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833A -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833A
KR20100119833A KR1020090038775A KR20090038775A KR20100119833A KR 20100119833 A KR20100119833 A KR 20100119833A KR 1020090038775 A KR1020090038775 A KR 1020090038775A KR 20090038775 A KR20090038775 A KR 20090038775A KR 20100119833 A KR20100119833 A KR 2010011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ore
titanium nitride
tin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978B1 (ko
Inventor
박경원
이종민
한상범
오제경
이진규
이영우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97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B01J37/0225Coating of metal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30Deposition of compounds, mixtures or solid solutions, e.g. borides, carbides, nitrides
    • C23C16/32Carb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core/shell)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타늄 질화물(TiN)을 탄화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기존 TiN에서 외부 껍질에 탄소를 입히는 코어/쉘 나노구조로 전기전도도와 나노구조를 조절하여 새로운 지지체인 TiN@C와 촉매 전극구조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촉매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열처리를 통해 티타늄 질화물에 탄소를 껍질과 같이 입힌 코어/쉘이 나노물질을 촉매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제공한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비탄소계 지지체, TiN, TiN@C, core/shell

Description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Catalyst electrode of core/shell nanostructure supports and method of it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core/shell)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티타늄 질화물(TiN)을 탄화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기존 TiN에서 외부 껍질에 탄소를 입히는 코어/쉘 나노구조로 전기전도도와 나노구조를 조절하여 새로운 지지체인 TiN@C와 촉매 전극구조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촉매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탄소계-촉매 전극구조를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음극에 연료가스(수소)와 양극에 산화제(산소)를 공급하여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생기는 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차세대 에너지 발전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티타늄 질화물을 탄화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기존 TiN에서 외부 껍질에 탄소를 입히는 코어/쉘 나노구조로 전기전도도와 나노구조를 조절하여 새로운 지지체인 TiN@C와 촉매 전극구조를 개발할 수 있고, 백금촉매와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산화환원반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효율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core/shell)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에 있어서, 열처리를 통해 (i) 전이금속 산화물과 (ii) 전이금속 질화물에서 선택된 물질로 구성된 선구물질을 탄화한 선구물질코어/쉘이 촉매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선구물질 코어/쉘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양극과 음극에서 금속 촉매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은 700~900℃에서 1~9시간동안 열처리하여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은 메탄, 부탄, 프로판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화가스 분위기 하에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티타늄 질화물을 보트에 고르게 올려 전기로에 넣고 탄화가스를 흘려주어 탄화 분위기를 만드는 단계; 상기 탄소화 분위기에서 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메탄 가스를 흘려주는 단계; 및 상기 설정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을 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설정온도는 700~900℃이고, 상기 설정온도에서 유지하는 시간은 1-9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이금속 산화물은 TiO2, Cr2O3, Co3O4, MnO2, Fe2O3, ZnO, Al2O3, Ga2O3, HfO2, WO3, V2O5, ZrO2, Nb2O5, Ta2O5, MoO3, NiO, PdO, RuO2, IrO2, In2O3, SiO2, ReO3, MnO를 포함한 선구물질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전이금속 질화물은 TiN, VN, CrN, ZrN, NbN, MoN, HfN, TaN, GaN, InN, WN, Mn4N, Fe4N, AlN, Si3N4, V2N, Re2N, Ni3N2, LaN, CoN, Ta2N, Nb2N, Nb4N3, BN, SiN, Si3N를 포함한 선구물질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core/shell)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탄화분위기에서 티타늄 질화물을 열처리하여 합성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는 산에서 부식에 대한 저항성 이 뛰어나고 열적, 전기적인 전기전도도가 좋은 점을 가지고 있어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탄소 쉘은 기존 탄소보다 결정성이 좋은 흑연과 같은 탄소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산화적인 분위기에서 안정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장점을 이용하여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을 지지체로 사용하여 음극과 양극에서의 연료전지 테스트를 통해 촉매와의 높은 상호작용으로 인한 촉매 활성과 산화 환원 특성이 향상되었고, 특히 양극에서의 메탄올에 대한 저항성으로 양극에 대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촉매전극을 기본으로 각각의 일정한 열처리 온도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티타늄 질화물을 보트에 고르게 올려 전기로에 넣고 탄소화가스를 흘려주어 탄화 분위기를 만든다. 이 과정은 전기로 내부의 산소의 영향을 인한 반응을 제거하기위한 전처리 과정이다. 이러한 탄화분위기에서 온도를 2시간동안 900℃까지 올리면서 메탄 가스를 흘려준다.
그리고 2시간 동안 900℃까지 올린 후 900℃에서 1시간 유지시켜준다. 열처리 과정이 끝난 후 서서히 온도를 상온까지 낮추고 질소로 정화시켜준다.
그리고 3시간, 6시간 동안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지시간을 변화시켜주어 티타늄 질화물을 코어/쉘 과정의 탄화과정을 거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전극 촉매의 지지체인 탄소 대신 일정한 온도에서 다양한 온도에서의 열처리 과정을 거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로 만든 후 지지체로 사용하여 비탄소계-촉매 전극을 만들고자 한다.
비탄소계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에 촉매인 백금을 올리는 실험은 다음과정으로 행하여 진다. 900℃에서 1시간 탄화시켜 만든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을 600밀리리터 물에 0.1그램을 넣고 초음파 세척기와 막대자석을 이용하여 강하게 교반하여 분산시킨다.
2시간 동안 교반시킨 뒤 촉매로 쓰일 H2PtCl66H2O시약을 20wt%로 계산하여 물에 녹인 뒤 교반 중인 비이커에 넣는다. 1시간 동안 다시 강한 교반을 시켜준 뒤 강한 환원제인 NaBH4를 촉매에 대한 몰비로 10배로 계산하여 물에 빨리 녹인 후 강하게 교반중인 비이커에 순간적으로 넣고 다시 1시간 동안 강한 교반으로 반응시킨다.
1시간 후 교반중인 비이커에 산용액으로 pH=2 정도로 맞추고 다시 강한 교반을 8시간 동안 가해준다. 왜냐하면 탄소와 같은 쉘은 강한 산성분위기에서 백금촉매와 더 강한 결합을 하기 때문이다.
반응이 끝난 후 3~5차례 물로 세척 과정을 거친 후 50℃의 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시킨다.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지지체 위에 백금을 올리는 실험은 3시간, 6시간 동안 탄화 시킨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도 같은 방법으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촉매 물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X선회절 분석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900℃에서 1시간, 3시간, 6시간 동안 탄화 시킨 티타늄 질화물과 촉매를 20wt%로 올렸을 때의 촉매-지지체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X-선 회절 (XRD) 분석을 θ값이 20 ~80o까지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온도에서 반응시간에 따라 티타늄 질화물을 탄화시켰을 때 동일한 세기의 TiN의 픽(Peak)과 함께 흑연과 같은 탄소의 픽(Peak)이 확인 되었다.
1시간 동안 탄화시킨 TiN@C에서는 흑연과 같은 탄소의 픽(Peak)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3시간과 6시간 동안 탄화시킨 TiN@C에서는 흑연과 같은 탄소 픽(Peak)의 세기가 증가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일정한 고온에서 메탄의 분해로부터 얻은 탄소가 질화물에 증착하면서 얻은 결과이다. 그리고 반응시간의 증가와 함께 증착되는 흑연과 같은 탄소의 양도 증가한다는 결과이기도 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900에서 반응시간 1시간, 3시간, 6시간 동안 메탄의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탄화시킨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위에 올린 20wt%의 백금 촉매의 XRD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 지용 전극 내에 결정화된 백금 및 결정성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이 한 기판 위에 균질한 혼합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전자투과현미경 (TEM) 관찰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의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과 백금 촉매의 나노 입자 형성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투과현미경(TEM) 관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에서 제조된 시간에 따른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은 나노크기의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입자 및 결정질 형태의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반응시간을 1시간에서 6시간으로 변화할 때 티타늄 질화물 코어에 비정질 형태의 탄소 쉘의 두께가 1시간, 3시간, 6시간 반응시켰을 때 2나노, 4.5나노, 14나노로 결정성을 이루면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조된 각 반응시간에서 제조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백금 형태의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시간, 3시간, 6시간 동안 반응시킨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에서는 백금 촉매가 고르게 잘 분포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이 백금촉매와 상호작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3 : 고배율 전자투과현미경 (HRTEM) 관찰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 내에 형성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에 20wt%의 백금을 올린 나노 입자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고배율 전자투과현미경 (HRTEM) 관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형성된 백금 입자가 약 3~4nm의 나노 크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금속 입자의 결정구조를 잘 보여주는 격자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의 구조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험예 4 : 라만 분광기 (Raman spectra)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에 대한 탄소 쉘을 확인하기 위하여 라만 분광기 (Raman spectra) 관찰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샘플의 스펙트라(Spectra)에서 1277cm-1와 1596cm-1 두 픽(Peak)을 확인할 수 있다. 1596cm-1 두 픽(Peak)에서는 흑연의 특성을 나타내는 G-밴드라고 할 수 있으며, 모든 샘플에서 sp 2 탄소종류 구조를 확인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1277cm-1 픽(Peak)은 D-밴드를 나타내며, 헥사고널(hexagonal) 흑연 구조내의 결점의 존재를 나타내는 결과이기도 하다.
그리고 순수 흑연 결정체(1575cm-1)의 스펙트라(Spectra)와 비교 하였을 때, 모든 샘플에서 높은 파장으로 이동했다는 것은 탄소 쉘의 구조적결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 전압에 따른 메탄올 산화 전류밀도 측정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에 대한 전압변화에 따른 황산에서 산화환원 전류밀도의 변화를 일반적인 전기화학적 방법(3극 셀)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에서 제조된 전극을 작업전극으로 하였고, 백금선과 Ag/AgCl를 각각 상대전극과 기준전극으로 하여 0.5 몰의 황산 용액하에서 촉매적 활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메탄올에서 산화 전류밀도의 변화를 일반적인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0.5 몰의 황산과 2몰의 메탄올이 혼합된 용액하에서 촉매적 활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전극이 백금-탄소블랙 전극과 비교해 보았을 때 수소 탈착과 산소 흡착이 백금-탄소블랙 전극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탄올에서의 산화 전류밀도를 백금-탄소블랙 전극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전극이 보다 높은 산화 전류 밀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 촉매적 활성이 수소 및 메탄올 등의 연료에 대한 산화력과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으며, 기존의 탄소블랙으로 사용되었던 지지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지지체로써 사용할 수 있는 가 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와 같은 연료를 산화시키기 위한 전극으로도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 전압에 따른 산소 환원 전류밀도 측정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3h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에 대한 전압에 따른 산소 환원 전류밀도를 백금-탄소블랙 전극과 비교해 보았을 때 산소 환원에 대한 전류밀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지만 백금-탄소블랙 전극보다 환원력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양극에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지지체를 이용한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일정한 온도에서 반응시간의 변화에 따라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에서의 탄소 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위에 올린 백금촉매의 XRD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내지 도 8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의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와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의 나노입자를 나타내는 전자투과현미경 사진.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내에 형성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에 백금을 올린 나노 입자를 나타내는 고배율 전자투과현미경 사진.
도 12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 지지체의 탄소 존재를 나타내는 라만 스펙트라(Spectra)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전극과 백금-탄소블랙 전극의 산화환원 전류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14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백금-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전극과 백금-탄소블랙 전극의 산화 전류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
도 15은 산소가 포화된 황산에서 백금-탄소블랙 전극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3h 전극의 산화 전류밀도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Claims (8)

  1.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에 있어서,
    열처리를 통해 (i) 전이금속 산화물과 (ii) 전이금속 질화물에서 선택된 물질로 구성된 선구물질을 탄화한 선구물질코어/쉘이 촉매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촉매전극.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구물질 코어/쉘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양극과 음극에서 금속 촉매의 지지체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촉매전극.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은 700~900℃에서 1~9시간동안 열처리하여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촉매전극.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은 메탄, 부탄, 프로판 가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탄화가스 분위기 하에서 합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촉매전극.
  5.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티타늄 질화물을 보트에 고르게 올려 전기로에 넣고 탄화가스를 흘려주어 탄화 분위기를 만드는 단계;
    상기 탄소화 분위기에서 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키면서 메탄 가스를 흘려주는 단계; 및
    상기 설정온도에서 일정시간동안 유지시켜 티타늄 질화물 코어/탄소 쉘(TiN@C)을 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온도는 700~900℃이고, 상기 설정온도에서 유지하는 시간은 1-9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전이금속 산화물은 TiO2, Cr2O3, Co3O4, MnO2, Fe2O3, ZnO, Al2O3, Ga2O3, HfO2, WO3, V2O5, ZrO2, Nb2O5, Ta2O5, MoO3, NiO, PdO, RuO2, IrO2, In2O3, SiO2, ReO3, MnO를 포함한 선구물질.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전이금속 질화물은 TiN, VN, CrN, ZrN, NbN, MoN, HfN, TaN, GaN, InN, WN, Mn4N, Fe4N, AlN, Si3N4, V2N, Re2N, Ni3N2, LaN, CoN, Ta2N, Nb2N, Nb4N3, BN, SiN, Si3N를 포함한 선구물질.
KR1020090038775A 2009-05-02 2009-05-02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88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75A KR101088978B1 (ko) 2009-05-02 2009-05-02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775A KR101088978B1 (ko) 2009-05-02 2009-05-02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968A Division KR101161526B1 (ko) 2011-05-16 2011-05-16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833A true KR20100119833A (ko) 2010-11-11
KR101088978B1 KR101088978B1 (ko) 2011-12-01

Family

ID=4340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775A KR101088978B1 (ko) 2009-05-02 2009-05-02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9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5349A (zh) * 2016-04-11 2018-12-21 燃料电池能有限公司 用作熔融碳酸盐燃料电池中的直接内重整催化剂的负载型镍催化剂
KR20220027437A (ko) 2020-08-27 2022-03-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이금속 질화물-탄소 촉매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상기 전이금속 질화물-탄소 촉매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촉매, 상기 전극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N114944495A (zh) * 2022-04-21 2022-08-26 同济大学 一种具有CoN/MnO双活性位点的双功能氧电催化剂及其制备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597A (en) 1990-03-22 1992-04-28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Carbon-clad zirconium oxide particles
JP3137940B2 (ja) 1998-02-04 2001-02-26 大塚化学株式会社 カーボン被覆窒化チタン含有チタニア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6119147A2 (en) * 2005-05-02 2006-11-09 General Motors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upports for fuel cell catalys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5349A (zh) * 2016-04-11 2018-12-21 燃料电池能有限公司 用作熔融碳酸盐燃料电池中的直接内重整催化剂的负载型镍催化剂
KR20220027437A (ko) 2020-08-27 2022-03-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이금속 질화물-탄소 촉매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상기 전이금속 질화물-탄소 촉매복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전극촉매, 상기 전극촉매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CN114944495A (zh) * 2022-04-21 2022-08-26 同济大学 一种具有CoN/MnO双活性位点的双功能氧电催化剂及其制备和应用
CN114944495B (zh) * 2022-04-21 2023-09-26 同济大学 一种具有CoN/MnO双活性位点的双功能氧电催化剂及其制备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978B1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526B1 (ko) 연료전지용 촉매전극을 위한 코어/쉘 구조의 나노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Ai et al. Mechanistic insight into oxygen evolution electrocatalysis of surface phosphate modified cobalt phosphide nanorod bundles and their superior performance for overall water splitting
Lin et al. Heteronanowires of MoC–Mo 2 C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for hydrogen evolution reaction
Huang et al. Biomolecule-derived N/S co-doped CNT-graphene hybrids exhibiting excellent electrochemical activities
Senthilkumar et al. PEDOT/NiFe 2 O 4 nanocomposites on biochar as a free-standing anode for high-performance and durable microbial fuel cells
Shahid et al. Enhanced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of cobalt oxide nanocubes incorporating reduced graphene oxide as a modified platinum electrode for methanol oxidation
Zhang et al. Modifying candle soot with FeP nanoparticles into high-performance and cost-effective catalysts for the electr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reaction
Tian et al. Metal–organic framework-derived nickel phosphides as efficient electrocatalysts toward sustainable hydrogen generation from water splitting
Yang et al. A nickel nanoparticle/carbon quantum dot hybrid as an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hydrogen evolution under alkaline conditions
Feng et al. Nitrogen-doped carbon nanotubes as efficient and durable metal-free cathodic catalysts for oxygen reduction in microbial fuel cells
Wang et al. Heterogeneous nanocarbon materials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Xiao et al. Molybdenum phosphide as an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the hydrogen evolution reaction
Du et al. Ultra-efficient electr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at one-step carbonization generated molybdenum carbide nanosheets/N-doped carbon
Yang et al. Co-substituted Sr2Fe1. 5Mo0. 5O6-δ as anode materials for solid oxide fuel cells: Achieving high performance via nanoparticle exsolution
EP2511008B1 (en) Support for catalyst supporting, material with supported catalyst, electrode, and cell
Zhang et al. Preparation of graphene supported nickel nanoparticles and their application to methanol electrooxidation in alkaline medium
Kim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t nanowire by electrospinning method for methanol oxidation
Song et al. Promotion of carbon nanotube-supported Pt catalyst for methanol and ethanol electro-oxidation by ZrO2 in acidic media
Wang et al. High performance, coking-resistant and sulfur-tolerant anode for solid oxide fuel cell
KR20130039456A (ko) 질소가 도핑된,코어­쉘 나노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Zhang et al. Helical nanocoiled and microcoiled carbon fibers as effective catalyst supports for electrooxidation of methanol
Zeng et al. NiCo2O4 nanowires@ MnOx nanoflakes supported on stainless steel mesh with superior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for anion exchange membrane water splitting
Galal et al. Voltammetry study of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lanthanum nickel perovskite nanoclusters-based composite catalyst for effective oxidation of urea in alkaline medium
Thomas et al. Carbon nanotubes as catalyst supports for ethanol oxidation
JP6392490B1 (ja) 酸素還元触媒、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