향하는 횡방향 평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 슬라이드(32a)는 바람직하게 환형의 본체이며 안정성의 이유로 바람직하게는 폐쇄된 링이고, 상기 링은 바람직하게 회전 가이드로서 형성된 원호 가이드(33) 내에 왕복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원호 가이드(33)는 원주 상에 배분되어 배치된 예컨대 3개 이상의 또는 복수의, 예컨대 4개의 가이드 롤러(33a)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는 마우스홀 축(5e)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벗 베어링의 회전축(33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피벗 베어링은 회전 링(32d)의 내부 원주에 의해 접촉 방식으로 둘러싸이므로 마우스홀 축(6e)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 롤러(33a) 상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회전 또는 원호 가이드(33)는 축방향 베어링의 관점에서 볼 때 반경 방향 가이드면에 의해 가이드 롤러(33a)에 축방향으로 유지되며, 상기 축방향 베어링은 가이드 롤러(33a)의 자켓면들이 각각 하나의 가이드 그루브(33d)를 포함함으로써 형성되고, 운동 유격을 갖는 회전 링(32a)이 가이드 그루브를 둘러싸므로 회전 링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가이드 그루브 내에 안내된다.
원호 가이드(33) 또는 가이드 롤러(33a)는 예컨대 하우징(12) 또는 오리피스(14)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환형 또는 프레임형의 베어링부(37)는 오리피스(14)에 고정되며, 예컨대 베어링부의 전방 측면, 베어링부의 원주 또는 베어링부로부터 이격된 베어링 암(37a)에는 원호 가이드(33)가 형성된다.
가이드(27)는 바람직하게 오리피스(14)와 베어링부(37) 사이에 배치되며, 가이드는 슬라이드(26)의 횡단면 형태와 횡단면 크기에 맞게 조정된 가이드 리세스(27a)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리세스는 오리피스 쪽 베어링부(37)의 측면에 그리고/또는 오리피스(14)의 전방 측면에 또는 하우징(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로부터 분명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축방향 단면도에서 슬라이드(26)는 바람직하게 경사진 또는 라운딩된 정면으로써 정면 단부(26a)에 쐐기 형태로 형성되므로 언더커팅된다.
도 2, 도 3 및 도 4는 가장 안쪽의 폐쇄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26)를 도시하며, 도 1은 외부의 개방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장치(1) 또는 압출기(2)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기능 작동 시, 압출 가능한 재료는 압출기(2)의 프레스 공간(3)으로부터 마우스홀(5)을 통해 압출 방향(8)으로 배출되며, 이 경우 블록(7)이 형성되고 블록의 이송 속도는 약간 상이할 수 있다. 이송 속도는 압출 가능한 재료가 어떠한 압력비 하에 마우스홀(5)의 영역에 있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이 경우 오리피스(14)에 제공된 재료의 양이 블록(7)의 속도를 결정한다.
블록(7)의 각각의 압출 속도 또는 배출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 예컨대 다이(11)의 앞에 배치된 프레임(37)의 전방 측면에서 다이(11) 또는 오리피스(14)와 커팅 장치(22)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 속도 센서(41)가 제공된다. 속도 센서(41)는 예컨대 자신의 원주가 블록(7)과의 접촉에 사용되는 측정 휠(41a)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측정 휠은 전진 운동하는 블록(7)에 의해 회전해서 속도 측정 변수를 검출하며, 속도 측정 변수는 커팅 장치(22)의 횡방향 구동 장치(43)를 제어함으로써 블록(7)으로부터 성형체(21)를 커팅하기 위한 커팅 시작 및 커팅 과정을 제어하는 전기 제어 장치(42)에 전달된다.
예컨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2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구동 장치(43)는 블록에 대해 횡방향으로 예컨대 수직으로 커팅 와이어(22a)를 가동한다. 이 경우 커팅 장치(22)는 횡방향을 향해 압출 속도로 실행되는 커팅 중, 블록(7)의 종방향으로 연장되지만 마찬가지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2개의 화살표로 표시된 종방향 슬라이드(44)에 의해 블록(7)의 이송 속도로써 전진 운동하며 커팅 이후 출발 위치로 다시 복귀 운동하고, 이 경우 블록의 종축에 대해 수직 방향을 향하는 섹션이 형성된다.
커팅 이후 커팅 와이어(22a)는, 커팅된 성형체(21)와 블록(7) 사이에서 펼침(spread)에 의해 형성된 틈을 통해 압출 속도로 계속 운동할 수 있으며 출발 측을 향해 복귀 운동할 수 있고, 그 이후 이송 방향(8)에 반대되게 커팅 와이어의 최초의 출발 위치로 복귀 운동할 수 있으며, 이는 기술 용어로 단방향 커팅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커팅 이후 블록(7)의 각각의 측면 상에 커팅 와이어(22a)를 그대로 두어 압출 방향(8)에 반대되게 커팅 와이어의 출발 위치로 복귀 운동시킬 수도 있으며 출발 위치로부터 커팅 와이어(22a)는 다음 커팅을 위해 블록(7)의 다른 측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운동한다. 이러한 커팅을 기술 용어로 "양방향 커팅"으로 표현한다. 전술한 커팅 기술들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세부 사항을 더 자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는 블록(7)의 더 긴 종방향 섹션을 중간 부재로서 커팅해서 블록(7)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지해 있는 커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커팅 위치에서 블록 섹션은 전술한 커팅 장치(22) 및 상기 커팅 장치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의 전술한 전진 및 복귀 운동 없이 커팅될 수 있다(소위 하프형 커터).
그 외에도,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의 경우 커팅 장치(22)는 블록의 종방향을 향하는 각각 하나의 간격을 서로 포함하는 복수의 커팅 와이어(22a)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커팅 과정에서 복수의 성형체(21)가 커팅될 수 있다.
재료 부가부(19)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압출 중에 슬라이드(들)(26)은 구동 장치(31)에 의해 전술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운동하며, 이 경우 해당 원주 섹션(6a)은 이때 발생하는 마우스홀(5)의 횡단면 변동을 제어한다. 슬라이드(26)가 얼마나 빨리 그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운동하는지에 따라, 상기 운동 속도 및 압출 이송 속도의 고려 하에 경사진 또는 라운딩된 상(19a)이 재료 부가부(19)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상 사이에는 각(W2)이 형성된다(도 2).
압출 방향(8)으로 연장되는 성형체(21)의 높이(h)에 상응하는 범위를 블록(7)이 전진 운동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슬라이드(26)는 재료 부가부(19) 없이 블록이 배출되는 그 폐쇄 위치로 운동한다. 이로써 압출 중 슬라이드(26)의 폐쇄 위치에서 재료 부가부들(19) 사이에는 틈(45)이 형성되고 틈의 길이(L2)는 압출 중 슬라이드(26)가 그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정지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정지 시간 또는 틈 길이(L2)는, 후속해서 블록(7)이 커팅되는 지점 앞에 길이(L2)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하도록 즉, 해당 재료 부가부(19)가 가시면 또는 다음 번 상부 측면(21e)에 대해 갖는 간격(e)에 길이(L2)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길이(L2)가 상응하도록 구동 장치(31b)에 의해 제어된다.
압출 방향(8)을 향하는 성형체(21)의 커팅면으로부터 간격(e)이 후방 쪽으로 연장되도록 구동 장치(31b)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각의 성형체(21)는, 엇갈린 축조 시 상기 커팅면이 위쪽을 향해서 상부 측면 또는 가시면(21e)을 형성하도록 엇갈려 축조된다.
더욱이, 전술한 2개의 작업 방법 또는 압출 방법의 경우, 각각의 성형체(21)의 하나의 또는 2개의 커팅면으로부터 간격(e)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각각의 슬라이드(26)는 블록(7)에서 하나의 지점 이후 간격(e) 만큼 그 개방 위치로 운동하며, 이 경우 상기 지점은 후속해서 발생하는 제1 커팅의 위치에 상응하고 그리고/또는 간격(e)에 상응하는 시점 시 제2 지점에 앞서서 그 폐쇄 위치로 운동하고, 이 경우 제2 지점은 성형체(21)의 제2 커팅 지점에 상응한다.
전술한 설명에 상응하는, 성형체(2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하기의 방법 단계들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압출 가능한 재료로 성형체(2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경우, 상기 재료는 다이 홀(5)을 통해 프레스되고, 다이 홀의 홀 에지(6)는 배출 시 형성된 블록(7)의 횡단면 형태 및 크기를 결정하며, 블록으로부터 성형체(21)가 횡방향으로 커팅되고, 이 경우 홀 에지(6)의 하나 이상의 원주 섹션(6a)은 압출 중에 내부 및/또는 외부로 조절되며 축소 및/또는 확대된 블록(7)의 횡단면은 압출되고 성형체(21)는 축소된 횡단면의 종방향 영역(L2)에서 커팅된다.
이 경우 원주 섹션(6a)은 적어도 내부 쪽으로의 조절 이후 일정 시간 동안 그 위치에 머무르므로 대략 축방향으로 평행한 원주 섹션이 압출된다.
블록(7)으로부터 성형체(21)를 커팅하기 위해서는 성형체(21)의 하나 또는 2개의 커팅면 또는 단부면에 대해 재료 부가부(19)가 간격(e)을 가질 다수의 가능성들이 있다. 이 경우 종료 시 또는 시작 시, 또는 축소된 압출 횡단면의 중앙 영역(e)에서 성형체(21)를 커팅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예컨대 조절 가능한 하나 이상의 원주 섹션(6a)을 구비한 각각의 측면에 복수의 구동 장치(31) 즉, 구동 장치(31a, 31b, 31c)가 제공된다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구별되며, 이 경우 하나의 공동 구동 모터(31a) 대신에, 마우스홀(5)의 하나의 측면 또는 2개의 측면 상에 그리고/또는 마우스홀의 상부 측면에 각각 배치된 슬라이드(들)(26)을 그 내향 운동 및 외향 운동으로 구동시키는 각각 하나의 구동 모터(31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터(31a)도 다이(11)로부터 이격된 부착부(46)에 고정된, 예컨대 피스톤 실린더(34)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부착부는 예컨대 각이 지게 형성되고 부착 플레이트(1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측방향 슬라이드와 3개의 상부 측 슬라이드(26)는 각각 해당 구동 모터(31a)에 의해 공동으로 내향 또는 외향 운동한다. 피스톤 로드(31b)는 각각 슬라이드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조인트(47)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드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Claims (23)

  1. 마우스홀(5)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오리피스(14)를 구비하며, 마우스홀의 홀 에지(6)는 특정한 형태 및 크기의 홀 횡단면을 결정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7)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홀 에지(6)의 하나 이상의 원주 섹션(6a)은 마우스홀(5)의 축(6e)에 대해 횡방향으로 내향 및 외향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조절 장치(17)에 의해 내향 및 외향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주 섹션(6a)은 마우스홀(5)의 축(5e)에 대해 횡방향으로 가이드(27) 내에서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14)에 지지된 슬라이드(26)에 의해 형성되며, 슬라이드(26)는 적어도 내부 위치에서 마우스홀(5)의 홀 횡단면 내에 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슬라이드(26)는 그 외부 위치에서 마찬가지로 홀 횡단면 내에 잠입되거나 홀 횡단면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마우스홀(5)은 홀 에지(6)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에지 리세스(25)를 포함하며, 에지 리세스의 횡단면은 슬라이드(26)에 의해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26)는 압출 방향(8) 반대편에 있는 슬라이드 측면에 평평한 측면을 포함하며, 마우스홀(5)의 가이드면에 상기 측면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26)는, 슬라이드의 넓은 측면이 마우스홀(5)의 축(5e)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플랫 슬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26)는 압출 방향(8)을 향하는 마우스홀(5)의 전방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우스홀(5)의 축(5e)을 향한 슬라이드의 정면은 압출 방향(8) 쪽으로 언더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27)는 리세스에 의해 오리피스(14) 내에 배치되거나, 오리피스(14) 내에 고정된 전방부(37)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리피스(14)의 마우스홀(5)은 동시의 또는 길쭉한,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태를 포함하며, 이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횡단면 형태의 상부 측면 및 하부 측면은 넓은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우스홀(5)의 하나 이상의 측면 또는 복수의 측면 또는 모든 측면에는 하나 또는 2개의 또는 복수의, 예컨대 3개의 조절 가능한 원주 섹션(6a)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마우스홀(5)의 3개의 측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조절 가능한 원주 섹션(6a)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우스홀(5)의 하부면에는 조절 가능한 원주 섹션(6a)이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4. 제2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우스홀(5)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드(들)(26)에 또는, 마우스홀(5)의 복수의 측면들에 배치된 슬라이드들(26)에 하나의 공동 구동 장치(31)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리피스(14)에는 블록(7)으로부터 성형체(21)를 커팅할 수 있는 커팅 장치(22)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블록(7)의 출발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센서(41)와, 출발 속도에 따라 커팅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2)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17. 특히 건축 분야용 성형체로서, 특히 벽돌 또는 포석이며, 상기 성형체는 압출 방향(8)으로 압출 가능하고 이후 강화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며, 압출 방향(8)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 압출 시 형성되는 재료 부가부(19)를 포함하는 성형체에 있어서,
    재료 부가부(19)는 압출 방향(8)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성형체(21)의 하나 이상의 단부면에 대해 간격(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성형체는 하나의 측면에 또는 2개의 측면에 또는 3개 또는 모든 측면들에 각각 하나 이상의 재료 부가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성형체(21)는 측면(들)에 각각 2개의 재료 부가부(19)를 포함하며, 상기 재료 부가부는 서로 간에 간격을, 바람직하게는 단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체는 그 단부면에 대한 주시 방향으로, 길쭉한, 특히 직사각형의 횡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성형체는 그 단부면에 대한 주시 방향으로 볼 때, 길이(L)를 가지며, 상기 길이는 성형체의 폭(B)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재료 부가부(19)는 성형체(21)의 넓은 측면 및 좁은 측면에 배치되거나, 대향 배치된 좁은 측면에 또는 모든 측면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성형체(21)의 하나의 측면, 예컨대 좁은 측면의 재료 부가부(들)(19)은, 각각의 측면에 대해 직각인 프로젝션(P1)에서 볼 때 하나의 측면의 재료 부가부(들)(19)이 다른 측면의 재료 부가부(들)(19)에 대해 나란히 위치하도록, 대향 배치된 측면, 예컨대 좁은 측면의 재료 부가부(들)(19)에 대해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KR1020100043734A 2009-05-12 2010-05-11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장치 KR20100122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06795U DE202009006795U1 (de) 2009-05-12 2009-05-12 Vorrichtung mit einem Mundstück zum Herstellen eines Stranges aus strangpressbarem Material
DE202009006795.5 2009-05-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453A true KR20100122453A (ko) 2010-11-22

Family

ID=4231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734A KR20100122453A (ko) 2009-05-12 2010-05-11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87873A1 (ko)
KR (1) KR20100122453A (ko)
AU (1) AU2010201547A1 (ko)
DE (1) DE202009006795U1 (ko)
GB (1) GB24702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2765B (zh) * 2019-11-06 2021-06-11 东南大学 一种可改变模孔形状的聚合物挤出模具装置
CN111688154A (zh) * 2020-06-22 2020-09-22 赵淑英 一种塑料板材挤出模具的使用方法
DE102020134028A1 (de) * 2020-12-17 2022-06-23 Girnghub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linkers sowie Vorrichtung und Klinker
CN113400443A (zh) * 2021-06-30 2021-09-17 福建泉州市鸿佳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制砖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653A (en) * 1918-12-20 1919-12-22 William Machi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for Manufacturing Roofing Tiles.
GB449397A (en) * 1934-12-21 1936-06-22 Edmund Porter Improvements in tile-making machines
CH566851A5 (en) * 1973-05-24 1975-09-30 Masch Werkzeug Verkaufs Anst Extruding ceramic bricks and tiles - extrusion die dimensions altered periodically to vary brick profile along extrusion axis
DE3306852C1 (de) 1983-02-26 1984-03-29 Hans Lingl Anlagenbau Und Verfahrenstechnik Gmbh & Co Kg, 7910 Neu-Ulm Vorrichtung zum Kerben von Tonstrangstücken quer zu deren Längsrichtung
GB2187130B (en) * 1986-02-27 1989-11-08 George Armitage And Sons Plc "extruding clay pavior sections having discontinous spacing protrusions"
DE4023007A1 (de) * 1990-07-19 1992-01-23 Unipor Ziegel Market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ziegels
JPH09183108A (ja) * 1995-12-28 1997-07-15 Ishikawatoki Tekkosho:Kk 押出成形機
DE102005063327B4 (de) 2005-05-06 2009-04-09 Hans Lingl Anlagenbau Und Verfahrenstechnik Gmbh & Co. Kg Vorrichtung zum Trennen eines plastischen Tonstranges, mit einer allseitig wirksamen Kerb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7873A1 (en) 2010-11-18
DE202009006795U1 (de) 2010-10-07
GB201007850D0 (en) 2010-06-23
AU2010201547A1 (en) 2010-12-02
GB2470273A (en)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2453A (ko) 압출 가능한 재료로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구비한 장치
EP2268466B1 (e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masonry blocks
US10794016B2 (en) Curbing machine with hopper dasher and eliptical compaction
US200500460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ncrete blocks
JP2002518112A (ja) ストリップファスナ用の調整可能なプロファイル押出装置および方法
KR101131687B1 (ko) 벽돌 제조장치
CN108115915A (zh) 成型部件的形状控制装置
AU2014202883B2 (en) Method, apparatus and hollow core forming member for casting concrete products by slipform casting
NO167134B (no) Ekstruder for stoeping av betongplater.
CN108505420B (zh) 一种用于灌入式复合路面的撒布装置
JP3505084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の成形方法、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その成形装置
KR102115590B1 (ko) 센서가 구비된 도자기 성형용 물레
EP2163366A1 (en) A method for obtaining cavities on surfaces of ceramic items and an apparatus for making ceramic items having at least one surface provided with cavities
US200701387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product
JP4709962B2 (ja) 湾曲押出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装置
FI127678B (fi) Laite ja menetelmä ontelo- tai massiivilaatan valmistamiseksi
CN105500576A (zh) 橡胶条的制造装置
RU58429U1 (ru) Механизм резки глиняного бруса
JP2007062155A (ja) コッター付き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及びその製造方法
RU1790495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епрерывного формовани изделий
RU214140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ых 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труб уплотняющей головкой (варианты)
JP5308865B2 (ja) カレンダ装置
CN101214698B (zh) 对流布料装置
JPH10329118A (ja) グリーンシート成形金型
RU23654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ыпучих дисперс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