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044A -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 - Google Patents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044A
KR20100122044A KR1020090097993A KR20090097993A KR20100122044A KR 20100122044 A KR20100122044 A KR 20100122044A KR 1020090097993 A KR1020090097993 A KR 1020090097993A KR 20090097993 A KR20090097993 A KR 20090097993A KR 20100122044 A KR20100122044 A KR 2010012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paration
separator
separation space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337B1 (ko
Inventor
사다오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사다오 시노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다오 시노하라 filed Critical 사다오 시노하라
Publication of KR2010012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2Inserts, e.g. armouring plates
    • B04B7/14Inserts, e.g. armouring plates for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액 저항을 감소시켜서 분리액이나 분리판군에 무용(無用)의 피처리액 저항을 주지 않는 분리판을 제공하는 것과 그 분리판을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당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에 있어서, 적층된 상하의 각 상기 분리판 상호간의 원추면 간극을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에 위치하는 분리판의 원추면의 원추 모선 방향으로 배설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원추면의 상변측의 단을 지나는 원추 모선에 비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원추면의 밑변측의 단을 지나는 원추 모선 쪽이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원추 모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과, 그 분리판을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이다.
원추면, 회전체

Description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Seperating disc type centrifugal seperator, and seperating disc for the centrifugal seperator}
본 발명은, 고회전·고원심력에 의해 피처리액 (원액)을 비중차에 따라 액·액 및/또는 고·액으로 분리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이하, 단순히 「분리판」이라고도 함)는, 산업의 많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의 정화나, 피처리액으로서의 이들의 유중(油中)(피처리액중)에 혼입한 고형 불순물을 제거하는 청정기로서 이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6734호 공보
이 종류의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는, 회전체 내의 회전축 방향으로, 얇은 금속판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 절두(截頭) 원추(圓錐) 형상으로 성형된 분리판이, 다수 적층하도록 분해 가능하게 단순히 조합된 것만으로 구성된 분리판군(群)을 구비하고, 분리판군의 각 층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상하로 위치하는 각 분리판 상호의 상하 간극, 즉, 각 층에 있어서 위 분리판의 원추면의 내면(하면)과 아래 분리판의 원추면 외면(상면)과의 사이로서 형성된 원추면 간극을, 아래 분리판의 원추면의 외면(상면)의 원추 모선 방향으로 복수 배설(配設)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서,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8 분할하여 8 실의 분리 공간을 원심 분리에 의한 액 중의 고체의 침강 작용면으로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분리기에 의한 분리 처리는 다음과 같이 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연료유나 윤활유 등인 피처리액(이하, 원액이라고도 함)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회전체 내에 도입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판군의 하방측으로부터 분리판군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유통공을 지나, 각 분리 공간에 유입하고 확산해 간다.
원심력이 부여된 피처리액은, 분리판군을 세로로 관통하는 유통공을 지나 각 분리 공간에 유입하고, 당해 각 분리 공간 내에 확산하면서, 액체는 상하의 분리판의 원추면 사이를, 분리판의 중심 즉 회전축 방향을 향해서 원추면의 경사를 오르도록 흘러간다.
한편, 피처리액 중에 혼입하고 있는 잡다한 고형 불순물 입자는, 원심 침강에 의해, 당해 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위 분리판의 원추면의 내면(하면)측에 침강하고, 침강한 원추면을 따라 분리 공간의 외주가장자리측 즉 원추면의 밑변측으로 유동(분리 공간으로부터의 배출 유동)해 간다.
침강한 고형 불순물 입자가, 이와 같이 분리 공간의 외주가장자리를 향해서 배출 유동될 때에는, 당해 분리 공간을 형성하도록(칸막이 구분하도록) 회전방향의 전후로 배치되어 있는 2 개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 중, 후방에 위치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 의해, 상세하게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부의 회전 방향측의 가장자리(앞가장자리)인 회전 정면가장자리에 의해, 고형 불순물 입자가 안내되면서, 마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서 분리 공간으로부터 쓸어내려지듯이, 분리 공간의 외주가장자리측의, 위 분리판의 내면측의 밑변(당해 분리판의 외주단)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분리 공간으로부터 그 외주가장자리에 보내지는 고형 불순물은, 그 외주가장자리에 모아져서, 퇴적하고, 분리판군의 주위의 회전체 내의 공간에 도달하고, 마지막에는 당해 회전체 내의 최외주공부(最外周孔部)의 소위 고형 불순물 집진(集塵) 장소인 회전체 내의 최대 직경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회전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분리판군에 있어서의 상하의 분리판 사이의 각 분리 공간은 액중의 불순물인 고체를 원심력에 의해 침강시키는 분리 침강면으로서 기능하고, 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앞가장자리)는 각 분리 공간 즉 분리 침강면에 침강한 고형 불순물을 당해 분리 공간(분권 침강면)으로부터 쓸어내려 배제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의 원추 모선과 일치시킨 방향에 직선적으로 배설되어 있고, 분리판군(및 그 분리판)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는 바로 직교하여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체 중이나 분리 공간 중의 피처리액에 대해서, 당해 피처리액을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 즉 원심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이지만, 반면에, 상응이 큰 저항도 받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 저항을 피처리액 저항이라고 말한다.
이 피처리액의 대소(大小)는, 당연히 피처리액의 성상(예를 들면 점성 등)에 의해 달라질 뿐 아니라, 회전체의 회전 속도의 변화에 의해서도 변화가 발생하여, 항상 일정하지는 않다.
이 때문에, 박판(薄板)으로 형성된 분리판이나 이러한 분리판의 다수의 조합으로 비교적 단순히 적층된 구조의 분리판군에는 무용(無用)의 힘이 작용하여, 이들 무용의 변형을 발생시키거나, 변형에 의한 진동을 발생시켜서, 분리판이나 분리판군에 설계상 부여된 작용 효과를 그대로 충분히 발휘시킬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무용한 변형이나 진동에 의해 분리판의 재질(금속)에 계산 외의 피로가 쌓이거나, 분리판의 파손이나 그 파손에 의한 분리판군이나 회전체에 손상을 발생시켜, 분리기 자체의 고장이나 사고를 불러일으킬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에 비해, 피 처리액 저항을 감소시켜 분리판이나 분리판군에 무용의 피처리액 저항을 주지 않는 분리판을 제공하는 것과 그 분리판을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당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에 있어서, 적층된 상하의 각 상기 분리판 상호간의 원추면 간극을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분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에 위치하는 분리판의 원추면의 원추 모선 방향으로 배설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원추면의 상변(上邊)측의 단을 지나는 원추 모선에 비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원추면의 밑변측의 단을 지나는 원추 모선 쪽이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원추 모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발명은,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체의 회전 방향측의 회전 정면가장자리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팽출(膨出)하는 곡선을 그리도록 만곡 형성된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만곡부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정면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 어서, 만곡부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정면가장자리에 있어서 원추면의 밑변측 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만곡부는 전체가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전체 길이를 구부려서 형성된 것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만곡부는 전체가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전체 길이 중 원추면의 밑변측 쪽 부분을 구부려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만곡부는 대략 'ヘ'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만곡부의 곡선은, 당해 분리 공간 내의 피처리액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정면가장자리에 안내되면서 원추면의 상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체의 회전 방향측의 회전 정면가장자리가 직선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분리판의 원추면과는 별체로 형성된 판 형상 부재를 당해 원추면 상에 일체적으로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에 있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분리판의 원추면과는 별체로 형성된 판 형상 부재를 당해 원추면 형상으로 스폿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의 각 발명에 따르면, 모두, 각 분리 공간에 있어서, 당해 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가 분리판의 원추면에 있어서의 원추 모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경사하여 배설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피처리액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 만큼, 분리판이나 분리판군에 무용의 피처리액 저항을 주지 않는 분리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발명에 따르면, 모두, 각 분리 공간에 있어서, 당해 분리 공간 중의 피처리액의 흐름 방향이, 원추 모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설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 의해, 종래에 비해, 당해 분리 공간의 상부측 즉 원추면의 상변측으로 모이도록 유도되고, 유도되어 모이는 피처리액의 양에 따른 압력이나 중량에 의해, 분리판이 그 원추면에 있어서 비교적 균등하게 하방(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하방)에 눌러지는 억제 작용을 받기 때문에, 분리판은 안정된 조립 상태에 놓이고, 분리판 및 분리판군이 무용한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어, 높은 원심 분리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문에, 박판으로 형성된 분리판이나 이러한 분리판이 비교적 단순하게 다수로 조합되어 적층된 분리판군에도 무용의 힘이 작용하기 어려워지고, 무용의 변형이나 변형에 의한 진동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무용한 변형이나 진동에 의한 분리판의 금속 피로를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판이나 분리판군의 내구성(耐久性)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분리형 원심 분리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의 각 발명에 따르면, 모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정면가장자리)를 곡선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처리액 흐름의 저항을 적게 하여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 등을 피처리액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이하, 단순히 분리기라고도 함)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의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설명한다.
도 1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의 단면도, 도 2는 분리판군을 구성하는 분리판의 평면도, 도 3은 분리판의 저면도, 도 4는 분리판의 측면도, 도 5는 분리판의 사시도, 도 6은 분리판의 종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회전체(1)의 내부에는, 회전체(1)의 회전축 방향으로 삿갓 형상의 분리판(2)이 다수 적층된 분리판군(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판군(20)을 구성하는 분리판(2)은,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얇은 금속 평판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 절두 원추 형상으로 가공된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분리판군(20)의 각 층에 있어서, 적층 방향의 상하에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각각 위 분리판(2)과 아래 분리판(2)과의 상호의 상하 간극, 즉,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분리판(2)에 있어서, 각 층에 있어서의 위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내면(하면)(212)과 아래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외면(상면)(211)과의 사이에는, 피처리액이 도입[도 1의 분리판군(20) 중에 도시한 경사 방향을 향한 다수의 화살표는 피처리액의 도입 방향을 나타냄]되는 간극으로서 원추면 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외면(상면)(211) 상에는, 당해 원추면(21)의 대략 원추 모선 방향으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가 회전체(1)의 회전 방향(이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 = 반시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8 분할하여 8 실의 분리 공간(4)이 형성되도록 복수, 도 2의 평면도에 있어서는 회전 중심측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실시예의 분리기에 의한 피처리액(슬러지나 수분을 포함한 연료유나 윤활유 등)의 분리 처리는 크게 나누어 1차 분리와 2차 분리에 의해 다음과 같이 원심 분리 처리된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피처리액은, 회전체(1)의 회전축에 회전 방향으로 설 치된 도입구(11)로부터 회전체(1) 내에 도입되고, 회전체(1)의 고속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서 비중이 가벼운 경액(輕液), 비중이 무거운 중액(重液), 고형물 등으로 분리된다(이하, 이를 1차 분리 처리라고 함).
이 1차 분리 처리에 의해 분리된 비중이 가벼운 경액은, 분리판군(20)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해 당해 분리판군(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적어도, 각 분리 공간(4)마다에 당해 분리 공간(4)을 관통하도록, 원추면의 하변측에 설치된 각각의 유통공(22)을 상방향으로 흐르고, 순차적으로 아래로부터 위의 각 층의 각 분리 공간(4)으로 유입하여, 각 분리 공간(4) 내에 확산해 간다.
다음에 2차 처리를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각 분리 공간(4) 내에 확산해 가는 피처리액은, 원심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리 공간(4)에 당해 각 분리 공간(4)의 유통공(22)으로부터 유입해서 확산해 가면서, 피처리액의 액체는, 상하의 분리판(2, 2)의 원추면(21) 사이, 즉, 위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내면(하면)(212)과 아래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외면(상면)(211)과의 간극인 분리 공간(4) 내를, 분리판(2)의 중심 즉 회전축 방향을 향해서 아래의 원추면(21)의 경사면(211)을 오르도록 상방을 향해서 흘러간다.
이 흐름, 즉 상향 유통은, 도 1의 분리판군(20) 중에 있어서, 경사 방향을 향하고 회전축 방향을 향하도록 나타낸 다수의 화살표와 같다.
이와 같이 하여, 분리판군(20)의 각 층의 분리판(2)의 분리 공간(4)의 간극을 지나, 분리판군(20)의 상층측 즉 상향으로 유통한 비교적 가벼운 피처리액은, 최종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체(1)의 회전축 근방에 설치된 회수구(15)로부터 정화액으로서 회수된다.
한편, 다시 도 1에 있어서, 피처리액 중에 혼입하고 있는 처리 대상의 개개의 잡다한 고형 불순물 입자 중 비교적 비중이 큰 입자는, 회전체(1)의 고속 회전에 의한 원심 침강에 의해, 신속하게 회전체(1) 내의 공간(12)의 최대 직경부(13)에 도달해서 집적되고, 회전체(1)의 몸체 둘레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부(13)에 설치된 배출구(14)로부터, 적절한 타이밍과 적절한 수단에 의해 회전체(4) 외부로 배출된다. 이 최대 직경부(13)는, 회전체(4)의 내부측에서 보면, 내부에 있어서의 최외주공부로서 고형 불순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집진·집적 장소이다.
또한, 비교적 비중이 무거운 피처리액이나 피처리액 중에 포함되는 고형 불순물 입자 등은, 분리판군(20)에 의해 형성되는 광대한 침강면[분리판(2)의 원추 면적×분리판(2)의 수]을 구성하는 각 분리 공간(4)에 있어서, 도 2 내지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당해 분리 공간(4)의 침강면의 분리 공간(4)을 형성하는 상대적으로 위(천정측)에 위치하는 위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내면(하면)(212)측[당해 분리 공간(4)의 천정측으로 원심력에 의해 침강)으로 침강하고(도 4, 5 참조), 침강한 원추면(21)을 따라 당해 분리 공간(4)의 외주가장자리(41)측 즉 당해 원추면(21)의 밑변(41)측으로 유동해 간다. 이하, 이 유동을 분리 공간(4)으로부터의 배출 유동이라고 말한다.
각 분리 공간(4) 내에 있어서 침강한 개개의 잡다한 질량의 고형 불순물 입자가, 각 분리 공간(4)의 외주가장자리(41)를 향해서 배출 유동될 때에는, 당해 분 리 공간(4)이 회전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도록(칸막이 구분되도록), 회전 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상대적으로 한 쌍을 이루는 2 개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 3) 중,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의 부호 3F로 나타내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 대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R)]에 의해, 정확하게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R)의 회전 방향측의 가장자리(앞가장자리)인 회전 정면가장자리(31)에 의해, 고형 불순물 입자가 예를 들면 도 4나 도 5의 파선 화살표의 유동 궤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되면서, 마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R)에 의해 당해 분리 공간(4)로부터 쓸어내려지듯이 해서, 당해 분리 공간(4)의 외주가장자리(41)측의, 위 분리판(2)의 내면(212)측의 밑변(41)[당해 분리판(2)의 외주가장자리(41)]측으로 보내진다.
도 1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각 분리 공간(4)으로부터 그 외주가장자리(41)측에 보내져서, 분리판군(20)의 외부로 방출된 고형 불순물(도시하지 않음)은, 분리판군(20)의 주위의 회전체(1) 내의 공간(12)에 도달하고, 마지막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당해 회전체(4) 내의 최외주공부의 소위 고형 불순물 집진 장소인 회전체(4) 내의 최대 직경부(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배출구(14)로부터 회전체(4)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상면(211)에 당해 원추면(21)의 원추 모선 방향으로 배설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원추면의 상변(43)측의 단(3A)을 지나는 원추 모선에 비 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원추면(21)의 밑변(41) 측의 단(3B)을 지나는 원추 모선 쪽이 회전체(1)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원추 모선에 대해서 교차하는 경사 방향으로 하고,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전후에 위치하는 2 개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 3)에서 칸막이되는 분리 공간(4) 내에 있어서, 당해 분리 공간(4) 내에 있어서의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피처리액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회전 정면가장자리(31) 즉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앞가장자리(31)에 안내(유도)되면서, 당해 원추면(21)의 상변(43)측 방향으로 유동하고 이동하도록 배설하여 있다.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회전체(1)의 회전 방향측의 회전 정면가장자리는, 직선적으로 형성해도 되는데, 도시하는 예에서는, 전체가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1)가, 회전체(31)의 회전 방향(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팽출하는 곡선을 그리도록 만곡 형성된 만곡부를 설치하여 있다. 이와 같이, 만곡부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회전 정면가장자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해도 되고,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회전 정면가장자리(31)에 있어서 원추면(21)의 밑변(41)측 쪽에 형성해도 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를 분리판(2)의 원추 모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경사하여 배설하고 있는데, 각 분리 공간에 있어서, 적어도, 비중이 가벼운 피처리액의 흐름 방향이, 원추 모선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설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에 의해, 당해 분리 공간의 상부측으로 원활하게 흐르고 모아지도록 유도되기 때문에, 유도되어 모이는 피처리액의 비 교적 일정한 유량에 의한 압력이나 중량에 의해, 예를 들면, 분리판(2)이 그 원추면(21)에 있어서 비교적 균등하게 하방(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하방)에 눌러지는 억제 작용이 발생하고, 분리판(2)이 안정된 조립 상태에 놓여져, 분리판(2) 및 분리판군(20)에 무용한 어긋남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원심 분리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절두 원추 형상으로 형성한 원추면(21)에, 「ヘ」자 형상으로 성형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를 스폿 용접으로 일체적으로 장착하여 분리판(3)을 설치하고, 분리판(3)의 본체인 원추면판(21)과 용이하게는 분리하기 어려운 견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에 나타내는 「ヘ」자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형상은,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 등을 피처리액으로 하는 고액 분리 성능 실험에 있어서, 실시 실험을 거듭한 실험상 발견된 최량의 형상인데, 물론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 등을 피처리액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업상 이용하는 고액 분리기에 있어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분리판군을 구성하는 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분리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분리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분리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분리판의 종단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11 : 도입구(피처리액)
13 : 최대 직경부(회전체) 14 : 배출구(고형 불순물)
15 : 회수구(정화액) 2 : 분리판
20 : 분리판군 21 : 원추면
211 : 원추면의 외면(상면)
212 : 원추면의 내면(하면) 22 : 유통공
3 :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
3A :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단(상변측)
3B :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단(밑변측)
3R :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도 5)
3F :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도 5)
31 : 회전 정면가장자리(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앞가장자리)
4 : 분리 공간
41 : 원추면의 밑변(분리판의 외주가장자리)
43 : 원추면의 상변

Claims (12)

  1.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당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에 있어서, 적층된 상하의 각 상기 분리판 상호간의 원추면 간극을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분리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에 위치하는 분리판의 원추면의 원추 모선 방향으로 배설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원추면의 상변측의 단을 지나는 원추 모선에 비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원추면의 밑변측의 단(端)을 지나는 원추 모선 쪽이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원추 모선에 대해서 비스듬히 배설(配設)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체의 회전 방향측의 회전 정면가장자리가, 상기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팽출하는 곡선을 그리도록 만곡 형성된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3. 제2항에 있어서, 만곡부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정면가장자리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4. 제2항에 있어서, 만곡부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정면가장자리에 있어서 원추면의 밑변측 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 용 분리판.
  5. 제2항에 있어서, 만곡부는, 전체가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전체 길이를 구부려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6. 제2항에 있어서, 만곡부는 전체가 띠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전체 길이 중 원추면의 밑변측 쪽 부분을 구부려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7. 제2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부는 대략 「ヘ」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8. 제2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부의 곡선은, 당해 분리 공간 내의 피처리액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정면가장자리에 안내되면서 원추면의 상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9. 제1항에 있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체의 회전 방향측의 회전 정면가장자리가 직선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 리판.
  10. 제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분리판의 원추면과는 별체로 형성된 판 형상 부재를 당해 원추면 상에 일체적으로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11. 제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는, 분리판의 원추면과는 별체로 형성된 판 형상 부재를 당해 원추면 형상으로 스폿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12. 제1항 내지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분리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
KR1020090097993A 2009-05-11 2009-10-15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 KR101252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4580 2009-05-11
JP2009114580A JP4794652B2 (ja) 2009-05-11 2009-05-11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とその分離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44A true KR20100122044A (ko) 2010-11-19
KR101252337B1 KR101252337B1 (ko) 2013-04-08

Family

ID=4307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993A KR101252337B1 (ko) 2009-05-11 2009-10-15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94652B2 (ko)
KR (1) KR101252337B1 (ko)
CN (1) CN101884957B (ko)
TW (1) TW201102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4565A1 (de) 2010-12-02 2012-06-06 Hyundai Motor Co. Kraftstofftank-Steuerventil für ein Fahrze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6419T3 (es) 2011-08-10 2018-10-17 Alfa Laval Corporate Ab Un disco de separación para un separador centrífugo y un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l disco de separación
EP3178565B1 (en) 2012-05-14 2018-06-27 Alfa Laval Corporate AB Disc stack for centrifugal separator
CN104399604B (zh) * 2014-12-17 2016-09-28 张家港市新华化工机械有限公司 一种离心机的布料装置
EP3315204B1 (en) * 2016-10-31 2019-05-08 Alfa Laval Corporate AB A stack of separation discs
EP3315205A1 (en) 2016-10-31 2018-05-02 Alfa Laval Corporate AB A centrifugal separator
PL3315203T3 (pl) 2016-10-31 2019-11-29 Alfa Laval Corp Ab Tarcza rozdzielająca dla separatora odśrodkowego
WO2020061644A1 (en) * 2018-09-27 2020-04-02 Au Environmental Pty Ltd Liquid treatment unit and method
US20220258181A1 (en) * 2019-07-26 2022-08-18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A centrifugal separator
CN111825233B (zh) * 2020-08-24 2020-12-25 兰州交通大学 一种离心式净水给水装置
CN116943879B (zh) * 2023-09-20 2023-12-12 东莞市欣辰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子生产用离心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2262B (sv) * 1988-11-08 1990-05-28 Alfa Laval Separation Ab Saett och anlaeggning foer att, med en centrifugalseparator, befria en vaetska fraan ett daeri dispergerat aemne, som har stoerre taethet aen vaetskan
EP0444271A3 (en) * 1990-02-24 1992-03-11 Westfalia Separator Ag Disc for a centrifugal separator
US5637217A (en) * 1995-01-25 1997-06-10 Fleetguard, Inc. Self-driven, cone-stack type centrifuge
SE504094C2 (sv) * 1995-03-06 1996-11-1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kivstapel av separationsskivor för centrifugalseparator
SE504953C2 (sv) * 1995-09-08 1997-06-02 Alfa Laval Ab Sätt att genom motståndssvetsning fästa en tunn plåt på en konisk separeringsskiva för centrifug
SE509162C2 (sv) * 1997-04-04 1998-12-14 Alfa Laval Ab Centrifugalseparator med vätskefylld transmissionskammare
JP4745526B2 (ja) * 2001-05-11 2011-08-10 三菱化工機株式会社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分離板
DE102004030910A1 (de) * 2004-06-25 2006-01-19 Mahle Filtersysteme Gmbh Tellerseparator
SE528750C2 (sv) * 2005-06-27 2007-02-06 3Nine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separering av partiklar ur ett gasflöde
JP4794647B2 (ja) * 2009-04-17 2011-10-19 定男 篠原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とその分離板と固液分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54565A1 (de) 2010-12-02 2012-06-06 Hyundai Motor Co. Kraftstofftank-Steuerventil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02170A (en) 2011-01-16
CN101884957A (zh) 2010-11-17
CN101884957B (zh) 2014-09-17
KR101252337B1 (ko) 2013-04-08
JP2010260024A (ja) 2010-11-18
TWI503177B (ko) 2015-10-11
JP4794652B2 (ja)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337B1 (ko)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
KR101252336B1 (ko) 분리판형 원심분리기와 그 분리판과 고액 분리 방법
KR101223405B1 (ko)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JP5171648B2 (ja) 遠心分離機
ES2302027T3 (es) Separador de gas/liquido.
CN107771103B (zh) 具有盘堆叠的离心分离器
CA2772828C (en) Pre-separating vane diffuser and method for introducing a flow-mixture in a separator
KR102110370B1 (ko) 가스 정화를 위한 분리기 장치
CA2841190C (en) A separation disc for a centrifugal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paration disc
JP6480594B2 (ja) ガスを浄化するための遠心分離器
US8025706B2 (en) Fluid separating vessel
EP2730339A1 (en) A centrifugal separator
JP5242662B2 (ja) 分離板型遠心分離機用分離板の製造方法
EP1381470B1 (en) Centrifuge
JP5942629B2 (ja) 固液分離装置
US11619152B2 (en) Crankcase ventilation systems having a swirl breaker to reduce pressure drop in tangentially exiting fluids
JPH05340650A (ja) 遠心分離式油分離器
CN211217138U (zh) 一种用于离心机的固液分离结构
KR20210018515A (ko) 공기/액체 분리를 위한 스태거형 어레이 배열
SU703140A1 (ru) Адгезионна центрифуг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