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696U -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696U
KR20130003696U KR2020110011045U KR20110011045U KR20130003696U KR 20130003696 U KR20130003696 U KR 20130003696U KR 2020110011045 U KR2020110011045 U KR 2020110011045U KR 20110011045 U KR20110011045 U KR 20110011045U KR 20130003696 U KR20130003696 U KR 201300036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direction
crops
hole
c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세환
Original Assignee
고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세환 filed Critical 고세환
Priority to KR2020110011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696U/ko
Publication of KR201300036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6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01G9/124Means for holding stakes upright in, on, or besid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6Wirespool sup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는 하단부를 지면에 박아 세울 수 있도록 하단이 뾰족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주대와, 한쪽 측단이 상기 지주대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주대로부터 상기 지주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관통공 및 농작물 또는 수목을 감싸서 지지하기 위한 강선으로서 양 말단이 상기 관통공에 끼워서 걸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구부러진 지지 강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SUPPORT FOR CROPS AND TREE}
본 고안은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농작물과 수목 등 식물을 고정하기 지주대를 포함하는 지지장치로서 미관이 우수하고 인건비 및 비용절감 효과가 우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작물 수목 지지장치는 간단한 파이프나 말뚝 형태의 것으로서, 농작물을 세워주기 위하여 말뚝을 농작물 사이에 박고 결속사 선으로 농작물과 말뚝을 교차하여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농작물 수목 지주대는 농작물이 자람에 따라 결속선도 높여가면서 묶어 지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농작물이 자라면서 옆으로도 많은 뻗게 되는데 자랄수록 결속사에 의해 압박을 받게 되어 가지 사이에 통풍도 안될 뿐 아니라 잎과 열매가 묶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성장장애 및 병해에도 취약하게 되며, 비바람에 한 그루가 넘어지면 서로 결속사로 연결되어 있는 한줄 전체가 넘어지게 되어 큰 농작물 피해로 연결되고, 결속 작업에 고난도의 노동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가로수나 유실수를 식재할 때 지주목을 세우고 보강용 끈으로 지주목과 식물을 결박함으로써 고정하고 식물 뿌리가 활착하여 식물이 자립할 때까지 식물을 지지보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 방식은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묶인 부분이 압력을 받게 되어 자연적인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 목피가 벗겨지는 폐단이 있고, 식물이 자립하는 도중 자연적으로 부식되거나 폐기하여 목재자원 및 인력 낭비는 물론 조경수, 가로수 등의 경우 미관상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불필요한 자원 낭비, 작업비용 증대 등의 폐단을 없애고 사용됐던 지주대 및 강선을 재사용할 수 있으며 미관을 해치지 않고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고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는 하단부를 지면에 박아 세울 수 있도록 하단이 뾰족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주대와, 한쪽 측단이 상기 지주대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주대로부터 상기 지주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관통공 및 농작물 또는 수목을 감싸서 지지하기 위한 강선으로서 양 말단이 상기 관통공에 끼워서 걸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구부러진 지지 강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의 측면부터 하단부의 측면까지와 길게 연결된 판형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단부를 지면에 박아 세울 수 있도록 하단이 뾰족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관통공 및 농작물 또는 수목을 감싸서 지지하기 위한 강선으로서, 양 말단이 상기 관통공에 끼워서 걸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구부러진 지지 강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관통공은 상기 지주대의 서로 반대쪽을 향하는 측면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주대는 파이프 형태를 가지고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 구멍을 막는 덮개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에 의하면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단순한 형태를 가져서 미관을 해치지 않고 지주대가 부식 및 열실 때까지 여러 번 사용 가능하므로 자원 보호와 비용 절감이 되며 설치와 관리가 용이하여 작업 효율 상승과 인건비 절감에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는 지주대(10), 돌출부(20), 관통공(21) 및 지지 강선(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대(10)는 상하 방향으로 기다랗게 뻗은 원형 파이프로서, 하단은 지면에 박아넣기에 좋도록 끝이 뾰족하다. 지주대(10)의 상단에는 빗물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한 덮개(40)가 씌워져 있다.
지주대(10)의 외측면에는 지주대(1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직사각형의 판재 부재로 된 돌출부(20)의 한쪽 측단이 결합되어 지주대(10)의 지름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다.
돌출부(20)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관통공(21)이 형성되며, 여기서의 관통공(2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 강선(30)은 양 말단이 구부러진 기다란 금속 선재로 된 부재로서, 지지 강선(3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둥근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네모나 세모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고정하고자 하는 식물의 형태를 반영하여 결정한다. 지지 강선(30)의 구부러진 말단부는 관통공(21)에 끼워서 걸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구부러져 있다. 즉, 지지 강선(30)을 수평 방향으로 뻗게 위치시켰을 때 양 말단부가 아래쪽을 향해 구부러진 형태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 강선(30)의 양쪽 말단은 모두 동일한 관통공(21)에 끼워서 돌출부(20)와 결합할 수도 있고 위아래로 서로 다른 관통공(21)에 끼워서 돌출부(20)와 결합할 수도 있다. 지지 강선(30)은 식물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여러 개가 설치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2 실시 예에 의한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는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돌출부가 없으며, 관통공(21-1)이 파이프 형태로 된 지주대(10-1)의 측면에 형성된다. 관통공(21-1)은 지주대(10-1)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에 서로 높이를 같이하거나 달리하면서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의 지주대(10-1)는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지주대(10-1)의 상단에는 덮개가 씌워져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10-1: 지주대 20: 돌출부
21, 21-1: 관통공 30: 지지 강선
40: 덮개

Claims (6)

  1. 하단부를 지면에 박아 세울 수 있도록 하단이 뾰족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주대;
    한쪽 측단이 상기 지주대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주대로부터 상기 지주대의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관통공; 및
    농작물 또는 수목을 감싸서 지지하기 위한 강선으로서, 양 말단이 상기 관통공에 끼워서 걸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구부러진 지지 강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의 측면부터 하단부의 측면까지와 길게 연결된 판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3. 하단부를 지면에 박아 세울 수 있도록 하단이 뾰족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뻗는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관통공; 및
    농작물 또는 수목을 감싸서 지지하기 위한 강선으로서, 양 말단이 상기 관통공에 끼워서 걸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구부러진 지지 강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지주대의 서로 반대쪽을 향하는 측면부들 각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방형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대는 파이프 형태를 가지고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 구멍을 막는 덮개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KR2020110011045U 2011-12-13 2011-12-13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KR201300036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45U KR20130003696U (ko) 2011-12-13 2011-12-13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45U KR20130003696U (ko) 2011-12-13 2011-12-13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696U true KR20130003696U (ko) 2013-06-21

Family

ID=5242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045U KR20130003696U (ko) 2011-12-13 2011-12-13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69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98B1 (ko) * 2013-07-18 2014-09-04 조만호 농작물 지지 결합구조
KR20230070570A (ko) 2021-11-15 2023-05-23 강린구 식물 및 각종 모종 성장 보호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98B1 (ko) * 2013-07-18 2014-09-04 조만호 농작물 지지 결합구조
KR20230070570A (ko) 2021-11-15 2023-05-23 강린구 식물 및 각종 모종 성장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126B1 (en) Tree stabilizing assembly
JP2006262712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KR200427015Y1 (ko) 과수의 가지 처짐 방지장치
KR20130003696U (ko) 농작물 및 수목 지지장치
KR20070069244A (ko)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JP2018064469A (ja) 降水受翼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KR101134006B1 (ko) 농작물 지지대
KR200436996Y1 (ko) 걸이식화분
KR101363362B1 (ko) 수목 재배용 용기
JP2004097144A (ja) 植物栽培用パネル部材と植物栽培装置
CN210491819U (zh) 一种种植箱
JP3416799B2 (ja) 樹木固定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打設面用の樹木生育装置とその樹木生育工法
JP2004132021A (ja) 法面工事における崩壊予防工法及びその工法に用いる法面被覆保護具
KR101015636B1 (ko) 매설형 수목 지지대
JP5783382B2 (ja) 多機能用のフェンス、及び多機能用のフェンスの立設方法
JP2010088321A (ja) 緑化構造および緑化方法
RU117258U1 (ru) Шпалерная система, стойка шпалерная, столб шпалерный и крепление троса
JP4920263B2 (ja) 屋上又は屋根における植栽構造とこれに使用する樹木等植物の引張装置。
KR20120005595A (ko) 과실수 가지의 지지대
JP2009142254A (ja) 防鳥網の支持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179688B1 (ko) 옥상녹화 시스템에서의 풍압대비용 장치
KR200430547Y1 (ko) 농작물 지지장치
JP4326550B2 (ja) 嵩上げ土壌台と嵩上げ土壌台による強風対策法
JP2005143406A (ja) 壁面緑化システム
WO2013027095A2 (en) Guardian for a plant plan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