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748A -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748A
KR20100117748A KR1020090036371A KR20090036371A KR20100117748A KR 20100117748 A KR20100117748 A KR 20100117748A KR 1020090036371 A KR1020090036371 A KR 1020090036371A KR 20090036371 A KR20090036371 A KR 20090036371A KR 20100117748 A KR20100117748 A KR 20100117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ke
beverage
container
wat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090036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748A/ko
Publication of KR20100117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8Separable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저장탱크를 거치지 않고 음료용기에서 직접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는, 용기본체에 담긴 음료가 배출되는 출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측 안쪽으로 위치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시 사용자의 당김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출구측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함께 이동시켜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배출부재 방향으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출구쪽으로 함몰되거나 출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음료용기, 코크, 결합부재, 연결부재, 배출부재

Description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DRAIN STRUCTURE OF COCK FOR DRINK VESSEL}
본 발명은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에 저장된 음료를 직접 취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화 및 공해물질로 인하여 수질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면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음료(물)를 식수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음료는 음료용기에 담아 음료가 배출되는 출구를 마개로 폐쇄하고 이 마개에 커버를 씌워 운반 및 보관하게 된다.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사용하려면 출구에서 커버를 벗기고 음료용기의 출구와 기밀을 유지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갖는 냉온수기에 뒤집어 올려놓으면, 마개의 중앙부에 제공된 개폐부가 개방되면서 음료용기에 담겨있던 음료가 냉온수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냉온수기 내부로 공급된 음료는 저장탱크에 저장되며, 저장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소정온도로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온수기의 외부에 설치된 배출레버를 작동시켜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냉온수기의 저장탱크에 저장한 다음, 저장탱크의 음료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면 비위생적인 음료를 사용할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즉, 저장탱크에 담겨진 음료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저장탱크로 세균이 침투하는 경우 저장탱크의 음료에 세균이 번식하여 깨끗하지 않은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음료용기 출구를 폐쇄하는 마개는 음료용기의 출구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재사용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담긴 음료를 저장탱크를 거치지 않고 용기에서 직접 취수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는, 용기본체에 담긴 음료가 배출되는 출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측 안쪽으로 위치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시 사용자의 당김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출구측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함께 이동시켜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배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배출부재 방향으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져 용기본체의 출구 쪽으로 함몰되거나 출구 외측으로 돌출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는, 당김력에 의하여 출몰하면서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재가 캡에 형성되어 용기에 담긴 음료를 다른 저장탱크를 거치지 않고 용기에서 직접 취수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세균 번식 및 오염 되지 않은 음료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음료용기에 제공된 캡은 재사용 할 수 없는 구조이지만, 본 발명에 제공된 음료용기용 캡은 음료용기에서 분리하여 다른 음료용기에 결합하여 재사용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가 제공된 음료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의 확대 사시도로서, 부호 2는 음료용기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용기본체(2)는 음료가 담겨 저장될 수 있도록 일정한 용적의 내부공간을 갖추며, 그 일측으로는 상기 용기본체(2)로 음료를 주입하거나 용기본체(2)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출구(4)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2)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운반 및 사용 중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추면서 온도변화 등에도 형상이 쉽게 변화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합성수지 또는 그와 유사한 종류의 합성수지 재질로 용기본체(2)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용기의 출구(4)에는 용기본체(2)에 담긴 음료를 운반 및 보관할 때 담겨진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결합부재(6)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에 제공된 결합부재(6)는 그 외측 둘레면이 음료용기의 출구(4) 선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부(8)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8)의 중앙부로는 용기본체(2)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이루어진 배출부재(10)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8) 및 배출부재(10)는 인체에 무해한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부(8)의 끝단 내주면으로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음료용기의 출구(4)에 결합부재(6)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배출부재(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호스와 같은 유연한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며, 배출부재(10)의 선단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14)가 씌워져 음료용기의 운반 및 보관 시 용기본체(2)에 담긴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배출부재(10)는 외부에서 가압하면 관로의 내경이 좁혀지면서 밀착되어 배출부재(10)를 폐쇄되고, 가압력을 해제하면 자체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원되어 배출부재(10)를 개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출부재(10)와 고정부(8) 사이는 연결부재(16)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16)는 유연성을 갖추면서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연결부재(16)의 단면 두께는 배출부재(10) 및 고정부(8)의 단면보다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6)의 반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연결부재(16)는 고정부(8)에서 배출부재(10) 방향으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16)는 하부 방향으로 누르거나 상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부(8)를 기준으로 원뿔의 형태가 반전되면서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결합부재(6)를 음료용기의 출구(4)에 결합하고 배출부재(10)를 아래로 밀면 연결부재(16)는 도 3에서와 같이 결합부재(6)의 고정부(8)의 하부위치로 함몰되고, 배출부재(10)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도 4에서와 같이 결합부재(6)의 고정부(8)의 상부 위치로 상승하여 돌출 된다.
이때 배출부재(10)도 연결부재(16)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는데, 연결부재(16)가 결합부재(6)의 고정부(8) 하부로 함몰되었을 때, 배출부재(10)는 그 상단부가 고정부(8)의 하부로 위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출부재(10)는 연결부재(16)의 반전에 의하여 용기본체(2)의 출구(4) 내측으로 함몰되어 위치하거나 또는 출구(4)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출부재(10)는 음료의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는 용기본체(2)의 출구(4)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포장된다.
상기와 같은 음료용기의 결합부재(6) 외측으로는 음료용기를 운반하거나 보관할 때 오염음료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막(18)이 더 제공된다. 이 차단막(18)은 얇은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절취선(2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를 이용하여 용기본체(2)에 담긴 음료를 취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가 제공된 음료용기를 안착시켜 내부에 담긴 음료를 배출하기 위하여 디스펜서(100)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가 거꾸로 놓여질 수 있으면서 배출레버가 배출부재(10)를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음료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디스펜서(100)는 음료용기 용기본체(2)를 거꾸로 올려놓기 위한 받침대(1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100)에는 음료용기의 배출부재(10)를 가압하여 배출부재(10)를 폐쇄하거나 가압력을 해제하여 배출부재(10)가 개방될 수 있도록 작용하는 배출밸브(200)가 제공된다.
상기 받침대(110)에는 용기본체(2)가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부(120)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120)의 중앙부에는 음료용기의 출구(4)측이 통과하면서 위치할 수 있도록 삽입홀(130)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밸브(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439,145호에 제공된 배출밸브(200)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외에도 음료용기로부터 음료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200)는 스프링(2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밸브바디(220)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230)와, 상기 밸브바디(220)에서 연장되어 배출부재(10)가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지지부(240)와, 상기 밸브 바디(220)에 탄성부재(250)의 외향탄력을 받으며 설치되고 상기 레버(230)의 작동에 의하여 배출부재(10)를 개폐시키는 핀치바(Pinch bar)(2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출밸브(200)에 용기본체(2)의 배출부재(10)를 장착하려면, 먼저 용기본체(2)의 출구(4)에서 차단막(18)을 제거한 다음, 용기본체(2)의 출구(4) 내측으로 함몰된 상태로 위치한 배출부재(10)를 잡아당기면 연결부재(16)가 반전되면서 배출부재(10)는 결합부재(6)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본체(2)를 거꾸로 뒤집어 이를 디스펜서(100)의 안착부(120)에 안착시키면, 용기본체(2)의 출구(4)는 삽입홀(130)을 통과하여 위치되고 배출부재(10)는 그 아래쪽으로 위치한다.
이렇게 용기본체(2)가 디스펜서(100)에 안착되면 배출부재(10)의 단부를 배출밸브(200)에 장착하기 위하여 배출부재(10)에 결합된 마개(14)를 제거하고 배출밸브(200)의 레버(230)를 누르면 스프링(210)을 인장하면서 레버(230)가 힌지 회전한다.
레버(230)의 회전에 의하여 탄성부재(250)를 압축하면서 지지부(240) 내부로 위치하고있던 핀치바(260)가 후퇴하게되며, 이 상태에서 지지부(240)에 배출부재(10)를 삽입한 다음 레버(230)에서 손을 뗀다.
그러면 스프링(210)의 복원력에 의하여 레버(230)는 원위치 되고, 핀치바(Pinch bar)(260)는 다른 탄성부재(250)의 외향탄력에 의하여 배출부재(10)를 가압하여 배출부재(10)를 폐쇄시킨다(도 7a 참조).
이 상태에서는 용기본체(2)에 담긴 음료는 배출되지 않으며, 음료를 마시기 위하여 배출부재(10)를 개방하려면, 레버(220)를 누르면 스프링(210)을 인장하면서 레버(230)가 힌지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핀치바(160)가 외향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250)를 압축하면서 후퇴하여 배출부재(10)를 개방시키며, 이에 따라 용기본체(2)에 담긴 음료는 출구(4)와 연결부재(16)를 거쳐 배출부재(10)를 따라서 외부로 배출되며, 사용자가 이 음료를 컵이나 용기에 받아 사용하면 된다(도 7b 참조).
배출부재(10)로부터 배출되는 음료의 배출을 중지시키려면, 레버(230)에서 손을 떼면 인장 되었던 스프링(210)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력에 의하여 레버(230)는 힌지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압축되었던 탄성부재(250)의 복원탄력에 의하여 핀치바(230)가 전진하면서 개방되었던 배출부재(10)를 가압하여 폐쇄시킴으로 음료의 배출을 차단한다.
이렇게 종래와 같이 저장탱크를 거치지 않고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직접 취수함으로써 사용자는 오염되지 않고 항상 깨끗한 음료만을 마실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용기 본체(2)에 담긴 음료를 모두 사용하면, 디스펜서(100)로부터 용기본체(2)를 분리한 다음. 고정부(8)를 외측으로 당겨 젖히면 걸림턱(12)이 출구(4)에서 이탈되어 결합부재(6)가 분리되며, 이것을 새로운 음료용기의 출구에 결합하여 재사용 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가 제공된 음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가 제공된 음료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를 구성하는 주요부분인 연결부재 및 배출부재가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를 구성하는 연결부재 및 배출부재가 돌출된 상태로 위치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가 배출밸브에 장착되어 음료의 배출조절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11)

  1. 용기본체에 담긴 음료가 배출되는 출구에 결합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로서,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본체의 출구측 안쪽으로 위치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에 일측단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시 사용자의 당김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출구측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함께 이동시켜 상기 출구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배출부재;
    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용기본체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외측 둘레면이 용기본체의 출구 선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이 고정부의 끝단 내주면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결합부재로부터 배출부재 방향으로 가면서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유연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결합부재의 하부쪽으로 함몰되거나 결합부재의 상부쪽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용기본체의 출구 내부 또는 출구 외부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일정 길이를 갖는 관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단부에는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는 캡이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외측면으로는 오염음료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막이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KR1020090036371A 2009-04-27 2009-04-27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KR20100117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371A KR20100117748A (ko) 2009-04-27 2009-04-27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371A KR20100117748A (ko) 2009-04-27 2009-04-27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748A true KR20100117748A (ko) 2010-11-04

Family

ID=4340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371A KR20100117748A (ko) 2009-04-27 2009-04-27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7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8378B2 (ja) 携帯用飲料容器
US103848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CA2409943C (en) Self regulating spout
US5222631A (en) Removable liquid container for insulated coolers
US5118009A (en)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US7766057B2 (en)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DK2928814T3 (en) BEVERAGE DRAFT AND CONTAINER FOR USE IN A BEVERAGE DRAFT
US20080093384A1 (en) Self-contained beverage dispenser
JP5722432B2 (ja) 炭酸飲料を含むボトルのための押しボタン式ディスペンサー
UA110496C2 (en) DISPENSING APPLIANCE PROVIDED WITH REMOVABLE DISPENSING CARTRIDGE <http://patents.justia.com/patent/20130214011>
US20110240684A1 (en) Beverage Dispensing Spigot
JP5184086B2 (ja) 分注システムのための分注装置
KR20060126420A (ko) 힌지 방식으로 개방 가능한 배출 라인을 구비한 음료디스펜서
US20090008357A1 (en) Fizz retain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s
DK2637965T3 (en) LIQUID DRAINING DEVICE EQUIPPED WITH AN ANTI-DIP VALVE SYSTEM
RU2401797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между контейнером для напитка и раздат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напитка и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итка, использующее этот механизм
JP2017077908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20100117748A (ko) 음료용기용 코크의 출수구조
US20060278656A1 (en) Spout handle and nozzle assembly
KR20080068717A (ko) 음료 저장기용 송출 밸브와, 이를 구비한 음료 저장기
US11857985B2 (en) Airpot beverage dispenser
JP2002068393A (ja) 飲料用ディスペンサー
KR102128726B1 (ko)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WO2007135641A1 (en) Dispensing tap with transversely angled liquid outlet
AU652421B2 (en) Carbonated beverag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