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405A - 농작물 지지대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405A
KR20100115405A KR1020090033947A KR20090033947A KR20100115405A KR 20100115405 A KR20100115405 A KR 20100115405A KR 1020090033947 A KR1020090033947 A KR 1020090033947A KR 20090033947 A KR20090033947 A KR 20090033947A KR 20100115405 A KR20100115405 A KR 20100115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member
support
crop
insertion memb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4006B1 (ko
Inventor
심우엽
Original Assignee
심우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우엽 filed Critical 심우엽
Priority to KR102009003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400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4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안쪽 홈이 형성된 제1끼움부재, 복수개의 바깥쪽 홈이 형성된 제2끼움부재 및 2개 이상의 지지봉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농작물 지지대보다 설치가 용이하며 해체 및 보관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농작물, 지지대, 끼움부재, 줄기고정대, PVC, 지지봉, 망고정용 고리

Description

농작물 지지대{Plant Support}
본 발명은 농작물을 지지하여 바람이나 비에 의해 농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성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홈이 파인 복수개의 끼움부재와 복수개의 지지봉을 끼움 장착시켜 공간 활용이 우수하고 해체 및 보관이 편리한 농작물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태풍이 잦고 여름 장마철에 많은 양의 비가 내려 줄기 식물을 포함한 각종 작물이 바람과 비에 의해 쓰러지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농작물이 자연 재해에 의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농작물이 위로 성장함에 따라 그 성장을 도와줄 수 있는 지지대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말뚝을 박고 줄을 엮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줄이 농작물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설치하는데 많은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둥근 고리와 그것을 지탱하는 다리로 구성되어 있는 삼발이 모양의 지지대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활용 면에서 효과적이지 않았고, 고리와 다리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되지 않아 보관에 필요한 공간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29586호는 지지대와 분리가 가능한 파지구를 설치하여 신속,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농작물 지지대를 개시하고 있으나, 농작물의 높이에 따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24003호는 고정판 내부의 고정구멍에 기둥을 삽입시키고 기둥과 기둥간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연결시킨 농작물 지지대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는 농작물의 종류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고정구멍에 기둥이나 지지대의 연결부를 삽입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고정판이 흘러내릴 수 있고 고정판의 높이 조절로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일정한 한계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안된 것으로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일정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부재와 복수개의 지지봉으로 단순 끼움방식으로 용이하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고 보관상 많은 공간을 차지 않는 농작물 지지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농작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지지대의 설치 높이 및 모양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농작물 지지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는 복수개의 안쪽 홈이 각각 형성된 상측 제1끼움부재와 하측 제1끼움부재;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및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의 대응되는 안쪽 홈에 끼움 장착된 2개 이상의 지지봉; 및 복수개의 바깥쪽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와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 사이에서 상기 각 지지봉을 외측에서 끼움 장착시킨 제2끼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및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는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폭의 내측에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이 형성된 동일한 형상의 원형 링이고, 상기 제2끼움부재는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진 원형 링으로 외경이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또는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 이상의 지지봉에는 하나 이상의 줄기 고정대가 더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농작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상기 농작물 지지대를 단위지지대로 하여 이를 2개 이상 적층하여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단위지지대 적층은 하측 단위지지대의 상측 제1끼움부재의 미끼움된 안쪽 홈에 상측 단위지지대의 돌출된 각 지지봉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적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적층된 농작물 지지대는 덩굴식물에 적합하도록 변형이 가능한데, 상기 단위지지대에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위에서 2개의 지지봉에 삽입 체결된 최상단 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단 고정대의 가운데에는 수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상단 고정대의 수직 관통공에 이웃 단위지지대를 고정시키며 덩굴이 타고 올라올 수 있도록 삽입 체결되는 중앙부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작물 지지대는 상기 단위지지대의 내부에 형성되는 덩굴유도용 지지대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덩굴 식물이 퍼져 나갈 수 있도록 망고정용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지지봉을 각각 수직으로 제1끼움부재의 안쪽 홈과 제2끼움부재의 바깥쪽 홈에 교대로 끼움 장착함으로써, 튼튼한 구조로 용이하게 조립설치할 수 있고, 해체도 용이하며, 해체된 각 끼움부재와 지지봉으로 보관하면 되므로 보관상 차지하는 면적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1, 2 끼움부재 및 지지봉으로 구성된 단위지지대를 반복 적층함으로써, 농작물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지지대의 설치 높이를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으며, 제1끼움부재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을 이용하면 다양한 모양 및 기능을 갖는 구조로의 변형도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끼움부재를 지지봉 양측에 끼움 장착한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끼움부재를 지지봉 양측에 끼움 장착한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이 각각 제1끼움부재 및 제2끼움부재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예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에 기움 장착되 는 줄기 고정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줄기 고정대가 끼워진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a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를 2층으로 적층시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망고정용고리가 체결되는 위치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에 망을 걸친 모습을 보여주는 일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는, 우선 도 1a와 같이, 2개 이상의 지지봉(20)을 지면(1)에 수직으로 세우고, 도 2와 같이, 상측 제1끼움부재(10a)와 하측 제1끼움부재(1b)를 각각 끼우며 안쪽 홈(12)에 지지봉(20)을 밀어서 끼움 장착시킨 후,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1a)와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1b) 사이에 제2끼움부재(30)를 수직으로 세워서 2개 이상의 지지봉(20) 사이에 넣고 비틀어 수평으로 하면, 결국 도 3과 같이, 상기 각 지지봉(20)은 바깥쪽 홈(32)의 외측에서 밀려 끼움 장착되며 조립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는 또 다른 형태로, 도 1b와 같이, 2개 이상의 지지봉(20)을 지면(1)에 수직으로 세우고, 도 2와 같이, 복수개의 안쪽 홈(12)이 형성된 제1끼움부재(10)를 상기 2개 이상의 지지봉(20)에 끼운 다음, 상기 2개 이상의 지지봉(20)의 일측에 복수개의 바깥쪽 홈(32)이 형성된 상측 제2끼움부재(30a) 또는 하측 제2끼움부재(30b)를, 도 3과 같이 끼움방식으로 체결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지지봉(20)의 반대측에 하측 제2끼움부재(30b) 또는 상측 제2끼움부재(30a)를 수직으로 세워서 2개 이상의 지지봉(20) 사이에 넣고 비틀어 수평으로 하면, 결국 도 3과 같이, 상기 각 지지봉(20)은 바깥쪽 홈(32)의 외측에서 밀려 끼움 장착되며 조립된다.
명세서 내에서 도면부호 10a 및 10b는 모두 제1끼움부재(10)를 나타내고 전자는 상측에 위치된 것을 후자는 하측에 위치된 것을 가리키는데 불과하고, 도면부호 30a 및 30b도 모두 제2끼움부재(30)를 나타내고 전자는 상측에 위치된 것을 후자는 하측에 위치된 것을 가리키는데 불과하다.
상기 제1끼움부재(10: 10a, 10b)는 복수개의 수직관통공(14)과 안쪽으로 복수개의 둥근 홈(12; 이하, '안쪽 홈'이라 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관통공(14) 및 안쪽 홈(12)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달리 할 수 있으나 각각 2개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끼움부재(30: 30a, 30b)는 제1끼움부재와 달리 수직관통공이 없으며 바깥 쪽에 복수개의 둥근 홈(32; 이하, '바깥쪽 홈'이라 함)이 파인 형태를 하고 있다.
상기 지지봉(20)이 제1끼움부재(10) 및 제2끼움부재(30)에 끼워지는 방법을 도 2 및 도 3에 각각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3과 같이, 상기 지지봉(20)은 제1끼움부재(10)의 내측에서 제1끼움부재의 안쪽 홈(12)으로 밀어서 끼워지고, 제2끼움부재(30)의 경우에는 외측에서 제2끼움부재의 바깥쪽 홈(32)에 밀어서 끼워진다.
이러한 상기 제1끼움부재(10) 및 제2끼움부재(3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PVC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끼움부재(10)의 안쪽 홈(12)이나, 상기 제2끼움부재(30)의 바깥 쪽 홈(32)의 입구는, 도 2 및 도 3와 같이, 지지봉(20)의 직경보다 작지만 제1끼움부재(10) 및 제2끼움부재(30)의 탄력을 이용해 밀어서 끼울 수 있고, 끼워진 후에는 지지봉이 홈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2 끼움부재(10)(30)는 PVC를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10a) 및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10b) 즉, 제1끼움부재(10)는, 도 1a와 같이,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폭의 내측에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14)이 형성된 동일한 형상의 원형 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끼움부재(30)도, 도 1b와 같이,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진 원형 링일 수 있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끼움부재(30)의 외경(D2)은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10a) 또는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10b) 즉, 제1끼움부재(10)의 내경(D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제1끼움부재(10)의 내경인 D1은 제2끼움부재(30)의 외경인 D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1a와 같은 실시예에서, D1과 D2가 같을 경우 상측 제1끼움부재(10a)와 하측 제1끼움부재(10b) 사이에 위치한 제2끼움부재(30)가 지지봉(20)에 장착된 상태가 견고하지 않게 되어 제2끼움부재(30)가 흘러내릴 수 있고, 반대로 D1이 D2보다 큰 경우에는 지지봉(20)이 제2끼움부재(30)의 바깥쪽 홈(32)에 잘 끼워지지 않고 끼워졌더라도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2끼움부재(30)의 외경(D2)을 제1끼움부재(10)의 내경(D1)보다 크게 하고, 안쪽 홈(12)이 형성된 제1끼움부재(10: 10a, 10b)와 바깥쪽 홈(32)이 형성된 제2끼움부재(30)를 번갈아 가며 지지봉(20)에 끼울 경우, 도 1a와 같은 실시예서는 지지봉(20)이 제2끼움부재(30) 부근에서 약간 바깥쪽으로 휘게 되고, 이렇게 휘어진 지지봉(20)은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생겨 상, 하측 제1끼움부재(10a, 10b)의 안쪽 홈(12) 및 제2끼움부재(30)의 바깥쪽 홈(32)의 각 내부로 힘이 전달되어 지지봉(20)이 각 홈(12, 32)에 더욱 견고하게 끼움 장착된다.
도 1b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원리로, 가운데 위치한 제1끼움부재(10) 부근에서 약간 안쪽으로 휘게 되고, 이렇게 휘어진 지지봉(20)은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생겨 제1끼움부재(10)의 안쪽 홈(12) 및 상, 하측 제2끼움부재(30a, 30b)의 바깥쪽 홈(32)의 각 내부로 힘이 전달되어 지지봉(20)이 각 홈(12, 32)에 더욱 견고하게 끼움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도 끼움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해체시에는, 상측 끼움부재만 약간의 힘을 주어 빼면 나머진 쉽게 해체 가능하다. 해체 후 보관시에는 끼움부재는 끼움부재끼리, 지지봉은 지지봉끼리 쌓아 보관하면 되므로, 보관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은 장점도 있다.
상기 지지봉(20)는 아연도 철선이 바람직하나, 탄성력을 가진 소재면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 굵기나 길이도 지지될 농작물의 중량이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나, 하나의 구체인 예로 0.8 ∼ 2.0cm의 직경과 50~100c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봉(20)에는, 도 5와 같이, 끼움부재 사이에 줄기 고정대(40)가 하나 이상 더 끼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줄기 고정대(40)는, 도 4와 같이, 지지봉(20)에 끼울 수 있는 요홈(42)과 상기 요홈을 형성하는 단턱(44), 농작물의 줄기를 팔랑개비 방향으로 돌려서 그 내부 공간(48)에 줄기가 위치되도록 구부러진 모양(4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의한 실시예로 가지를 지지하고 있는 모습을 도 6에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가지나 토마토 등 줄기식물로 된 농작물은 도 1a 또는 도 1b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를 지면(1)에 꽂아 설치한 다음, 농작물의 성장에 맞추어 상기 줄기 고정대(40)를 하나씩 지지봉(20)에 체결시켜 줄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줄기 고정대(40)도 끼움부재와 마찬가지로 PVC로 제조함이 바람직하나 요홈에 탄성을 줄 수 있는 소재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도 7과 같이, 도 1a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를 단위지지대(100a, 100b)로 하여 두개 이상 적층시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덩굴식물 농작물을 지지하기에 적합한데, 상기 단위지지대(100a, 100b)의 적층은 하측 단위지지대(100b)의 상측 제1끼움부재(10a)의 미끼움된 안쪽 홈(12)에 상측 단위지지대(100a)의 돌출된 각 지지봉(22)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즉, 상측 단위지지대(100a)를 약간 돌려 하측 단위지지대(100b)의 상측 제1끼움부재(10a)의 미끼움된 안쪽 홈(12)에 상측 단위지지대(100a)의 돌출된 각 지지봉(22)을 삽입시키며 적층할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대(100a, 100b)에는, 도 7과 같이, 각각 상측 제1끼움부재(10a) 위에서 2개의 지지봉(20)에 삽입 체결된 최상단 고정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단 고정대(50)의 가운데에는 수직 관통공(5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상단 고정대의 수직 관통공(54)에는 이웃 단위지지대를 고정시키며 덩굴이 타고 올라올 수 있도록 중앙부 지지대(60)가 더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지지대(100a, 100b)를 이루는 상측 제1끼움부재(10a) 및 하측 제1끼움부재(10b)의 폭 내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14)에는, 도 7과 같이, 제2끼움부재(30)의 내부 공간(36)을 통과하며 상, 하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덩굴유도용 지지대(70)가 하나 이상 더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특히 도 7과 같이, X자 형의 트러스 형태로 덩굴유도용 지지대(70)를 구비할 경우 덩굴 유도뿐만 아니라 농작물 중량에 따른 지지대 변형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농작물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철선 등으로 된 덩굴유도용 지지대(70)가 자체 하중에 의한 밀림 방지를 하기 위하여 하측 끝단부에 아연도 지지캡(72)을 끼워 상기 수직 관통공(14)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단위지지대(100a, 100b)를 이루는 상측 제1끼움부재(10a) 또는 하측 제1끼움부재(10b)의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14)에는, 도 7과 같이, 망고정용고리(80)가 하나 이상 더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망고정용 고리(80)가 끼워지는 개략적인 모습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망고정용 고리(80)를 설치함으로써, 여기에 아연도 메탈라스 망 또는 섬유 등의 망을 용이하게 걸칠 수 있고, 이렇게 되면 덩굴 식물이 퍼져 나가기에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확시에도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에 이러한 망(90)이 걸쳐진 하나의 구체예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끼움부재를 지지봉 양측에 끼움 장착한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제2끼움부재를 지지봉 양측에 끼움 장착한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이 각각 제1끼움부재 및 제2끼움부재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보여주는 일예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지지봉에 기움 장착되는 줄기 고정대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줄기 고정대가 끼워진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지지대의 일실시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a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를 2층으로 적층시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망고정용고리가 체결되는 위치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에 의한 농작물 지지대에 망을 걸친 모습을 보여주는 일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상측 제1끼움부재 10b: 하측 제1끼움부재
12: 제1끼움부재의 안쪽 홈 14: 제1끼움부재의 수직관통공
20: 지지봉 30: 제2끼움부재
32: 제2끼움부재의 바깥쪽 홈 40: 줄기 고정대
50: 최상단 고정대 60: 중앙부 지지대
54: 최상단 고정대의 수직관통공 70 : 덩굴유도용 지지대
72: 아연도 지지캡 80: 망고정용 고리

Claims (9)

  1. 복수개의 안쪽 홈이 각각 형성된 상측 제1끼움부재와 하측 제1끼움부재;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및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의 대응되는 안쪽 홈에 끼움 장착된 2개 이상의 지지봉; 및
    복수개의 바깥쪽 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와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 사이에서 상기 각 지지봉을 외측에서 끼움 장착시킨 제2끼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2. 복수개의 안쪽 홈이 형성된 제1끼움부재;
    상기 제1끼움부재의 안쪽 홈에 끼움 장착된 2개 이상의 지지봉;
    복수개의 바깥쪽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끼움부재의 상, 하 양측에서 상기 각 지지봉을 외측에서 끼움 장착시킨 상측 제2끼움부재와 하측 제2끼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및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는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지고 폭의 내측에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이 형성된 동일한 형상의 원형 링이고,
    상기 제2끼움부재는 두께보다 넓은 폭을 가진 원형 링으로 외경이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또는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의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지지봉에는 하나 이상의 줄기 고정대가 더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 상기 제2끼움부재 및 상기 줄기 고정대는 PVC 재질로 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지지봉은 아연도 철선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 상기 2개 이상의 지지봉 및 상기 제2끼움부재를 포함하여 단위지지대를 구성하고,
    상기 단위지지대가 2개이상 적층되어 구성되되,
    상기 단위지지대 적층은 하측 단위지지대의 상측 제1끼움부재의 미끼움된 안쪽 홈에 상측 단위지지대의 돌출된 각 지지봉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에는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위에서 2개의 지지봉에 삽입 체결된 최상단 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상단 고정대의 가운데에는 수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최상단 고정대의 수직 관통공에는 이웃 단위지지대를 고정시키며 덩굴이 타고 올라올 수 있도록 중앙부 지지대가 더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를 이루는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및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의 폭 내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에는 상, 하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덩굴유도용 지지대가 하나 이상 더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대를 이루는 상기 상측 제1끼움부재 또는 상기 하측 제1끼움부재의 상기 복수개의 수직 관통공에는 망고정용고리가 하나 이상 더 삽입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지대.
KR1020090033947A 2009-04-20 2009-04-20 농작물 지지대 KR10113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947A KR101134006B1 (ko) 2009-04-20 2009-04-20 농작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947A KR101134006B1 (ko) 2009-04-20 2009-04-20 농작물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405A true KR20100115405A (ko) 2010-10-28
KR101134006B1 KR101134006B1 (ko) 2012-04-05

Family

ID=4313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947A KR101134006B1 (ko) 2009-04-20 2009-04-20 농작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4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8752A (zh) * 2018-11-13 2019-02-15 原珍 一种用于番茄种植的多功能支撑架
KR102062495B1 (ko) * 2019-06-28 2020-01-03 장세원 식물 재배장치
KR20220022415A (ko) * 2020-08-18 2022-02-25 전요한 가정용 과채류 재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611B1 (ko) * 2018-10-19 2020-12-03 김진태 작물 지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0355U (ko) * 1991-01-31 1992-08-31
JPH10262467A (ja) * 1997-03-24 1998-10-06 Daiichi Vinyl Kk 交差部材相互の連結具及びそれを用いる植物支持装置
JPH11127698A (ja) * 1997-10-24 1999-05-18 Satoru Okada 園芸用あんどん組立ブロック
JP2003235366A (ja) * 2002-02-13 2003-08-26 Sekisui Jushi Co Ltd 連結具及びこの連結具を用いた植物支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28752A (zh) * 2018-11-13 2019-02-15 原珍 一种用于番茄种植的多功能支撑架
KR102062495B1 (ko) * 2019-06-28 2020-01-03 장세원 식물 재배장치
KR20220022415A (ko) * 2020-08-18 2022-02-25 전요한 가정용 과채류 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4006B1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178B2 (en) Support for plants
US20220201942A1 (en) Multi-tiered plant growing aid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9265202B2 (en) Plant cage kit
KR101134006B1 (ko) 농작물 지지대
US7188448B2 (en) Plant support clip, kit and method therefor
US6349502B1 (en) Cage for supporting vegetable plants in garden
KR200402153Y1 (ko) 넝쿨식물 재배용 화분
KR101313057B1 (ko) 농작물 지지장치
JP2008079519A (ja) 壁面緑化構造
US8925246B1 (en) Plant trellis system
US8341879B1 (en) Modified plant supporting structure
JP3148053U (ja) 植物支持装置及び植物栽培棚の組み立てセット
US20120017502A1 (en) Vegetable Support Cage
US20220322613A1 (en) Modular Planting System
JP2018019617A (ja) 果樹棚及びその設置方法
EP2486784A2 (en) Apparatus for plant cultivation
KR200457722Y1 (ko) 덩굴식물용 성장 지지대
KR200410894Y1 (ko) 오이 지주대
KR20190003193U (ko) 농작물용 다기능 지주대
CN214628454U (zh) 便于拆装的西红柿植株支撑架
JPH0965771A (ja) 植物栽培用鉄筋支持具
CN220383790U (zh) 一种可支撑的树木保护隔离结构
CN210641610U (zh) 园林景观爬藤装置
CN219322962U (zh) 一种用于农业生产的种植架备
KR20130003696U (ko)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