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8250A -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 Google Patents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250A
KR20100118250A KR1020090036983A KR20090036983A KR20100118250A KR 20100118250 A KR20100118250 A KR 20100118250A KR 1020090036983 A KR1020090036983 A KR 1020090036983A KR 20090036983 A KR20090036983 A KR 20090036983A KR 20100118250 A KR20100118250 A KR 20100118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oat
water
ship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석
이주희
배상민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3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8250A/ko
Publication of KR2010011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2Lifeboats, life-raft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life-sa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42Elastomeric materials
    • B63B2231/44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는, 물에 빠진 사고자(40)가 선체 위의 구조요원(20)에 의해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끌어올려 질 때에 사고자(40)와 함께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딸려 올라오는 물은 밑으로 빠지도록 사고자(40)가 올려 놓여지는 상기 선체의 선단에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가 깔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체의 바깥 앞쪽 밑바닥에는 수중익(6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트가 사고현장으로 운항하여 갈 때에는 수중익(60)에 의해 선체의 선단이 부상되기 때문에 들어 올려진 상태로 가게 되며, 보트가 사고자에 도달되어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면 선체의 선단은 원 위치로 돌아가서 수면과 거의 일치할 정도로 내려앉게 된다. 따라서 선체의 선단에서 사고자의 인양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선체의 선단이 수면에 거의 일치되기 때문에 물도 같이 많이 딸려오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딸려오는 물은 상기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에 의해 밑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상기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에는 사고자만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인양작업이 매우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수중익, 그물망 구조, 연고무 네트

Description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Rescue boat focused on rescue process}
본 발명은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상에서 빠른 시간 내에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레저목적으로 만들어진 운송수단을 대체하여 인명구조를 하다 보니 해상 인명 구조에 많은 시간과 번거로움이 요구되었다. 이렇게 해상 구조의 목적에 부합하게 설계되지 못한 해상장비를 구조용으로 사용하다 보니 아까운 희생자들이 속출하곤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상에서 빠른 시간 내에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는, 물에 빠진 사고자가 선체 위의 구조요원에 의해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끌어올려 질 때에 상기 사고자와 함께 딸려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함께 올라오는 물은 밑으로 빠지도록 상기 사고자가 올려 놓여지는 상기 선체의 선단에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가 깔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가 연고무 네트(softrubber net) 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고무 네트가, 육각구조의 망이 겹겹이 겹쳐진 매트리스 형태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선체의 바깥 앞쪽 밑바닥에 수중익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상기 선체에 상기 구조요원을 묶을 수 있는 안전바(safety ba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고무 네트의 밑으로 빠지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미에 배수구가 마련되어도 좋다.
한편, 상기 보트의 주행 시, 상기 수중익의 저면이 수면과 이루는 각도와, 상기 선체의 저면이 수면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같아서 안정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보트가 사고현장으로 운항하여 갈 때 에는 수중익(60)에 의해 선체의 선단이 부상되기 때문에 들어 올려진 상태로 가게 되며, 보트가 사고자에 도달되어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면 선체의 선단이 수면과 일치할 정도로 내려앉게 된다. 따라서 선체의 선단에서 사고자의 인양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선체의 선단이 수면에 거의 일치되기 때문에 물도 같이 많이 딸려오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딸려오는 물은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에 의해 밑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에는 사고자만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인양작업이 매우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의 외형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선체의 골격은 딱딱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11)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테두리 부분은 고무튜브(12)로 둘러진다. 구조를 하기 위해 선체에는 운전자(30)와 구조요원(20)이 탑승하게 된다.
선체의 FRP(11)에는 구조요원(20)을 묶기 위한 안전바(23)가 부착 설치된다. 인명구조 작업시 구조요원(20)이 물에 딸려 들어가지 않도록 구조요원(20)은 벨트 스트랩(belt strap; 21)을 착용하며 로프(22)에 의해 벨트 스트랩(21)과 안전바(23)가 연결된다.
사고자(40)가 상기 선체 위의 구조요원(20)에 의해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끌어올려 질 때에 사고자(40)와 함께 딸려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함께 올라오는 물이 밑으로 빠지도록 상기 선체의 선단에는 그물망 구조 지지체인 연고무 네트(50)가 깔린다.
선체의 바깥 앞쪽 밑바닥에는 수중익(hydrofoil, 60)이 설치된다. 이는 보트의 속도를 높여 사고현장에 빨리 도달할 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사고자(40)의 앞에서 감속될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체의 선단이 수면까지 내려앉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연고무 네트(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확대도이고, 도 3b는 네트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고무 네트(50)는 육각구조의 망이 겹겹이 겹쳐져서 매트리스 형태를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게 한 이유는, 물은 연고무 네트(50)의 밑으로 빠져나가지만 사고자(40)는 연고무 네트(50)의 위에 남게 하여 무게지탱에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사고자를 지탱하기 위한 그물망 구조로서 다른 재질이 아닌 연고무를 사용한 것은 자신의 몸을 가누기 어려운 사고자가 부딪치더라도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수중익(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수중익(60)의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수중익(60)에 의해 선체가 부상하는 원리를 나타내기 위해 수중익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c)는 보트의 주행시 안정된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원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익(60)은 마치 비행기가 비행 시 공기 중에서 양력을 받아 상승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승할 수 있도록 비행기 날개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트의 주행시 본 발명의 보트는 그 선단이 수면 위로 들리게 된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트의 주행 시, 수중익(60)의 저면이 수면과 이루는 각도(θ)와, 선체의 저면이 수면과 이루는 각도(θ)가 서로 같아서 안정된 물의 흐름이 형성되기 때문에, 물과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보트가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를 사용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고를 접수받으면 구조용 보트가 사고현장으로 달려가게 된다(a). 이 때 수중익(60)의 도움으로 빠른 시간 내에 사고현장에 도달하게 된다. 사고현장에서 사고자(40)를 발견하면 운전자(30)는 보트의 속도를 줄이게 된다(b). 이렇게 속도가 줄면 들떠 있던 보트의 선단이 점점 내려앉기 시작하고 결국 사고자(40)에 도달하여서는 보트의 선단이 거의 수면에 닿게 되어 구조요원(20)의 손이 사고자(40)에게 닿게 된다(c).
보트의 선단이 거의 수면에 닿아 있기 때문에 사고자(40)가 쉽게 인양되어 연고무 네트(50) 상에 옮겨지게 된다(d). 이 때 사고자(40)의 인양과 함께 물이 딸려 함께 올라오게 되지만, 물은 연고무 네트(50)의 그물망 조직을 통과하여 밑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연고무 네트(50) 상에는 사고자(40)만 놓이게 된다(e). 따라서 함 께 물이 딸려오더라도 어렵지 않게 사고자(40)의 인양이 이루어진다. 인양작업을 마친 보트는 다시 수중익(60)의 도움을 받아 빠른 속도로 육지로 향하게 된다(f). 연고무 네트(50)의 밑으로 빠져나간 물은 본체 후미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트가 사고현장으로 갈 때에는 수중익(60)에 의해 선체의 선단이 부상되기 때문에 보트가 사고자(40)에 도달되어 속도가 급격히 줄어들게 되면 선체의 선단이 원 위치로 복귀하려는 성질 때문에 오히려 수면과 일치할 정도로 내려앉게 된다. 따라서 선체의 선단에서 사고자(40)의 인양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 때 선체의 선단이 수면에 거의 일치되기 때문에 물도 같이 많이 딸려오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딸려오는 물은 연고무 네트(50)에 의해 밑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연고무 네트(50)에는 사고자(40)만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인양작업이 매우 수월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의 외형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
도 3은 연고무 네트(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수중익(6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를 사용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11: FRP 골격 12: 고무튜브
20: 구조요원 21: 벨트 스트랩
22: 로프 23: 안전바
30: 운전자 40: 사고자
50: 연고무 네트 60: 수중익

Claims (7)

  1. 물에 빠진 사고자가 선체 위의 구조요원에 의해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끌어올려 질 때에 상기 사고자와 함께 딸려 상기 선체의 선단으로 함께 올라오는 물은 밑으로 빠지도록 상기 사고자가 올려 놓여지는 상기 선체의 선단에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가 깔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 구조의 지지체가 연고무 네트(softrubber n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고무 네트가, 육각구조의 망이 겹겹이 겹쳐진 매트리스 형태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바깥 앞쪽 밑바닥에 수중익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상기 구조요원을 묶을 수 있는 안전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고무 네트의 밑으로 빠지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후미에 배수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의 주행 시, 상기 수중익의 저면이 수면과 이루는 각도와, 상기 선체의 저면이 수면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같아서 안정된 물의 흐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 인명구조용 보트.
KR1020090036983A 2009-04-28 2009-04-28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KR20100118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983A KR20100118250A (ko) 2009-04-28 2009-04-28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983A KR20100118250A (ko) 2009-04-28 2009-04-28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250A true KR20100118250A (ko) 2010-11-05

Family

ID=4340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983A KR20100118250A (ko) 2009-04-28 2009-04-28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82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4014A (zh) * 2013-04-18 2013-07-31 王崇高 便携、耐撞击海上救生船
KR20160009909A (ko) 2014-07-17 2016-01-27 이송훈 인명구조용 보트
KR20180064943A (ko) * 2016-12-06 2018-06-15 이기영 조립식 윈드서핑
CN110667555A (zh) * 2019-09-11 2020-01-10 中国计量大学 一种用于滩涂救援的滚塑气垫船及其救援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24014A (zh) * 2013-04-18 2013-07-31 王崇高 便携、耐撞击海上救生船
CN103224014B (zh) * 2013-04-18 2015-06-03 王崇高 便携、耐撞击海上救生船
KR20160009909A (ko) 2014-07-17 2016-01-27 이송훈 인명구조용 보트
KR20180064943A (ko) * 2016-12-06 2018-06-15 이기영 조립식 윈드서핑
CN110667555A (zh) * 2019-09-11 2020-01-10 中国计量大学 一种用于滩涂救援的滚塑气垫船及其救援方法
CN110667555B (zh) * 2019-09-11 2020-10-09 中国计量大学 一种用于滩涂救援的滚塑气垫船及其救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757A (en) Rescue raft
CN105966572B (zh) 用于海上救助的无人救助装置
US2334072A (en) Collapsible boat
US3887953A (en) Raft adapted for use as a water rescue or recovery litter
KR20100118250A (ko) 해상 인명 구조용 보트
US20120220175A1 (en) Water vehicle enabling movement on or under water
US5687664A (en) Foldable inflatable rescue pontoon
US9700020B2 (en) Animal flotation device
CN208484800U (zh) 具有翻船保护装置的船
KR101975280B1 (ko) 구명장치
US3180306A (en) Aquatic device
CN201545185U (zh) 一种适应陆地水灾使用的防翻覆不沉救生艇
CN105292401A (zh) 一种用于应急救援的救生艇
DE2462606C3 (de) Rettungsboje
JP2020157965A (ja) プロペラ推進救命艇
US20130130580A1 (en) Hand-held portable and inflata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CN205916305U (zh) 水中自行救生装置
US20210347453A1 (en) Man Overboard (MOB) - Compact Powered Rescue Apparatus (CPRA)
CN212828987U (zh) 一种激流救援艇
CN210882551U (zh) 半刚性充气救生艇
CN206155734U (zh) 一种海上救助用的船舷侧潜水员梯
RU2718508C1 (ru) Комплект средств плавучего спаса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малыми импеллерами на сжатом пневмопотоке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JP5133452B1 (ja) 浮上袋
KR200490451Y1 (ko) 팽창형 구명 부이
CN202213690U (zh) 一种组合式充气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