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375A - 캐비테이션 손상이 감소된 스풀 밸브 - Google Patents

캐비테이션 손상이 감소된 스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375A
KR20100121375A KR1020090044631A KR20090044631A KR20100121375A KR 20100121375 A KR20100121375 A KR 20100121375A KR 1020090044631 A KR1020090044631 A KR 1020090044631A KR 20090044631 A KR20090044631 A KR 20090044631A KR 20100121375 A KR20100121375 A KR 20100121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pool
control edge
spool valv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9045B1 (ko
Inventor
스테판 메이어
Original Assignee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filed Critical 맨 디젤 앤드 터보 필리얼 아프 맨 디젤 앤드 터보 에스이 티스크랜드
Publication of KR20100121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밸브 스풀 상에 원주방향 제어 에지(23)를 구비한 스풀 밸브(10)에는 상기 밸브 스풀(22)상의 간헐적인 회전이나 연속적인 회전을 전이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포트(32, 33, 34, 35)와 상호 운동하는 원주방향 제어 에지(23)의 다양한 부품의 노출부가 상기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범위를 넘어서 균일하게 분포된다
스풀 밸브

Description

캐비테이션 손상이 감소된 스풀 밸브 {A spool valve with reduced cavitation damage}
본 발명은 스풀 밸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 밸브 또는 파일럿 밸브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에지를 구비한 스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제어 밸브는 공지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스풀을 가지는 타입의 배향성 제어 밸브들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밸브들은 펌프, 탱크 및 소비장치(consumer)용 연결 포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포트들은 상기 스풀의 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풀의 랜드부상의 제어 에지는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포트들의 에지와 상호 운동한다. 종종, 이러한 제어 밸브들은 캐비테이션을 야기하는 급속한 압력 저하와 높은 유체 유동율을 일으키는 비교적 작은 랜드부 상의 제어 에지와 포트들의 에지들 사이의 유동 통로를 그 (폐쇄된) 중심위치 주변에서 균형 맞추는 작동시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 에지들은 종종 밸브가 성숙되지 않은 채로 파손되게 하는 케비테이션에 의한 침식에 기인하여 이러한 캐비테이션에 의해 발생되는 손상을 입는다. 이러한 손상은 밸브 하우징의 포트 개방부에 직접 인접한 스풀의 포트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 밸브에 밸브 스풀상의 원주방향 제어 에지들을 제공하여 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스풀 밸브에는 상기 밸브 스풀상의 간헐적인 회전 또는 연속적인 회전을 전달하는 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포트와 상호 운동하는 원주방향 제어 에지의 다양한 포트의 노출부는 상기 제어 에지의 원주방향 부위 위로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밸브 스풀의 빈번한 임의적 회전 또는 비임의적 회전 또는 연속적인 회전을 도입함으로써, 마모 부하는 스풀의 원주방향 주위에 분포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풀 밸브의 전체 수명은 증가된다. 캐비테이션 손상의 균일한 분포는 상기 스풀 밸브의 적절한 작동을 위하여 초과하지 않는 국부적인 캐비테이션 손상 부위가 상기 제어 에지의 완전한 원주방향 부위를 넘어서는 제어 에지의 마모를 분포시키도록 회전하지 않지만 일반적인 구조를 밸브 스풀과 비교할 때 덜 빨리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회전은 몇가지 방식으로 행해진다.
상기 밸브 스풀은 예를 들어 전용 전기 모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구동되며,
예를 들어 상기 밸브 스풀은 연속적으로 유압 구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 스풀은 회전가능하도록 자유로우며, 상기 스풀 내부에 가공되거나 그에 부착된 블레이드 또는 베인은 예를 들어 밸브가 개방할 때마다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상기 스풀 밸브의 간헐적으로 회전하거나 연속적으로 회전함으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 에지의 원주방향 부위의 각 부분은 상기 스풀 밸브의 작동시에 상기 하나 이상의 고압 포트와 상호작동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위로 노출된다.
회전 전달 수단은 밸브 스풀에 연결된 베인 또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유압 압축된 유체는 상기 베인 또는 블레이드 상에서 작용한다. 상기 베인 또는 블레이드는 상기 밸브 스풀의 일체부일 수 있으며 탱크로의 유동에 의해 구동된다.
선택적으로, 회전 전달 수단은 상기 밸브 스풀에 연결된 임펠러를 포함하며, 유압 가압된 유체의 유동은 상기 임펠러에 작용한다.
상기 스풀 밸브는 밸프 스풀의 회전 속력을 제한하도록 회전 유압 댐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트와 상호작동하는 제어 에지의 원주방향 부위의 일부분에 의해 야기되는 스풀 밸브의 밸브 스풀의 원주방향 제어 에지상이 캐비테이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인데, 이러한 방법은 상기 밸브 스풀의 간헐적인 회전 또는 연속적인 회전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포트와 상호 작동하는 상기 제어 에지의 원주방향 부위의 부분의 위치는 스풀 밸브의 작동시에 규칙적으로 변화한다.
본 발명 스풀 밸브 및 방법에 따른 다른 목적, 구성, 효과 및 특징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현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하우징의 포트 개방부에 직접 인접한 스풀의 포트이 손상이 방지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스풀 밸브(10)을 도시한다. 상기 스풀 밸브(1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폐쇄된 중앙 제어 밸브이다.
상기 스풀 밸브(20)는 고압 펌프와 같은, 적절합 공급원(미도시)로부터 고압 유체르 수용하는 고압 유체 공급 포트(32, 33)을 구비한 밸브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20)에는 배릅 스풀(20)이 배치된, 보어(24)의 형태의 공간을 수용하는 축방향 연장 스풀이 제공된다.
상기 밸브 스풀(22)은 상기 보어(24) 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이러한 회전 운동을 허용하거나 상기 보어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축방향 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이러한 축방향 운동을 허용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밸브 스풀(22)의 축방향 운동은 상기 밸브 하우징(2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50)의 작동에 의해 행해진다. 전기 제어 유니트(55)는 솔레노이드(50)와 관련된다. 이러한 것은 상기 밸브 수풀(22)의 축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헬리 컬 스프링(370은 상기 솔레노이드(50)를 향하여 밸브 스풀을 강제한다.
상기 밸브 스풀(22)에는 2개의 랜드부(25, 26)가 제공된다. 랜드부(26)에는 상기 고압 포트(33, 34, 35)와 상호 작동하는 2개이 제어 에지(23)가 제공된다.
고압 포트(34, 35)는 채널(31)를 통하여 고압 포트(33)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 에지(23)는 상기 랜드부(26)의 전체 원주를 따라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의 일부분만이 도 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시간에도 고압 포트(33, 34, 35)와 상호작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랜드부(26)의 제어 에지(23)와 상호작동하는 3개의 고압 포트들이 있어서, 상기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연장부의 상대적으로 큰 부분은 임의의 순간에도 포트들과 상호작동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제어 에지는 하나의 고압 포트(도 3에서 2개 또는 3개로 도시)와 상호작동하며,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의 작은 부분만이 임의의 순간에도 고압 포트와 상호작동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밸브 스풀의 동일한 개방 행정에서 보다 작은 유동 면적을 허용하여 결국 작은 유동율을 보다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랜드부(25)에는 랜드부(26)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에지가 제공되며, 랜드부(25)의 제어 에지는 랜드부(26)가 3개이 고압 포트들과 상호작동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3개의 고압 포트들(포트(32) 및 나머지 2개의 포트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상호작동한다.
포트(28)는 소비장치에 연결되며, 포트(39, 30)는 탱크에 연결된다.
임펠러(40)는 상기 랜드부(25, 26)들 사이에서 밸브 스풀(22)상에 장착된다. 임펠러는 포트(28)로 유동하는 유체에 의해 구동되는데, 환언하면, 소비 장치로의 유동은 임펠러를 구동하고 밸브 샤프트(22)를 회전시킨다. 상기 밸브 샤프트는 회전하기만 하기 때문에, 상기 스풀 밸브(20)가 개방될 때 상기 샤프트는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어 에지(23)와 압력 포트(32, 33, 34, 35)들간의 상호 작동은 제어 에지(23) 및 상기 제어 에지(23)에 인접한 영역에 캐비테이션 손상을 일으킨다.
작동시에, 상기 밸브 스풀(22)의 위치는 상기 솔레노이드(5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솔레노이드(50)가 작동되어 밸브 스풀(22)를 푸쉬할 때(도면의 좌측으로), 압력 포트(33)는 포트(30)에 연결되며, 압력 포트(32)는 포트(28)에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50)가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밸브 스풀(22)을 당기도록 작동되면, 압력 포트(33)는 포트(28)에 연결되며 압력 포트(32)는 포트(29)에 연결된다. 다양한 소비 장치는 포트(28, 29, 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풀 밸브(10)는 대형 유압(서보) 밸브를 제어하는 파일럿 밸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이 작동에서, 밸브 스풀(22)는 그 중심 위치 주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균형 맞추며 보다 더 간헐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작동에서, 상기 스풀 밸브(10)는 대부분의 시간에서 작은 유동율을 제어한다.
상기 밸브 스풀(22)의 회전으로 인하여 상기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의 각 부품이 고압 포트들과 상호작동하도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노출된다. 상기 밸브 스풀은 캐비테이션 손상의 국부적 범위가 최대치를 초과할 때 교체될 필요가 있다. 제어 에지의 전체 부위를 넘어서 상기 고압 포트와 상호작동하도록 제어 에지가 노출됨으로써 야기되는 캐비테이션 손상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면, 제어 에지의 특정 부분이 캐비테이션 손상의 허용가능한 최대치를 초과하는 데 보다 긴 시간이 소요되며 따라서 밸브 스풀의 수명이 증가된다.
도 5는 스풀 밸브(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밸브 스풀(22)에 대한 병진 운동 및 회전 운동을 제공하는 2개의 솔레노이드(50, 60)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4이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전기 제어 유니트(65)는 솔레노이드(60)와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솔레도이드(50, 60)들 중 하나에는 축방향 위치 센서가 제공되며 경우에 따라 회전 위치 센서도 제공될 수 있다 .
상기 밸브 스풀(22)이 솔레노이드(50)를 향하여 이동할 때, 솔레노이드(50)는 작동되어 밸브 스풀(22)를 당기게 되며, 동시에 일방향으로 주어진 각도록 상기 밸브 스풀을 회전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경사진 앵커를 구비한 솔레노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밸브 스풀(22)이 솔레노이드(60)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60)는 작동되어 상기 밸브 스풀(22)을 당기게 되며 동시에 동일한 일방향으로 주어진 각도로 상기 밸브 스풀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50, 60) 중 어느 하나의 각 캐비테이션으로써, 상기 밸브 스풀(22)은 동일한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실시예에서 밸브 스 풀(22)는 보어(22)이 안착부로부터 임펠러(40)을 분리시키는 추가적인 랜드부(42, 43)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임펠러(40)는 스풀 밸브(10)의 작동시에 회전을 일으키는 밸브 스풀(22)상에 장착된다. 상기 임펠러(40)는 압력 포트(38)로부터 압축된 유체에 의해 구동되며, 복귀된 유체는 포트(39)를 통하여 탱크로 배출된다. 상기 압력 포트(38)로의 압력과 유동은 샤프트의 회전에 사용되는 유압 오일의 초과량을 피하기 위하여 제한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은 탱크로의 회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작동시에, 압력 포트(38)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압 유체는 상기 임펠러(40)를 구동하며 상기 포트(39)를 통하여 임펠러 챔버를 떠나게 된다. 상기 임펠러로의 유압 유체의 유동은 연속적인 유동이거나 간헐적인 유동일 수 있다 (포트(38)로의 유체 유동에 따라 결정됨).
랜드부(44, 45)는 상기 보어(22)의 안착부로부터 회전 댐퍼를 분리시킨다. 상기 회전 댐퍼는 상기 밸브 스풀(22) 상에 장착된 베인(47)을 포함한다. 상기 베인(47)은 3개의 리브(46)가 제공된 댐퍼 챔버(48)에서 회전한다. 압력 포트(41)는 상기 댐퍼 챔버(48)가 유압 오일 또는 다른 적절한 댐퍼 유체로 채워지게 한다. 상기 회전 댐퍼로 인하여, 상기 스풀 밸브(22)의 회전 속력은 제한되어 악영향을 나타낼 수 있는 과다한 회전 속력을 피하게 된다.
도 1이 실시예는, 필요하다면, 회전 댐퍼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스풀의 회전은 상기 밸브 스풀에 연결된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스풀의 회전은 밸브 스풀에 연결된 유압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다른 실시예: 밸브가 개방될 때 베인은 압력 유체에 의해 작동됨.
이러한 문서의 교시 사항은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 다른 실시예와 적용예에도 아래의 효과가 수반될 수 있다. 이것은 한정적인 내역이 아니며,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장점도 있다. 이 문서의 교시 내용의 장점으로서, 본 발명으로 인하여 동일한 개방 행정에서 작은 유동 면적을 제공하여 작은 유동에 대한 보다 양호한 제어가 가능한 밸브 스풀의 원주방향으로 단지 하나의 포트로 스풀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폐쇄된 중심 제어 밸브를 참조하여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캐비테이션에 노출된 제어 에지들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스풀 밸브와 관련된 사항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특징은 전술한 결합예와 다른 결합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는 용어는 다른 요소나 단계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사용된다. 단수로 기재되어 있다고 볼수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 사용된 도면부호는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본 발명의 교시된 이러한 구성에 관한 전술한 설명과 같은 시도는 출원인이 여기에서 설명된 특허가능한 구성 및 결합에 대하도 보호받고자 하는 것이며 그 자체만을 강조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비로 본 발명은 도시된 사항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자세한 설명은 목적을 위한 방편이었을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양한 변형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스풀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밸브의 밸브 스풀의 랜드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풀 밸브의 제 1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풀 벨브의 제 2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풀 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스풀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스풀 밸브의 다른 단

Claims (10)

  1. 보어(24)를 수용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스풀이 제공된 밸브 하우징(20)을 포함하는 스풀 밸브(10)로서,
    상기 밸브 스풀(22)은 상기 보어 내에서 상기 밸브 스풀(22)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보어(2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축방향 운동을 허용하도록 수용되며, 상기 밸브 수풀(22)에는 적어도 하나의 원주방향 제어 에지(23)가 제공되며,
    상기 스풀 밸브(10)는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어 에지(23)의 캐비테이션 구동 침식을 분포시키도록 상기 스풀 밸브(10)의 작동시에 밸브 스풀(22)의 간헐적인 회전 또는 연속적인 회전을 일으키는 회전 전달 수단(40, 50, 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어 에지(23)는 그 원주방향 부분을 따라 하나 이상의 고압 공급 포트(32, 33, 34, 35)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풀(22)의 간헐적인 회전 또는 연속적인 회전으로 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의 각 부분이 상기 스풀 밸브(10)의 작동시에 하나 이상의 고압 포트(32, 33, 34,3 5)와 상호작동하는 실질적으로 균등한 수준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수단(40)은 상기 밸브 수풀(22)에 연결된 베인 또느 ㄴ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수단은 상기 밸브 스풀(22)에 연결된 임펠러(40)를 포함하며, 유압 압축된 유체의 유동은 상기 임펠러(40) 상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풀(22)의 회전 속력을 제한하는 회전 댐퍼(46, 4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수단은 솔레노이드(50, 60), 전기 모터 또는 유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에지(23)과 상호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32, 33)를 추가로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포트(32, 33)는 읨의의 순간에도 상기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의 일부분과 상호 작동하며, 상기 밸브 스풀(22)의 간헐적인 회전 또는 연속적인 회전은 상기 제어 에지(23)의 원주 방향의 전체 부위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포트(32, 33)와 상호작동하는 제어 에지(23)의 국부적인 부분의 노출 부위를 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 수단은 탱크로의 유동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 밸브(10).
  10. 포트(32, 33, 34, 35)와 상호 작동하는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의 일부분에 의해 야기되는 스풀 밸브(10)의 밸브 스풀(22)의 원주방향 제어 에지(23) 상의 캐비테이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밸브 스풀을 간헐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회전키시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포트(32, 33, 34, 35)와 상호작동하는 제어 에지(23)의 원주방향 부위의 부분의 위치가 상기 스풀 밸브(10)의 작동시에 규치적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테이션 손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0090044631A 2009-05-07 2009-05-21 캐비테이션 손상이 감소된 스풀 밸브 KR101299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2480A JP2010261502A (ja) 2009-05-07 2009-05-07 キャビテーション損傷を軽減したスプール弁
JPJP-P-2009-112480 2009-05-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75A true KR20100121375A (ko) 2010-11-17
KR101299045B1 KR101299045B1 (ko) 2013-08-27

Family

ID=4305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631A KR101299045B1 (ko) 2009-05-07 2009-05-21 캐비테이션 손상이 감소된 스풀 밸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0261502A (ko)
KR (1) KR101299045B1 (ko)
CN (1) CN1018813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673A (ko) * 2016-12-28 2018-07-0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스풀 밸브용 블레이드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1502A (ja) * 2009-05-07 2010-11-18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キャビテーション損傷を軽減したスプール弁
JP6030412B2 (ja) 2012-10-23 2016-11-24 エンゼルプレイングカード株式会社 テーブルゲームシステム
DE202013103967U1 (de) * 2013-09-03 2013-10-23 Bürkert Werke GmbH Drehschieberventil
CN106870800B (zh) * 2017-01-06 2022-12-30 重庆金山医疗技术研究院有限公司 流体切换电磁阀及装有该电磁阀的内窥镜
DE102017217924A1 (de) * 2017-10-09 2019-04-11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s Schieberventi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0586B2 (ja) * 1974-08-13 1985-07-17 ツアーンラートフアブリーク,フリードリツヒスハーフエ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制御弁
JPS62161083U (ko) * 1986-03-31 1987-10-13
JP2679227B2 (ja) * 1989-03-17 1997-1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調圧弁
US6460561B1 (en) * 1998-10-28 2002-10-08 Luk Getriebe-Systeme Gmbh Valve piston and valve equipped with same
JP2002048252A (ja) * 2000-07-31 2002-02-15 Showa Corp 切換弁
US6357475B1 (en) * 2001-01-11 2002-03-19 Vat Holding Ag Pneumatic sequential control valve
JP4816583B2 (ja) * 2007-07-18 2011-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プール弁
JP2010261502A (ja) * 2009-05-07 2010-11-18 Man Diesel & Turbo Filial Af Man Diesel & Turbo Se Tyskland キャビテーション損傷を軽減したスプール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673A (ko) * 2016-12-28 2018-07-06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스풀 밸브용 블레이드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81340A (zh) 2010-11-10
JP2010261502A (ja) 2010-11-18
KR101299045B1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045B1 (ko) 캐비테이션 손상이 감소된 스풀 밸브
JP6659476B2 (ja) 電気静油圧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油圧アクチュエータを制御し減衰させる方法
DE102013018205B3 (de) Regelbare Kühlmittelpumpe
EP3173624B1 (de) Verdrängerpumpe mit verstellventil für die verstellung des fördervolumens
US9482365B2 (en) Rotary valve
KR101845596B1 (ko) 스로틀 제어되는 유압식 피스톤 펌프
DE102014210664A1 (de) Verstellpumpe
DE102005051098A1 (de) Gerotorpumpe mit veränderlicher Förderleistung
CA2754997C (en) High pressure variable displacement piston pump
DE102014219565A1 (de) Äußerer Aktuator für eine Läuferabdeckscheibe einer verstellbaren Wasserpumpe
US2825307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KR101867251B1 (ko) 선박의 제어가능한 피치 프로펠러 배열체의 윤활을 배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윤활 배열체
EP2513482B1 (en) Cam bearing flow control for rotating cam ring vane pump
KR20150121221A (ko) 2개 이상의 부재로 형성된 스크류 펌프
JP5535970B2 (ja) 風力発電装置及び風力発電装置の弁機能確認方法
JP5645236B2 (ja) 電油ハイブリッド駆動装置
DE3242983A1 (de) Regelbare fluegelzellenpumpe
JP2013032846A (ja) キャビテーション損傷を軽減したスプール弁
JPWO2017145353A1 (ja) 弁システム及び蒸気タービン
EP2873870A1 (en) Spool valve assembly, hydraulic machine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US20150292181A1 (en) Hydrostatic Drive
JP5464275B2 (ja) 油圧モータ用制御装置
RU81540U1 (ru) Делитель потока
CN107339236B (zh) 一种泵站
KR101691061B1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가변오일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