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405B1 -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405B1
KR101223405B1 KR1020090097991A KR20090097991A KR101223405B1 KR 101223405 B1 KR101223405 B1 KR 101223405B1 KR 1020090097991 A KR1020090097991 A KR 1020090097991A KR 20090097991 A KR20090097991 A KR 20090097991A KR 101223405 B1 KR101223405 B1 KR 10122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plate
conical surface
separation space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121A (ko
Inventor
사다오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사다오 시노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다오 시노하라 filed Critical 사다오 시노하라
Publication of KR2010012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8Rotary bowls
    • B04B7/12Inserts, e.g. armouring plates
    • B04B7/14Inserts, e.g. armouring plates for separating walls of conical shape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게 밀감합하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하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에는, 미리, 상기 원추면에 밀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분리판의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상응 소정 위치 부위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상기 원추면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감입하는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과 동일 형상의 위치 맞춤공을 설치해 두고, 상기 위치 맞춤공 원추면형을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맞춤공에 별도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삽입하고, 상기 원추면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추면, 회전체

Description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eperating disc for a seperating disc type centrifugal seperator}
본 발명은, 고회전·고원심력에 의해 피처리액(원액)을 비중차에 따라서 액·액 및/ 또는 고·액으로 분리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이하 단순히 '분리판'이라고도 함)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이하, 단순히 「분리기」라고도 함)은, 산업의 많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고, 예를 들면,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의 정화나, 피처리액으로서의 이들의 유중(油中)(피처리액중)에 혼입한 고형 불순물을 제거하는 청정기로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 종류의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분리기)의 구조는, 얇은 금속판이 절두(截頭) 원추(圓錐) 형상으로 성형된 분리판이, 상기 분리기의 회전체 내의 회전축 방향으로 다수 적층된 분리판군을 구비하고, 분리판군의 각 층에 있어서 상하에 위치하는 각 분리판 상호의 상하 간극, 즉, 각 층에 있어서 위 분리판의 원추면의 내면(하면)과 아래 분리판의 원추면 외면(상면)과의 사이로서 형성된 원추면 간극을, 아래 분리판의 원추면의 외면(상면)의 원추 모선 방향으로 복수 배설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서, 회전체의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8분할 하여 8 실의 분리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분리기에 의한 분리 처리는 다음과 같이 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연료유나 윤활유 등인 피처리액(이하, 원액이라고도 함)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회전체 내에 도입되면, 원심력에 의해, 상기 분리판군의 하방측으로부터 분리판군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유통공(流通孔)을 지나, 각 분리 공간에 유입하고 확산해 간다.
원심력이 부여된 피처리액은, 유입한 분리 공간에 확산하면서, 액체는 상하의 분리판의 원추면 사이를, 분리판의 중심 즉 회전축 방향을 향해서 원추면의 경사를 오르도록 흘러간다.
한편, 피처리액중에 혼입하고 있는 잡다한 고형 불순물 입자는, 원심 침강에 의해, 당해 분리 공간을 형성하는 위 분리판의 원추면의 내면(하면)측에 침강하고, 침강한 원추면을 따라서 분리 공간의 외주가장자리측 즉 원추면의 하변에 해당하는 밑변측으로 유동(분리 공간으로부터의 배출 유동)해 간다.
침강한 고형 불순물 입자가, 이와 같이 분리 공간의 외주가장자리를 향해서 배출 유동될 때에는, 당해 분리 공간을 형성하도록(칸막이 구분하도록) 회전 방향의 전후에 배치되어 있는 2 개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 중, 후방에 위치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 의해, 상세하게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의 회전 방향측의 가장자리인 회전 정면가장자리에 의해, 고형 불순물 입자가 안내되면서, 마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서 분리 공간으로부터 쓸어내려지듯이, 분리 공간의 외주가장자리측의, 위 분리판의 내면측의 하변 즉 밑변(당해 분리판의 외주단)측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분리 공간으로부터 그 외주가장자리에 보내지는 고형 불순물은, 그 외주가장자리에 모아져서, 퇴적하고, 분리판군의 주위의 회전체 내의 공간에 도달하고, 마지막에는 당해 회전체 내의 최외주공부(最外周空部)의 소위 고형 불순물 집진(集塵) 장소인 회전체 내의 최대 직경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적절하게 회전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문제는, 상기와 같은 절두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 분리판의 본체인 원추면(이하, 원추면체라고도 함) 상에,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하, 분리판의 원추면에 일체화되기 전의 부재로서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편 혹은 약칭으로 돌조부편이라고도 하고, 일체화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라고 함)을 일체적으로 장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법이다.
종래에는, 한 쪽에서, 얇은 금속판을 절두 원추 형상으로 가공하여 분리판 본체 즉 원추면(체)를 성형해 놓고, 다른 쪽에서, 이 분리판 본체와 같거나 동일한 정도의 두꼐 및 재질의 평판인 금속판으로부터 다수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하, 단순히 돌조부편이라고도 함)을 잘라 두고, 상기 분리판 본체의 복수 개소의 소정 위치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한 개마다 대면서 용접되어 있던 것이다.
그러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비교적 얇은 띠판 형상의 소편(小片)이기 때문에 취급이 어려운데다가, 평면이 아닌 원추면 상의, 더구나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맞춤하여, 분리판의 본체인 원추면에 일체적으로 배설하는 작업은, 다대한 수고와 시간을 요하는 어려운 작업이며, 생산 효율이 오르지 않는 작업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생산 효율이 높은,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의 제조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의 발명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밀감합(密嵌合)하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하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에는, 미리, 상기 원추면에 밀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분리판의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상기 원추면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감입하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과 동일 형상의 위치 맞춤공(孔)을 설치해 두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맞춤공에 별도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삽입하고, 상기 원추면에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배설(配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부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의 발명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당해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밀감합하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하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에는, 미리, 상기 원추면에 밀착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분리판의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상기 원추면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감입하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과 동일 형상의 위치 맞춤공을 설치해 두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맞춤공에, 별도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삽입하면서, 상기 원추면에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의 발명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밀감합하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하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에는, 미리, 상기 원추면에 밀착 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분리판의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상기 원추면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감입하는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과 동일 형상의 위치 맞춤공을 설치해 두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맞춤공에, 별도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그 띠 형상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점차 삽입하면서, 상기 띠 형상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서 용접시키고,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은 띠의 길이 방향으로 점재(点在)하는 스폿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원추면에 일체로 용접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원추면의 상변(42)으로부터 하변측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원추면의 원추 모선 방향으로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원추면의 원추 모선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길이 방향에서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길이 방향에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길이 방향의 일부에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당해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이 적용되는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성형되는 원추면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적어도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착하는 부분은, 상기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성형되는 원추면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3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위치 맞춤공의 둘레 가장자리를 두껍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위치 맞춤공의 둘레 가장자리의 적어도 길이 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두껍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5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평판을 천공(穿孔) 가공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6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평판을 천공 가공하여 성형되고, 띠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7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분리판의 원추면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겹치도록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의 일방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이 점차로 감입하도록 위치 맞춤공에 삽입하면서 스폿 용접을 실시하고, 겹쳐진 상태의 분리판과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일체로 상기 원추의 축을 중심으로 전동(轉動)시켜서, 분리판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설정된 소정 위치를, 용접기의 용접 위치에 회전 이동시키면서, 분리판의 모든 소정 위치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의 각 발명에 따르면, 모두, 위치 맞춤공이 설치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함으로써, 얇은 띠판 형상의 소편이기 때문에 비교적 취급하기 어려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평면이 아니기 때문에 소정 위치에 당접하기 어려운 원추면 상의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맞춤해서 상기 원추면(체)와 일체화시키는 작업을, 종래에 비해 비교적 용이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고, 종래 필요했던 다대한 수고와 시간이 큰 폭으로 삭감되고, 생산 효율이 좋은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2의 각 발명에 따르면, 모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으로서, 반제품(半製品)으로서 생산되는 원추면체를 전용(轉用)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의 제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하므로 경제적이다.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4의 각 발명에 따르면, 모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으로 형성되는 위치 맞춤공의 가장자리에 두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의 당해 위치 맞춤공으로의 삽입을 잘못하는 일 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따르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에는 휨이 부여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 종사자는,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을 손으로 잡으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띠 형상으로 긴 위치 맞춤공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의 타단측으로부터 점차로 삽입시켜 갈 수 있고, 이는 원추면의 모선 방향으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배설할 때 효과적이다.
청구항 17의 발명에 따르면, 분리판과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중합한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고, 아울러, 중합 상태에서, 원추의 축을 중심으로 전동시키면서, 분리판의 원추면의 복수 개소에 설정된 소정 위치를, 용접기의 용접 위치에 손쉽게 회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의 용접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 등을 피처리액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이하, 단순히 분리기라고도 함)용의 분리판을 예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의 도 1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의 단면도, 도 2는 분리판군을 구성하는 분리판의 평면도, 도 3은 분리판의 저면도, 도 4는 분리판의 측면도, 도 5는 분리판의 사시도, 도 6은 분리판의 종단면도, 도 7은 다른 분리판의 사시도, 도 8은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의 용법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회전체(1)의 내부에는, 회전체(1)의 회전축 방향으로 삿갓 형상의 분리판(2)이 다수 적층된 분리판군(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분리판군(20)을 구성하는 분리판(2)은,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을 드로잉 가공에 의해 절두 원추 형상으로 가공된 것이다.
분리판군(20)의 각 층에 있어서, 적층 방향의 상하에 상대적으로 위치하는 각각 위 분리판(2)과 아래 분리판(2)과의 상호의 상하 간극, 즉,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분리판(2)에 있어서, 각 층에 있어서의 위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내면(하면)(212)과 아래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외면(상면)(211) 사이에는, 피처리액이 도입[도 1의 분리판군(20) 중에 도시하는 경사 상방을 향한 다수의 화살표는 피처리액의 도입 방향을 나타냄]되는 간극으로서 원추면 간극(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외면(상면)(211) 상에는, 당해 원추면(21)의 대략 원추 모선 방향으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가 회전체(1)의 회전 방향(이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반시계 방향)에 간격을 두고, 예를 들면 8 분할해서 8 실의 분리 공간(4)이 형성되도록 복수, 평면도에서는 회전 중심측으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이 분리기에 의한 피처리액(슬러지나 수분을 포함한 연료유나 윤활유 등)의 분리 처리는 크게 나누어 1차 분리와 2차 분리에 의해 다음과 같이 원심 분리 처리된다.
먼저, 도 1에 있어서, 피처리액은, 회전체(1)의 회전축에 회전 방향으로 설치된 도입구(11)로부터 회전체(1) 내에 도입되고, 회전체(1)의 고속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비중이 가벼운 경액(輕液), 비중이 무거운 중액(重液), 고형물 등으로 분리된다(이하, 이를 1차 분리 처리라고 함).
이 1차 분리 처리에 의해 분리된 비중이 가벼운 경액은, 분리판군(20)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해서 상기 분리판군(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적어도, 각 분리 공간(4)마다에 당해 분리 공간(4)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각각의 유통공(22)을 상방향으로 흘러서, 순차적으로 아래로부터 위의 각 층의 각 분리 공간(4)으로 유입하고, 각 분리 공간(4) 내에 확산해 간다.
다음에, 2차 분리 처리를 설명한다.
각 분리 공간(4) 내에 확산해 가는 피처리액은, 원심력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리 공간(4)에 당해 유통공(22)으로부터 확산하면서, 피처리액의 액체는 상하 분리판(2, 2)의 원추면(21) 사이, 즉, 위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내면(하면)(212)과 아래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외면(상면)(211)과의 간극인 분리 공간(4) 내를, 분리판(2)의 중심 즉 회전축 방향을 향해서 아래의 원추면(21)을 오르도록 상방을 향해서 흘러 간다. 이 흐름 즉 상향 유통은, 도 1의 분리판군(20) 중에 있어서, 경사 방향을 향해서 회전축 방향을 향하도록 나타낸 다수의 화살표와 같다.
이와 같이 하여, 분리판군(20)의 각 층의 분리판(2)의 분리 공간(4)의 간극을 지나, 분리판군(20)의 상층측 즉 상향으로 유통한 비교적 가벼운 피처리액은, 최종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회전체(1)의 회전축 근방에 설치된 회수구(15)로부터 정화액으로서 회수된다.
한편, 피처리액중에 혼입하고 있는 처리 대상의 개개의 잡다한 고형 불순물 입자 중 비교적 비중이 큰 입자는, 회전체(1)의 고속 회전에 의한 원심 침강에 의해 신속하게 회전체(1) 내의 공간(12)의 최대 직경부(13)에 도달하여 집적되고, 회전체(1)의 몸체 둘레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부(13)에 설치된 배출구(14)로부터, 적절한 타이밍과 적절한 수단에 의해 회전체(4) 외부로 배출된다. 이 최대 직경부(13)는, 회전체(4)의 내부측에서 보면, 내부에 있어서의 최외주공부로서 고형 불순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집진·집적 장소이다.
또한, 비중이 무거운 피처리액이나 피처리액중에 포함되는 고형 불순물 입자 등은, 분리판군(20)에 의해 형성되는 광대한 침강면[분리판(20)의 원추 면적×분리판(2)의 수]을 구성하는 각 분리 공간(4)에 있어서, 상기 분리 공간(4)의 침강면의 분리 공간(4)을 형성하는 상대적으로 위(천정측)에 위치하는 위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내면(하면)(212)측[당해 분리 공간(4)의 천정측에 원심력에 의해 침강]에 침강하고, 침강한 원추면(21)을 따라서 상기 분리 공간(4)의 외주가장자리(41)측 즉 상기 원추면(21)의 밑변(41)측으로 유동해 간다. 이하, 이 유동을 분리 공간(4)으로부터의 배출 유동을 말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분리 공간(4) 내에 있어서 침강한 개개의 잡다한 질량의 고형 불순물 입자가, 각 분리 공간(4)의 외주가장자리(41)를 향해서 배출 유동될 때에는, 당해 분리 공간(4)이 회전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도록(칸막이 구분되도록), 회전 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상대적으로 한 쌍을 이루는 2 개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 3) 중, 회전 방향의 후방에 위치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예를 들면, 도 4에 있어서의 부호 3F로 나타내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에 대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R)]에 의해, 정확하게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R)의 회전 방향측의 가장자리(앞가장자리)인 회전 정면가장자리(31)에 의해, 고형 불순물 입자가 예를 들면 도 4나 도 5의 파선 화살표의 유동 궤적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되면서, 마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R)에 의해 당해 분리 공간(4)으로부터 쓸어내려지듯이 하여, 상기 분리 공간(4)의 외주가장자리(41)측의, 상의 분리판(2)의 내면(212)측의 밑변(41)[상기 분리판(2)의 외주가장자리(41)]측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각 분리 공간(4)으로부터 그 외주가장자리(41)측에 보내져서, 분리판군(20)의 외부로 방출된 고형 불순물(도시하지 않음)은, 분리판군(20)의 주위의 회전체(1) 내의 공간(12)에 도달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당해 회전체(4) 내의 최외주공부의 소위 고형 불순물 집진 장소인 회전체(4) 내의 최대 직경부(13)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배출구(14)로부터 회전체(4)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 공간(4)를 채우는 피처리액중에 부유하는 고형 불순물 입자를 원심력에 의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회전 정면가장자리(31)에 안내시키면서, 당해 분리 공간(4)으로부터 외부, 즉 분리판군(20)의 외주 부위로, 당해 분리 공간(4) 내를 방출 이동시킬 때, 당해 회전 정면가장자리(31)에 있어서, 비중에 차이가 있는 개개의 잡다한 고형 불순물 입자가 서로의 이동 속도의 차이나 유로의 착종에 의한 접촉이나 충돌(도 5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단위 입자의 질량이 증대하도록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를, 보다 정확하게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회전 정면가장자리(31)를 형성한다.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원추 모선에 대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배치, 즉, 원추면(21)에 대한 소정 위치로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일체화를 위한 용접은,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원추면(21)의 원추 모선과 교차하도록 비스듬히 기울여서 경사하는 배치로 하고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분리판(20)과 같이 원추 모선과 평행하게, 즉 원추 모선의 방향으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0)을 배설(배치)해도 된다(도 7에 대해서는 더 후술함).
그 어느 경우도, 원추면(21)의 외주의 표면에 복수 개소(실시예에서는 8 개소에) 설정된 소정 위치에 각각 일체적으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 즉, 일체화된 후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는, 상기 분리 공간(4) 중의 고형 불순물 입자를 원심력에 대응해서 당해 분리 공간(4)의 하방의 밑변(41) 측에. 상대적으로 쓸어내려지도록 작용[이하, 이 작용을 소출(掃出) 작용이라고도 함)시키는 장치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내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기울기 즉 경사는,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를 지나는 원추 모선에 대해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 상단부측이 회전 방향측에 위치하고,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하단부측이 회전 후방측에 위치하는 기울기(이하, 단순히 경사라고도 함)가 되도록 배설하여 있다.
한편, 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회전 정면가장자리(31)의 형태는, 상기 회전 정면가장자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회전체(4)의 회전 방향(도에 있어서 우회전)과는 반대 방향(도면에서 왼쪽 방향)으로 팽출하는 곡선을 그리도록 만곡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앞가장자리 즉 회전 정면가장자리(31)의 전체 길이에 걸친 곡선으로 하거나(도시하지 않음),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정면가장자리(31)의 전체 길이 중 원추면(21)의 밑변(41)측 쪽의 부분이 깊이 만곡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하면,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고형 불순물 입자의 접촉이나 충돌에 의한 질량 증대화를 꾀할 수 있고, 소출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는데,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단순히, 회전 정면가장자리(31)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직선적, 즉,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 자체가 직선 형상의 띠여도 된다.
한편, 실시예에 나타내는 'ヘ'자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형상은,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 등을 피처리액으로 하는 고액 분리 성능 실험에 있어서, 실시 실험을 거듭한 실험상 발견된 최량의 형상인 것에 그치므로, 분리기의 성능이나 용도나 피처리액의 성분 여하나 피처리액중에 혼입하는 고형 불순물(입자)의 물성 여하 등에 따라,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형상은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분리판(20)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은 직선 형상이고, 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은 원추 모선과 평행, 즉 원 추 모선의 방향으로 배설(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 직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에서는, 'ヘ'자 형상 등의 만곡부에 의한 작용 효과는 얻을 수 없다.
본 실시예의 분리판(3)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서 제조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원추면체(2)를 본체로 하고, 이 본체인 원추면체(2)의 외주 표면인 원추면(21)(211) 상에 예정되어 있는 복수의 설정 위치에, 상기 원추면체(2)와는 별체로 성형된 복수 매의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후술하는 위치의 위치 맞춤 수단으로서의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의 위치맞춤공에 각각 삽입시키거나, 혹은 삽입시키면서, 용접에 의해 상기 원추면체와 일체화시켜, 상기 원추면체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배설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를 구비한 분리판(2)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분리판의 제조 시에는, 먼저 전제로서, 미리, 분리판의 본체인 원추면체(2)와, 분리판과는 별체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과, 위치 맞춤 수단인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별도로 준비(제조)해 둘 필요가 있다.
<원추면체의 제조>
먼저, 소재로서의 방형판(方形板)을 준비하고, 이 방형판을 드로잉 가공기로 원추 형상으로 성형한다(이하, 이 공정을 드로잉 가공 공정이라고도 함). 방형판은 평판재(정척판 2000×1000 2B JIS 규격)를 목적의 분리판의 사이즈에 따라 소요의 방형으로 커트(cut)한다(이하 이 공정을 방형 커트 공정이라고도 함).
한편, 방형에 커트된 소재로서의 각 방형판은, 다음 공정의 드로잉 가공 공 정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오염이나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는지를 확인해서, 부착되어 있으면 제거해 둔다(이하 이 공정을 방형 소재의 확인 공정이라고도 함).
다음에, 드로잉 가공 장치, 예를 들면 자동 스피닝 드로잉 가공기의 형(型)과 구(駒) 사이의 소정 위치에 상기의 방형 소재(1 매)를 협지(挾持)시킨 상태 그대로, 당해 방형 소재를 회전시키면서, 당해 방형 소재를 드로잉 봉으로 상기 틀에 누르면서 평판의 방형 소재를 원형 형상으로 성형한다(이하 이 공정을 드로잉 가공 공정이라고도 함).
다음에, 상기 드로잉 가공 공정에서 성형된 원추 형상을 절단 장치로서의 동력 프레스로 원추 형상의 정수리부측을 수평으로 절단해서 절두 원추 형상으로 커트함과(이하 이 공정을 정수리부 커트 공정이라고도 함) 동시에, 절두 원추 형상의 밑변측을 원형으로 함으로써(이하 이 공정을 저부 커트 공정이라고도 함),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2)의 본체로서의 원추면체(3)를 성형한다(이하 이 공정을 원추면체 성형 공정이라고도 함).
한편, 성형된 원추면체는 동력 프레스 시에 부착시킨 유분을 제거해 둔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원추면체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원추면체의 소정 위치에 소요 사이즈의 유통공(22)을 적절한 천공 수단, 예를 들면 수동 또는 동력 프레스기로 천공 설치한다(이하 이 공정을 유통공 천공 공정이라고도 함). 이상의 각 공정에 의해 원하는 원추면체(3)가 제조된다.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의 제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은, 적절한 성형 수단, 예를 들면 천공 가공기 등에 의해, 평판의 소재를 천공해서 미리 소요의 형상으로 제조해 둔다(천공 가공).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ヘ'자 형상으로 만곡시킨 형상이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선띠 형상으로 성형한다(이하 이 공정을 돌상부편의 성형 공정이라고도 함).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성형 시에는, 특히,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원추면의 원추 모선과 평행이거나 평행에 가까운 각도로 정확하게는 경사 방향으로 배설되는 돌상부편의 경우에는,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그 상면(원추면으로의 당접면과는 반대측의 면=배면)측으로의 휨을 갖게 하도록 가공해 둔다(이하 이 공정을 휨 공정이라고도 함).
이 「휨」을 부여한 형상으로 성형해 두는 것에 따른 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용접 공정에서 설명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원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제조된다.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의 제작(제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분리판(2)의 본체인 원추면체(2)의 표면의 일체화시키는 소정 위치에 대는 위치 맞춤 수단으로서의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당해 분리판(2)의 원추면의 외주에 착탈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밀감합하는 당해 분리판 본체의 적어도 원추면에 대해서 적어도 일부분이 착탈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밀감합하는 동일 형상 또는 서로 비슷한 형태의 절두 원추 형상의 원추면형을 이용한다.
도 8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은, 분리판(2)의 본체인 원추면체[21의 원추면(211)에 겹치도록, 도시하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원추축 방향으로부터 밀착 감합시켰을 때, 당해 분리판(2)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용접하는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상응 소정 위치 부위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이 상기의 원추면체(21)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떨어뜨려져 조밀하게 삽입하는 위치 맞춤공(51)을, 예를 들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과 동일 형상의 공을 설치하여 있다.
이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이하, 원추면형이라고도 함)은, 도시하는 상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위치 맞춤 원추면형(50)이 적용되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이 용접되는 분리판(2)의 본체인 원추면체(21)를 그대로 전용(轉用)해서, 위치 맞춤공(51)을 천공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유통공(22)은 천공 설치된 상태 그대로인데, 이 유통공(22)은 원추면형으로서는 무용(無用)하며, 없어도 된다.
이러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분리판(2)을 반드시 전용할 필요는 없고, 별도로, 원추면형을 작성해도 되는데, 이러한 전용을 함으로써,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의 조달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고, 조달 비용도 경제적으로 된다.
여하튼,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은,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2)과 동일 또는 서로 비슷한 형상으로 하고, 당해 분리판(2)의 외면 전체를 외측의 원추축 방향으로부터 푹 덮은 사이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령,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을 분리판(2)의 전용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분리판(2)의 원추면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위치 맞춤공(51)의 내주 가장자리, 적어도 띠 형상으로 천공 설치되는 장공(長孔)의 양 가장자리측에 적절한 보강 부재(도시하지 않음)을 배설하여, 두껍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에 형성되는 위치 맞춤공(51)의 가장자리에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편(3)을 당해 위치 맞춤공(51)에 삽입할 때, 잘못하는 일 없이,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어,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일체로 배설하는 용접 공정을 설명한다.
<용접 제1 공정(감합 공정)>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외주측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을 원추축 방향으로부터 겹치도록 착탈이 자유자재로 가능하도록 감합하고, 분리판(2)의 원추면(21)의 소정 위치 즉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3)의 설정 위치 상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의 위치 맞춤공(51)이 정확하게 겹치도록 밀감합시켜서, 분리판(2)과 원추면형(50)을 일체화시킨다(이하 이를 분리판과 원추면형과의 감합 공정이라고도 함).
<용접 제2 공정>
다음에,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의 위치 맞춤공(51)에 별체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삽입해서, 분리판(2)의 원추면(21)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용접한다.
용접은, 예를 들면,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히 간격을 두고 차례로 설정하여 있는 용접 개소(도시하지 않음)에,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한 쪽의 단부터 차례로 다른 쪽의 단을 향해서 스폿 용접으로 일체화시켜 간다.
<최초의 위치 맞춤공(51)에서의 용접>
먼저, 1 매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타단측을 한 쪽 손으로 파지하면서, 위치 맞춤공(51)의 일단측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일단측을 파고들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편(3)의 휨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적어도 일단측의 용접 개소를 위치 맞춤공(51)에 맞춰서 눌러 놓은 상태에서, 다른 쪽 손으로, 당해 일단측의 용접 개소를 스폿 용접한다.
다음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파지한 손으로, 다음의 용접 개소를 위치 맞춤공(51)에 맞춰서 눌러 놓고, 다른 쪽 손으로 용접 개소를 스폿 용접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먼저의 공정을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한 쪽 손으로 용접 개소를 설정공에 맞춰서 눌러 놓고, 다른 쪽 손으로 용접 개소를 스폿 용접해 가고,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용접을 끝낸다(이하 이 공정을 스폿 용접 공정이라고도 함).
상기의 스폿 용접 공정에서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위치 맞춤 공(51)에 조금씩 삽입하면서 용접하는 방법, 즉,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편부(3)을 그 띠 형상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점차로 위치 맞춤공(51)에 적절히 삽입해 가면서, 띠 형상의 일단측부터 타단측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용접 포인트를 연속적으로 용접시키고 있다.
이러한 용접 방법에 따르면, 용접 개소를 확인하면서 순차적으로 용접되기 때문에, 소정 위치에 정확하게 당접(當接)되면서 용접되기 때문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은 소정의 용접 개소에 안정화해서,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게 용접되어 분리판(2)과 일체화된다.
그러나, 용접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당해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전체를 한번에 위치 맞춤공(51)에 삽입해서 스폿 용접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의 용접예에서는, 띠 즉, 띠 형상으로 연재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길이 방향으로 점재하는 스폿 용접으로 설명했는데, 다른 적절한 용접 수단을 이용해도 된다.
한편, 여기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길이는, 원추면(21)에 일체적으로 용접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원추면(21)의 상변(42)측으로부터 밑변 즉 하변(41)측에 연재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두 번째의 위치 맞춤공(51)에서의 용접>
다음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두 번째의 위치 맞춤공(51)은, 최초의 위치 맞춤공(51)의 이웃하는 위치 맞춤공(51)이나 다른 적절한 위치 맞춤공이어도 좋은데, 최초(첫 번째)의 용접에 이용한 위치 맞춤 공(51)과는 반대 방향 예를 들면 180도의 부근에 위치하는 위치 맞춤공(51)을 선택해서 용접하면, 두 번째의 용접 완료의 단계에서, 분리판(2)에 씌워져 겹치는 원추면형(2, 20)은, 180도 방향으로 떨어진 2 개소에 있어서 용접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에 의해, 더 나은 위치 맞춤공(51)이 이루어지게 되기 때문에, 다른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이 용접되어야 할 위치 맞춤공(51)이 분리판(2)의 소정 위치에 자연스럽게 결정되고,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위치 맞춤되고,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편(3)을 한층 정확하게 분리판(2)의 소정 위치에 일체화시킬 수 있다.
여하튼, 상기와 같은 원추면형(50)을 이용함으로써, 분리판(2)의 원추면(21)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을 겹치도록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일방 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이 점차로 감입하도록 위치 맞춤공(51)에 삽입하면서 스폿 용접을 실시하고, 다음의, 소정 위치 즉 위치 맞춤공(51)을 이용하여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적절한 용접기로 용접할 때에는, 겹쳐져서 일체적으로 갑합된 상태의 분리판(2)과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50)을 일체적으로 당해 원추의 축을 중심으로 둘레방향으로 전동시키고, 분리판(2)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설정된 소정 위치[위치 맞춤공(51)]를, 당해 용접기의 소정 용접 위치에 회전 이동시키면서, 분리판(2)의 모든 소정 위치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을 일체적으로 배설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3)의 용접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선박용 디이젤 엔진의 연료유나 윤활유 등 을 피처리액으로 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의 분리판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이에 국한하지 않고, 널리 산업상 이용하는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분리판의 제조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분리판형 원심 분리의 회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분리판군을 구성하는 분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분리판의 저면도이다.
도4는 분리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분리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분리판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분리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의 용법 설명도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2 : 분리판 21 : 원추면
211 : 원추면의 외면(상면) 212 : 원추면의 내면(하면)
22 : 유통공 3 :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
(3) :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 42 : 원추면의 상변
50 :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원추면형)
51 : 위치 맞춤공

Claims (17)

  1.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적으로 배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밀감합(密嵌合)하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하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에는, 미리, 상기 원추면에 밀감합시켰을 때 상기 분리판의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상기 원추면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감입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과 동일 형상의 위치 맞춤공을 설치해 두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맞춤공에 별도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삽입하고, 상기 원추면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배설(배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방법.
  2.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밀감합(密嵌合)하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하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에는, 미리, 상기 원추면에 밀감합시켰을 때에 상기 분리판의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상기 원추면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감입하는 상기 분리 공간 돌조부편과 동일 형상의 위치 맞춤공을 설치해 두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맞춤공에 별도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삽입하면서, 상기 원추면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3.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의 회전체 내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절두 원추 형상의 분리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의 소정 위치에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 외주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밀감합(密嵌合)하는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이용하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에는, 미리, 상기 원추면에 밀갑합시켰을 때에 상기 분리판의 소정 위치에 상응하는 부위에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이 상기 원추면에 일체화되는 상태에서 감입하는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과 동일 형상의 위치 맞춤공을 설치해 두고,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상기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위치 맞춤공에 별도로 형성된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그 띠 형상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삽입하면서, 상기 띠 형상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해서 용접시키고,
    상기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은 띠의 길이 방향으로 점재(点在)하는 스폿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원추면에 일체로 용접된 상태에서, 상기 원추면의 상변측에서 하변측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원추면의 원추 모선(母線) 방향으로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원추면의 원추 모선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길이 방향에서 직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길이 방향에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길이 방향의 일부에서 곡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상기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이 적용되는 분리판의 제조과정에서 성형되는 원추면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분리판의 원추면에 밀착하는 부분은, 상기 분리판의 제조과정에서 성형되는 원추면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위치 맞춤공의 둘레 가장자리를 두껍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은, 위치 맞춤공의 둘레 가장자리의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두껍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5.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평판을 천공 가공하여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6.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접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은, 평판을 천공 가공하여 성형되고, 띠 형상의 길이방향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17.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리판의 원추면에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겹치도록 밀감합시킨 상태에서, 띠 형상의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측으로 점차로 삽입하도록 위치 맞춤공에 삽입하면서 스폿 용접을 실시하고, 겹쳐진 상태의 분리판과 위치 맞춤용 원추면형을 일체로 상기 원추의 축을 중심으로 전동(轉動)시키고, 분리판의 둘레방향으로 복수 설정된 소정위치를, 용접기의 용접 위치로 회전 이동시키면서, 분리판의 모든 소정위치에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편을 일체로 배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공간 칸막이 돌조부를 구비한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KR1020090097991A 2009-05-29 2009-10-15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KR101223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0121A JP4921521B2 (ja) 2009-05-29 2009-05-29 分離板型遠心分離機用分離板の製造方法
JPJP-P-2009-130121 2009-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121A KR20100129121A (ko) 2010-12-08
KR101223405B1 true KR101223405B1 (ko) 2013-01-16

Family

ID=43224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991A KR101223405B1 (ko) 2009-05-29 2009-10-15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21521B2 (ko)
KR (1) KR101223405B1 (ko)
CN (1) CN101898173B (ko)
TW (1) TW2010433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0690C2 (sv) * 2006-04-04 2008-08-12 Alfa Laval Corp Ab Rotorenhet för en centrifugalseparator
JP5242662B2 (ja) * 2010-11-02 2013-07-24 定男 篠原 分離板型遠心分離機用分離板の製造方法
ES2686419T3 (es) 2011-08-10 2018-10-17 Alfa Laval Corporate Ab Un disco de separación para un separador centrífugo y un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l disco de separación
EP3178565B1 (en) * 2012-05-14 2018-06-27 Alfa Laval Corporate AB Disc stack for centrifugal separator
CN103111376A (zh) * 2013-02-06 2013-05-22 江苏南铸科技股份有限公司 船用离心机缸体
EP3085450B1 (en) * 2015-04-24 2020-02-26 Alfa Laval Corporate AB Centrifugal separator with disc stack
CN107309071A (zh) * 2016-04-27 2017-11-03 王欢 谐波超重力选矿设备
EP3315205A1 (en) 2016-10-31 2018-05-02 Alfa Laval Corporate AB A centrifugal separator
EP3315204B1 (en) * 2016-10-31 2019-05-08 Alfa Laval Corporate AB A stack of separation discs
PL3315203T3 (pl) * 2016-10-31 2019-11-29 Alfa Laval Corp Ab Tarcza rozdzielająca dla separatora odśrodkowego
CN108114820A (zh) * 2017-11-30 2018-06-05 常州大学 一种碟式离心机的碟片
KR101974056B1 (ko) * 2018-10-01 2019-08-23 한국수자원공사 편향 천공스크린이 결합된 고액분리장치
CN109847949B (zh) * 2019-04-18 2021-05-11 沈阳工业大学 一种可变换多流道的多功能碟式分离机的可变换流道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349A (ja) * 1994-03-10 1995-09-26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
JPH07284693A (ja) * 1994-04-15 1995-10-31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
JP2002166198A (ja) 2000-12-01 2002-06-11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2336734A (ja) 2001-05-11 2002-11-26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分離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97778A1 (ru) * 1977-10-26 1981-01-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555 Коническа тарелка к сепаратору
SE462262B (sv) * 1988-11-08 1990-05-28 Alfa Laval Separation Ab Saett och anlaeggning foer att, med en centrifugalseparator, befria en vaetska fraan ett daeri dispergerat aemne, som har stoerre taethet aen vaetskan
EP0444271A3 (en) * 1990-02-24 1992-03-11 Westfalia Separator Ag Disc for a centrifugal separator
JP2948959B2 (ja) * 1991-10-30 1999-09-13 京セラ株式会社 溶接用位置決め部材
US5735789A (en) * 1992-06-16 1998-04-07 Alfa Laval Separation Ab Centrifugal separator
JPH07144279A (ja) * 1993-11-19 1995-06-06 Origin Electric Co Ltd 抵抗溶接装置
ES2111441B1 (es) * 1994-06-21 1998-11-01 Idm Construcciones Vascas S L Disco para separadores de liquidos.
SE504953C2 (sv) * 1995-09-08 1997-06-02 Alfa Laval Ab Sätt att genom motståndssvetsning fästa en tunn plåt på en konisk separeringsskiva för centrifug
JP2003154488A (ja) * 2001-11-21 2003-05-27 Michio Tanaka 鋼材固定用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349A (ja) * 1994-03-10 1995-09-26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
JPH07284693A (ja) * 1994-04-15 1995-10-31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
JP2002166198A (ja) 2000-12-01 2002-06-11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2336734A (ja) 2001-05-11 2002-11-26 Mitsubishi Kakoki Kaisha Ltd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分離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1521B2 (ja) 2012-04-25
TW201043339A (en) 2010-12-16
CN101898173B (zh) 2013-05-08
TWI511793B (ko) 2015-12-11
KR20100129121A (ko) 2010-12-08
JP2010274210A (ja) 2010-12-09
CN101898173A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405B1 (ko)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KR101252336B1 (ko) 분리판형 원심분리기와 그 분리판과 고액 분리 방법
KR101252337B1 (ko)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와 그 분리판
KR20120046685A (ko) 분리판형 원심 분리기용 분리판의 제조 방법
EP2349578B1 (en) A separation disk for a centrifuge rotor, and a disk package
CA2841190C (en) A separation disc for a centrifugal separato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paration disc
US10913015B2 (en) Variable geometry centrifugal basket
JP2015142953A (ja) 混合流体分離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ラッジ回収装置
KR20170109033A (ko) 가스 세정용 원심 분리기
SE535487C2 (sv) Insatsplåt för plåtsatscentrifug samt metod att tillverka nämnda insatsplåt
JP4745526B2 (ja) 分離板型遠心分離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分離板
JP2015231644A (ja) スラッジ回収装置
CN211217138U (zh) 一种用于离心机的固液分离结构
JP6330124B2 (ja) 浮上油回収システム
CN212122907U (zh) 一种薄垫圈的内孔磨削定位夹具
EP2334439B1 (en) A disk package for a centrifuge rotor
CA2252682A1 (en) Flotation recovery improvement through increased residence time via feed box, connection box and discharge box fl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