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067A -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 Google Patents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067A
KR20100119067A KR20090037988A KR20090037988A KR20100119067A KR 20100119067 A KR20100119067 A KR 20100119067A KR 20090037988 A KR20090037988 A KR 20090037988A KR 20090037988 A KR20090037988 A KR 20090037988A KR 20100119067 A KR20100119067 A KR 20100119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string
cylindrical body
pull
longitudinal
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429B1 (ko
Inventor
신경민
명병철
김성민
원용현
Original Assignee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웅메디칼, 신경민 filed Critical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to KR2009003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429B1/ko
Priority to JP2010092285A priority patent/JP5395727B2/ja
Priority to US12/770,491 priority patent/US8398699B2/en
Priority to CN2010101608711A priority patent/CN101874753B/zh
Publication of KR20100119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002/950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retaining means other than an outer sleeve, e.g. male-female connector between stent and instrument
    • A61F2002/9511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retaining means other than an outer sleeve, e.g. male-female connector between stent and instrument the retaining means being filament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002/9528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for retrieval of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의 장기 내에 시술된 스텐트의 제거나 재 시술의 필요성이 있어 제거할 때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당기면 길이방향으로 신장 될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 내벽과 침착되어진 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몸체의 절곡단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다른 공간부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에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텐트 제거 시술시 끝단 당김줄을 당기면 길이방향으로의 신장 됨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여 침착된 부위의 2차적인 상처 유발방지와 고통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텐트, 병변부위, 당김줄,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걸고리

Description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Stent removal halliard structure}
본 발명은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의 장기 내에 시술된 스텐트의 제거나 재 시술의 필요성이 있어 제거할 때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당기면 길이방향으로 신장 될 뿐만 아니라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 내벽과 침착되어진 부분이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스텐트인 내강 확장용 스텐트는 주로 좁아진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확장된 내장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용 스텐트는 주로 암과 같은 종양의 발생에 의하여 협착된 내강을 넓혀주기 위하거나 협착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의료용 스텐트는 췌관, 급성취장염에 의한 협착, 만성 담관염에 의한 협착, 수술 후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내강의 협착 담도의 협착등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일시적으로 내강에 발생하는 협착증상을 방지하거나 이를 넓여 준 다음 그 내강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후에는 즉시 제거하거나, 스텐트가 원하 는 위치에 정확하게 이식되지 않아 제대로 작용을 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내강에 삽입된 스텐트를 제거하여야만 재 시술이 가능하므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제거가능한 스텐트는 삽입시에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카데터에 의하여 내강에 삽입하여 협착증상을 방지 또는 내강을 넓혀 준 다음, 이를 내강에서 제거하여야 하므로 빠져나오는 쪽의 스텐트가 안쪽으로 오무려 져야만 용이하게 내강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때, 제거용 스텐트는 스텐트 제거장치용 후크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거용 스텐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주로 스텐트 본체의 내외 측면에 감싸진 커버부재 및 스텐트 본체에 다수개의 고리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각각의 고리에 적어도 하나의 끈의 양단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텐트를 내강에서 제거하려면 후크를 스텐트 본체의 내측으로 밀어넣고 빼고 하면서 고리에 연결된 끈에 걸리게 한 후 이 후크를 당겨주면 스텐트가 내주 중심방향으로 오무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후크를 더욱 당겨주면 스텐트의 본체가 도관으로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도관과 후크를 동시에 내강으로부터 제거하므로써 스텐트를 내강에서 제거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제거용 스텐트는 후크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고리 중 하나의 고리에 걸어서 인출하게 되는데 이때 당김력이 스텐트의 원주상에서 일측으로 집중되어 스텐트가 신장은 되지만 직경의 축소률이 적 어 인출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에 걸쳐 스텐트가 시술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스텐트에 병변부위나 인체조직이 끼임 또는 침착되어 인출방향으로의 당김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고 함께 당겨지면서 병변 재발 위험성이나 환자에게 고통이 증폭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병변부위의 면적에 관계없이 고리가 끝단에 형성되어 고리를 당겼을 때 당김력이 끝단부분에만 집중됨으로 병변부위와 스텐트가 침착된 부분에는 당김력이 전달되지 못해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고리를 당겼을 때 당김력이 스텐트 전체적으로 전달되는 동시에 스텐트의 직경이 원주방향 중심으로 축소되어 침착된 상태에서도 쉽게 분리가능한 개선된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가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장기의 내벽면이 공간부로 침투하여 침착되더라도 환자에게 고통이 가해지지 않도록 직경을 수축시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길이방향 당김줄과 원주방향 당김줄을 형성하여 제거 시술시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끝단 당김줄을 당기면 길이방향으로의 신장 됨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당김줄을 여러 형태로 제작하여 스텐트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적용되는 범용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방향 당김줄의 길이나 원주방향 당김줄이 위치되는 간격을 장기 내의 병변부위 면적크기나 스텐트의 전체길이에 따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제거를 위한 당겼을 때 수축률이 골고루 작용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로 이루어진 스텐트를 제거하기 위한 당김줄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절곡단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다른 공간부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에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장기의 내벽면이 공간부로 침투하여 침착되더라도 환자에게 고통이 가해지지 않도록 직경을 수축시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텐트에 전체적으로 길이방향 당김줄과 원주방향 당김줄을 형성하여 제거 시술시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끝단 당김줄을 당기면 길이방향으로의 신장 됨과 동시에 인출되면서 원주방향의 직경을 축소시켜 장기의 내벽면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여 침착된 부위의 2차적인 상처 유발방지와 고통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당김줄을 여러 형태로 제작하여 스텐트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적 용되는 범용성이 증대되도록 하여 제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길이방향 당김줄의 길이나 원주방향 당김줄이 위치되는 간격을 장기 내의 병변부위 면적크기나 스텐트의 전체길이에 따라 조절하여 설치함으로써 제거를 위한 당겼을 때 수축률이 골고루 작용되도록 하여 침착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당김력이 작용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는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로 이루어진 스텐트(10) 제거를 위한 당김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한다.
이후,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지그재그 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이 적용된 스텐트(1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스텐트(10)는 상기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여 형성된다.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반원 띠 또는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한다.
즉,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이다.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는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 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여 형성된다.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은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된다.
상기 제2 끝단 당김줄(20b)는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게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된다.
즉,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한다.
더불어,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에 따른 예로써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의 내부로 의료용 피막(15)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이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한다.
이후,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로 스텐트(1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스텐트(10)는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축소되도록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형성된다.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반원 띠 또는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한다.
즉,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연장되게 구성된 것이다.
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는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 되게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3.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은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여 형성된다.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이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은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된다.
상기 제2 끝단 당김줄(20b)는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게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된다.
즉, 제1 끝단 당김줄(20a)과,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방향 당김줄(40)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은 하나의 줄로 일체로 구성된 것이다.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한다.
더불어,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 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한다.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한다.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 성시켜 구성한다.
공통적으로, 상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은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한다.
더불어,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당김줄(50)은 의료용 섬유재, 합성수지재, 비철금속재, 금속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당김줄(50)은 원통형태의 스텐트, 양단이 외측으로 확장된 스텐트, 양단이 내측으로 좁아지는 스텐트에 적용가능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스텐트(10)는 인체의 장기에 병변이 발생되어 장기의 직경이 병변의 확대로 인하여 협소해지는 병변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해 시술된다.
간단히, 시술과정을 살펴보면 장기내의 병변부위를 확인한 후 인체의 내로 스텐트(10)를 스텐트 시술장치(도면상 미도시)를 이용하여 삽입하여 협착되어진 병변부위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시술된 스텐트(10)는 인체의 장기내에서 병변부위가 완치될 때까지 시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기간은 대략 6개월 정도로 유지하게 되며 이때, 시술 기간은 병변부위의 특성이나 경과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그러나, 오랜 기간에 걸쳐 스텐트(10)를 장기 내의 병변부위(300)에 시술 해 놓을 경우 병변부위(300)의 조직이 공간부(12)로 밀려들어와 침착되는 현상이 발생 될 때 당김줄(50)을 이용하여 스텐트(10)를 병변부위(300)나 인체조직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병변부위(300)가 완치되어 제거 시술을 하거나 스텐트(10)의 재 시술을 위해 교체 시술을 스텐트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시행한다.
여기서, 상기 스텐트(10)를 제거하기 위하여 6가지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50)을 살펴보는데 1번, 2번, 3번 실시 예는 각각 설명한다.
첫째, 도 4, 도 10,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 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스텐트(10)가 인체조직에 침착되어진 상태에서도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에 의해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원주방향 당김줄(40)에 의해 원주방향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침착된 인체조직으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어 제거되며 고통발생이나 2차적인 상처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둘째, 도 5, 도 11,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교차되게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스텐트(10)가 인체조직에 침착되어진 상태에서도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에 의해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원주방향 당김줄(40)에 의해 원주방향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침착된 인체조직으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어 제거되며 고통발생이나 2차적인 상처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셋째, 도 6, 도 12,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 중심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스텐트(10)가 인체조직에 침착되어진 상태에서도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에 의해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는 동시에 원주방향 당김줄(40)에 의해 원주방향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침착된 인체조직으로부터 쉽게 분리/이탈되어 제거되며 고통발생이나 2차적인 상처의 유발이 방지되는 것이다.
넷째, 도 7, 도 13,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1) -> 각각의 길이방향 당김줄(30) -> 각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끝단 당김줄(20)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 중심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
다섯째, 도 8, 도 14,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1) -> 각각의 원주방향 당김줄(40) 원주당김줄걸고리(41) -> 각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주당김줄걸고리(41) 및 원주방향 당김줄(40)은 끝단 당김줄(20)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 중심 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끝단 당김줄(20)과 원주당김줄걸고리(41)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
여섯째, 도 9, 도 15,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번 실시 예의 상기 당김줄(50)은 인출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당김력은 걸고리(20c) -> 제1,2 끝단 당김줄(20a)(20b) ->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 ->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순서로 전달되면서 스텐트(10)는 전체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동시에 길이가 신장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은 당김력에 의해 당기는 쪽으로 당 겨지면서 원통형 몸체(14)의 직경 중심방향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에 의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 중심쪽으로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제1,2 끝단 당김줄(20a)(20b)과 제1,2 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을 통해 전달되는 당김력에 의해 스텐트(10)의 원통형 몸체(14)를 가압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원주상에서 마주보게 교차되어 당김력에 의해 길이방향의 당김력과 원주방향의 당김력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이다.
이로써, 인체의 장기 중 병변부위(300)가 발병된 장기내에 스텐트(10)를 시술할 경우 공간부(12)를 통해 병변부위(300)나 인체조직이 침착되더라도 스테트(100)의 제거 시술시 상처의 유발을 방지하고 환자에게 고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당김줄(50)을 당겼을 때 스텐트(10)가 길이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원주방향의 중심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병변부위(300)나 인체조직에서 쉽게 이탈되어 제거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이나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을 병변부위(300)가 넓을 경우 좁게 하여 이탈력을 집중시켜 분리가 더욱 용이하도 록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텐트가 병변부위에 시술도 및 공간부로 인체조직이 침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스텐트를 제거 시술시 공간부에 침착된 인체조직이 걸려지는 상태를 나타낸 시술도 및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당김줄이 적용되는 스텐트의 사시도 및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당김줄의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작동 상태도,
도 10은 도 4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1은 도 5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2는 도 6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3은 도 7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4는 도 8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5는 도 9의 당김줄이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6은 도 4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7은 도 5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8은 도 6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19는 도 7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20은 도 8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21은 도 9의 당김줄이 양단이 확장된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22는 도 4의 당김줄이 내측에 피막이 부착된 원통형 스텐트에 적용된 사시도,
도 23은 도 4의 당김줄이 적용된 원통형 스텐트가 병변부위에 시술된 시술도 및 공간부로 인체조직이 침착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4는 스텐트를 제거 시술을 위해 당김줄을 당길 때 공간부에 침착된 인체조직이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시술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텐트 11 : 와이어
12 : 공간부 13 : 절곡단
14 : 원통형 몸체 15 : 피막
20 : 끝단 당김줄 21 : 걸고리
20a : 제1 끝단 당김줄 20b : 제2 끝단 당김줄
20c : 걸고리 30 : 길이방향 당김줄
30a : 제1 길이방향 당김줄 30b : 제2 길이방향 당김줄
40 : 원주방향 당김줄 50 : 당김줄
300 : 병변부위

Claims (26)

  1.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로 이루어진 스텐트(10)를 제거하기 위한 당김줄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반원 띠 또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을 형성하여; 상기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 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에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 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8. 제 1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은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4)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0. 제 2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1. 제 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2. 제 2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3.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의료용 섬유재, 합성수지재, 비철금속재, 금속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4. 한 가닥 또는 그 이상의 가닥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11)를 서로 엮거나 지그 재그로 교차시켜서 공간부(12)를 형성하며 양 끝단에는 다수개의 절곡단(13)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형 몸체(14)의 내부로 의료용 피막(15)이 접착되어 이루어진 스텐트(10)를 제거하기 위한 당김줄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원형 띠 형태가 되도록 엮어서 형성되는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 걸고리(21)를 형성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길이방향 당김줄(30)의 일단이 끝단 당김줄(20)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 공간부(12)와 피막(15)을 관통하면서 지그재그로 엮어지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또는 묶어서 연결되는 당김줄(50)을 형성하여; 상기 걸고리(21)를 당길 경우 끝단 당김줄(20)과 길이방향 당김줄(30)과 원주방향 당김줄(40)이 순차적으로 당겨지되, 상기 끝단 당김줄(2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과 길이방향으로 당겨지고,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며,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은 원통형 몸체(14)의 직경방향으로 축소되도록 당겨져 장기 내벽에서 쉽게 분리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과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차되게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시키고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의 제2 끝단 당김줄(20b)을 순차로 형성 후 양 단을 묶어 걸고리(20c)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대각선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 및 피막(15)을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에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교 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를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당김줄(30)을 형성한 후 일단을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에 묶어서 연결하며,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여 각각 길이방향 당김줄(30)의 타단에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 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끝단 당김줄(20)의 양단을 묶어서 걸고리(21)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형성되는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서 형성되는 원주당김줄걸고리(41)를 끝단 당김줄(20)의 걸고리(21)를 묶어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일단을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어서 반원 띠 형상의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된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통과하여 원통형 몸체(14)의 내경을 지나 외부로 노출되게 이웃하는 공간부(12)를 통과하는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을 형성한 일단이 원통형 몸체(14)의 원주방향으로 위치된 다수개의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엮여져 원형 띠 형상의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주방향 당김줄(40)을 형성한 일단이 제1 길이방향 당김줄(30a)과 원주상에서 교차되도록 공간부(12)와 피막(15)을 통과하면서 지그 재그로 엮여져 제2 길이방향 당김줄(30b)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끝단 당김줄(20a)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제2 끝단 당김줄(20b)을 형성한 후 양단을 묶어 걸고리(20c)를 형성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1. 제 1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원주방향 당김줄(40)의 상호간격은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4)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2. 제 14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3. 제 15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의 길이는 병변부위 면적이나 스텐트(10)의 총 길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4. 제 14항 또는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당김줄(30)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5. 제 15항 또는 제 17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길이방향 당김줄(30a)(30b)은 스텐트(10) 원통형 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공간부(12)에 지그 재그로 엮어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26. 제 1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50)은 의료용 섬유재, 합성수지재, 비철금속재, 금속재 와이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KR20090037988A 2009-04-30 2009-04-30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KR101063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7988A KR101063429B1 (ko) 2009-04-30 2009-04-30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JP2010092285A JP5395727B2 (ja) 2009-04-30 2010-04-13 ステント除去用引出ワイヤ
US12/770,491 US8398699B2 (en) 2009-04-30 2010-04-29 Drawstring for removal of stent
CN2010101608711A CN101874753B (zh) 2009-04-30 2010-04-30 用于除去支架的拉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7988A KR101063429B1 (ko) 2009-04-30 2009-04-30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067A true KR20100119067A (ko) 2010-11-09
KR101063429B1 KR101063429B1 (ko) 2011-09-08

Family

ID=4301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7988A KR101063429B1 (ko) 2009-04-30 2009-04-30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98699B2 (ko)
JP (1) JP5395727B2 (ko)
KR (1) KR101063429B1 (ko)
CN (1) CN10187475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720B1 (ko) * 2010-11-22 2013-03-04 주식회사 엠아이텍 제거용 스텐트
KR20200131677A (ko) * 2019-05-14 2020-11-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이동 장치 및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8610B2 (en) 2009-01-19 2014-10-14 W. L. Gore & Associates, Inc. Forced deployment sequence
US9744033B2 (en) 2011-04-01 2017-08-29 W.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leaflet for prosthetic heart valves
US10117765B2 (en) 2011-06-14 2018-11-06 W.L. Gore Associates, Inc Apposition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implants
US9554806B2 (en) 2011-09-16 2017-01-31 W. L. Gore & Associates, Inc. Occlusive devices
US9877858B2 (en) 2011-11-14 2018-01-30 W. L. Gore & Associates, Inc. External steerable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devices
US9782282B2 (en) 2011-11-14 2017-10-10 W. L. Gore & Associates, Inc. External steerable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devices
US9375308B2 (en) 2012-03-13 2016-06-28 W. L. Gore & Associates, Inc. External steerable fiber for use in endoluminal deployment of expandable devices
US11911258B2 (en) 2013-06-26 2024-02-27 W. L. Gore & Associates, Inc. Space filling devices
WO2015157281A1 (en) * 2014-04-08 2015-10-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artially coated stents
CN107405193B (zh) 2015-01-16 2019-04-30 波士顿科学国际有限公司 迁移能力降低的可植入式医疗装置
KR102140862B1 (ko) 2015-05-14 2020-08-03 더블유.엘. 고어 앤드 어소시에이트스, 인코포레이티드 심방이의 폐색을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10426592B2 (en) 2016-04-11 2019-10-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 with reduced migration capabilities
CN106176001A (zh) * 2016-06-29 2016-12-07 赵欣怡 一种防移位食道支架
US11173023B2 (en) 2017-10-16 2021-11-16 W. L. Gore & Associates, Inc. Medical devices and anchors therefor
WO2019195860A2 (en) 2018-04-04 2019-10-10 Vdyn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anchoring transcatheter heart valve
EP3801380B1 (en) * 2018-06-04 2023-10-1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movable stent
US10321995B1 (en) 2018-09-20 2019-06-18 Vdyne, Llc Orthogonally 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replacement
US11278437B2 (en) 2018-12-08 2022-03-22 Vdyne, Inc. Compression capable annular frames for side delivery of transcatheter heart valve replacement
US11071627B2 (en) 2018-10-18 2021-07-27 Vdyne, Inc. Orthogonally 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frame for valve in valve prosthesis
US11344413B2 (en) 2018-09-20 2022-05-31 Vdyne, Inc. Transcatheter 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US11399970B2 (en) 2018-09-24 2022-08-0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positionable and removable stents
US11109969B2 (en) * 2018-10-22 2021-09-07 Vdyne, Inc. Guidewire delivery of transcatheter heart valve
US11253359B2 (en) 2018-12-20 2022-02-22 Vdyne, Inc. Proximal tab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US11273032B2 (en) 2019-01-26 2022-03-15 Vdyne, Inc. Collapsible inner flow control component for side-deliverable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US11185409B2 (en) 2019-01-26 2021-11-30 Vdyne, Inc. Collapsible inner flow control component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heart valve prosthesis
CN113543750A (zh) 2019-03-05 2021-10-22 维迪内股份有限公司 用于正交经导管心脏瓣膜假体的三尖瓣反流控制装置
US11076956B2 (en) 2019-03-14 2021-08-03 Vdyne, Inc. Proximal, distal, and anterior anchoring tabs for side-delivered transcatheter mitral valve prosthesis
US11173027B2 (en) 2019-03-14 2021-11-16 Vdyne, Inc. Side-deliverable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anchoring the same
AU2020267390A1 (en) 2019-05-04 2021-11-11 Vdyne, Inc. Cinch device and method for deployment of a side-delivered prosthetic heart valve in a native annulus
EP4017442A4 (en) 2019-08-20 2023-07-26 Vdyne, Inc. INSERTION AND RETRIEVAL DEVICES AND PROCEDURES FOR SIDE-INSERTED TRANSCATHETER PROSTHETIC VALVES
JP2022545728A (ja) 2019-08-26 2022-10-28 ブイダイ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側方送達可能な経カテーテル人工弁ならびにそれらを送達及び固定するための方法
US11234813B2 (en) 2020-01-17 2022-02-01 Vdyne, Inc. Ventricular stability elements for side-deliverable prosthetic heart valves and methods of delive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5378A (en) * 1992-05-20 1995-04-11 Strecker; Ernst P. Device with a prosthesis implantable in the body of a patient
US6015429A (en) * 1994-09-08 2000-01-18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Procedures for introducing stents and stent-grafts
US5980554A (en) * 1997-05-05 1999-11-09 Micro Therapeutics, Inc. Wire frame partial flow obstruction for aneurysm treatment
FR2762989B1 (fr) * 1997-05-12 1999-09-03 Braun Celsa Sa Systeme de reparation d'un conduit anatomique par un implant a ouverture progressive
US6340367B1 (en) * 1997-08-01 2002-01-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adiopaque mark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237311Y1 (ko) 1998-08-26 2001-10-25 송호영 내강확장용스텐트
DE10118944B4 (de) * 2001-04-18 2013-01-31 Merit Medical Systems, Inc. Entfernbare, im wesentlichen zylindrische Implantate
JP4043210B2 (ja) * 2001-10-09 2008-02-0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ステント
CZ300625B6 (cs) 2003-09-25 2009-07-01 Dr. Karel Volenec-Ella-Cs Stent k zastavení krvácení v jícnu
CN2706140Y (zh) * 2003-12-26 2005-06-29 吴雄 镍钛记忆合金网状编织支架和针织支架回收装置
EP3260083B1 (en) * 2005-01-28 2022-12-14 Boston Scientific Medical Device Limited Implantable stent having a stent retrieval me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720B1 (ko) * 2010-11-22 2013-03-04 주식회사 엠아이텍 제거용 스텐트
KR20200131677A (ko) * 2019-05-14 2020-11-2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이동 장치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4753B (zh) 2013-03-13
JP2010259784A (ja) 2010-11-18
US20100280591A1 (en) 2010-11-04
CN101874753A (zh) 2010-11-03
US8398699B2 (en) 2013-03-19
KR101063429B1 (ko) 2011-09-08
JP5395727B2 (ja)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429B1 (ko) 스텐트 제거용 당김줄 구조
JP5424063B2 (ja) ステントグラフトを一時的に縮径するための拘束構造および方法
JP5091985B2 (ja) 医用移植物
JP6162725B2 (ja) カニューレ挿入を容易にするために整列された脚部を有する内部人工器官
US10034786B2 (en) Medical implant
JP5248545B2 (ja) ステント除去用引出ワイヤ
KR101109708B1 (ko) 전립선 요도 확장용 스텐트
CN107205745A (zh) 用于血管内阻塞物清除的系统和方法
US20080140181A1 (en) Stent Removal and Repositioning Aid and Associated Method
US20110184507A1 (en) Multi-section stent
US20230381000A1 (en) Stents and related methods
KR20200062134A (ko) 카테터
JP2011092435A (ja) 医療用チューブ、及び、これを用いたカテーテル
US10335185B2 (en) Snare instrument with a distal snare structure
KR100691506B1 (ko) 설치된 내강에서 제거가 가능한 스텐트
US7942921B2 (en) Removable stent
US20200085454A1 (en) Wrapping cape system for retrieval of blocking items in tubular environments
KR20180093968A (ko) 임플란트
KR20090038209A (ko) 스텐트
KR101065365B1 (ko) 담도용 스텐트
KR101238720B1 (ko) 제거용 스텐트
CN210144698U (zh) 一种一体化弹簧圈裸支架释放调控装置
KR102465123B1 (ko) 담도용 스텐트
CN215458978U (zh) 一种血管支架
JP2012196498A (ja) 医療用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