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771A -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771A
KR20100120771A KR1020090039579A KR20090039579A KR20100120771A KR 20100120771 A KR20100120771 A KR 20100120771A KR 1020090039579 A KR1020090039579 A KR 1020090039579A KR 20090039579 A KR20090039579 A KR 20090039579A KR 20100120771 A KR20100120771 A KR 20100120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ulley
mounting bracket
lumber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03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0771A/ko
Publication of KR20100120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럼버서포트(3)로부터 조작케이블(69)을 통해 조작레버(77)로 작용하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적은 힘을 사용하여 조작레버(77)를 조작하더라도 럼버서포트(3)가 원활히 작동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럼버서포트, 요추, 작동성, 케이블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Apparatus for operating lumbar Support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구비된 럼버서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탑승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및 엉덩이에서 허벅다리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백과 상기 시트쿠션은 각각 시트백프레임과 시트쿠션프레임에 의해 골격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시트백프레임(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착석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승차감 및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럼버서포트(3)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상기 럼버서포트(3)는 작동장치에 의해 시트 착석자쪽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상기 럼버서포트(3)의 하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좌우측면을 연결하는 하단마운팅브라켓(5)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럼버서포트(3)의 위쪽에는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좌우측면을 연 결하는 상단마운팅브라켓(7)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에는 지지프레임(9)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9)의 양단은 좌우측으로 이격된 후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단마운팅브라켓(7)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럼버서포트(3)는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9)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에는 두 개의 롤러(11)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러(11)에는 작동케이블(13)이 걸려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작동케이블(13)의 양단은 상측으로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상단마운팅브라켓(7)에 걸려져서 설치된다.
상기 두 개의 롤러(11) 사이에 위치한 상기 작동케이블(13) 중 중간부위에는 연결링(15)이 끼워져 있으며, 상기 연결링(15)에는 조작케이블(17)의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케이블(17)의 타단은 상기 럼버서포트(3)의 상단 중간부위를 통해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일측면에 장착된 케이블액추에이터(19)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액추에이터(19)에는 상기 케이블액추에이터(19)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21)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작케이블(17)은 상기 조작레버(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블액추에이터(19)에 감겨지거나 또는 풀려지게 된다.
따라서, 조작레버(21)를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화살표 R1의 방향으로 반복하여 작동시키면, 조작케이블(17)이 케이블엑추에이터(19)에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 고, 상기 조작케이블(17)의 단부에 결합된 연결링(15)은 도 5와 같이 작동케이블(13)의 중간 부분을 상측으로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케이블(13)은 점선으로 표시된 상태로 점차 상측으로 뾰족해지는 삼각형으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케이블(13)의 중간부분이 상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작동케이블(13)의 양단은 럼버서포트(3)의 상측을 하측으로 당기면서 이동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럼버서포트(3)는 중간부분이 시트백의 전방으로 부푸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시트 착석자의 요추부위를 전방으로 가압 및 지지해주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조작레버(21)를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화살표 R2의 방향으로 반복하여 작동시키면, 케이블엑추에이터(19)에 감겨져 있던 조작케이블(17)이 풀리면서 하측으로 이동하였던 럼버서포트(3)의 상측이 다시 위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트백의 전방으로 부푸는 형상으로 변형되었던 상기 럼버서포트(3)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시트백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시트 착석자의 요추부위를 전방으로 가압 및 지지해주기 전의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착좌 상태일 때 상기 럼버서포트(3)는 착좌자의 상체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럼버서포트(3)는 큰 반발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래의 작동장치는 조작레버(21)의 조작에 의해 조작케이블(17)이 작동케이블(13)을 도 5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상측으로 당겨야만 상기 럼버서포트(3)의 작동이 가능한 구조이며, 이때 상기 작동케이블(13)을 당기는 힘 F1은 상기 럼버서포트(3)의 반발력보다 더 큰 힘이 필요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조작 레버(21)의 용이한 조작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럼버서포트로부터 조작케이블을 통해 조작레버로 작용하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의 작동력을 비교적 작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작레버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는, 하단마운팅브라켓에 일단이 결합되어 설치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형성된 풀리마운팅브라켓과; 상기 가이드홀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 및 자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풀리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되어 설치된 풀리조립체와; 상기 풀리조립체를 경유하여 양단이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그 중 일단은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에 결합된 지지프레임의 하단에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조작케이블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풀리케이블과; 상기 풀리조립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럼버서포트의 상단에 타단이 결합되어 설치된 럼버서포트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럼버서포트로부터 조작케이블을 통해 조작레버로 작용하 는 하중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레버의 작동력을 비교적 작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조작레버의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에는 시트 착석자의 요추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승차감 및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럼버서포트(3)가 장착된다.
상기 럼버서포트(3)는 작동장치에 의해 시트 착석자쪽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조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상기 럼버서포트(3)의 하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좌우측면을 연결하는 하단마운팅브라켓(51)에 회동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럼버서포트(3)의 위쪽에는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좌우측면을 연결하는 상단마운팅브라켓(53)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1)에는 지지프레임(55)의 하단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5)의 양단은 좌우측으로 이격된 후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단마운팅브라켓(53)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럼버서포트(3)는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55)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1)에서 좌우측 사이의 중간위치에는 풀리마운팅브라켓(57)의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풀리마운팅브라켓(57)의 상단은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상단마운팅브라켓(53)을 향하여 설치된다.
상기 풀리마운팅브라켓(57)에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가이드홀(57a)이 형성된다.
상기 풀리마운팅브라켓(57)에는 상기 가이드홀(57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이와 함께 자전운동이 가능한 풀리조립체(59)가 결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조립체(59)는, 상기 풀리마운팅브라켓(57)의 가이드홀(57a)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이드홀(57a)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풀리축부재(61)와, 상기 풀리축부재(61)에 중심이 관통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풀리축부재(6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풀리부재(63)와, 상기 풀리축부재(61)에 일단이 결합된 케이블마운팅브라켓(65)으로 구성된다.
상기 풀리부재(63)의 상단 외주면에는 풀리케이블(67)이 감겨져 설치되고, 상기 풀리케이블(67)의 양단은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1)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풀리케이블(67)의 양단 중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55)의 하단에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조작케이블(69)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55)의 하단에는 연결링(71)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71)에 상기 풀리케이블(67)의 일단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풀리케이블(67)은 상기 연결링(71)을 매개로 상기 지지프레임(55)의 하단에 연결된 구조를 갖게 된다.
상기 케이블마운팅브라켓(65)에는 럼버서포트케이블(73)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럼버서포트케이블(73)의 타단은 상기 럼버서포트(3)의 상단 중앙부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조작케이블(69)의 일단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의 일측면에 장착된 케이블엑추에이터(75)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케이블(69)의 타단은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1)을 통해 상기 풀리케이블(67)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액추에이터(75)에는 상기 케이블액추에이터(75)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77)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조작케이블(69)은 상기 조작레버(77)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케이블액추에이터(75)에 감겨지거나 또는 풀려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6에 도시된 상태의 조작레버(77)를 도시된 화살표 R3의 방향으로 반복하여 작동시키면, 조작케이블(69)이 케이블엑추에이터(75)에 감기면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조작케이블(69)과 연결된 풀리케이블(67)의 일단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M1을 따라 하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케이블액추에이터(75)와 연결된 풀리케이블(67)의 일단이 하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풀리케이블(67)의 타단이 지지프레임(55)의 하단에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풀리축부재(61)와 풀리부재(63) 및 케이블마운팅브라켓(65)으로 이루어진 풀리조립체(59) 전체가 가이드홀(57a)을 따라 도 9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강 이동을 하게 된다.
풀리조립체(59)가 가이드홀(57a)을 따라 하강하면, 러버서포트케이블(73)이 럼버서포트(3)의 상측을 하측으로 당기게 되고, 이 결과 상기 럼버서포트(3)는 중간부분이 시트백의 전방으로 부푸는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시트 착석자의 요추부위 를 전방으로 가압 및 지지해주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조작레버(77)를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화살표 R4의 방향으로 반복하여 작동시키면, 케이블엑추에이터(75)에 감겨져 있던 조작케이블(69)이 풀리면서 하측으로 이동하였던 럼버서포트(3)의 상측이 다시 위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하강 이동하였던 풀리조립체(59)는 가이드홀(57a)을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됨으로써, 시트백의 전방으로 부푸는 형상으로 변형되었던 상기 럼버서포트(3)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시트백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시트 착석자의 요추부위를 전방으로 가압 및 지지해주기 전의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착좌 상태일 때 럼버서포트(3)는 착좌자의 상체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럼버서포트(3)는 큰 반발력을 발휘하게 되고, 상기 럼버서포트(3)의 반발력은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F2의 힘으로 럼버서포트케이블(73)에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럼버서포트(3)를 작동시키기 위해 풀리케이블(67)의 일단을 당기는 힘은 도시된 화살표 P1과 같이 상기 풀리케이블(67)의 일단에 작용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풀리케이블(67)의 일단이 당겨질 때 상기 풀리케이블(67)의 타단이 지지프레임(55)에 지지되는 지지력은 도시된 화살표 P2와 같이 상기 풀리케이블(67)의 타단에 작용하게 된다.
이때, 럼버서포트(3)의 반발력 F2는 풀리케이블(67)의 일단에 작용하는 힘 P1과 타단에 작용하는 지지력 P2의 합이 되고, 상기 P1과 P2는 동일한 값이므로, 결국 F2는 P1과 P2로 양분된 결과가 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럼버서포트(3)의 작동을 위해 조작케이블(69)이 당겨질 때, 상기 럼버서포트(3)의 반발력 F2에 대해 F2/2의 힘만 사용하여도 상기 조작케이블(69)은 충분히 당겨지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조작레버(77)를 조작하는 힘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적은 힘을 사용하여 조작레버(77)를 조작하더라도 럼버서포트(3)가 원활히 작동 가능한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조작레버(77)의 용이하고 원활한 조작성을 확보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럼버서포트 작동장치를 구비한 시트백프레임의 도면,
도 2와 도 3은 도 1의 우측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종래의 작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럼버서포트 작동장치를 구비한 시트백프레임의 도면,
도 7과 도 8은 도 6의 우측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장치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3 - 럼버서포트 51 - 하단마운팅브라켓
55 - 지지프레임 57 - 풀리마운팅브라켓
59 - 풀리조립체 67 - 풀리케이블
69 - 조작케이블 71 - 연결링
73 - 럼버서포트케이블 75 - 케이블엑추에이터
77 - 조작레버

Claims (5)

  1. 하단마운팅브라켓(51)에 일단이 결합되어 설치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홀(57a)이 형성된 풀리마운팅브라켓(57)과;
    상기 가이드홀(57a)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 및 자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풀리마운팅브라켓(57)에 결합되어 설치된 풀리조립체(59)와;
    상기 풀리조립체(59)를 경유하여 양단이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1)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그 중 일단은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1)에 결합된 지지프레임(55)의 하단에 연결되고 나머지 타단은 조작케이블(69)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풀리케이블(67)과;
    상기 풀리조립체(59)에 일단이 결합되고 럼버서포트(3)의 상단에 타단이 결합되어 설치된 럼버서포트케이블(73);
    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리조립체(59)는,
    상기 풀리마운팅브라켓(57)의 가이드홀(57a)을 관통하면서 상기 가이드홀(57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풀리축부재(61)와;
    상기 풀리축부재(61)에 중심이 관통되어 상기 풀리축부재(6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풀리케이블(67)이 감겨지는 풀리부재(63)와;
    상기 풀리축부재(61)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럼버서포트케이블(73)이 타단 에 결합되는 케이블마운팅브라켓(65);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케이블(69)의 일단은 조작레버(77)가 결합된 케이블엑추에이터(75)에 연결되고;
    상기 조작케이블(69)의 타단은 상기 하단마운팅브라켓(51)을 통해 상기 풀리케이블(67)과 연결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55)의 하단에는 연결링(71)이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연결링(71)에 상기 풀리케이블(67)의 일단이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럼버서포트케이블(73)은 상기 럼버서포트(3)의 상단 중앙부에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KR1020090039579A 2009-05-07 2009-05-07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KR20100120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79A KR20100120771A (ko) 2009-05-07 2009-05-07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579A KR20100120771A (ko) 2009-05-07 2009-05-07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771A true KR20100120771A (ko) 2010-11-17

Family

ID=4340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579A KR20100120771A (ko) 2009-05-07 2009-05-07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07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197B2 (en) * 2013-09-18 2022-07-1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0197B2 (en) * 2013-09-18 2022-07-1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20220348120A1 (en) * 2013-09-18 2022-11-03 Ts Tech Co., Ltd. Vehicle seat
US11780352B2 (en) 2013-09-18 2023-10-10 Ts Tech Co., Ltd.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4055B2 (en) Vehicle seat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EP2277735A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EP1905640A2 (en) Seat device for vehicle
JP2011015867A (ja) シートクッション調整装置
KR10127445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WO2014077389A1 (ja) 操作レバー、シート装置及び操作部構造
CN109070774A (zh) 可变更位置的幼儿用汽车座椅
JP5087962B2 (ja) 車両用シート
JP4301014B2 (ja) シートバックのサイドサポート構造
US8113577B2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s
JP2008074238A (ja) シート装置
KR20100120771A (ko)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의 작동장치
JP5610617B2 (ja) 椅子
KR101326505B1 (ko) 차량용 후석 시트백 리클라이너
KR20110020965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00135389A (ko) 차량 시트용 럼버서포트 장치
JP4239688B2 (ja) ヘッドレスト高さ調整装置
JP5082490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20136554A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20110031781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07282746A (ja) 車両用シート
JP2013248109A (ja) オットマン装置
EP2463140B1 (en) Vehicle seat
JP5309679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