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538A -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538A
KR20100116538A KR1020100034613A KR20100034613A KR20100116538A KR 20100116538 A KR20100116538 A KR 20100116538A KR 1020100034613 A KR1020100034613 A KR 1020100034613A KR 20100034613 A KR20100034613 A KR 20100034613A KR 20100116538 A KR20100116538 A KR 2010011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ssembly
fastener
fuse
sli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871B1 (ko
Inventor
마크 니드즈윅키
윌리엄 라이온스
앤드루 에스. 피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0011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0Adaptation for built-in fuses
    • H01H9/102Fuses mounted on or constituting the movable contact parts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12Adaptation for built-in fuse
    • H01H31/122Fuses mounted on, or constituting the movable contact parts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13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 H01H85/0021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 H01H85/0026Means for preventing damage, e.g. by ambient influences to the fuse water or dustproof devices casings for the fuse and its bas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0Adaptation for built-in fuses
    • H01H2009/108Building a sliding and/or a removable bridging connector f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65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with base contacts adapted or adaptable to fuses of different lenghts; bases with self-aligning contacts; intermediate adaptation pieces

Landscapes

  • Fus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는 한 번에 하나의 퓨즈, 다른 전류 레이팅 용량들을 내부에 가지는 다수의 다른 크기의 퓨즈들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HIGH VOLTAGE SERVICE DISCONNECT ASSEMBLY}
본 출원은 2009. 4. 22일자로 미국특허청에 출원된 미국분할특허출원 제61/171,770호에 대한 우선권과 그것의 이익을 주장하며, 우선권의 모든 내용은 본 발명에 합체된다.
본 출원은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고 전류 전지모듈들이 전기자동차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가 사람들과 전지모듈의 안전한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고전류 전지모듈들을 포함하는 회로에서 개방회로를 생성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왔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가 설계비용을 절감하고 제조를 단순화하는 다중 크기의 퓨즈들을 지지할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더욱이, 본 발명자들은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가 물과 다른 액체들이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바람직함을 인식하였다.
그러므로, 설계비용을 절감하고 제조를 단순화하는 다중 크기의 퓨즈들을 지지하며, 물과 다른 액체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정 구조의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는 제 1 내부 영역(interior region),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fastener holder),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slidable fasteners), 및 제 1 및 제 2 파워 탭(power tab)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제 1 하우징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는 제 1 하우징의 제 1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가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를 통해 연장된 종축(longitudinal axis)을 따라 각각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의 일부분(portion)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의 나머지 부분들은 퓨즈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와 제 1 및 제 2 파워 탭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탭 리셉터클(tab receptacle)을 가지고 있는 제 2 하우징 어셈블리(second housing assembly)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 2 하우징은 제 1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탭 리셉터클은, 전류가 제 1 탭 리셉터클, 제 1 파워 탭, 퓨즈, 제 2 파워 탭, 및 제 2 탭 리셉터클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파워 탭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는 한 번에 하나의 퓨즈, 다른 전류 레이팅 용량을 내부에 가지는 다른 사이즈의 퓨즈 다수 개를 고정적으로 지지하고, 액체가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하우징 어셈블리를 가지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의 전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의 횡-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제 1 전류 레이팅 용량을 가진 제 1 퓨즈를 내부에 가지고 있는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제 2 전류 레이팅 용량을 가진 제 2 퓨즈를 내부에 가지고 있는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제 3 전류 레이팅 용량을 가진 제 3 퓨즈를 내부에 가지고 있는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하나의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하나의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제 2 하우징 어셈블리의 전개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제 2 하우징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하나의 도 10의 제 2 하우징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12는 탭 리셉터클을 내부에 사용하는 구조를 예시한 도 10의 제 2 하우징 어셈블리의 일부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14는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하나의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16은 퓨즈의 위치를 내부에 나타내는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의 단부 모식도이다;
도 17은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패스너 홀더,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 와셔, 및 너트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18은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 와셔, 및 너트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2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탭 부재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탭 부재의 상면 모식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탭 부재의 하면 모식도이다; 및
도 22는 도 1의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를 내부에 가지는 회로와 전압원의 모식도이다.
도 1 내지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가 예시되어 있다.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는 어셈블리(5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와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를 포함하고 있다.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는 소망할 때 사용자가 전압 회로(20) 내부의 개방회로(open circuit)를 얻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회로(20)에서 개방 회로는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로부터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을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어셈블리(10)의 장점은 어셈블리(10)가 한 번에 하나의 퓨즈, 다른 전류 레이팅 용량을 내부에 가지는 다른 사이즈의 퓨즈 다수 개를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어셈블리(10)의 또 다른 장점은 액체가 어셈블리의 내부 영역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어셈블리(10)가 밀봉되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8을 참조하면,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는 하우징(100), 레버(102),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104), 패스너 홀더들(112, 114), 슬라이드 가능한 패스너들 또는 결합 부재들(120, 122), 파워 탭들(130, 132), 버스 바들(134, 136), 퓨즈(150), 와셔들(160, 162), 너트들(164, 166), 및 실링 부재 또는 가스켓(170)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내부 영역(101)을 포함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스너 홀더들(112, 114)은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101)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패스너 홀더들(112, 114)은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이 각각의 패스너 홀더들(112, 114)을 통해 연장된 종축(longitudinal axis) 상의 세로 위치 범위를 따라, 각각 패스너 홀더들(112, 114)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의 일부분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의 나머지 부분들은 퓨즈(150)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와 파워 탭들(130, 132)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인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의 세로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에 각각 결합된 파워 탭들(130, 132)은 다른 전류 레이팅 용량들 및/또는 다른 세로 길이들을 가지는 퓨즈들에 더 결합될 수 있다.
도 3, 17, 18 및 20을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120)는 헤드부 또는 플레이트부(210)를 포함하고 있고, 샤프트부(212)는 헤드부(210)에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부(212)는 상부에 너트(164)를 수납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헤드부(210)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이고 내부 개방 영역(194)의 넓이 "W" 보다 큰 넓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샤프트부(212)가 패스너 홀더(112)의 내부 개방 영역(194)를 통해 배치될 때, 헤드부(210)는 패스너 홀더(112)의 하단 내벽들(190, 192)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더욱이,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12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다른 사이즈의 퓨즈들과 결합되도록 사용자 또는 어셈블리 디바이스에 의해 종축(171)을 따라 이동하고 있다.
도 17, 20, 및 21을 참조하면, 패스너 홀더(112)는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120)가 퓨즈(150)의 전극단자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120)의 헤드부(210)를 지지하고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120)가 종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패스너 홀더(114)는 패스너 홀더(112)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패스너 홀더(112)는 외부 측벽들(180, 182, 184, 185)을 포함하고 있다. 외부 측벽들(180, 184)은 서로 평행하게 개재되어 있고, 외부 측벽들(182, 185)은 서로 평행하게 개재되어 있고 외부 측벽들(180, 184)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하단 내벽(190)은 외벽(180)에 결합되어 있고, 하단 내벽(192)은 외벽(184)에 결합되어 있다. 하단 내벽(190), 외벽(182), 하단 내벽(192), 및 외벽(185)은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120)의 샤프트 부(212)를 수납하기 위해 관통하는 개구 영역(194)을 포함하고 있다. 고정 레그들(securing legs, 186, 188)은 외부 측벽들(180, 184)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어 있고, 어셈블리(10) 내부에서 패스너 홀더(112)를 위치시키고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실시예에서, 퓨즈(150)는 본체부(153)와 본체부(153)의 양 단부들에 결합된 전극단자들(154, 155)을 가지고 있다. 전극단자들(154, 155)은 각각 관통하여 연장된 개구들(apertures, 156, 157)을 가지고 있다. 퓨즈(150)는 관통하는 전류 흐름이 관통하는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문턱값 전류 레벨(threshold current level) 보다 클 때 개방하는 정상 패쇄 퓨즈(normally-closed fuse)이다. 물론,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퓨즈 타입들이 어셈블리(10)에 사용되기 위해 고려된다.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 내부에 패스너 홀더들(112, 114)을 사용함으로써,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 (120, 122)사이의 세로 거리(longitudinal distance)는 패스너 홀더들(112, 114) 내부에서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을 각각 세로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특히,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은 퓨즈(150)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들(154, 155)에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이 부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패스너 홀더들(112, 114) 내부에서 제 1 및 제 2 세로 위치로 각각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퓨즈(150)는 제 1 전류 레이팅 용량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1 전류 레이팅 용량은 100-400 암페어(amps)의 범위에 있고, 물론, 더 높거나 낮은 전류 레이팅 용량이 고려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특히,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은 다른 퓨즈(151)의 제 3 및 제 4 전극단자에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 (120, 122)이 부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패스너 홀더들(112, 114) 내부에서 각각 제 3 및 제 4 세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퓨즈(151)는 퓨즈(150)의 제 1 전류 레이팅 용량보다 큰 제 2 전류 레이팅 용량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퓨즈(151)는 퓨즈(150)와 다른 세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어셈블리(10)는 다른 전류 레이팅 용량들 및/또는 다른 세로 길이들을 가지는 퓨즈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18을 참조하면, 너트들(164, 166)은 파워 탭들 (130, 132)을 퓨즈(150)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 (154, 155)에 각각 고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120, 122)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 부위들을 각각 내부에 수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18을 참조하면, 파워 탭들(130, 132) 은 퓨즈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들(154, 155)을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의 탭 리셉터클들(310, 312)과 분리가능하게 전기적 결합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파워 탭들(130, 132)의 구조는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단지 파워 탭(130)의 구조가 하기에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파워 탭(130)은 금속으로 구성된 L-형상 브라켓이다. 특히, 파워 탭(130)은 플레이트부(plate portion, 133)에 수직으로 배치된 플레이트부(135)와 결합된 플레이트부(133)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부(135)는 관통한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120)의 샤프트부(212)를 수납하기 위해 관통하여 연장된 개구(137)를 가지고 있다.
도 9 내지 15를 참조하면,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는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는 하우징(300), 탭 리셉터클들(310, 312), 파워 단자들(316, 318), 제 2 록크들(secondary locks, 320, 322), 고전압 인터록 부재들(330, 332), 및 파워 케이블들(340, 342)을 포함하고 있다. 탭 리셉터클들(310, 312)은 하우징(300)에 결합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하우징(300)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탭 리셉터클들(310, 312)은 전류가 탭 리셉터클(310), 파워 탭(130), 퓨즈(150), 파워 탭(132), 및 탭 리셉터클(312)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파워 탭들(130, 132)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9, 및 22를 참조하면, 파워 단자들(power terminals, 316, 318)은 탭 리셉터클들(310, 312)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 결합되어 있다. 더욱이, 파워 단자들(316, 318)은 파워 케이블들(power cables, 340, 342)에 대해 각각 전기적 결합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체가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의 내부 영역(10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들(100, 300)이 함께 결합될 때, 제1 하우징 어셈블리(50)의 실링 부재 또는 실링 가스켓(170)은 하우징들(100, 300) 모두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압원(voltage source, 405)을 가지고 직렬로 전기적 결합된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를 가지고 있는 전기회로(20)가 예시되어 있다. 파워 탭들(130, 132)이 탭 리셉터클들(310, 312)로부터 각각 분리되도록,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가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와 분리될 때,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는 개방 작동 조건을 가지며 전류는 회로(20)를 통해 흐르지 않는다. 더욱이, 파워 탭들(130, 132)이 탭 리셉터클들(310, 312)로부터 각각 분리되고 퓨즈(150)가 전기적 폐쇄 작동 조건을 가지도록,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가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와 결합될 때,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는 폐쇄 작동 조건을 가지며 전류는 회로(20)를 통해 흐르게 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는 2개의 주요 어셈블리들, 즉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와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는 어셈블리(10)의 하반부(bottom half)이고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를 상부에 수납하는 기본 플러그 형상(basic plug shape)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는 어셈블리(50) 내부에서 수 탭 블레이드들(male tab blades)을 가지고 정합되는 2개의 암(female) 리셉터클 커넥터들을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암(female) 리셉터클 커넥터들은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 내부로 성형되어 있고 또한 파워 케이블들을 어셈블리(10)의 하면방향으로 유도(route)한다. 설계의 또 다른 실시예는, 고전압 인터록(high voltage interlock, HVIL) 또는 기능 모니터링과 같은 추가적 입력을 위한 접속지점들(connection point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르면, 이러한 베이스(base)는 먼지와 액체로부터 오염과 충격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 가스켓(perimeter gasket)을 가지고 밀봉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핸들 어셈블리용 가이드 점들을 위해 어셈블리(50)로 사용되는 2개의 보스들(bosses)이 제 2 하우징 어셈블리(52) 내부에 성형된다. 전체 어셈블리(10)를 전지시스템에 패스너들을 사용하여 장착하기 위한 홀들(holes)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제 1 하우징 어셈블리(50)는 일체형 퓨즈를 가진 핸들을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어셈블리(50)는 전지의 특정 사용과 관련된 가장 큰 가용 퓨즈를 수납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핸들이 잠금 위치(locked position)에서 이동할 수 있기 전에 핸들 상에 위치한 커넥터 위치 보장 클립(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이 분리된다. 완전히 개방 위치일 때 레버를 잠금 위치로 하기 위한 핸들 레버와 멈춤부(detent features)를 위한 피봇 보스들(pivot bosses)이 측면 상에 성형되어 있다. 엄지 레버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될 때까지 핸들이 설계 점(designated point)을 지나 당기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핸들이 특정 위치까지 당겨질 때, 정지부(stop feature)로 작동하는 메인 커넥터 본체 (main connector body)에 엄지 분리 가능 레버(thumb releasable lever)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스토리지 시스템이 관련 접촉자를 비활성화하기 전에 엔드 유저(end user)가 어셈블리(52)로부터 어셈블리(50)를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5초의 단전시간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준다. 이것은 또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전기 회로 내부에서 접촉기들(contactors)의 에너지를 끊을 수 있기 전에 최종 사용자(end user)가 어셈블리(52)로부터 어셈블리(50)를 무심코 제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특징이다.
어셈블리(50)는 퓨즈, 파워 탭들, 및 패스너 홀더들을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수 파워 탭들(male power tabs)은 어셈블리(52) 내부에서 암 커넥터들(female connectors)을 가지고 정합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들 탭들은 금속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탭들이 90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되고 패스너 홀더 피스 상의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것에 더하여 슬롯된 개구를 가지고 있어서, 패스너가 탭들을 패스너 홀더 어셈블리에 대해 공고히 하는 것을 허용한다. 더욱이, 슬롯된 탭들은 또한 볼트가 플랫 탭들(flat tabs)에 대해 수직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허용하고 가변된 크기의 퓨즈를 수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패스너 홀더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하단 위치에 물리도록(snaps) 설계되어 있고, 커넥터 베이스(connector base)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져 있다. 2개의 커넥터부들이 스토리지 디바이스 상에 정합될 때 탭들 상부에 위치하고 전기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퓨즈는 패스너들(예를 들어, 나사산 너트(threaded nut) 또는 클립)에 의해 공고해진다. 커넥터들은 부가 기능들(HVIL 루프, 기능 모니터링과 같은)을 위해 단전 서브-어셈블리의 내부에 성형될 수 있다. 실링 가스켓은 또한 먼지 오염과 액체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커넥터 부위 내부로 성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10)는 한 번에 하나의 퓨즈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되어야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퓨즈들이 서로 직렬로 전기적 결합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내부 영역(10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퓨즈들이 파워 탭들(130, 132)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파워 탭들에 전기적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들을 가하고 구성요소들을 균등물로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특정한 상황 또는 소재를 본 발명의 교시에 적용시키기 위해 많은 변형들이 가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는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되기 않고 본 발명이 하기 청구범위의 범주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더욱이, 용어 제 1, 제 2 등의 사용은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한, 용어 a, an 등의 사용은 양적인 한정을 내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시된 항목들의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의미한다.

Claims (9)

  1.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high voltage service disconnect assembly)로서,
    제 1 내부 영역(interior region),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fastener holder),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slidable fasteners), 및 제 1 및 제 2 파워 탭(power tab)을 포함하는 제 1 하우징을 가지고 있는 제 1 하우징 어셈블리(first housing assembly)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는 제 1 하우징의 제 1 내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는 또한,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가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를 통해 연장된 종축(longitudinal axis)을 따라 각각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의 일부분(portion)을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의 나머지 부분들은 퓨즈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와 제 1 및 제 2 파워 탭에 각각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제 1 하우징 어셈블리; 및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 1 및 제 2 탭 리셉터클(tab receptacle)을 가지고 있는 제 2 하우징 어셈블리(second housing assembly)로서, 상기 제 2 하우징은 제 1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류가 제 1 탭 리셉터클, 제 1 파워 탭, 퓨즈, 제 2 파워 탭, 및 제 2 탭 리셉터클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탭 리셉터클은 제 1 및 제 2 파워 탭에 대해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제 2 하우징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들 사이의 세로 거리(longitudinal distance)는, 각각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 내부에서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를 세로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는, 제 1 전류 레이팅 용량(current rating capability)을 가지는 퓨즈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들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가 부착될 수 있게,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 내부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레이팅 용량은 100-400 암페어(am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는, 제 1 전류 레이팅 용량보다 큰 제 2 전류 레이팅 용량을 가지는 또 다른 퓨즈의 제 3 및 제 4 전극단자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가 부착될 수 있게, 제 1 및 제 2 패스너 홀더 내부에서 각각 제 3 및 제 4 위치로 이동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퓨즈를 덮는 단일 하우징(single piece housing)이고, 액체가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 1 내부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하우징이 함께 결합될 때, 제 1 및 제 2 하우징 모두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제 1 실링 가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패스너 부재의 상기 일부분은 각각 제 1 및 제 2 헤드부(head portion)를 포함하고 있고, 제 1 및 제 2 패스너 부재들의 상기 나머지 부분들은 각각 제 1 및 제 2 샤프트부(shaft portion)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헤드부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부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는 각각 제 1 및 제 2 너트(nut)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너트는 제 1 및 제 2 파워 탭을 퓨즈의 제 1 및 제 2 전극단자에 각각 고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가능 패스너의 제 1 및 제 2 샤프트부를 각각 수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 어셈블리와 제 2 하우징 어셈블리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KR1020100034613A 2009-04-22 2010-04-15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KR101077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77009P 2009-04-22 2009-04-22
US61/171,770 2009-04-22
US12/618,822 US8098126B2 (en) 2009-04-22 2009-11-16 High voltage service disconnect assembly
US12/618,822 2009-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538A true KR20100116538A (ko) 2010-11-01
KR101077871B1 KR101077871B1 (ko) 2011-10-28

Family

ID=4299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613A KR101077871B1 (ko) 2009-04-22 2010-04-15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98126B2 (ko)
EP (1) EP2423939B1 (ko)
JP (1) JP5253671B2 (ko)
KR (1) KR101077871B1 (ko)
CN (1) CN102396044B (ko)
WO (1) WO20101232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3412B2 (en) * 2008-06-30 2012-04-24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hereto
US8035986B2 (en) * 2008-06-30 2011-10-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battery cell assemblies thereto
EP2586101B1 (en) * 2010-06-24 2018-07-1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 r.l. Electrical connection bus
US9221343B2 (en) 2011-12-16 2015-12-29 Tesla Motors, Inc. Pyrotechnic high voltage battery disconnect
US9011180B2 (en) 2012-01-26 2015-04-21 Lear Corporation Connector with integrated fuse
CN103199380B (zh) * 2012-07-12 2015-11-18 德尔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一种高压连接器的断开延时结构
FR2996353B1 (fr) * 2012-10-02 2015-08-14 Renault Sa Boitier a fusible pour moteur electriqu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US9297860B2 (en) 2012-12-03 2016-03-29 Lg Chem, Ltd. High voltage service disconnect assembly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solation resistance fault of a battery pack
US9509096B2 (en) * 2013-01-10 2016-11-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anual service disconnects for battery systems
JP5959719B2 (ja) * 2013-03-14 2016-08-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WO2014142246A1 (ja) * 2013-03-14 2014-09-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JP6138560B2 (ja) * 2013-04-15 2017-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9251985B2 (en) * 2013-08-08 2016-02-02 Lg Chem, Ltd. Fuse lock-out assembly for a battery pack
USD735682S1 (en) * 2013-09-17 2015-08-04 Wohner Gmbh & Co. Kg Electrotechnische Systeme Fuse switch disconnector
USD741272S1 (en) * 2013-09-17 2015-10-20 Wo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Fuse switch disconnector
SI2913835T1 (sl) * 2014-02-26 2017-03-31 Woehner GmbH & Co. KG Electronische Systeme Varovalna letev za ločitev bremena za nizkonapetostne močnostne varovalke
US9260080B2 (en) * 2014-04-14 2016-02-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vehicle service disconnect lock
US9362654B2 (en) 2014-05-20 2016-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storage device service interlock
CN105228390B (zh) * 2014-06-11 2018-02-13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
MX2015008579A (es) * 2014-06-30 2016-10-19 Cooper Technologies Co Modulo de fusibles a prueba de toques, capaz de enchufarse, con manija de retiro interconstruida.
US10081261B2 (en) * 2014-10-01 2018-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voltage battery off-board chargers
US9325122B1 (en) * 2014-12-11 2016-04-2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In-line fuse holder with replaceable fuse
US10091902B2 (en) * 2015-11-23 2018-10-0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module for battery distribution assembly
CN105703171B (zh) * 2016-04-08 2018-11-16 赵沙 新能源汽车模块手动保护器
US10446814B2 (en) 2016-10-24 2019-10-15 Fca Us Llc High voltage test and service module with an interlock
CN106504958A (zh) * 2016-12-27 2017-03-15 重庆优之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翻转式拔出的汽车用保险
US10027070B1 (en) 2017-02-28 2018-07-17 Fca Us Llc HVIL plug assembly
CN106848767A (zh) * 2017-03-29 2017-06-13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双保险丝及led组件的保险盒
FR3082994B1 (fr) * 2018-06-22 2020-07-31 Hager Electro Sas Porte-fusibles
US10559933B1 (en) 2018-12-21 2020-02-11 Lear Corporation Manual disconnect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ssembly
KR20210139001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단락 방지용 퓨즈박스 브라켓이 구비된 배터리 팩
EP4064319A1 (en) * 2021-03-24 2022-09-28 Littelfuse, Inc. Attaching an isolated single stud fuse to an electr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6716A (en) * 1932-01-25 1934-07-17 Frank Adam Electric Co Circuit interrupting and protecting apparatus
JPS647557Y2 (ko) * 1981-03-11 1989-02-28
USD298123S (en) * 1985-01-22 1988-10-18 Cambridge Electric Industries plc Fuse holder
US4951385A (en) 1989-05-16 1990-08-28 Desanto Joseph J Electrical harness assembly apparatus
US4966561A (en) * 1989-05-31 1990-10-30 Connectron, Inc. Fuse holders
GB2248139A (en) 1990-08-07 1992-03-25 Chloride Silent Power Ltd High temperature battery terminal provided with heat dissipator to prevent damage to cable insulation
JPH0751724Y2 (ja) * 1991-12-27 1995-11-22 株式会社コーキ ヒューズホルダ
US5842560A (en) * 1996-02-15 1998-12-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Breaker device
US5831228A (en) * 1996-02-15 1998-11-0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Breaker device
JP3132997B2 (ja) 1996-05-17 2001-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ブレーカ装置
US5841337A (en) * 1997-01-17 1998-11-2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Touch safe fuse module and holder
US5850909A (en) 1997-03-20 1998-12-22 Yazaki Corp Switch mechanism for service disconnect
US6146778A (en) 1997-07-25 2000-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state energy storage module employing integrated interconnect board
US6054915A (en) * 1998-02-17 2000-04-25 Cooper Industries, Inc. Compact touchsafe fuseholder with removable fuse carrier
FI104522B (fi) * 1998-04-28 2000-02-15 Abb Control Oy Kytkinvarokerunko
US5932939A (en) 1998-07-22 1999-08-03 Jeffrey S. Houk Electrical service disconnect boxes for conveying power to adjacent electrical appliances such as air conditioners
CA2350456C (en) 1998-11-17 2007-08-21 C & D Technologies, Inc. Selectable capacity fixed footprint lead-acid battery racking system with horizontal plates
GB9825900D0 (en) * 1998-11-27 1999-01-20 Schneider Ltd Fuse handler
JP2000223001A (ja) * 1999-01-27 2000-08-11 Yazaki Corp 電源遮断装置
JP3566573B2 (ja) 1999-03-01 2004-09-1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遮断装置
JP4298867B2 (ja) 1999-09-28 2009-07-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集合型密閉二次電池
US6157287A (en) * 1999-03-03 2000-12-05 Cooper Technologies Company Touch safe fuse module and holder
JP2000311576A (ja) * 1999-04-27 2000-11-07 Yazaki Corp 電源遮断装置
JP3612439B2 (ja) * 1999-05-06 2005-01-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遮断装置
JP3657160B2 (ja) * 1999-08-18 2005-06-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ブレーカ装置
US6407656B1 (en) * 1999-08-18 2002-06-18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Breaker device
JP2001126593A (ja) * 1999-08-18 2001-05-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ブレーカ装置
US6587028B2 (en) * 2000-07-07 2003-07-0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d disconnect switch
US6784783B2 (en) * 2000-10-24 2004-08-3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US6853289B2 (en) * 2000-10-24 2005-02-0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handle for fused disconnect switch
US7091878B2 (en) 2001-02-28 2006-08-15 Landis+Gyr, Inc. Electrical service disconnect having tamper detection
JP4707923B2 (ja) 2002-06-17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JP3990960B2 (ja) 2002-08-30 2007-10-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4272037B2 (ja) * 2003-11-10 2009-06-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DE102004031110B4 (de) * 2004-06-28 2008-02-14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Sicherungsschalter
KR100905391B1 (ko) 2004-12-24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US7294020B2 (en) 2005-05-25 2007-11-13 Alcoa Fujikura Ltd. Canted coil spring power terminal and sequence connection system
KR100684763B1 (ko) 2005-07-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차 전지 모듈의 단위 전지 연결구
JP4690843B2 (ja) 2005-10-06 2011-06-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カ装置
JP4606356B2 (ja) * 2006-03-16 2011-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及び該ヒューズを備えた電源回路遮断装置
KR101260470B1 (ko) 2006-04-07 2013-05-06 타이코에이엠피(유) 배터리 셀 모듈의 접속장치
US8057931B2 (en) 2006-04-18 2011-11-15 Securaplane Technologies, Inc. Battery busing scheme
DE102006022374B4 (de) * 2006-05-12 2014-07-03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Schaltgerät
KR101217459B1 (ko) 2006-09-25 2013-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어셈블리
DE102007023234A1 (de) * 2007-05-18 2008-11-20 Kostal Kontakt Systeme Gmbh Leistungstrennschalter für ein Kraftfahrzeug
JP5014012B2 (ja) 2007-07-31 2012-08-2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2008135404A (ja) 2008-02-25 2008-06-12 Yazaki Corp ヒューズホルダ
EP2112675B1 (de) * 2008-04-01 2014-11-12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Lasttrennschalter
US8163412B2 (en) 2008-06-30 2012-04-24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hereto
US8035986B2 (en) 2008-06-30 2011-10-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battery cell assemblies thereto
US7563137B1 (en) 2008-06-30 2009-07-21 Lg Chem, Ltd. Mechanical fastener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and method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US7578702B1 (en) 2008-06-30 2009-08-25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system
US7893809B2 (en) * 2009-02-19 2011-02-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rvice disconnect assembly for a high voltage electronic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53671B2 (ja) 2013-07-31
KR101077871B1 (ko) 2011-10-28
US8098126B2 (en) 2012-01-17
WO2010123222A2 (ko) 2010-10-28
CN102396044B (zh) 2014-09-24
CN102396044A (zh) 2012-03-28
EP2423939A4 (en) 2014-02-26
JP2012524965A (ja) 2012-10-18
EP2423939A2 (en) 2012-02-29
EP2423939B1 (en) 2015-06-03
US20100271168A1 (en) 2010-10-28
WO2010123222A3 (ko) 201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871B1 (ko) 고전압 서비스 단전 어셈블리
KR102103215B1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장치
KR102146936B1 (ko) 배터리 분배 유닛
KR101553946B1 (ko) 배선용 차단기
CA2892220C (en) Pluggable touch-safe fuse module with built-in removal handle
CN106449329B (zh) 用于配电系统的熔断器保持装置和可配置的总线模块
KR102205733B1 (ko) 밀봉된 모듈형 전원 분배 장치
MX2010012920A (es) Tablero de fusibles de frente sin corriente configurable.
KR102662704B1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 장치
US20240042876A1 (en) Cooling module for a plug connector part, and plug connector part
US8690595B2 (en) Squid connector with coupling feature
KR200402632Y1 (ko) 변류기 케이스
WO2017141191A1 (en) Cove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833435B1 (en) Safety device for battery pack having inserted-typed disconnect member
KR20170034666A (ko) 리시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11611172B2 (en) Busbar design that terminates with sealed connector
KR102666374B1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 장치
US20220359129A1 (en) Manual service disconnect for in-vehicle electric current
US11909192B2 (en) High-voltage junction box wire tray
KR20180086769A (ko) 배터리 시스템용 수동 서비스 분리 장치
US20170345607A1 (en) Fuse module and fusible disconnect switch assembly therefor
JP2015186358A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