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827A -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 Google Patents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827A
KR20100117827A KR1020090036490A KR20090036490A KR20100117827A KR 20100117827 A KR20100117827 A KR 20100117827A KR 1020090036490 A KR1020090036490 A KR 1020090036490A KR 20090036490 A KR20090036490 A KR 20090036490A KR 20100117827 A KR20100117827 A KR 20100117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haft
frame
fil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철권
임병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워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827A/ko
Publication of KR2010011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rames axial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디스크 드럼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의 양단에 제 1 축 및 제 2 축을 결합하여, 드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필터부재를 통해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로서, 프레임; 상기 오폐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드럼 내측에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축; 상기 제 1 축의 맞은 편에서, 상기 드럼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중공의 제 2 축; 상기 제 2 축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드럼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90036490
디스크, 드럼, 드럼필터, 필터, 베어링

Description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A DISK DRUM FILTER FOR DISPOSING A SLUDGE OR SEWAGE}
본 발명은 오폐수를 처리하는 디스크 드럼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의 양단에 제 1 축 및 제 2 축을 결합하여, 드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호수 또는 토양오염은 바닷물, 우물 등의 심각한 생태계 오염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가정 또는 공장에서 방류하는 폐수방류수, 오수방류수를 포함하는 오폐수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이 부폐되어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물질에 의해서 수중생물을 폐사시키고, 부유물질의 퇴적에 의해서 조류, 어류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의 환경문제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외부로 방류되는 오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처리해야 하며, 이러한 기술로서는 침전, 흡착, 이온교환, 중화처리, 응집, 부상 및 역삼투 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오염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재이용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드럼필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디스크 드럼필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디스크 드럼필터은 프레임(1), 축방향 단부에 유입구(2a)를 가지며 방사상으로 유출구(미도시)를 갖는 드럼(2), 상기 드럼(2)의 외주 상에 조립되어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재(3), 프레임(1)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4) 및 상기 구동모터(4)와 드럼(2)을 연결하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디스크 드럼필터의 경우, 드럼의 회전을 위해서는 드럼과 구동모터를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직접 연결하고,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드럼을 직접 회전시키거나, 또는 드럼의 일단에 결합한 축과 구동모터를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하고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드럼도 같이 회전시키는 구성 등을 취하였다.
그러나, 드럼을 직접 회전시키거나, 일단에 연결된 축을 통해 드럼을 회전시키는 경우, 드럼이 회전하면서, 드럼이 설치된 위치가 진동 등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디스크 드럼필터의 작동오차 및 수명기간 단축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축과 제 2 축을 드럼의 양단에 설치하여, 드럼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회전시킬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과 연결된 축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축의 외면을 둘러싼 베어링하우징을 회전시켜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축의 위치 및 드럼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럼의 일단과 연결된 제 2 축을 중공의 형태로 구성하여, 처리수의 이송 통로로 활용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필터부재를 통해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로서, 프레임; 상기 오폐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드럼 내측에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축; 상기 제 1 축의 맞은 편에서, 상기 드럼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중공의 제 2 축; 상기 제 2 축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드럼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는, 상기 드럼의 내측에서 방사형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리브; 및 상기 리브들의 일단과 결합하며, 상기 제 1 축이 관통하는 중공의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공의 링 내측에는 상기 제 1 축과 접하는 복수의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축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중공의 링의 내측과 상기 제 1 축 사이에는 커넥팅 링이 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1 축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제 1 축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갖는 지지부재가 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측에는 복수의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은 상기 드럼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드럼을 같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2 축 사이에는, 상기 제 2 축의 외면을 감싸는 위치고정링; 상기 위치고정링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갖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플레이트가 더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는 제 1 축과 제 2 축이 드럼의 양단에 설치되므로, 드럼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는 드럼의 일단과 연결된 제 2 축을 중공의 형태로 구성하여, 처리수의 이송 통로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럼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크 드럼필터를 오폐수의 입구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크 드럼필터(100)는 드럼(110), 프레임(120), 제 1 축(130), 제 2 축(140), 베어링하우징(150), 모터(160) 및 필터부재(190)를 포함한다.
드럼(110)의 원주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복수의 필터부재(190)가 설치되며, 드럼(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는 필터부재(190)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필터부재(190)에 의해 여과된 처리수는 처리수 이송관(116)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처리수의 용이한 이송을 위해, 처리수 이송관(116)은 드럼(100)의 입구에서 출구 방향으로 소정 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20)은 디스크 드럼필터(100)의 외형을 구성하며,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제 1 축(130)은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되며, 오폐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드럼(110) 내측에서 결합한다. 도 4에서, 복수의 리브(112)가 드럼(110)의 내측에서 방사형으로 결합하며, 그 중심에는 중공의 링(114)이 배치되어, 리브들(112)의 일단과 결합한다. 제 1 축(130)은 상기 중공의 링(114)을 관통하여, 프레임(120) 상에 배치된다.
제 1 축(130)을 프레임(120)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120)과 제 1 축(130) 사이에는 플레이트(122)와 지지부재(124)가 더 결합할 수 있다.
플레이트(122)는 평탄한 면을 가지며, 프레임(120) 상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고정 수단은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으며, 예를 들어, 나사와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지지부재(124)는 플레이트(122)의 상면에 결합하며, 제 1 축(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갖는다. 여기서, 제 1 축(130)이 중공의 링(114)을 관통한 상태에서, 중공의 링(114)이 지지부재(124)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 축(140)은 제 1 축(130)의 맞은 편에서 드럼(110)의 일단과 연결되며,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축(140)은 속이 빈 구조를 가지며, 드럼(110) 내의 처리수 이송관(116)과 연결되어 있어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 을 한다.
따라서, 제 2 축(140)은 제 1 축(130)과 함께 드럼(110)의 양단에서 드럼(110)의 하중을 프레임(120)으로 전달하므로, 디스크 드럼필터(100)가 구동 중이라도, 드럼(11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축(140)은 드럼(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과 동시에, 처리수의 배출 통로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디스크 드럼필터(100)의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150)은 제 2 축(140)의 외면을 둘러싸며, 드럼(110)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베어링하우징(150)의 내측에는 복수의 베어링(152)이 설치되며, 베어링하우징(150)은 드럼(110)의 일단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160)의 동력이 베어링하우징(150)으로 전달되면, 제 2 축(140)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 2 축(140)의 외면을 따라 베어링하우징(150)이 회전하게 되며, 베어링하우징(150)과 결합된 드럼(11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세척수 공급기(200)는 필터부재(190)를 세척하기 위한 염소 등의 수용액을 제조하며, 세척수 펌프(180)는 세척수 공급기(200)에서 제조된 세척수에 압력을 가하여, 세척수 이송관(182)으로 이송시킨다. 세척수 이송관(182)은 드럼(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필터부재들(190) 사이에 배치된 세척노즐(184)과 연결되어 있다. 세척노즐(184)은 세척수 이송관(182)을 따라 이송된 세척수를 필터부재(190)로 분사하여, 필터부재(190)를 세척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축(130)은 중공의 링(114)을 관통하며, 중공의 링(114) 내측에는 제 1 축(130)과 접하는 복수의 베어링(113)이 설치된다. 중공의 링(114)은 제 1 축(130)의 길이에 대응하여, 하나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복수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축(130)은 드럼(110)과 고정결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드럼(110)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하는 것은 아니나, 리브(112)를 통해 연결된 중공의 링(114)을 관통하는 구성이므로, 드럼(110)의 회전에 수반하여, 같이 회전할 수도 있다. 중공의 링(114) 내측의 베어링(113)은 드럼(110) 및 중공의 링(114)이 제 1 축(130) 외면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여, 제 1 축(130)의 회전을 줄이고, 소정 위치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한편, 윤활유 유입구(115)를 통해 윤활유를 주입함으로써, 베어링(113)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드럼(110) 또는 제 1 축(130)이 회전하는 경우, 회전력에 의해 지지부재(124) 상에 배치된 제 1 축(130)이 드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축(13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드럼(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으므로, 드럼(110)이 회전하더라도 제 1 축(130)이 전후로 움직이지 않도록 제어할 수단이 필요하다. 커넥팅 링(132)은 중공의 링(114)의 내측과 제 1 축(130) 사이에서 결합하며, 제 1 축(13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시킨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B 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어링하우징(150)은 제 2 축(140)의 외면을 둘러싸며, 체인 또는 벨트 등의 전동수단(162)을 통해 모터(16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베어링하우징(150)의 내측에는 베어링(152)이 설치되며, 드럼(110)의 일단과 결합한 상태이므로, 모터(160)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드럼(110)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베어링하우징(150)와 제 2 축(140)의 긴밀한 밀착을 위해, 가스킷(154)이 개재될 수 있다.
제 2 축(140)의 길이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위치고정링(170)이 제 2 축(14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재(174)는 위치고정링(170)의 하부에 결합하며, 위치고정링(170)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갖는다. 플레이트(172)는 지지부재(174)의 하면에 배치되며, 프레임(120)과 결합하여, 프레임(120)으로 드럼(110)의 하중을 전달한다.
제 2 축(140)은 위치고정링(170), 지지부재(174) 및 플레이트(172)와 결합하여,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베어링하우징(150) 및 드럼(110)이 회전하더라도 움직이지 않고, 위치를 유지한다.
또한, 제 2 축(140)은 중공(142)의 구조를 가지며, 드럼(110) 내의 처리수 이송관(116)과 연결되어 있어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크 드럼필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디스크 드럼필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드럼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스크 드럼필터를 오폐수의 입구 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A 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B 부분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Claims (7)

  1.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측에 방사형으로 설치된 필터부재를 통해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로서,
    프레임;
    상기 오폐수가 유입되는 방향의 드럼 내측에서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축;
    상기 제 1 축의 맞은 편에서, 상기 드럼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 고정되는 중공의 제 2 축;
    상기 제 2 축의 외면을 둘러싸며, 상기 드럼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베어링하우징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내측에서 방사형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리브; 및
    상기 리브들의 일단과 결합하며, 상기 제 1 축이 관통하는 중공의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링 내측에는 상기 제 1 축과 접하는 복수의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중공의 링의 내측과 상기 제 1 축 사이에는 커넥팅 링이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1 축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하며, 상기 제 1 축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갖는 지지부재가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측에는 복수의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하우징은 상기 드럼의 일단과 결합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드럼을 같이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2 축 사이에는,
    상기 제 2 축의 외면을 감싸는 위치고정링;
    상기 위치고정링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갖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플레이트가 더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1020090036490A 2009-04-27 2009-04-27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20100117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490A KR20100117827A (ko) 2009-04-27 2009-04-27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490A KR20100117827A (ko) 2009-04-27 2009-04-27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827A true KR20100117827A (ko) 2010-11-04

Family

ID=43404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490A KR20100117827A (ko) 2009-04-27 2009-04-27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8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0868A (zh) * 2011-11-18 2013-05-29 可隆水科技(株) 污废水处理用盘式滚筒过滤器
WO2021117075A1 (en) * 2019-12-10 2021-06-17 Sipa Microelettronica Srl Apparatus and process fo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a water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0868A (zh) * 2011-11-18 2013-05-29 可隆水科技(株) 污废水处理用盘式滚筒过滤器
WO2021117075A1 (en) * 2019-12-10 2021-06-17 Sipa Microelettronica Srl Apparatus and process for improving the energy efficiency of a wate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681B1 (ko)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KR101936069B1 (ko) 주축베어링하우징부와 유입관을 설치하여 농축 및 회수 효율을 개선한 탈수장치
JP4959745B2 (ja) 磁気分離装置における磁気ディスクの駆動装置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200286711Y1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KR20100117827A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WO2015004707A1 (ja) 処理対象物濃縮装置
JP6239433B2 (ja) 汚泥濃縮機および汚泥濃縮システム
KR100794850B1 (ko) 차속 조정이 가능한 고액 분리기
KR101080939B1 (ko) 오폐수처리용 디스크 드럼필터
CN201101951Y (zh) 一种高效油水及固液分离装置
JP2011083668A (ja) 汚泥濃縮装置及び固液分離システム
JP5302428B2 (ja) 処理対象物濃縮装置
US20090166283A1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Polluted Liquids
WO2013062057A1 (ja) 廃水処理槽用スクリーン装置及び廃水処理方法
KR100663230B1 (ko)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드럼과 무주축 원통회전을이용한 하ㆍ폐수 방류수 마이크로드럼 여과장치
KR20100117828A (ko) 디스크 드럼필터용 고체염소용해장치
KR200424863Y1 (ko) 다중원판을 이용한 스크류타입의 재활용수 여과처리장치
KR20230167258A (ko) 역세 필터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2431605B1 (ko) 난분해성 폐수처리 장치
JP2007105726A (ja) フィルタ装置
CN211864100U (zh) 一种工业废水处理用滤液箱
CN209618981U (zh) 一种基于生物转筒的有机废水处理装置
HU231439B1 (hu) Kavitációs víztisztító berendezés és eljárás
KR101226656B1 (ko) 여과 시와 여재 세척 시에 여재 밀도의 조절이 가능한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