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611B1 - 작물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작물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611B1
KR102186611B1 KR1020180124807A KR20180124807A KR102186611B1 KR 102186611 B1 KR102186611 B1 KR 102186611B1 KR 1020180124807 A KR1020180124807 A KR 1020180124807A KR 20180124807 A KR20180124807 A KR 20180124807A KR 102186611 B1 KR102186611 B1 KR 102186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leg portions
present
support device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282A (ko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김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태 filed Critical 김진태
Priority to KR102018012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6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4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작물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작물 지지 장치는, 원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절개되어 안쪽방향으로 구부려진 구조로 형성되는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를 지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다리부;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를 끼울 수 있는 원통형의 제1 내지 제 3 결합부(110, 120, 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별도로 묶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물이 올바르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작물 지지 장치{Crop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작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면에 간편히 설치하여 작물을 별도로 묶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고, 작물의 성장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지를 할 수 있는 작물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밭에 작물을 심기 위하여 트랙터나 경운기로 밭을 갈고나서, 로타리 작업을 하고 있다.
그리고 로타리 작업이 끝나면 이랑을 만들고, 다음은 비닐을 피복하고 피복된 비닐의 양단을 복토한 후, 비닐의 소정의 구멍을 형성한 후 거기에 고추 등의 모종을 심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고추나무는 성장하면서 지면에 뿌리를 많이 내리지 못한 상태에서 열매 및 잎이 많이 달려 비바람 등에 쉽게 쓰러져 고추의 수확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어서 긴 막대를 세워서 고추줄기를 묶어 두었다.
그런데 나무로 된 고추 지지대는 지면에 박기가 상당히 힘이 들고 쉽게 파손되어 1회용으로만 사용하고 다음 연도에는 다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최근 들어 고추나무를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한 팩 형상의 플라스틱 고추지지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고추나무 지지대는 막대와 같이 일일이 끈으로 묶어주어야 하고 고추나무의 크기에 따라 줄을 띄울시 줄이 흘러내리어 끈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또한 플라스틱재는 열에 약하여 하절기에 형상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별도로 묶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작물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물이 올바르게 지지되도록 하는 작물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한 작물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는,
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작물 지지 장치로서,
원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절개되어 안쪽방향으로 구부려진 구조로 형성되는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를 지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를 끼울 수 있는 원통형의 제1 내지 제 3 결합부(110, 120, 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 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지면 방향의 끝단이 휘어져 사각 형상의 패드(310, 320, 33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벌린 후 작물 줄기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3단으로 높이 조절이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스프링강으로 제작되어 손으로 오므렸다 폈다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녹방지를 위해 장기적으로 사용이 되도록 도장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별도로 묶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하는 작물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물이 올바르게 지지되도록 하는 작물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한 작물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로 고추나무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로 작물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로 작물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는,
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작물 지지 장치로서,
원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절개되어 안쪽방향으로 구부려진 구조로 형성되는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를 지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를 끼울 수 있는 원통형의 제1 내지 제 3 결합부(110, 120, 13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벌린 후 작물 줄기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물은 고추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는 30~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스프링강으로 제작되어 손으로 오므렸다 폈다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녹방지를 위해 장기적으로 사용이 되도록 도장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제1 내지 제 3 다리부를 각각 제1 내지 제 3 결합부(110, 120, 130)에 끼우거나 뺄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편리한 보관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 3 결합부(110, 120, 130)는 필요에 따라 조임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부(100)을 따라 위치를 이동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 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지면 방향의 끝단이 휘어져 사각 형상의 패드(310, 320, 330)가 끼워지거나 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보관이 더욱 편리하다.
필요에 따라 제1 내지 제3 결합부(110, 120, 130)와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는 용접을 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타리 작업이 끝나면 이랑을 만들고, 필요에 따라 비닐을 덮는다.
그리고, 비닐위에 소정 간격으로 구멍을 형성하고 고추 등의 작물을 심게 된다.
이후, 고추가 어느 정도 자라거나 하면, 작물 지지장치를 도 2와 같이 설치한다.
이때, 도 1과 같은 작물 지지장치의 지지부(100)를 벌린 상태에서 고추나무 줄기가 내부의 공간에 삽입되고 나서 다시 놓으면 된다. 지지부(100)는 스프링강으로 제조되어 사람의 손힘으로 벌릴 수 있다.
고추나무 줄기가 지지부(100)의 내부공간에 들어가 성장을 하게 되며, 지지부(100)에 의해 지지가 된다. 여기서, 하트형의 지지부(100)에 고추나무가 일단 끼워지면 임의로 빠지지 않고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별도로 묶을 필요가 없이 지지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는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의 하단 패드(310, 320, 330)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넘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는 추후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분리해 놓았다가 다시 로타리 작업이 끝나면 이랑을 만들고, 비닐을 덮은 후 고추나무 지지 장치를 설치하여 재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로 고추나무를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 지지 장치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1단부(211, 221, 231), 2단부(212, 222, 223), 3단부(213, 223, 233)의 3단으로 높이 조절이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필요에 따라 2단 또는 4단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3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물의 성장에 따라 작물 지지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여 올바르게 고추나무를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면에 간편하게 설치되며, 작물을 별도로 묶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작물이 올바르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설치가 편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고추 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작물 지지 장치로서,
    원형으로 형성되되, 일부가 절개되어 안쪽방향으로 구부려진 구조로 형성되는 작물의 줄기를 지지하는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를 지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다리부; 및
    상기 지지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를 끼울 수 있는 원통형의 제1 내지 제 3 결합부(110, 120, 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3단으로 높이 조절이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 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지면 방향의 끝단이 휘어져 사각 형상의 패드(310, 320, 33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지부(100)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되어 손으로 벌린 후 작물 줄기가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스프링강으로 제작되어 손으로 오므렸다 폈다하는 동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는 30~4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다리부(210, 220, 230) 각각은 녹방지를 위해 도장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작물을 지지하기 위한 작물 지지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4807A 2018-10-19 2018-10-19 작물 지지 장치 KR102186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07A KR102186611B1 (ko) 2018-10-19 2018-10-19 작물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807A KR102186611B1 (ko) 2018-10-19 2018-10-19 작물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82A KR20200044282A (ko) 2020-04-29
KR102186611B1 true KR102186611B1 (ko) 2020-12-03

Family

ID=7046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807A KR102186611B1 (ko) 2018-10-19 2018-10-19 작물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6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333Y1 (ko) 2000-11-13 2001-05-15 김석춘 작물용 지주
KR101134006B1 (ko) * 2009-04-20 2012-04-05 심우엽 농작물 지지대
KR101393439B1 (ko) 2013-02-15 2014-05-14 주식회사 지주목 수목성장보호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0830U (ko) * 2010-05-14 2011-11-22 황상필 수목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4333Y1 (ko) 2000-11-13 2001-05-15 김석춘 작물용 지주
KR101134006B1 (ko) * 2009-04-20 2012-04-05 심우엽 농작물 지지대
KR101393439B1 (ko) 2013-02-15 2014-05-14 주식회사 지주목 수목성장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282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19785A1 (en) Apparatuses, kits, system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nd/or supporting a plant during a growth cycle of the plant
US6453606B1 (en) Collapsible plant support structure
KR101656449B1 (ko) 농작물용 다기능 생육 보호대
US20160198642A1 (en) Basket For An Orchid Plant Having Aerial Roots
KR20180056198A (ko) 수목 관리 장치
KR102186611B1 (ko) 작물 지지 장치
US737707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lant stems
WO2017082956A1 (en) Garden stakes
US10440901B2 (en) Plant support
KR101442344B1 (ko) 접철식 농작물 재배기
KR101522227B1 (ko) 나뭇가지 유인장치
KR20140004927U (ko) 식물 재배용기
KR20160035429A (ko) 화분용 식물지지대
CN210445090U (zh) 一种多功能防护罩
CN214430525U (zh) 一种玫瑰花种植纠正杆
KR20230070570A (ko) 식물 및 각종 모종 성장 보호구
JP3187316U (ja) 農園芸用支柱のテープ係止具
KR20220083076A (ko) 토마토 줄기의 유인 지지대
JP3190661U (ja) 植物茎保持具
CN220383787U (zh) 具有限位结构的种植架
CN207054227U (zh) 农业大棚用蔬菜支架
CN209234424U (zh) 育苗盘
KR20170041053A (ko) 대나무 재배용 기구
Sorokopudov et al. Influence of abiotic factors on sambucus nigra l. Phenorhythmics under central chernozem conditions
KR0118689Y1 (ko) 식수목의 지주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