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015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015A
KR20100115015A KR1020090033505A KR20090033505A KR20100115015A KR 20100115015 A KR20100115015 A KR 20100115015A KR 1020090033505 A KR1020090033505 A KR 1020090033505A KR 20090033505 A KR20090033505 A KR 20090033505A KR 20100115015 A KR20100115015 A KR 2010011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in control
offset correction
gain
value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중
이영택
전시범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015A/ko
Publication of KR2010011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LO 누설(Local Oscillator Leakage) 신호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득 제어 엔진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비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DC 오프셋 보정부가 상기 이득 제어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가 상기 추출된 이득 제어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LO 누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C 오프셋 보정 값, LO 누설 신호, 전력 제어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LOCAL OSCILLATOR LEAKAGE SIGNAL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값에 따라 LO 누설 신호 감쇄를 위한 DC 오프셋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가 감쇄되도록 보정하는 방법 및 그에 대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달성하기 위해 4세대 무선 통신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는 신호가 왜곡 없이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Mobile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의 경우, 변조(moduation)의 사양 지표인 EVM(Error Vector Magnitude)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 IQ 부정합(IQ mismatch)와 선형성, LO(Local Oscillator)의 위상 에러 보정 성능이 높아야 한다.
그런데 디바이스(Device)와 레이아웃(Layout), 공정 부정합에 의해 발생되는 LO 누설 신호(LO Leakage Signal)의 양 즉, DC 오프셋(offset)은 잡음으로 작용하 여 전체 EVM 성능을 떨어뜨린다. 특히 RFIC(Radio Frequency Intergrated Circuit) 내에서 발생되는 LO 누설 신호는 RF 신호의 SNR(Signal to Noise Ratio) 특성을 열화시켜 전체 EVM 성능을 떨어뜨린다. 이 경우, 상기 LO 누설 신호는 반도체 칩 내의 부정합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설계 단계에서 최소화 시키는 것은 불가능하여 보정(Calibration)을 통해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DC 오프셋 값은 RFIC 내의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LPF) 또는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VGA)의 이득 설정 값에 따라 달라지게 되어, 이득 설정 값 마다 DC 오프셋 보정 값이 다르게 설정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하나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에 대해서만 보정이 수행되어 DC 오프셋 보정 값이 고정된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LO 누설 신호 감쇄를 위한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감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의 LO 누설(Local Oscillator Leakage) 신호 보정 방법은 이득 제어 엔진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비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DC 오프셋 보정부가 상기 이득 제어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가 상기 추출된 이득 제어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LO 누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전송 전력 제어는 SPI 워드(Serial Peripheral Interface Word)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은 로우패스필터, 가변 이득 증폭기 또는 전치-전력 증폭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득 제어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LO 누설(Local Oscillator Leakage) 신호 보정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비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득 제어 엔진, 상기 이득 제어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이득 제어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DC 오프셋 보정부 및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수신하여 LO 누설 신호를 보정하는 RF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는 상기 이득 제어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상기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득 제어 디코더, 상기 이득 제어 값에 따른 상기 DC 오프셋 보정 값을 저장하는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 및 상기 이득 제어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이득 제어 값을 수신하고 상기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에서 상기 이득 제어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먹스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RFIC는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 오프셋 보정 값을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신호와 합산하여 상기 LO 누설 신호를 보정하는 덧셈기 및 상기 덧셈기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신호를 주파수 상승 변환하는 믹서를 더 구비한다.
종래에는 하나의 DC 오프셋 보정 값을 모든 전력 제어 값에 대해 적용하여 LO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한 모든 전력 제어 값에 대해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므로 LO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우선, 도 1은 일반적으로 LO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C 및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LO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RFIC(110)에 테스트 신호(Test Signal)를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1MHz CW(Continuous Wave) 신호일 수 있다. 그러면 테스트 신호는 LPF(140)를 거쳐 필터링 되고, 가변 이득 증폭기(130)를 거쳐 이득이 증폭된다. 이득이 증폭된 테스트 신호는 믹서(120)에 인가되고 고주파 신호로 상향 변환되어 전치-전력 증폭기(Pre-Power Amplifier, PPA)(110)에 입력된다. 그러면 RF로 상향 변환된 테스트 신호는 다시 한번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RFIC(110)의 종단에 위치하는 외곽선 검출기(Envelop Detector)는 상기 상향 변환된 테스트 신호의 외곽선을 검출하고 이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피드백 한다. 그러면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피드백 되는 테스트 신호의 외곽선을 수신하고, 본래 입력하였던 테스트 신호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왜곡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LO 누설 신 호가 최소가 되도록 데이터 처리부(150)는 데이터 처리부(150)의 DC 오프셋 보정 값(DC i1, DC q1)과 RFIC(110)의 DC 오프셋 보정 값(DC i2, DC q2)을 결정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50)는 상기 결정된 DC 오프셋 보정 값을 이용하여 보정(Calibration)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처리부(150)는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RFIC(110)의 출력단에서 발생하는 LO 누설 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DC 오프셋 보정 값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보정 과정을 수행한다.
그런데, DC 오프셋 값은 RFIC(110) 내의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LPF),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VGA), 전치-전력 증폭기(Pre-Power Amplifier, PPA)(110)의 이득 설정 값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LO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블록들의 이득 설정 값 마다 DC 오프셋 보정 값을 다르게 설정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상기한 블록들의 하나의 이득 설정(Gain Setting) 값에 대해서만 보정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고정된 DC 오프셋 보정 값 만을 사용하였다. 이는 고정된 DC 오프셋 보정 값을 사용하여도 무선 통신 규격 단체들이 요구하는 LO 누설 신호 조건을 만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높은 데이터 전송율을 달성하기 위해 4세대 무선 통신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LO 누설 신호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LO 누설 신호 감쇄 를 위한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감쇄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값에 따라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제어하는 단말기(2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200)는 크게 RFIC(210), 데이터 처리부(250),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말기(200)는 LO 누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블록으로서 DC 오프셋 보정부(232)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232)는 그 기능상 이득 제어 디코더(235), 먹스(240),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245), 이득 제어 엔진(265) 등의 기능 블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편의상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232)가 RFIC(210)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는 것이며 RFIC(210) 외부에 독립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의 RFIC(210)는 RF 송신부만을 도시한다. RFIC(210)는 신호 처리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전송 대역 주파수로 상승 변환하여 증폭한 후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C(210)는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제어한다.
이를 위한 RFIC(210)는 LPF(215), 아날로그 증폭기(220), 믹서(225), RF 증폭기(230) 및 DC 오프셋 보정부(2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LPF(215)는 데이터 처리부(2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필터링 처 리한다. LPF(215)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Power Control) 명령에 따라 이득 값을 변경한다. 그리고 LPF(215)는 상기 필터링 처리된 신호를 아날로그 증폭기(220)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증폭기(220)는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 VGA)이다. 상기 아날로그 증폭기(220)는 LPF(215)로부터 출력되는 필터링된 신호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Power Control) 명령에 따라 증폭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으로 송출될 신호는 복수단의 증폭기를 거쳐 증폭이 되며, 아날로그 증폭기(220)는 상기 복수 개의 증폭기 중 하나이다. 아날로그 증폭기(2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믹서(2250)에 인가되기 전, DC 오프셋 보정 값에 의해 보정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후술하도록 한다.
믹서(225)는 주파수 변환 회로로서,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와 국부 발진기에서 생성되는 발진 주파수를 입력받아 베이스밴드의 신호를 RF 고주파 대역으로 상승 변환한다. 그리고 믹서(2250)는 RF 고주파 대역으로 상승 변환된 신호를 RF 증폭기(230)로 출력한다.
RF 증폭기(230)는 구동 전력 증폭기(Driven Amplifier)와 RF 가변 이득 증폭기(RF VGA)를 포함하며, RF 고주파 대역으로 상승 변환된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전에 다시 한번 증폭한다.
DC 오프셋 보정부(232)는 이득 제어 엔진(265)(후술함)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한다. 이를 위하여 DC 오프셋 보정부(232)는 이득 제어 디코더(235), 먹스(240), DC 오프 셋 보정 테이블(2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득 제어 디코더(Serial Peripheral Interface Decoder)(235)는 데이터 처리부(250)의 이득 제어 엔진(265)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제어 비트는 SPI 워드(Serial Peripheral Interface Word) 일 수 있다. 이득 제어 디코더(235)가 디코딩 한 이득 제어 비트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이득 제어 디코더(235)가 디코딩한 이득 제어 비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도 3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이득 제어 비트는 어드레스와 제어 데이터(Control Data)로 구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득 제어 비트를 위한 하나의 SPI 워드 길이는 24비트 또는 32비트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득 제어 디코더(235)가 디코딩한 이득 제어 비트는 각 레지스터 별로 어드레스와 제어 데이터(Control Data)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SPI 워드는 이득 제어 필드(31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RF 송신부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전력 제어(Power Control)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을 변경한다. 이 경우, 전력 제어 명령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전송되며, 단말기는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Gain Setting) 비트를 생성하는데, 이를 위한 필드가 상기한 이득 제어 필드(310)이다.
이 경우, 이득 제어 필드(310)는 이득 제어(또는 조절)와 관련된 모든 블록들의 이득 설정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이득 제어 필드(310)의 'TX Gain 1'은 RF 증폭기(230)의 이득 설정에 대한 값이고, 'TX Gain 2'는 아날로그 증폭기(220)의 이득 설정에 대한 값이며, 'TX Gain 3'는 LPF(2150)의 이득 설정에 대한 값일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2의 이득 제어 디코더(235)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득 제어 엔진(265)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그리고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디코딩된 이득 설정 비트 중, LO 누설 신호와 관련된 블록에 대한 이득 제어 필드의 이득 설정 값을 추출한다. 다시 말해, 아날로그 증폭기(220)의 이득 제어 값이 LO 누설 신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디코딩된 이득 설정 비트 중, 아날로그 증폭기(220)의 이득 제어 필드에 기록된 이득 설정 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상기 추출된 이득 설정 값을 먹스(240)로 출력한다.
먹스(Mux)(240)는 이득 제어 디코더(235)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값을 수신하고,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245)을 이용하여 상기 이득 설정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먹스(240)는 상기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245)에서 선택된 DC 오프셋 보정 값을 덧셈기(242)로 출력한다. 그러면 덧셈기(242)는 필터링 후 증폭된 베이스밴드의 신호와 먹스(240)로부터 출력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합산하여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한다.
여기서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245)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가 도 4에 도시된다. 종래 기술이 DC 오프셋 보정을 위해 한 개의 레지스터만 가지고 있다면, 본 발명은 I/Q 각 위상에 따른 DC 오프셋 보정을 위해 복수 개의 DC 오프셋 보정용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에는 이득 설정 값에 따른 DC 오프셋 보정 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이득 설정 값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득 설정 비트 중 이득 제어 디코더(235)에 의해 추출된 이득 설정 값이다. 이 경우,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상기한 바와 같이, LO 누설 신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블록에 대한 이득 제어 필드를 추출하고, 그 필드에 기록된 이득 설정 값을 먹스(240)로 전송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먹스(240)가 수신한 이득 설정 값이 'gain 1'라면, 먹스는 'I' 위상에 대한 DC 오프셋 보정 값인 'DC 2i_1' 및 'Q' 위상에 대한 DC 오프셋 보정 값인 'DC 2q_1'을 덧셈기(242)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먹스(240)가 수신한 이득 설정 값이 'gain 3'이라면, 먹스는 'I' 위상에 대한 DC 오프셋 보정 값인 'DC 2i_1' 및 'Q' 위상에 대한 오프셋 보정 값인 'DC 2q_3'을 덧셈기(242)로 출력한다. 상기 이득 설정 값에 따른 DC 오프셋 보정 값은 실험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단말기의 초기 구동 단계에서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정리하면, 먹스(240)는 이득 제어 디코더(235)로부터 이득 설정 값을 수신하면,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245)에서 상기 수신한 이득 설정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추출하고 이를 덧셈기(242)로 전달한다. 그러면 덧셈기(242)는 필 터링 후 증폭된 신호와 먹스(240)로부터 출력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합산하여 보정(Calibration)을 수행한다.
도 2의 데이터 처리부(250)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만을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처리부(25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한 코더(Coder)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modulator)와, 상기 변조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더는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더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 데이터 처리부(245)는 부호화되고 변조된 신호를 RFIC(210)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250)는 이득 제어 엔진(Serial Peripheral Interface Engine)(265)을 더 구비한다. 상기 이득 제어 엔진(265)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한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비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이득 설정 비트는 DC 오프셋 보정부(232)의 이득 제어 디코더(235)로 전달된다.
제어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70)는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LO 누설 신호 감쇄를 위한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감쇄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LO 누설 신호 감쇄를 위한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감쇄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 다.
우선, 데이터 처리부(250)의 이득 제어 엔진(265)은 S51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이득 제어 엔진(265)은 S520 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Gain Setting) 비트를 생성하고, 이를 DC 오프셋 보정부(232)로 전달한다.
그러면 DC 오프셋 보정부(232)의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S530 단계에서, 상기 전달받은 이득 설정 비트를 디코딩하고 LO 누설 신호에 영향을 주는 블록에 대한 이득 제어 필드의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다시 말해, 아날로그 증폭기(220)의 이득 제어 값이 LO 누설 신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디코딩된 SPI 워드 중, 아날로그 증폭기(220)의 이득 제어 필드에 기록된 이득 설정 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득 제어 디코더(235)는 S540 단계에서, 상기 추출된 이득 설정 값을 먹스(240)로 출력한다.
그러면 먹스(240)는 이득 제어 디코더(235)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값을 수신하고, S550 단계에서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245)을 이용하여 상기 이득 설정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먹스(240)는 S560 단계에서, 상기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245)에서 선택된 DC 오프셋 보정 값을 뎃셈기(242)로 출력하여 LO 누설 신호를 보정(Calibration)한다.
상기한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LO 누설 신호 감쇄를 위한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RFIC(210) 블록에 입력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방법에 의해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250) 블록에 입력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제어하는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이전의 설명을 참고한다면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준일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LO 누설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C 및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제어하는 단말기(2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이득 제어 디코더(235)가 디코딩한 SPI 워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단말기의 전력 제어 값에 따라 LO 누설 신호 감쇄를 위한 DC 오프셋 보정 값을 가변하여 LO 누설 신호를 감쇄하는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Claims (8)

  1. 단말기의 LO 누설(Local Oscillator Leakage) 신호 보정 방법에 있어서,
    이득 제어 엔진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비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DC 오프셋 보정부가 상기 이득 제어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가 상기 추출된 이득 제어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결정하고 상기 LO 누설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제어는 SPI 워드(Serial Peripheral Interface Word)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은 로우패스필터, 가변 이득 증폭기 또는 전치-전력 증폭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득 제어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4. LO 누설(Local Oscillator Leakage) 신호 보정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력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이득 설정 비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득 제어 엔진;
    상기 이득 제어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이득 제어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DC 오프셋 보정부; 및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수신하여 LO 누설 신호를 보정하는 RF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는,
    상기 이득 제어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이득 설정 비트를 수신하여 디코딩하고, 상기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을 추출하여 출력하는 이득 제어 디코더;
    상기 이득 제어 값에 따른 상기 DC 오프셋 보정 값을 저장하는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 및
    상기 이득 제어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이득 제어 값을 수신하고, 상기 DC 오프셋 보정 테이블에서 상기 이득 제어 값에 대응하는 DC 오프셋 보정 값을 결정하여 출력하는 먹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C는,
    상기 DC 오프셋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 오프셋 보정 값을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신호와 합산하여 상기 LO 누설 신호를 보정하는 덧셈기; 및
    상기 덧셈기로부터 출력되는 보정된 신호를 주파수 상승 변환하는 믹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 제어는 SPI 워드(Serial Peripheral Interface Word)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LO 누설과 관련된 이득 제어 값은 로우패스필터, 가변 이득 증폭기 또는 전치-전력 증폭기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이득 제어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O 누설 신호 보정 장치.
KR1020090033505A 2009-04-17 2009-04-1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 KR20100115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05A KR20100115015A (ko) 2009-04-17 2009-04-1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505A KR20100115015A (ko) 2009-04-17 2009-04-1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15A true KR20100115015A (ko) 2010-10-27

Family

ID=4313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505A KR20100115015A (ko) 2009-04-17 2009-04-1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0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116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주파처리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150231A (zh) * 2018-10-24 2019-01-04 广东博威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本振泄漏校正装置和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1116A (ko) * 2014-01-03 2015-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주파처리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9150231A (zh) * 2018-10-24 2019-01-04 广东博威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本振泄漏校正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9837B1 (en) Technique for suppressing noise in a transmitter device
US7817970B2 (en)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having a polar modulator with variable predistortion
US9048796B2 (en) Transmission signal power control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edistortion coefficient updating method
JP5564111B2 (ja) 半導体装置
KR20080058437A (ko) 가변 이득 주파수 체배기
US2010032938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2006197537A (ja) 歪補償回路
US201201081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ower yield and linearization in radio frequency transmitters
JP2009165112A (ja) 無線回路装置
EP1612933A1 (en) Distortion compensation device
JP2010035158A (ja) 送信回路及び送信回路を用いた通信機器
US10630323B2 (en) Asymmetric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ACLR) control
KR10162225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아이큐 불일치를 보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3347945A (ja) ベースバンドから導き出されるプレディストーションを組み込む送信機及び送信方法
KR2010011501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lo 누설 신호 보정 방법 및 장치
US8971828B2 (en) Predistortion device, method for predistortion, and transmitter/receiver system that reuse an analog receiving circuit in a half duplexing system and a full duplexing system, and that reduce the requirement on the analog receiving circuit
US20040085127A1 (en) Power amplifying method, powe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1963639B1 (ko) 신호 송신 장치에서 DC 오프셋 calibration 장치 및 방법
US8995569B2 (en) Quadrature digital-IF transmitter without inter-stage SAW filter and devices using same
JP2018101856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WO2001063791A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circuit
US20150195002A1 (en) Multiple-Path Noise Cancellation
JP5589696B2 (ja) 変換回路、調整方法、調整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Jovanović et al. Peak Windowing for Crest Factor Reduction Improved by Signal Interpolation
JP6326964B2 (ja) 無線装置及び歪補償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