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948A - 안전조끼 - Google Patents

안전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948A
KR20100114948A KR1020090033384A KR20090033384A KR20100114948A KR 20100114948 A KR20100114948 A KR 20100114948A KR 1020090033384 A KR1020090033384 A KR 1020090033384A KR 20090033384 A KR20090033384 A KR 20090033384A KR 20100114948 A KR20100114948 A KR 2010011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safety vest
light
light transmitting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2988B1 (ko
Inventor
허재용
Original Assignee
허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용 filed Critical 허재용
Priority to KR1020090033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988B1/ko
Priority to CN201080016965XA priority patent/CN102448337A/zh
Priority to EP10764693.7A priority patent/EP2420150A4/en
Priority to PCT/KR2010/002403 priority patent/WO2010120154A2/ko
Priority to US13/264,920 priority patent/US20120033411A1/en
Priority to JP2012505827A priority patent/JP2012524174A/ja
Publication of KR2010011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004Reflective safety signalling devices attached o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전조끼에 발광체인 LED를 부착시키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구비한 투광부를 씌워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ED를 보호하면서도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서 다른 사람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으며,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수중에서 구명조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조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LED 어셈블리; 상기 LED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LED를 보호하며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전조끼, LED, 발광체, 시인성

Description

안전조끼{Safety vest}
본 발명은 안전조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안전조끼에 발광체인 LED를 부착시키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구비한 투광부를 씌워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ED를 보호하면서도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서 다른 사람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으며,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수중에서 구명조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조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국가간의 교역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부두를 통한 물동량이 증가하고, 많은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서 또는 정해진 수출날짜를 맞추기 위해서 부두에서의 작업은 야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부두에서의 작업, 특히 야간 작업시에는 작업자의 위치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서 불의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조끼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게 된다.
종래의 안전조끼는 허리띠와 어깨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허리띠와 어깨걸이의 외측면에는 야광도료가 도포되어 있거나, 야광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어서, 외부의 빛에 의해 야광부분이 빛나게 되어서 작업자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안전조끼는 외부로부터 빛을 받아야만 발광하는 형태여서 외부로부터의 빛이 차단된 장소에서는 발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눈, 비가 오는 날 또는 안개가 심하게 낀 날이나, 외부에서 비추는 불빛이 약한 경우에는 안전조끼는 제대로 발광하지 못하여 외부에서 작업자의 존재를 인식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부두작업자 이외에도 도로상의 교통경찰관, 배에서의 작업자, 환경미화원과 같이 위험한 곳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직면한 문제점이다.
또한 부두작업자 또는 배에서의 작업자의 경우에는 그 작업환경이 바닷가인 관계로 작업시 순간의 부주의로 인하여 바다에 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야간에는 외부의 불빛이 거의 없는 바닷물에서 물에 빠진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따라서 그 구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부두작업자 또는 배에서의 작업자와 같은 작업자는 정해진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구명조끼를 착용하면 실질적으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 따라서 작업자가 그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구명조끼의 역할도 할 수 있는 안전조끼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바다 한복판에 떠 있는 배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경우에는 배의 조난시에 구조선이 도착할 때까지 생존하기 위해서는 수면위에 떠 있어야 하고, 나아가 구조선에서 쉽게 그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안전조끼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역부족하였다.
부두작업자, 배에서의 작업자, 교통경찰관 및 환경미화원은 안전조끼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안전조끼는 단순히 발광도료로 도포되어 있거나 발광테이프가 부착된 것으로서, 외부의 불빛을 받지 않으면 제대로 발광하지 못해서 다른 사람이 이를 인식하는 것이 수월하지 않았다. 특히 눈 비 오는 날 또는 안개가 심하게 낀 날에는 더더욱 이를 인식하기가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물에 빠진 경우에 작업자의 생존을 돕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평소에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구명조끼를 착용하게 되면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므로, 작업자들은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작업을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안전조끼에 발광체인 LED를 부착시키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구비한 투광부를 씌워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ED를 보호하면서도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서 다른 사람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으며,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수중에서 구명조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안전조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LED 어셈블리; 상기 LED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 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LED를 보호하며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전조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가 밀폐된 밀폐부가 있으며, 상기 밀폐부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는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전조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있으며, 상기 수납부에는 공기주머니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출입구가 있으며, 상기 출입구에는 개폐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폐부 또는 수납부는 상기 허리띠 또는 상기 어깨걸이의 사람의 가슴과 등이 닿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밀폐부의 두께 방향의 중간에는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밀폐부의 두께 방향의 중간에는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는선을 기준으로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에는 상기 수납부 또는 밀폐부의 공기가 없는 경우에 상기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를 접는선을 중심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는 고휘도 LED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어셈블리, 배터리 및 스위치는 방수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박막투광부 또는 후막투광부에는 색이 칠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는 입체 도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박막투광부 또는 후막투광부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측면벽이 상기 투광부와 밀착되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의 직경은 상기 LED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LED의 주위로 상기 LED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벽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의 하부에는 상기 투광부에 비하여 직경이 작으며, 내부가 LED의 측면과 접하고 외부가 본체와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의 외부에는 상기 LED를 둘러싼 볼록렌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렌즈부는 하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의 하부에서 LED의 측면을 따라서 얇은 벽을 형성하며 LED의 상부로 올라가며, LED의 상부에는 볼록렌즈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의 상부에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의 상부와 대하는 상기 투광부의 내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산층은 크리스탈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는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라텍스, 고무, 우레탄, 레진,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어셈블리가 상기 안전조끼에 고주파 압착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전조끼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있으며,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LED 어셈블리가 끼워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전조끼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있으 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투광부와 LED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투광부가 상기 끼움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LED가 상기 끼움공의 하부에서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안전조끼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전조끼에는 조난신호 송신기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박막투광부는 0.1~10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후막투광부는 상기 박막투광부의 두께보다 1.5~20배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는 LED에 투광부가 씌워져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으므로, LED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는 특수하게 설계된 투광부를 채택한 LED 어셈블리를 사용함으로서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도 수월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 및 비상시에 다른 사람들이 안전조끼 착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사고 발생시에는 안전조끼를 착용한 사고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LED에서 방사되는 빛은 정면으로 직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정면에 있는 인접한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LED만 부착하면 인접한 작업자의 시야가 방해받는데, 본 발명에 의한 LED 어셈블리는 빛이 투광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LED의 강렬한 빛에 의해 인접한 다른 작업자의 시야가 순간적으로 방해받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는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물에 빠진 경우에도 수중에서 장시간 생존이 가능하며, 부력발생수단이 허리, 가슴 및 등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착용감이 우수하고 작업시 착용자의 움직임을 크게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부력발생수단을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물에 빠질 우려가 없는 지역에서 작업시에는 부력발생수단을 제거하고 착용하면 되므로, 작업자의 착용감과 작업효율을 사용 장소에 따라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 어셈블리는 전면 및 측면으로 빛이 조사되어지는 범위가 넓게 되어서 적은 수의 LED 어셈블리를 사용하면서도 종래의 LED 발광체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 어셈블리는 같은 범위를 비추더라도 종래의 LED에 비하여 적은 수의 LED를 사용함에 따라 소모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어, 밧데리를 사용할 경우에도 장시간에 걸쳐서 밧데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친환경적이지만 효율이 낮은 태양광전기를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는 종래의 안전조끼에 특수하게 설계된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킴으로서 쉽게 파손되지 않으면서도 시인성을 향상시켜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어서 유사시에 작업자의 생존가능시간을 극대화시키고 쉽 게 구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를 구비한 안전조끼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200)는 허리띠(210), 어깨걸이(215), LED 어셈블리(100), 배터리(600), 스위치(700)를 포함하고 있다.
허리띠(210)와 어깨걸이(215)는 통상적인 안전조끼에 사용되는 것이면 된다. 허리띠(210)는 사람의 허리를 감쌀 수 있으며, 버클과 같은 결합수단과 길이 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어깨걸이(215)는 허리띠(210)에 연결되어 안전조끼가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길이조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200)에는 다수의 LED 어셈블리(100)가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LED 어셈블리(100)는 LED(1), 투광부(10), 고정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 부분에 대하여 설명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는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LED 발광 부분이 도 2와 같이 긴 경우 뿐 아니라, 도 3과 같이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LED 발광부분이 짧은 경우에는 도 2와 비교하여 LED 측면의 밝기가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과 같이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우에는 투광부의 형상이 LED 발광부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발광 부분이 짧지만 넓은 형태의 LED 및 둥근형태의 LED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ED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휘도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ED는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된다. 여기서 LED의 갯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수의 LED가 설치되어지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색의 LED가 설치될 수 있고, 나아가 개개의 LED가 설치되어지는 각도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직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투광부(10)는 LED(1)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LED(1)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며 저면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투광부(10)는 빛이 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사 범위를 형상의 크기로 지정하여 빛의 집중도를 높이고 형상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하나의 LED 어셈블리(100)에 여러 개의 색, 모양 및 밝기가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투광부(10)는 LED(1)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므 로, LED(1)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LED(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LED(1)에서 방출된 빛은 투광부(10)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되는데, 투광부(10)를 거치면서 빛은 반사, 회절등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투광부(1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인접한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1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투광부(12)는 LED(1)의 빛을 원거리까지 도달시키되 근거리, 특히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고, 후막투광부(14)는 LED(1)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1)의 측면에서도 LED(1)의 빛을 쉽게 인식하여 형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12)보다 두꺼운 부분이다. 박막투광부(12)에서는 LED(1) 빛이 통과하는 매질의 두께가 얇으므로, 빛은 에너지의 손실이 없이 거의 대부분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비교적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도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박막투광부(12)에도 얇은 막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LED의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이 완화된다. 따라서 인접한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박막투광부(12)의 두께는 설치되어지는 LED의 휘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통상적인 LED의 경우에는 두께가 0.1~10mm가 바람직하다. 0.1mm미만이면 바로 앞에서 눈부심 현상이 있으며, 10mm 초과하면 LED 빛이 박막투광부에 의해 방해를 받아서 멀리까지 도달하기 어렵다.
박막투광부(12)는 빛을 원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아울러 LED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현상이 완화시켜서 전체적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10) 내부에 구멍을 뚫어서 박막투광부를 주변보다 얇게 하거나, 투광부 외부 표면 중 빛이 강하게 발산되어야 할 부분을 주변보다 얇게 성형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박막투광부(12)를 측면에서 볼 때 평평한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빛이 확산될 수 있는 볼록한 형태 또는 빛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의 두께가 박막투광부(12)보다 두꺼운 부분으로서, 매질이 두꺼우므로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는 내부에서 반사가 되어 후막투광부(14)의 전체에 걸쳐서 빛이 분산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후막투광부(14)에서 방출되는 빛은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에 비하면 어두우나, 전체적으로 분산되어서 LED(1)의 발광방향의 정면 뿐 아니라 측면에서도 그 형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은 LED(1) 정면으로 멀리까지 도달하게 되어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면서도 LED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켜서 근거리, 특히 바로 앞에서의 인접한 작업자의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후막투광부(14)에서 방출되는 빛은 LED(1)의 측면으로도 LED 빛이 방출되어서 LED(1)의 빛의 진행방향의 측면에서도 그 형태를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시인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에서의 빛은 밝으며, 후막투광부(14)에서의 빛은 은은하게 비추어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조화를 이루어 시각적으로 매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후막투광부(14)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후막투광부는 빛이 측면으로 방출되기 위해서 박막투광부(12)보다 1.5~20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0배를 초과하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양이 너무 적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박막투광부(12)와 후광투광부(14)의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박막투광부(12)에서의 빛이 원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LED(1)에서 방출되는 빛의 직진성을 고려할 때, LED(1) 빛이 가장 강하게 방출되는 방향인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막투광부(14)는 박막투광부(12)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의 갯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투광부(10)의 전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2에서는 사면체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삼면체, 오면체, 육면체, 반구형등등의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의 예시로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투광부를 도시하였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반적으로 원형을 이루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별, 삼각형, 사각형, 동물문양, 사람형상, 글자모양 등등을 포함하는 특정한 도형이나 문자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에 박막투광부(12) 또는 후막투광부(14)에 형성되어 있는 도형이나 문자의 형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부분을 의미하므로, 박막투광부(12)는 먼저 투광부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투광부에서 박막투광부(12)에 해당하는 부분을 음각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박막투광부(12)가 음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에서 음각이 된 부분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후막투광부(14)가 된다.
또한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을 의미하므로,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를 형성하고 투광부에서 후막투광부(14)에 해당하는 부분을 양각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후막투광부(14)가 양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에서 양각이 된 부분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박막투광부(12)가 된다. 도 6의 경우에는 후막투광부(14)가 중앙에 위치하고 박막투광부(12)가 그 주위에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나아가 양각과 음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여러개 존재하게 만들 수도 있다. 도 7은 다수의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존재하는 LED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7(a)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양각이 된 후막투광부(14')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다른 후막투광부(14'')가 존재하고 그 사이로 음각이 된 박막투광부(12)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보면 도 7(a)의 경우에는 중앙의 원(14')와 가장자리의 원(14'')사이의 박막투광부(12)가 가장 밝게 보이는 효과가 있고, 도 7(b)의 경우에는 중앙의 별(14')와 가장자리의 사각형(14'')사이의 공간인 박막투광부(12)가 가장 밝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투광부의 상부의 평평한 부분만 도시한 것이다.
또한 LED 발광장치의 시각적인 효과를 강조하기 위하여 박막투광부(12)나 후막투광부(14)에는 색이 칠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는 동일한 색으로 칠해질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질 수도 있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에 여러개의 색이 동시에 칠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의 외부에만 색이 칠해질 수도 있다. 또한 LED와 투광부의 색깔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르게 하여 하나의 LED에서 방출되는 빛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투광부(10)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다만 성형이 가능하고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이면 된다. 일예로서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라텍스, 고무, 우레탄, 레진,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머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성형성이 우수하고 충격에 강한 실리콘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 또는 후막투광부(14)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이상의 조합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고정부(30)는 LED(1)와 투광부(10)의 저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LED 어셈블리(100)를 어깨걸이(215)에 부착시키는 부분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 부분에 PCB 기판이 위치하거나 PCB 기판을 내부에 포함한다. 고정부(30)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크거나 작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안전조끼(200)에 부착되는 LED 어셈블리(100)는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추가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시인성의 향상을 통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타인에 의해 쉽게 구조되기 위함이다.
그 일예로서 볼록렌즈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볼록렌즈부가 추가로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볼록렌즈부(80)는 LED(1)를 감싸는 형태 이며, 볼록렌즈부(80)의 하부는 고정부(30)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30)의 하부에서 LED(1)의 측면으로 얇은 벽을 형성하며 상부로 올라가서, LED(1)의 상부에서 볼록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LED(1)에서 방사된 빛을 볼록렌즈부(80)에서 1차로 더욱 넓게 분산되고, 다시 볼록렌즈부(80) 외부에 위치하는 투광부(10)에 의해 2차로 더욱 넓게 분산된다. 볼록렌즈의 형상은 도 8과 달리 양쪽면이 모두 볼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의 LED 어셈블리(100)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예로서 투광부의 상부에 폴리카보네이트층을 추가로 부착시킬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빛의 확산성이 크고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아 매우 안정적인 느낌의 빛을 방출한다. 투광부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확산된 빛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통과하면서 2차로 확산되면서 안정적인 느낌의 빛으로 바뀌어서 전체적으로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광부(10)의 상부에 폴리카보네이트층(84)이 부착된다. 여기서 부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층(84)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빛의 확산을 위해서는 상부가 볼록렌즈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층(84)은 투광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투광부의 상부에 음각을 하여 형성된 홈에 폴리카보네이트층(84)을 삽입함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에서 방출되어지는 LED 빛을 넓게 확산시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예로서 LED의 상부와 대하는 투광부의 하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0은 확산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확산층(86)은 빛을 최대한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만들며, 특히 난반사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크리스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86)에 의한 난반사에 의해 1차로 확산된 빛은 투광부(10)를 통과하면서 더욱 확산되어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LED 어셈블리(100)에 의해 비추어지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확산층(86)은 투광부(10)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투광부에 형성된 홈에 확산층(86)을 삽입함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도 있다.
LED 어셈블리(100)의 안전조끼(200)에 부착방법과 관련하여, LED 어셈블리(100) 전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서 안전조끼(200)에 부착되거나, 투광부(10)와 LED(1)가 서로 분리되게 만들어져서 안전조끼(200)에 형성된 끼움공에 끼워질 수도 있다. 전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안전조끼(200)에 LED 어셈블리(100)가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의 부착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작업공정의 편리성등을 고려할 때 고주파 부착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1은 고주파 부착방식에 의해 LED 어셈블리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른 부착방법으로는 안전조끼(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공(220)을 내고, 상기 끼움공(220)에 LED 어셈블리(100)를 끼워넣는 것이다. 이로서 안전 조끼(200)에 LED 어셈블리(100)를 조립하기 편리하고, 나아가 파손되거나 문제가 되는 LED를 교체하기 편리하다. 이를 위해서는 LED 어셈블리(100)는 투광부의 하부가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도 12는 LED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D 어셈블리(100)에서 투광부(10)의 하부에는 오목부(40)가 있어서, 이 부분의 측면으로 안전조끼(200)가 결합하게 된다. 이는 LED 어셈블리(100)가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져서 안전조끼(20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공(220)에 끼워지게 된다.
반면에 투광부(10)와 LED(1)가 분리된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안전조끼(200)에 끼움공(220)을 내고, 상기 끼움공(220)의 상부에 투광부(10)를 두고, 끼움공(220)의 하부에 LED(1)부분을 하부에서 상부로 끼우는 형식으로 밀어서 투광부(10)와 결합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 LED(1)와 투광부(10)는 밀착하게 되어 고정된다. 물론 반대로 끼움공(220)의 하부에 LED(1)를 먼저 끼우고 상부에 투광부(10)를 결합시킬 수 도 있다.
이 경우의 결합의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해서 LED(1)의 하부에 지지대(5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50)는 투광부(10)와 완전히 밀착이 되어서 LED(1)를 투광부(10)내에 완전하게 고정시키고, LED(1)의 흔들림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4는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50)는 투광부(10)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이 된 다.
도 15는 보호벽이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50)의 직경은 LED(1)의 직경보다 크며, 지지대(50)에는 LED(1)의 주위로 LED(1)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벽(52)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벽(52)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 어셈블리(100)가 외부 충격으로 LED(1)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LED(1)의 주위에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보호벽(52)은 반드시 LED(1)의 주위를 전부 감쌀 필요는 없다.
또한 LED(1)가 투광부(10)에 끼워지는 과정에 투광부(10)의 LED(1)가 끼워지는 부분(C)의 공기가 LED(1)가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어서 장시간 사용시 LED(1)가 압축공기에 의해 밀려서 LED(1) 부분과 투광부(10)가 분리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광부(10)의 내부에 공기배출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공기배출수단은 공기배출홈(18) 또는 엠보싱(19)을 들 수 있다. 도 16은 두개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AA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광부(10) 내부의 LED(1)와 접하는 부분에 LED(1)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배출홈(18)은 LED(1)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투광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은 엠보싱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에서와 같 이, 투광부(10) 내부의 LED(1)와 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LED(1)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투광부(10) 내부의 공기는 엠보싱(19)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투광부 내부의 과도한 압축공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공기배출홈(18) 또는 엠보싱(19)은 LED의 측면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대의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100)는 투광부(10)의 저면에 반사판(60)이 형성되어, LED에서 방출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서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9는 반사판이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안전조끼는 단순한 안전조끼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부력발생수단의 일예로서 튜브형태의 밀폐부를 들 수 있다. 밀폐부는 안전조끼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밀폐부에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부는 안전조끼 착용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비상시 구명조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폐부는 안전조끼의 허리띠 또는 어깨걸이에 형성하되, 어깨걸이에서는 착용자의 가슴이나 등이 맞닿는 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조끼(200)의 개략도이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리띠(210)에는 밀폐부(30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밀폐부(300)의 외부에는 LED 어셈블리(100)가 부착되어 있다. 도 20에서 밀폐부(300)를 허리띠(210)와 어깨걸이(215)의 가슴과 등부분에만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어깨걸이(215) 전체에 밀폐부(300)를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작업의 편리성을 고려할 때 밀폐부(300)는 도 20과 같이 허리띠(210) 또는 어깨걸이(215)의 가슴과 등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0에서는 밀폐부(300)가 안전조끼(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안전조끼(200)에서 착용자와 맞닿는 내피 및 내피에 대응하는 외피 사이의 공간에 형성하여서 외부로는 밀폐부(30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200)를 착용한 작업자가 물에 빠진 경우에 밀폐부(300)에서 발생한 부력에 의해 비교적 수월하게 수면위에 머리를 내놓고 숨을 쉴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를 착용한 사람이 물에 빠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밀폐부(300)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공기를 뺄 수 있는 공기주입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상시에는 밀폐부(300)에서 발생한 부력에 의해 작업자가 수월하게 수면위에 떠 있을 수 있고, 또한 LED 어셈블리(100)에 의해 쉽게 다른 사람에게 발견되어 구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밀폐부는 공기를 뺀 경우에는 종래의 안전조끼와 마찬가지로 두께가 얇은 안전조끼의 형태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밀폐부는 두께 방향의 중간부분에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를 빼면 접는 부분이 접히면서 밀폐부는 안전조끼에 밀착하게 되어서, 밀폐부가 없는 안전조끼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도 21 은 밀폐부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0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폐부(300)의 측면에는 접는선(310)이 있으며, 이 접는선(310)은 밀폐부(300) 내의 공기가 빠지면서 접히게 되어 공기가 빠진 밀폐부(300)는 통상적인 어깨걸이(215)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밀폐부(300)에서 공기를 뺀 경우에 접는선(310)을 중심으로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가 밀착될 수 있도록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에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2는 부력발생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납부가 형성된 안전조끼의 개략도이다. 안전조끼(200)에는 수납부(400)가 있는데, 수납부(400)의 내부에는 수납부(400)의 형태를 가지는 공기주머니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납부(400)에는 공기주머니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있으며, 출입구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420)이 부착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공기주머니 없이 사용하다가, 물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공기주머니를 삽입하고 작업을 하면 된다. 수납부(400)도 밀폐부(300)와 마찬가지로 허리띠(210) 또는 어깨걸이(215)의 가슴과 등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2에서는 수납부(400)가 안전조끼(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안전조끼(200)에서 착용자와 맞닿는 내피 및 내피에 대응하는 외피 사이의 공간에 형성하여서 외부로는 수납부(40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수납부(400)에도 상기된 밀폐부와 같이 접는선과 부착수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600)는 LED 어셈블리(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스위치(700)는 배터리와 LED 어셈블리(10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다. 배터리(600)와 스위치(700)는 안전조끼(200)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200)는 물속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배터리(600), 스위치(700), LED 어셈블리(100)등의 전기와 관련된 부분은 방수기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는 착용자가 바다에 조난한 경우에 쉽게 구조될 수 있도록 구조신호를 발생하는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도 23은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부착된 안전조끼의 개략도이다. 조난신호 송출장치(500)는 배터리(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조난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구조팀들은 조난신호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조난신호 송출장치에서 송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조난신호 송출장치와 조난신호 수신장치는 공지된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우의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반구형의 형상의 투광부를 가지는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는 박막투광부가 음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후막투광부가 양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다수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가 존재하는 LED 어셈블리의 예시도,
도 8은 볼록렌즈부가 추가로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9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0은 확산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1은 고주파 부착방식에 의해 LED 어셈블리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LED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LED와 투광부가 분리된 경우의 본체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5는 보호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16은 두개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AA부분 단면도,
도 18은 엠보싱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9는 반사판이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0은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안전조끼의 개략도,
도 21은 밀폐부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0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납부가 형성된 어깨걸이를 구비한 안전조끼의 개략도,
도 23은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부착된 안전조끼의 개략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조끼를 착용한 사람이 물에 빠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LED
10:투광부
100:LED 어셈블리
200:안전조끼
300:밀폐부
400:수납부

Claims (26)

  1. 사람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띠와 상기 허리띠에 연결되어 사람의 어깨에 걸쳐지는 어깨걸이로 구성된 안전조끼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는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다수의 LED 어셈블리;
    상기 LED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LED를 보호하며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가 밀폐된 밀폐 부가 있으며, 상기 밀폐부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는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있으며, 상기 수납부에는 공기주머니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출입구가 있으며, 상기 출입구에는 개폐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 또는 수납부는 상기 허리띠 또는 상기 어깨걸이의 사람의 가슴과 등이 닿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밀폐부의 두께 방향의 중간에는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밀폐부의 두께 방향의 중간에는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는선을 기준으로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에는 상기 수납부 또는 밀폐부의 공기가 없는 경우에 상기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를 접는선을 중심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고휘도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 배터리 및 스위치는 방수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투광부 또는 후막투광부에는 색이 칠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입체 도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투광부 또는 후막투광부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측면벽이 상기 투광부와 밀착되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직경은 상기 LED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LED의 주위로 상기 LED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의 하부에는 상기 투광부에 비하여 직경이 작으며, 내부가 LED의 측면과 접하고 외부가 본체와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외부에는 상기 LED를 둘러싼 볼록렌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렌즈부는 하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의 하부에서 LED의 측면을 따라서 얇은 벽을 형성하며 LED의 상부로 올라가며, LED의 상부에는 볼록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의 상부에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의 상부와 대하는 상기 투광부의 내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크리스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라텍스, 고무, 우레탄, 레진,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가 상기 안전조끼에 고주파 압착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있으며,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LED 어셈블리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투광부와 LED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투광부가 상기 끼움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LED가 상기 끼움공의 하부에서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안전조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조끼에는 조난신호 송신기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안전조끼.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투광부는 0.1~10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후막투광부는 상기 박막투광부의 두께보다 1.5~20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조끼.
KR1020090033384A 2009-04-17 2009-04-17 안전조끼 KR10110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84A KR101102988B1 (ko) 2009-04-17 2009-04-17 안전조끼
CN201080016965XA CN102448337A (zh) 2009-04-17 2010-04-19 安全背心
EP10764693.7A EP2420150A4 (en) 2009-04-17 2010-04-19 SAFETY VEST
PCT/KR2010/002403 WO2010120154A2 (ko) 2009-04-17 2010-04-19 안전조끼
US13/264,920 US20120033411A1 (en) 2009-04-17 2010-04-19 Safety vest
JP2012505827A JP2012524174A (ja) 2009-04-17 2010-04-19 安全ベス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384A KR101102988B1 (ko) 2009-04-17 2009-04-17 안전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948A true KR20100114948A (ko) 2010-10-27
KR101102988B1 KR101102988B1 (ko) 2012-01-05

Family

ID=4298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84A KR101102988B1 (ko) 2009-04-17 2009-04-17 안전조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33411A1 (ko)
EP (1) EP2420150A4 (ko)
JP (1) JP2012524174A (ko)
KR (1) KR101102988B1 (ko)
CN (1) CN102448337A (ko)
WO (1) WO201012015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26B1 (ko) * 2018-01-04 2018-07-03 오리온시스템즈 주식회사 Led안전조끼
KR102025387B1 (ko) * 2018-10-16 2019-09-25 대한민국 부력 작업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77414B1 (en) * 2010-07-26 2013-04-15 Daniamant Aps Maritime light source
US8648735B2 (en) * 2012-04-06 2014-02-11 Paul Haynes Safety directional indicator
US20140098523A1 (en) * 2012-10-05 2014-04-10 John A. Sutton Lighted safety belt
US9368004B2 (en) * 2012-10-17 2016-06-14 Covidien Lp Battery-powered surgical devices including internally-mounted visual indicators
US8840263B1 (en) 2013-01-31 2014-09-23 Henry Franklin Jones Safety light
US9228736B1 (en) * 2013-05-02 2016-01-05 Scott Austin Article of protective clothing with light source
KR101468516B1 (ko) * 2013-07-25 2014-12-04 주식회사 써드아이 안전조끼 겸용 차량 시트용 안전벨트 구조체
CN103734935A (zh) * 2013-12-10 2014-04-23 吴江发源纺织有限公司 安全警示服
USD739085S1 (en) 2014-07-14 2015-09-15 Maria Isabel Tadeo Illuminated safety harness
US9981725B1 (en) * 2015-09-17 2018-05-29 Daryl Brown Solar powered LED life jacket system
KR101711077B1 (ko) * 2016-06-21 2017-02-28 이영석 구명조끼
USD802845S1 (en) 2016-10-28 2017-11-14 Errol Blackwell Lighted vest
US10304308B2 (en) 2016-11-01 2019-05-28 Numan Mujeeb Transit worker warning system
CN106820372A (zh) * 2016-11-30 2017-06-13 佛山市兴华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轻便的发光腰带
USD850757S1 (en) 2017-08-02 2019-06-11 James Jackson Safety belt
USD850009S1 (en) 2017-08-02 2019-05-28 James Jackson Safety vest
CN109275596B (zh) * 2018-10-09 2023-09-26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适用于鸟类野外在体实验的可穿戴辅助设备
CN209535414U (zh) * 2018-12-24 2019-10-25 深圳市其真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充气救生背带
US11666357B2 (en) 2019-09-16 2023-06-06 Covidien Lp Enclosure for electronics of a surgical instrument
US11259576B1 (en) * 2019-12-06 2022-03-01 Donald Nicholas Campbell Illuminated high-visibility safety vest
US11820472B1 (en) 2020-03-05 2023-11-21 John O. Capezzuto Illuminated life jacke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5375A (en) * 1968-03-27 1969-09-09 Joseph P Schnell Life guard chest waders
US4924362A (en) * 1986-08-15 1990-05-08 Alliko Unlimited Corporation Illuminated article and waterproof illuminated harness
JPH08244683A (ja) * 1995-03-10 1996-09-24 Masaharu Miyake 簡易救命具
CN2520692Y (zh) * 2001-12-30 2002-11-20 顾彐良 闪光警察马夹
JP3088258U (ja) * 2002-02-28 2002-09-06 國防部中山科學研究院 多機能救命衣
JP2005199920A (ja) * 2004-01-16 2005-07-28 Towa Iryoki Kk 体温調整具を備えた救命具
KR100558775B1 (ko) 2004-05-28 2006-03-13 김민식 안전조끼
US7377663B2 (en) * 2005-06-30 2008-05-27 Paul Decker Versatile garment for enhancing the safety of personnel in low-light conditions
KR100692197B1 (ko) * 2005-08-31 2007-03-13 서울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휘도 엘이디 광소자를 이용한 발광형 안전조끼
KR100643919B1 (ko) * 2005-11-24 2006-11-1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를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US7201626B1 (en) * 2005-12-22 2007-04-10 Nelson Jack E Floata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s
KR200432410Y1 (ko) * 2006-09-04 2006-12-01 김서태 구명조끼
CN201123411Y (zh) * 2007-10-12 2008-10-01 林国华 安全防护背心或安全防护带的发光装置
CN101195409A (zh) * 2007-12-05 2008-06-11 王翠 游泳自救泳裤
KR100850470B1 (ko) 2008-01-04 2008-08-07 주식회사 디씨엔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장착된 구명조끼
US20100313328A1 (en) * 2009-06-11 2010-12-16 Shelton Duane C Lighted safety apparel and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726B1 (ko) * 2018-01-04 2018-07-03 오리온시스템즈 주식회사 Led안전조끼
KR102025387B1 (ko) * 2018-10-16 2019-09-25 대한민국 부력 작업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24174A (ja) 2012-10-11
CN102448337A (zh) 2012-05-09
EP2420150A2 (en) 2012-02-22
KR101102988B1 (ko) 2012-01-05
WO2010120154A2 (ko) 2010-10-21
US20120033411A1 (en) 2012-02-09
WO2010120154A3 (ko) 2011-03-31
EP2420150A4 (en)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88B1 (ko) 안전조끼
US7178931B1 (en) Mask illumination device and personnel locator and/or communicator
US6416199B1 (en) Modified underwater diving mask
US9096297B2 (en) Illuminated visibility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KR101096621B1 (ko) 안전가방
US20230094370A1 (en) Dive mask for underwater communication
KR101096649B1 (ko) 안전우의
KR101597779B1 (ko) 구난신호장치가 장착된 의류
US20100288274A1 (en) Illuminated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KR101096646B1 (ko) 안전 우산
CN102612464A (zh) 用于潜水员的救援无线电装置
CN203005718U (zh) 一种多功能救生衣
KR101096630B1 (ko) 안전 밴드
KR200401221Y1 (ko) 구명 튜브
CN208149573U (zh) 防弹救生衣以及海警装备配置箱
KR100685724B1 (ko) 구명 튜브
KR20120107712A (ko) 구명 튜브
KR20180015946A (ko) 우의 겸용 구명복
CN207985153U (zh) 一种水上应急救援装备
US11820472B1 (en) Illuminated life jacket
CN217198593U (zh) 具有定位功能的速充式溺水应急臂盒
KR200246712Y1 (ko) 구명복 부착용 발광장치
CN209988090U (zh) 自动发出灯光警示的浮潜面罩
KR102061314B1 (ko) 발광체가 구비된 구명모자
KR20140081953A (ko) 모든연령 안전가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