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906A -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906A
KR20100116906A KR1020090035566A KR20090035566A KR20100116906A KR 20100116906 A KR20100116906 A KR 20100116906A KR 1020090035566 A KR1020090035566 A KR 1020090035566A KR 20090035566 A KR20090035566 A KR 20090035566A KR 20100116906 A KR20100116906 A KR 20100116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barrier
sub
region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2660B1 (ko
Inventor
구자승
김범식
남희
박찬영
장형욱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60B1/ko
Priority to US12/656,263 priority patent/US8384834B2/en
Publication of KR20100116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04N13/31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the parallax barriers being time-varia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로스토크 발생을 억제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및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복수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가 전달되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배리어층을 포함한다. 배리어층은 제1 층에 위치한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과, 제1 층과 다른 제2 층에 위치하고, 복수의 제1 및 제2 서브 전극과 어긋나게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3 및 제4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을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배리어층

Description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ELECTRONIC IMAGING DEVICE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영상 기기는 관찰자의 좌안과 우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여 관찰자가 보는 영상에 입체감을 느끼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 영상 기기 가운데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관찰자가 편광 안경과 같은 장비를 착용하지 않고도 입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오토스테레오스코피(autostereoscopy)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통상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피 장치는 화소를 좌안용과 우안용으로 나누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표시부에서 구현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관찰자의 좌안 방향과 우안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배리어부를 포함한다. 배리어부는 투명 전극들과 액정층을 구비하여 광학적으로 광 차단부와 광 투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표시부는 한 프레임을 2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제1 기간에서 화면의 수평 방 향을 따라 좌안-우안의 순서로 합성된 영상을 표시하고, 제2 기간에서 우안-좌안의 순서로 합성된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배리어부는 표시부의 구동에 동기되어 제1 기간과 제2 기간에서 광 투과부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이러한 방식을 시분할 구동 방식이라 하며, 평면 영상과 같은 해상도의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액정 표시 패널(LCD) 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과 같이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에서는 주사 방향을 따라 제1 기간의 영상과 제2 기간의 영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즉, 표시부의 아래쪽에 제1 기간의 영상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표시부의 위쪽부터 아래 방향으로 제2 기간의 영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1 기간의 영상과 제2 기간의 영상이 혼재하는 시간 동안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분리되지 못하므로 크로스토크(crosstalk)로 작용한다.
이러한 크로스토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 프레임 내에 제1 기간의 영상과 제2 기간의 영상을 2번 이상 표시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구동 주파수의 상승으로 인해 소비 전력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배리어부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구동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순차적으로 바뀌는 영상에 동기시켜 배리어부도 영역을 나누어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면, 낮은 구동 주파수에서도 높은 화질의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배리어부의 라인 방향의 영역이 영상의 주사 방향과 수직한 구조인 경우 배리어부의 각 영역 사이의 경계부가 라인으로 보여지게 된다. 또한, 단층에서 배리어부를 구현하는 경우 배리어부 사이에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이웃한 배리어와 일정 간격을 두고 떨 어져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배리어부 동작 중에도 이 간격을 통해 표시부의 빛이 새어 나오게 되어 크로스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입체 영상의 해상도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크로스토크 발생을 억제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는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및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가 전달되는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제1 층에 위치한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및 상기 제1 층과 다른 제2 층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서브 전극과 어긋나게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3 및 제4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배리어 전극과 상기 제2 배리어 전극 간에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서브 전극은 제1 행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전극은 상기 제1 행과 인접한 제2 행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 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행 방향으로 소정의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 중 대응하는두 개의 제1 서브 전극 각각의 모서리에 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행 방향으로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과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한다.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은 상기 제1 행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은 상기 제2 행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행 방향으로 소정의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 중 대응하는두 개의 제3 서브 전극 각각의 모서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행 방향으로 상기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과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 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의 꼭지점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계단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한다.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한다. 상기 배리어층은, 제1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과 제2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3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아래면 전체에 형성되는 제1 공통 전극; 및 상기 제2 기판의 아래면 전체에 형성되는 제2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은 상기 제2 기판의 윗면에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은 상기 제3 기판의 윗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및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가 전달되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리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한 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 기간을 적어도 두 개의 제2 기간 및 제3 기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표시 영역에는 제1 순서로 합성된 제1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와 다른 제2 순서로 합성된 제2 입체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표 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3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4 입체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 및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은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각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사선에 상기 주사 신호가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간 및 상기 제3 기간 사이에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입체 영상 및 상기 제2 입체 영상이 표시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다. 그리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주사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음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기간 및 상기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사이에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3 입체 영상 및 상기 제4 입체 영상이 표시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다.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 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대응하는 상기 최초의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주사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음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최초의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및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가 전달되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리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한 프레임을 적어도 제1 및 제2 기간으로 구분하여 동작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 중 복수의 제1 표시 영역 각각에 제1 순서로 합성된 제1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와 다른 제2 순서로 합성된 제2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주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 표시 영역 각각과 인접한 복수의 제2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3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4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 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은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상기 주사 신호가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 표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5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6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2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7 입체 영상과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8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은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상기 주사 신호가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크로스토크 발생을 억제하여 입체 영상의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 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영상 기기는 표시부(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제어부(400), 배리어층(500) 및 배리어 구동부(6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0)는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신호선(S1~Sn, D1~Dm), 복수의 전압선(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110)를 포함한다.
신호선(S1~Sn, D1~Dm)은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주사선(S1~S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며,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이때, 데이터 신호는 화 소(110)의 유형에 따라 전압 신호(이하, "데이터 전압"이라 함) 또는 전류 신호(이하, "데이터 전류"라 함)가 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전압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화소(110), 예를 들면 i번째(i=1, 2,…, n) 주사선(Si)과 j번째(j=1, 2,…, m)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110)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OLED), 구동 트랜지스터(M1), 커패시터(Cst) 및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주사선(Si)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Dj)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M1)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는 주사선(Si)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Dj)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즉 데이터 전압을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M1)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진다.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2)와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VDD)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소자(OLED)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M1)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전류(IOLED)를 흘린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턴오프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일 수 있으며,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및 공통 전압(VSS)과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M1)의 출력 전류(IOLE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의 빛을 낼 수 있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의 삼원색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삼원색의 공간적 합 또는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 일부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백색의 빛을 낼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휘도가 높아진다. 이와는 달리, 모든 화소(110)의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백색의 빛을 낼 수 있으며, 일부 화소(110)는 유기 발광 소자(OLED)에서 나오는 백색광을 기본색광 중 어느 하나로 바꿔주는 색필터(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는 및 구동 트랜지스터(M1)는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이다. 이 경우,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각각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에 해당한다. 그러나 스위칭 트랜지스터(M2)와 구동 트랜지스터(M1) 중 적어도 하나는 n-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M1, M2),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연결 관계가 바뀔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화소(110)는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한 예이며, 적어도 두 개의 트랜지스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데이터 전류를 데이터 신호로 입력받는 화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주사 구동부(200)는 표시부(100)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어 있으며, 주사 제어신호(CONT2)에 따라 주사선(S1~Sn)에 순차적으로 주사 신호를 인가한다. 주사 신호는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턴온시킬 수 있는 게이트 온 전압(Von)과 스위칭 트랜지스터(M2)를 턴오프시킬 수 있는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스위칭 트랜지스터(M2)가 p-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경우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은 각각 저전압과 고전압이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표시부(100)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제어신호(CONT1)에 따라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DR, DG, DB)를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입력 신호(IS)를 입력받아 영상 데이터 신호(DR, DG, DB), 데이터 제어신호(CONT1), 주사 제어신호(CONT2) 및 배리어 구동 제어신호(CONT3)를 생성한다. 여기서, 입력 신호(IS)는 일반적인 평면 영상 데이터이거나, 각 시점(point of view)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표시부(100)에 평면 영상과 입체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경우 평면 영상 데이터 및 입체 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데이터 신 호(DR, DG, DB)는 입체 영상을 위한 영상 데이터 신호(이하, 입체 영상 데이터 신호라 함) 및 평면 영상을 위한 영상 데이터 신호(이하, 평면 영상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다.
배리어 구동부(600)는 배리어 구동부 제어신호(CONT3)에 따라 배리어층(500)을 구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층(500)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는 있고, 상층 및 하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및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 각각은 지그재그 패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a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 각각은 시분할 구동 방식에 따라 불투과 영역이 되도록 구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시분할 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배리어 구동부(600) 역시 시분할 구동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구동 방식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시분할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분할 구동 방식은 1)광원을 좌우에서 교대로 동작시키고, 프리즘과 렌티큘러 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광학 소자를 이용하여 좌우를 시분할로 구분하는 방법과, 2) 액정 배리어에서 빛이 통과하는 슬릿을 기존의 하나에 해당되는 구간을 여러 개로 나누어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에 동기시켜 슬릿을 이동시키는 방식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는 2)의 방법으로 구동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액정 배리어 대신 광원 및 프리즘과 렌티큘러 렌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광한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a 및 도 3b는 기본적으로 양안의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안인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R,G,B 색상 부화소들이 하나의 영상 표시 최소 단위의 화소(110)를 구성하며, 서로 인접해 위치한다. 복수의 화소(110)에 표시된 영상은 배리어층을 통해 좌안 및 우안으로 투사된다.
먼저, 도 3a는 하나의 프레임을 기간(T1) 및 기간(T2)의 2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시분할 구동하였을 때, 기간(T1)동안,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순으로 합성된 영상(이하, 좌우 영상)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두번째 기간(T2) 동안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 순으로 합성된 영상(이하, 우좌 영상)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간(T1) 및 기간(T2) 각각은 데이터 기입 기간(W1, W2) 및 유지 기간(H1, H2)으로 구분된다. 기입 기간 동안 새로운 영상이 표시되고, 화면 전체에 새로운 영상 기입이 완료되면, 유지 기간 동안 그 화면이 유지된다.
기간(T1)에서, 도 3a에서 표시부(100)의 홀수 화소(OP)는 좌안용 화소, 짝수 화소(EP)는 우안용 화소이다. 이 때, 배리어층(500)의 홀수 화소(BOP)는 불투과 영역이고, 짝수 화소(BEP)는 투과 영역이 된다. 그러면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이 좌안으로, 우안 영상은 우안으로 투사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홀수 화소(OP)로부터 투사되는 좌안용 영상은 우안용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디스패러티를 갖는 영상으로 형성되며, 짝수 화소(EP)로부터 투사되는 우안용 영상은 좌안용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디스패러티를 갖는 영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수 화소(OP)로부터 투사되는 좌안용 영상 및 짝수 화소(EP)로부터 투사되는 우안용 영상을 각각 관찰자의 좌안 및 우안에서 인식할 때, 실제 입체 대상물을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보는 것과 같은 깊이 정보를 얻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다음 도 3b에서 표시부(100)의 홀수 화소(OP)가 우안용 화소, 짝수 화소(EP)는 좌안용 화소이다. 이 때, 배리어층(500)의 홀수 화소(BOP)는 투과 영역이고, 짝수 화소(BEP)는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러면,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안 영상이 좌안으로, 우안 영상은 우안으로 투사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홀수 화소(OP)로부터 투사되는 우안용 영상은 좌안용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디스패러티를 갖는 영상으로 형성되며, 짝수 화소(EP)로부터 투사되는 좌안용 영상은 우안용 영상에 대하여 소정의 편차(disparity)를 갖는 영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홀수 화소(OP)로부터 투사되는 우안용 영상 및 짝수 화소(EP)로부터 투사되는 좌안용 영상을 각각 관찰자의 우안 및 좌안에서 인식할 때, 실제 입체 대상물을 좌안 및 우안을 통해 보는 것과 같은 깊이 정보를 얻게 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기간(T1)에서는 홀수 화소가 좌안으로, 짝수 화소가 우안으로 표시되고, 기간(T2)에서는 홀수 화소가 우안으로, 짝수 화소가 좌안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면 영상과 같은 해상도의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 시 예에 따른 배리어층(500)은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형상인 복수의 제1 및 제2 배리어 전극(510_1~510_4, 520_1~520_4)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한 행의 주사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에 좌우 영상이 기입 및 표시되는 경우, 인접한 주사선 중 적어도 한 행의 주사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에 우좌 영상이 기입 및 표시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이후 배리어층(500)의 구조와 함께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층(500)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 4b는 영역(A1, A2)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 510_2)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c는 영역(A1, A2)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 520_2)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배리어층(500)은 표시부(100)의 주사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A1, A2, A3, A4)으로 분할된다. 도 4에서는 배리어층(500)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고,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을 포함한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배리어층(500)에 대응되는 표시부(100)는 8개의 주사선과 12개의 데이터 선이 교차하는 영역에 복수의 색상 화소가 형성되어 있다. R,G,B로 이루어진 3 개의 색상 화소가 행 방향으로 연속 배치되어 하나의 기본 화소를 형성하고, 각 색상 화소는 대응하는 데이터선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12개의 데이터 선에 대응하는 화소(110)의 개수는 4개이다. 이와 같은 설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을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00)의 해상도에 따라 배리어층(500)이 4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고, 해상도에 따라 화소(110)의 개수가 결정되며, 화소(110)의 개수에 따라 데이터 선의 개수가 결정된다. 그리고 데이터 선의 수에 따라 배리어층(500)이 데이터 선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 영역(A1, A2, A3, A4) 마다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과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이 각각 주사선(S1~Sn)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은 음영으로 표시된 전극이고,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은 음영이 표시되지 않은 전극이다.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각각과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은 동일한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각각과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 각각의 지그재그 패턴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이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보다 상층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배리어 전극(510_1)은 복수의 행(이하, '행'은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의미함.), 예를 들어 적어도 2행으로 형성되고, 제1 행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서브 전극(510a_1)과 인접한 제2 행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서브 전극(510b_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서브 전극(510a_1)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2 서브 전극(510b_1)은 복수의 제1 서브 전극(510a_1)이 배열된 행의 다음 행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서브 전극(510b_1) 각각은 복수의 제1 서브 전극(510a_1) 중 대응하는 두 개의 제1 서브 전극(510a_1) 사이에 행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서브 전극(510a_1)이 이격된 간격과 복수의 제2 서브 전극(510b_1)이 이격된 간격은 동일하다. 그리고, 영역(A1)에 위치한 복수의 제1 서브 전극(510a_1)은 인접한 두 개의 제2 서브 전극(510b_1)과 꼭지점이 서로 맞닿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배리어 전극(510_1)을 2개의 행으로 구분하여 제1 서브 전극(510a_1)과 제2 서브 전극(510b_1)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배리어 전극(510_1)을 3개, 4개 등 복수의 행으로 구분하여 지그재그 형태가 반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영역(A2, A3, A4)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2~510_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리고, 영역(A1)과 영역(A2)의 경계에 위치한 제2 서브 전극(510b_1)과 제1 서브 전극(510a_2)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두 전극을 분리하기 위해 인접하는 전극간의 꼭지점을 격자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한다. 제2 서브 전극(510b_1)과 제1 서브 전극(510a_2)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예컨대 제2 서브 전극(510b_1)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고, 제1 서브 전극(510a_2)의 꼭지점을 "┗" 및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여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서브 전극(510b_1)의 꼭지점은 들어간 형태가 아니고, 제1 서브 전극(510a_2)의 꼭지점만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1 서브 전극(510a_2)의 꼭지점은 들어간 형태가 아니고, 제2 서브 전극(510b_1)의 꼭지점만 "┓" 및 "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격자 모양이지 않으며 제1 서브 전극(510a_2) 및 제2 서브 전극(510b_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모양이면 된다. 따라서, 레이아웃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결국, 영역(A1)의 제1 서브 전극(510a_1)과 제2 서브 전극(510b_1)은 동시에 동작하며, 영역(A2)의 제1 서브 전극(510a_2) 및 제2 서브 전극(510b_2)은 영역(A1)의 제1 서브 전극(510a_1) 및 제2 서브 전극(510b_1)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한다.
나머지 영역(A2, A3, A4)에서도, 영역(A2, A3, A4) 간의 경계에 위치한 제1 및 제2 서브 전극(510a_2~510a_4, 510b_2~510b_4)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각 영역(A1, A2, A3, A4)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별도로 구동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2 배리어 전극(520_1)은 복수의 행, 예를 들어 적어도 2행으로 형성되고, 제1 행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3 서브 전극(520a_1)과 제2 행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4 서브 전극(520b_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3 서브 전극(520a_1)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4 서브 전극(520b_1)은 복수의 제3 서브 전극(520a_1)이 배열된 행의 다음 행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3 서브 전극(520a_1) 각각은 복수의 제4 서브 전극(520b_2) 중 대응하는 두 개의 제3 서브 전극(520a_1) 사이에 행을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영역(A1)에 위치한 제3 서브 전극(520a_1)과 제4 서브 전극(520b_1)의 꼭지점은 서로 중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배리어 전극(520_1)을 2개의 행으로 구분하여 제3 서브 전극(520a_1)과 제4 서브 전 극(520b_1)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배리어 전극(520_1)을 3개, 4개 등 복수의 행으로 구분하여 지그재그 형태가 반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서브 전극(520a_1)과 제4 서브 전극(520b_1)은 제1 서브 전극(510a_1)과 제2 서브 전극(510b_1)에 비해 길이 및 폭이 더 길도록 형성한다. 이는 제1 서브 전극(510a_1) 및 제2 서브 전극(510b_1)과 제3 서브 전극(520a_1) 및 제4 서브 전극(520b_1) 간에 공극이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행 방향으로 형성된 전극 중 대응되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전극은 서로 연결되어 있어, 주사선 방향의 공극은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배리어층(500)을 정면에서 바라보면, 복수의 제1 및 제2 배리어 전극(510_1~510_4, 520_1~520_4)의 제조 및 상하 배열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오차로 인해 데이터 선 방향으로 복수의 제1 및 제2 배리어 전극(510_1~510_4, 520_1~520_4) 간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이로 인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 중 한 전극에 마진을 두어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과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 간에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두 배리어 전극 모두에 마진을 두어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영역(A2, A3, A4)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2~520_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배리어층(500)이 동작할 때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과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 사이로 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입체 영상 구현시 크로스토크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영역(A1)과 영역(A2)의 경계에 위치한 제4 서브 전극(520b_1)과 제3 서브 전극(520a_2)은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두 전극을 분리하기 위해 인접하는 전극간의 꼭지점을 격자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한다. 제4 서브 전극(520b_1)과 제3 서브 전극(520a_2)을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예컨대 제4 서브 전극(520b_1)과 제3 서브 전극(520a_2)의 꼭지점을 계단 형태로 형성하여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4 서브 전극(540b_1)의 꼭지점은 들어간 형태가 아니고, 제3 서브 전극(520a_2)의 꼭지점만 "┗" 및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3 서브 전극(520a_2)의 꼭지점은 들어간 형태가 아니고, 제4 서브 전극(540b_1)의 꼭지점만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격자 모양이지 않으며 제3 서브 전극(520a_2) 및 제4 서브 전극(520b_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모양이면 된다. 따라서, 레이아웃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결국, 영역(A1)의 제3 서브 전극(520a_1)과 제4 서브 전극(520b_1)은 동시에 동작하며, 영역(A2)의 제3 서브 전극(520a_2) 및 제4 서브 전극(520b_2)은 영역(A1)의 제3 서브 전극(520a_1) 및 제4 서브 전극(520b_1)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동작한다. 나머지 영역(A2, A3, A4)에서도, 영역(A2, A3, A4) 간의 경계에 위치한 복수의 제3 및 제4 서브 전극(520a_2~520a_4, 520b_2~520b_4)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각 영역(A1, A2, A3, A4)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별도로 구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층(500)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도 4a의 B-B'절단면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리어층(50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502), 제2 기판(512) 및 제3 기판(522)과, 제1 기판(502)과 제2 기판(512) 사이에 주입 밀봉되는 제1 액정층(508)과, 제2 기판(512)과 제3 기판(522) 사이에 주입 밀봉되는 제2 액정층(518)과, 제1 기판(502)의 아래 면에 형성되는 제1 공통 전극(504)과, 제2 기판(512)의 윗면에 형성되는 제2 공통 전극(514)과, 제2 기판(512)의 아래 면에 형성되는 제1 배리어 전극(510_1) 및 제3 기판(522)의 윗면에 형성되는 제2 배리어 전극(520_1)을 포함한다. 제1 공통 전극(504)은 제1 기판(502)의 유효면 전체에 형성되고, 제2 공통 전극(514)은 제2 기판(512)의 유효면 전체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공통 전극(504, 514)과 제1 및 제2 전극(510, 520)은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된다. 제1 액정층(508)을 향한 제1 공통 전극(504) 및 제1 배리어 전극(510_1)의 일면에는 제1 배향막(506)이 위치하고, 제2 액정층(518)을 향한 제2 공통 전극(514) 및 제2 배리어 전극(520_1)의 일면에는 제2 배향막(516)이 위치한다. 제1 기판(502)의 윗면과 제3 기판(522)의 아래 면에는 각각 제1 편광판(524) 및 제2 편광판(526)이 형성된다. 제1 배향막(506)과 제2 배향막(516)은 제1 및 제2 액정층(508, 518)을 구성하는 액정 물질들을 특정 상태로 배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 액정층(508, 518)은 티엔(TN; twisted nematic)형 액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티엔형 액정은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90°의 비틀림각을 갖는다. 제1 배리어 전극(510_1)과 제2 배리어 전극(520_1)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며, 제2 배리어 전극(520_1)은 제1 배리어 전극(510_1) 보다 소정 길이 및 폭(d1)만큼 더 크게 형성되어 제1 배리어 전극(510_1)과 중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액정층(508, 518)이 티엔형 액정으로 구성되고, 제1 편광판(524)의 편광축과 제2 편광판(526)의 편광축이 서로 평행함에 따라, 제2 편광판(526)에 의해 선 편광된 빛은 제2 액정층(518)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이 90°틀어지고, 제1 액정층(508)을 통과하면서 다시 90°틀어지면서 제1 편광판(524)을 투과하게 된다. 이로써, 배리어층(500)은 전압 무인가 상태에서 전체 투과형이 되는 것이며, 이를 노멀리 화이트 모드(normally white mode)라 한다.
따라서, 제1 공통 전극(504)과 제1 배리어 전극(510) 간에 액정이 동작하는 전압차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액정층(508)이 배리어층(500)의 두께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정렬한다. 이때, 제2 공통 전극(514)과 제2 배리어 전극(520)은 전압 무인가 상태이므로 제2 편광판(526)에 의해 선 편광된 빛은 제2 액정층(518)을 통과하면서 90°틀어진다. 그리고, 90°틀어진 빛은 제1 액정층(508)을 통과하면서 편광축을 그대로 유지하여 제1 편광판(524)을 투과하지 못하고 차단된다. 그 결과, 제1 배리어 전극(510)이 위치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공통 전극(514)과 제2 배리어 전극(520) 간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2 배리어 전극(520)이 위치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로서, 시간에 따른 표시부(100) 및 배리어층(500)의 영역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 및 배리어층(5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의 한 프레임 기간 동안만 도시하였다. 임의의 한 프레임은 기간(T11) 및 기간(T12)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기간(T11)은 주사 방향으로 좌우 영상(LR)과 우좌 영상(RL) 순으로 교대로 표시된다. 기간(T11)은 기입 기간(W11)과 유지 기간(H11)으로 구분된다. 기간(T11) 동안에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어 좌우 영상(LR) 및 우좌 영상(RL) 순으로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분리되어 투사되도록 한다. 즉, 배리어층(500)은 복수의 제1 서브 전극(510a_1~510a_4)이 형성된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면 좌우 영상(LR)을 사용자에게 투사시키기 적합하고, 복수의 제2 서브 전극(510b_1~510b_4)이 형성된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면 우좌 영상을 사용자게에 투사시키기 적합하다.
기간(T12)은 주사 방향으로 우좌 영상(RL)과 좌우 영상(LR) 순으로 교대로 표시된다. 기간(T12)은 기입 기간(W12)과 유지 기간(H12)으로 구분된다. 기간(T12) 동안에는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이 불투과 영역이 되어 우좌 영상(RL) 및 좌우 영상(LR) 순으로 표시된 영상이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으로 분리되어 투사되도록 한다. 즉, 배리어층(500)은 복수의 제3 서브 전극(520a_1~520a_4)이 형성된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면 우좌 영상(RL)을 사용자에게 투사시키기 적합하고, 복수의 제4 서브 전극(520b_1~520b_4)이 형성된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면 좌우 영상(LR)을 사용자에게 투사시키기 적합하다.
그리고, 도 6에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이 불투과 영역일 때 표시부(100)의 위부터 아래 방향으로 좌우 영상(LR) 및 우좌 영상(RL)이 표시되었 을 때 영역(A1, A2, A3, A4) 각각에 표시된 영상을 'B1, B2, B3, B4'로 도시한다. 따라서, 영상(B1, B2, B3, B4) 각각은 좌우 영상(LR) 및 우좌 영상(RL) 순으로 표시된 영상이다. 반대로,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이 불투과 영역일 때 표시부(100)의 위부터 아래 방향으로 우좌 영상(RL) 및 좌우 영상(LR)이 표시되었을 때 영역(A1, A2, A3, A4) 각각에 표시된 영상을 'C1, C2, C3, C4'로 도시한다. 따라서, 영상(C1, C2, C3, C4) 각각은 우좌 영상(RL) 및 좌우 영상(LR) 순으로 표시된 영상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00)에 전달되는 주사 신호(S1~S8)를 나타낸 도면이다. 주사 신호(S1~S8)는 순차적으로 활성화되며, 각 주사 신호(S1~S8)의 활성화 시점에 동기되어 표시부(100)에 영상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은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불투과 영역이 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입 기간(W11) 동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전 프레임에서 복수의 영역(A1, A2, A3, A4)에 각각 영상(B1, B2, B3, B4)이 유지된다. 기간(T111) 동안 주사 신호(S1)가 인가되면, 영역(A1)의 제1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이때, 영역(A1)에서 주사 신호(S1)가 전달되는 복수의 화소(110)에는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그러나 영역(A1)은 제1 배리어 전극(510_1)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므로, 주사 신호(S1)에 대응하는 배리어층(500)은 좌우 영상(LR)을 투사시키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즉, 기간(T111) 동안 기입되는 영상을 투 사시키기에 적합한 형태가 아니다. 만약 주사 신호(S1)가 인가되는 시점에 제2 배리어 전극(520_1)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면, 주사 신호(S2)가 인가되는 주사선에 연결된 복수의 화소(110)에는 우좌 영상(RL)이 기입되어 있어, 배리어층(500)은 우좌 영상(RL)을 투사시키기에 적합한 형태가 아니다. 이와 같이 기입되는 영상과 배리어층(500)이 서로 적합하지 않은 경우, 열화된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영역(A1, A2, A3, A4)에 대응하는 표시부(100)의 영역에 새로운 데이터가 기입되는 동안 해당 영역(A1, A2, A3, A4)의 배리어층(500)을 불투과 영역으로 만들어 열화된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지 않도록 한다. 즉, 해당 영역(A1, A2, A3, A4)에 대응하는 표시부(100)의 영역에 첫번째 주사 신호가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해당 영역(A1, A2, A3, A4)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 다음, 기간(T112) 동안 주사 신호(S2)가 인가되면 영역(A1)의 제2 행에 좌우 영상(LR)이 기입된다. 좌우 영상(LR)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1)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 다음, 기간(T113) 동안 주사 신호(S3)가 인가되면 영역(A2)의 제1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이때, 영역(A2)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되어 영역(A2)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 다음, 기간(T114) 동안 주사 신호(S4)가 인가되면 영역(A2)의 제2 행에 좌우 영상(LR)이 기입된다. 좌우 영상(LR)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2)의 제1 배리어 전극(510_2)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 다음, 기간(T115) 동안 주사 신호(S5)가 인가되면 영역(A3)의 제1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이때, 영역(A3)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되어 영역(A3)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 다음, 기간(T116) 동안 주사 신호(S6)가 인가되면 영역(A3)의 제2 행에 좌우 영상(LR)이 기입된다. 좌우 영상(LR)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3)의 제1 배리어 전극(510_3)에 대응하는 영역은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 다음, 기간(T117) 동안 주사 신호(S7)가 인가되면 영역(A4)의 제1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이때, 영역(A4)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되어 영역(A4)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 다음, 기간(T118) 동안 주사 신호(S8)가 인가되면 영역(A4)의 제2 행에 좌우 영상(LR)이 기입된다. 좌우 영상(LR)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4)의 제1 배리어 전극(510_4)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다음으로, 기입 기간(W12) 동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기간(T121) 동안 주사 신호(S1)가 인가되면 영역(A1)의 제1 행에 좌우 영상(LR)이 기입된다. 이때, 영역(A1)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되어 영역(A1)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 다음, 기간(T122) 동안 주사 신호(S2)가 인가되면 영역(A1)의 제2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우좌 영상(RL)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1)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 다음, 기간(T123) 동안 주사 신호(S3)가 인가되면 영역(A2)의 제1 행에 좌우 영상(LR)이 기입된다. 이때, 영역(A2)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되어 영역(A2)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 다음, 기간(T124) 동안 주사 신호(S4)가 인가되면 영역(A2)의 제2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우좌 영상(RL)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2)의 제2 배리어 전극(520_2)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 다 음, 기간(T125) 동안 주사 신호(S5)가 인가되면 영역(A3)의 제1 행에 좌우 영상(LR)을 기입한다. 이때, 영역(A3)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되어 영역(A3)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 다음, 기간(T126) 동안 주사 신호(S6)가 인가되면 영역(A3)의 제2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우좌 영상(RL)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3)의 제2 배리어 전극(520_3)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그 다음, 기간(T127) 동안 주사 신호(S7)가 인가되면 영역(A4)의 제1 행에 좌우 영상(LR)이 기입된다. 이때, 영역(A4)의 배리어층(500)은 불투과 영역이 되어 영역(A4)의 영상이 차단된다. 그 다음, 기간(T128) 동안 주사 신호(S8)가 인가되면 영역(A4)의 제2 행에 우좌 영상(RL)이 기입된다. 우좌 영상(RL)의 기입이 완료되면 영역(A4)의 제2 배리어 전극(520_4)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510_1~510_4)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520_1~520_4)이 각각 2 행으로 형성되고,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어 좌우 영상(LR)과 우좌 영상(RL)이 서로 이웃하게 표시된다. 그런데, 영역(A1, A2, A3, A4) 전부에 좌우 영상(LR)과 우좌 영상(RL)의 배열 순서를 동일하게 하는 경우 배열 순서가 반복적으로 교차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가 표시부(100)를 볼 때 크로스토크가 발생하는 영역이 7개가 된다. 따라서, 해상도가 저하될 수 있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가 제안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구동 방법에서 영상의 표시 순서를 다르게 한 것이다. 도 6과 동일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간략하게 비교하여 설명하면, 도 6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영역(A1, A2, A3, A4)에 순차적으로 좌우 영상(LR)과 우좌 영상(RL)을 교대로 기입된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영역(A1)에 좌우 영상(LR)과 우좌 영상(RL) 순서로 기입되었다면, 영역(A2)에는 우좌 영상(RL)과 좌우 영상(LR) 순서로 기입된다. 계속해서, 영역(A3)에는 좌우 영상(LR)과 우좌 영상(RL) 순서로 기입되고, 영역(A4)에는 우좌 영상(RL)과 좌우 영상(LR) 순서로 기입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동일한 영상이 연속해서 표시되도록 하여 크로스토크 발생 영역을 4개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한 화소의 등가 회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입체 영상 표시 장치의 시분할 구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층(500)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리어층(500)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00)에 전달되는 주사 신호(S1~S8)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에서의 크로스토크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Claims (28)

  1.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및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가 전달되는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된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층은,
    제1 층에 위치한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및
    상기 제1 층과 다른 제2 층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서브 전극과 어긋나게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3 및 제4 서브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을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리어 전극과 상기 제2 배리어 전극 간에 중첩되는 영역이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전자 영상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전극은 제1 행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서브 전극은 상기 제1 행과 인접한 제2 행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영상 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영상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행 방향으로 소정의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 중 대응하는두 개의 제1 서브 전극 각각의 모서리에 닿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행 방향으로 상기 제1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자 영상 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과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전자 영상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태로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은 상기 제1 행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은 상기 제2 행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 영상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영상 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제1 행 방향으로 소정의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 중 대응하는두 개의 제3 서브 전극 각각의 모서리와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행 방향으로 상기 제2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전자 영상 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인접한 제2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과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한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전자 영상 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의 꼭지점과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계단 형태로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3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4 서브 전극의 꼭지점을 "┓" 및 "┏" 모양으로 들어가게 형성하는 전자 영상 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층은,
    제1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2 기판과 제2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3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아래 면 전체에 형성되는 제1 공통 전극; 및
    상기 제2 기판의 아래 면 전체에 형성되는 제2 공통 전극
    을 더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은 상기 제2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은 상기 제3 기판의 윗면에 형성되는 전자 영상 기기.
  20.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및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가 전달되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리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한 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되는 제1 기간을 적어도 두 개의 제2 기간 및 제3 기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의 복수의 표시 영역에는 제1 순서로 합성된 제1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와 다른 제2 순서로 합성된 제2 입체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3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4 입체 영상이 교대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 및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은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각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사선에 상기 주사 신호가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 및 상기 제3 기간 사이에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1 입체 영상 및 상기 제2 입체 영상이 표시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주사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음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간 및 상기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 사이에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3 입체 영상 및 상기 제4 입체 영상이 표시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인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간 동안,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최초의 상기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대응하는 상기 최초의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영역이 상기 주사 방향으로 인접하는 다음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최초의 주사 신호에 동기되어 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5. 복수의 주사선과 복수의 데이터선 및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주사 신호가 전달되는 주사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리어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주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 및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을 포함하는 배리어층을 포함하고, 한 프레임을 적어도 제1 및 제2 기간으로 구분하여 동작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 영역중 복수의 제1 표시 영역 각각에 제1 순서로 합성된 제1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와 다른 제2 순서로 합성된 제2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주사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 표시 영역 각각과인접한 복수의 제2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3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4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은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상기 주사 신호가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 표시 영역 각각에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5 입체 영상과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6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2 표시 영역에는 상기 제1 순서로 합성된 제7 입체 영상과 상기 제2 순서로 합성된 제8 입체 영상 순서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리어 영역 각각의 상기 복수의 제1 배리어 전극에 대응하는 영역이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 동안,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은 상기 주사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배리어 영역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주사선에 상기 주사 신호가 최초로 인가되는 시점에 동기되어 순차적으로 불투과 영역이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영상 기기의 구동 방법.
KR1020090035566A 2009-04-23 2009-04-23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002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566A KR101002660B1 (ko) 2009-04-23 2009-04-23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US12/656,263 US8384834B2 (en) 2009-04-23 2010-01-22 Electronic imag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566A KR101002660B1 (ko) 2009-04-23 2009-04-23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906A true KR20100116906A (ko) 2010-11-02
KR101002660B1 KR101002660B1 (ko) 2010-12-20

Family

ID=4299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566A KR101002660B1 (ko) 2009-04-23 2009-04-23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84834B2 (ko)
KR (1) KR1010026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30A (ko) * 2011-07-07 201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0780B (zh) * 2010-10-22 2017-09-22 瑞尔D股份有限公司 分割分段式液晶调制器
KR101773616B1 (ko) * 2011-05-16 2017-09-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처리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8958032B2 (en) * 2011-05-17 2015-02-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CD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I446079B (zh) * 2011-06-29 2014-07-21 Au Optronics Corp 畫素結構及其驅動方法
KR101900372B1 (ko) * 2011-07-19 2018-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92003A (ko) 2012-02-09 2013-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899134B1 (ko) * 2012-04-02 2018-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액정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931085B1 (ko) 2012-09-03 2018-1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9700A1 (ja) * 2002-09-26 2004-04-08 Sharp Kabushiki Kaisha パターン化位相差板、パターン化位相差板の製造方法、2d/3d切替型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2d/3d切替型液晶表示装置
KR20080060950A (ko) 2006-12-27 2008-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를 구동하는 방법
KR100927720B1 (ko) * 2007-08-24 2009-11-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KR100893618B1 (ko) * 2008-03-07 2009-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JP5648361B2 (ja) * 2010-08-10 2015-01-0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830A (ko) * 2011-07-07 2013-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1873475B1 (ko) * 2011-07-07 201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660B1 (ko) 2010-12-20
US20100271346A1 (en) 2010-10-28
US8384834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660B1 (ko) 전자 영상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US8866980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barrier section including a spacer arrangement
US7066599B2 (en) Display unit
CN101782695B (zh) 电子显示装置
US10523927B2 (en) 3D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1043623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US20140104545A1 (en) Display device
JP2012226161A (ja) 表示装置
JP2008083073A (ja) 立体表示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2011043785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KR20120018280A (ko) 광 배리어 소자 및 표시 장치
JP2005010304A (ja) 表示装置、該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用プログラム
JP2012226104A (ja) 表示装置
KR101899134B1 (ko) 듀얼 액정 배리어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20150074495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20075369A (ko) 입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입체 표시 장치
US8854559B2 (en) Display unit and barrier device
US20140226094A1 (en) Display panel, 3-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based on segmented parallax barriers
KR101931331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30265510A1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active optical element thereof
CN103389595A (zh) 显示单元、屏障器件和电子装置
KR102156344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TWI446009B (zh) 顯示裝置及障壁裝置
WO2023206091A1 (zh) 液晶光栅、其驱动方法及3d显示装置
KR102270605B1 (ko) 액정 전계 배리어, 그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