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301A -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 Google Patents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301A
KR20100118301A KR1020090037061A KR20090037061A KR20100118301A KR 20100118301 A KR20100118301 A KR 20100118301A KR 1020090037061 A KR1020090037061 A KR 1020090037061A KR 20090037061 A KR20090037061 A KR 20090037061A KR 20100118301 A KR20100118301 A KR 2010011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case
base
locking device
mo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403B1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성림금속
김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림금속, 김용범 filed Critical (주)성림금속
Priority to KR102009003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4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은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측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조립되는 케이스;와, 일단부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 전방의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체에 연결되어 이동체가 위치이동하는 경우 인장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잠금장치, 핸들, 그립, 스핀들,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Description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Grip type handle for 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한 이동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이동체의 전 영역에 균등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이동체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에 걸려 잠금 역할을 하는 후크와, 후크를 부착하여 후크를 움직이는 핸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핸들은 손잡이를 회전시켜 창문을 개폐하는 형식의 회전식 핸들과, 손잡이를 손으로 가압하여 끝단에 연결된 후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창문을 개폐하는 구조의 그립형 핸들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손잡이 부분이 긴 바의 형태로 구성되어 부딪히는 경우에는 부상의 위험이 있는 회전식 핸들보다, 손잡이만 눌러서 작동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잠금장치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깔끔하며, 외부에 요철부분이 없어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배제할 수 있는 그립형 핸들이 더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그립형 핸들 은 손잡이의 내측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가압부재의 일측부분으로만 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가압부재가 손잡이의 내측에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한 이동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이동체의 전 영역에 균등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케이스 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측에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조립되는 케이스;와, 일단부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 전방의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체에 연결되어 이동체가 위치이동하는 경우 인장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상기 이동체의 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이동체의 양측 단부를 감싸 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체와 케이스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를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스프링은 이동체의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한 이동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이동체의 전 영역에 균등한 탄성력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이동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케이스 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관한 것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은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와 케이스(120)와 스핀들(130)과 이동체(140)와 인장스프링(150) 및 압축스프링(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판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111)과, 상기 관통공(111)의 양측에 조립공(112)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측에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120)는 상부 일측에 개구부(121)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122)이 마련된 "L"자형의 몸체와, 상기 수용공간(122)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조립공(112)에 첨단부가 삽입되는 제1걸림돌기(123)와, 상기 수용공간(122)의 양측에서 이동체(140)의 양측을 감싸 이동체(14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24)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으로 조립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20)의 상측면에는 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슬라이딩도어에 체결되는 스크류의 머리부를 은폐시키는 커버(1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핀들(130)은 단부가 잠금장치에 연결되어 회전에 의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것으로서, 일단부 외측에 돌기(131)가 형성되고, 하단부에 잠금장치에 결합되는 작용축(132)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관통공(1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체(140)는 중앙 일측에 상기 스핀들(130)의 돌기(131)가 삽입되는 삽입홈(141)이 형성되고, 상측에 상기 케이스(120)의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되는 가압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42)의 양측 하부에 인장스프링(150)의 타단 부가 지지되는 제2걸림돌기(143)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10)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장스프링(150)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120)의 제1걸림돌기(123)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체(140)의 제2걸림돌기(143)에 연결되어 상기 스핀들(130)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60)은 상기 이동체(140)와 케이스(120)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140)를 탄성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이동체(140)의 가압부(142) 후방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체(140)와 케이스(120)의 사이에서 이동체(140)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압축스프링(160)과, 이동체(140)와 베이스(110)의 사이에서 스핀들(130)의 양측영역으로 각각 배치된 인장스프링(150)에 의해 이동체(140)의 직선운동에 대하여 일측으로 힘이 가중되는 경우에도 이동체(140)가 힘의 균형을 이루며 최초위치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내측에 마련된 수용공간(122)으로 이동체(140)가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일단이 상 기 이동체(140)의 후방 중앙에 지지되고 타단은 케이스(120)에 지지된 압축스프링(160)에 의해 이동체(140)가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140)의 양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140)의 제2걸림돌기(143)와 케이스(120)의 제1걸림돌기(123)에 양단부가 연결된 인장스프링(150)에 의해 상기 이동체(140)의 양측부가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160)에 의해 중앙영역이 일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인장스프링(150)에 의해 양측부가 일측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이동체(140)의 전영역에 대해서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체(140)의 양측부는 케이스(120)의 수용공간(122) 내에서 이동체(140)의 이동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124)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체(140)의 중앙영역에는 스핀들(130)이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130)의 일측에서 돌출된 돌기(131)가 상기 이동체(140)의 삽입홈(141)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체(140)의 직선운동이 스핀들(13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된다.
아울러,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체(140)가 케이스(120)의 수용공간(122) 내에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체(140)의 가압부(142)가 케이스(120)의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케이스(120)의 상측부를 감싼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상기 이동체(140)의 가압부(142)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20)의 제1걸림돌기(123)의 첨단부는 케이스(120)의 하부 에 배치되는 베이스(110)의 조립공(112)에 삽입된다.
첨부도면 중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상측 개구부(121)를 통해 노출된 이동체(140)의 가압부(142)를 가압하면, 상기 이동체(140)가 케이스(120)의 수용공간(122) 내에서 A방향을 향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140)의 가압부(142) 후방 중앙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케이스(120)의 내측면에 지지된 압축스프링(160)이 탄성압축되고, 상기 이동체(140)의 가압부(142) 하부에 형성된 제2걸림돌기(143)와 케이스(120)의 제1걸림돌기(123)에 양단부가 연결된 인장스프링(150)이 인장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20)의 수용공간(122) 내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140)는 이동체(140)의 양단부를 감싸는 가이드(124)에 의해 이동이 안내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140)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스핀들(130)의 돌기(131)가 이동체(140)의 삽입홈(1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140)가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스핀들(130)이 회전하게 된다.
즉, 잠금장치에 연결된 스핀들(130)이 상기와 같이 이동체(140)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절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케이스(120)의 상측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이동체(140)의 가압부(142)를 가압하는 것 에 의해 잠금장치에 연결된 스핀들(13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잠금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제공한 가압력에 의해 X축방향으로 이동한 이동체(140)는 가압부(142)의 중앙 후방에 마련된 압축스프링(160)에 의해 중앙부분이 케이스(120)의 후방으로부터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140)의 양단부측에 각각 배치된 인장스프링(150)에 의해서 베이스(110)의 제1걸림돌기(123)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력을 해제하는 경우, 이동체(14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160) 및 인장스프링(150)에 의해 도 3과 같이 이동체(14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체(140)의 가압부(142) 후방 중앙으로 압축스프링(160)에 의한 탄성력이 제공되고, 이동체(140)의 양단부측으로 인장스프링(150)에 의한 인장력이 제공되므로, 이동체(140)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는 과정에서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베이스, 111:관통공, 112:조립공, 120:케이스, 121:개구부,
122:수용공간, 123:제1걸림돌기, 124:가이드, 125:커버, 130:스핀들,
131:돌기, 132:작용축, 140:이동체, 141:삽입홈, 142:가압부,
143:제1걸림돌기, 150:인장스프링, 160:압축스프링

Claims (5)

  1. 잠금장치와 함께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되어 잠금장치의 개폐를 조작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에 있어서,
    판면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측에 지지되는 베이스;
    상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조립되는 케이스;
    일단부 외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관통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타단부가 잠금장치에 연결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의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가압부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상에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 전방의 베이스 또는 케이스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이동체에 연결되어 이동체가 위치이동하는 경우 인장력을 제공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은 상기 이동체의 삽입홈을 기준으로 양측의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이동체의 양측 단부를 감싸 이동체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와 케이스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동체를 탄성지지하는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핸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이동체의 중심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핸들.
KR1020090037061A 2009-04-28 2009-04-28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10099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61A KR100999403B1 (ko) 2009-04-28 2009-04-28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061A KR100999403B1 (ko) 2009-04-28 2009-04-28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301A true KR20100118301A (ko) 2010-11-05
KR100999403B1 KR100999403B1 (ko) 2010-12-09

Family

ID=43404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061A KR100999403B1 (ko) 2009-04-28 2009-04-28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36B1 (ko) * 2012-05-16 2014-08-26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2347542B1 (ko) 2020-08-27 2022-01-05 주식회사 세이포드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11B1 (ko) * 2014-09-11 2015-09-03 이용재 도어 핸들
KR101916098B1 (ko) 2017-01-23 2018-11-08 박민교 그립 방식의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56B1 (ko) 2008-01-09 2009-06-17 김용범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36B1 (ko) * 2012-05-16 2014-08-26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KR102347542B1 (ko) 2020-08-27 2022-01-05 주식회사 세이포드 스마트 베개 및 이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403B1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73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JP5752913B2 (ja) 車両の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EP3119935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0441035B1 (en) Cord lock
KR101195842B1 (ko) 잠금장치용 핸들
KR101307136B1 (ko) 미닫이문의 손잡이장치
KR101252818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JP3123373U (ja) 家具
KR20110026835A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울러식 방충망 조립체
JP5198895B2 (ja) 扉用ハンドル
KR200401542Y1 (ko) 도어의 열림상태 고정장치
JP3597424B2 (ja) ドア開閉機構
KR101916098B1 (ko) 그립 방식의 손잡이
KR200424013Y1 (ko) 도어 록
KR101958223B1 (ko) 사물함 도어 개폐장치
JP2012107472A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KR200456509Y1 (ko) 창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20160004168U (ko) 슬라이딩 창호 잠금장치용 손잡이
KR100809810B1 (ko) 도어 록
KR100619737B1 (ko) 도어록장치의 버튼커버 설치구조
KR101487882B1 (ko) 창문 잠금장치용 그립핸들
JP7304832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101563624B1 (ko) 래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