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7712A - 구명 튜브 - Google Patents

구명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712A
KR20120107712A KR1020110025383A KR20110025383A KR20120107712A KR 20120107712 A KR20120107712 A KR 20120107712A KR 1020110025383 A KR1020110025383 A KR 1020110025383A KR 20110025383 A KR20110025383 A KR 20110025383A KR 20120107712 A KR20120107712 A KR 20120107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main body
cover
hatch
receiv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승정
Original Assignee
추승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승정 filed Critical 추승정
Priority to KR102011002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712A/ko
Publication of KR20120107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명 튜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신체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구명 튜브 본체, 상기 본체의 내, 외주연에 그 상단부가 부착되고 하단부가 밀폐된 수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커버는 산과 골이 반복된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수용 커버를 침수시키는 무게 중심부재가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신체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구명 튜브 본체; 상기 본체의 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개방된 상측은 본체의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하측은 밀폐되며 다수의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된 수용 커버; 상기 수용 커버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용 커버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는 해치; 및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수용 커버를 침수시키는 무게 중심부재가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구명 튜브{life tube}
본 발명은 구명 튜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등에서 조난당했을 때 사용되는 구명 튜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조난자가 착용하고 있는 구명 튜브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구명 튜브에 몸을 완전히 수용함으로써 물이 조난자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저체온에 의해 인명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명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구명 튜브는 몸통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되며 도우넛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명 튜브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그 홀에 사람의 몸을 끼워 착용함으로써 부유체의 부상력에 의해 물에 부상하게 되는것이다.
이와 같은 구명 튜브는 눈에 잘 띄도록 밝은 색상으로 겉감이 형성되고, 겉감 속에는 부유체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명 튜브는 주로 익사사고의 위험이 있는 물놀이 장소에서 착용한 상태에서 주로 사용하거나 또는 어선에 비상용으로 비치되어 유사시 사용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명 튜브는 사용자의 특성과 환경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구명 튜브의 공통적인 목적은 익사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어선이 침몰되거나 극한 상황에 처했을 때 착용한 상태에서 입수하게 되면 부유체에 의해 착용자는 수면위로 부상하게 되고 밝은 색상에 의해 눈에 선명하게 식별되어 구조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명 튜브를 착용한 상태라 할지라도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 처할 경우에는 식별이 안되므로 구조에 난감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구명 튜브를 착용한 상태라 할 지라도 밤에 배가 침몰될 경우 구명 튜브를 착용한 착용자가 식별되지 않으므로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다 저 체온 현상에 의해 많은 인명을 손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 출원 등록된 특허 등록번호 제 685724호의 구명 튜브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명 튜브에서는 튜브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고 또 조난자의 신체 일부분이 튜브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물과 직접 접촉되어 조난자가 저체온으로부터 완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평상시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할 때 펼쳐지게 하는 구조로 인해서 결국 스프링의 역할을 하는 별도의 부품이 필요하므로 그에 따른 제작비 및 제조 공정에 어려움이 뒤따랐다.
KR 10-0685724 A 2007.02.15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종래와 같은 구명 튜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명 튜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명 튜브에 몸을 완전히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저체온에 의해 인명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명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구명 튜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접었다 펼쳤다 하는 동작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명 튜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신체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구명 튜브 본체, 상기 본체의 내, 외주연에 그 상단부가 부착되고 하단부가 밀폐된 수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커버는 산과 골이 반복된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수용 커버를 침수시키는 무게 중심부재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구명 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무게 중심부재는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 면에 부착되는 원판으로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본체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한 개의 견인 고리가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홀에 대해 밀폐하며 물이 입수되지 않도록 패킹이 갖춰진 해치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4 변형 예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에 실링을 유지하며 함몰 형성된 축전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 면에 노출되어 상기 축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상기 축전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 면에 노출된 한 개 이상의 발광부;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축전부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로 인가 또는 차단하여 발광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신체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구명 튜브 본체; 상기 본체의 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개방된 상측은 본체의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하측은 밀폐되며 다수의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된 수용 커버; 상기 수용 커버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용 커버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는 해치; 및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수용 커버를 침수시키는 무게 중심부재가 구비된 구명 튜브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은 사용자의 양 발이 위치되며 수직으로 중심을 유지하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구명 튜브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구명 튜브의 내부에 조난자가 완전히 수용토록 함으로써 물과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저체온증에 의한 인명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구명 튜브의 제조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에 널리 보급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 튜브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명 튜브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구명 튜브 본체(10)는 신체의 일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통상적인 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 외주연에는 수용 커버(20)가 실링을 유지할 수 있는 각종 연결수단 또는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 구비된다.
상기 수용 커버(20)는 산과 골이 반복된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상기 수용 커버(20)의 하측에는 상기 수용 커버(20)를 침수시키는 무게 중심부재(30)가 구비되어야 한다.
물론 상기 무게 중심부재(30)는 수용 커버(20) 내부의 체적과 그 공간에 수용되는 사람의 무게와 체적 등을 고려하여 그 무게가 결정될 것이다.
상기 무게 중심부재(30)는 상기 수용 커버(20)의 하측 면 중심에 부착되는 구 또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10)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한 개의 견인 고리(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견인 고리(11)는 다수의 본체(10)를 서로 결속하여 뿔뿔이 흩어지며 표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상기 홀에 대해 밀폐하며 물이 입수되지 않도록 패킹(41)이 갖춰진 해치(40)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상기 해치(40)에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한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지만 별도의 체크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해치(40) 중 선택된 어느 한 곳에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축전부(51)가 수용되고,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해치(40)의 상측 면에는 상기 축전부(51)로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52)과 스위치(5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해치(40)의 상측 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구 또는 LED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발광부(54)가 배열되어 상기 스위치(53)의 동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솔라셀(52)과 축전부(51) 그리고 상기 스위치(53)와 상기 발광부(54)는 전기 신호선 및 전기 부품에 의해 회로 구성이 이루어지며 배선된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의 구조와 구성은 대동소이하다.
다만 상기 제2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수용 커버(20)의 상측이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어 사용자의 두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수용 커버(20)의 외주면에는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별도의 투시창(21)이 구비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물론 상기한 제2 실시 예에 있어서도 상기 수용 커버(20)를 밀폐하는 해치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무게 중심부재(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용 커버(20)는 하측이 수직으로 절결되어 피수용자의 양 다리가 나뉘어져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무게 중심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의 사용 전 상태 즉 보관 상태는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미 사용시에는 주름으로 구성된 상기 수용 커버(20)는 압축된 상태에서 슬림하게 보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가 침몰하는 등 탈출을 요할 때에는 도 2 내지 3과 같이 수용 커버(20)를 펼친 상태에서 그 내부에 하반신을 넣고 물속으로 뛰어들면 된다.
상기와 같이 물속에 뛰어들게 되면 상기 수용 커버(20)의 하측에 구비된 상기 무게 중심부재(30)의 무게와 수용 커버(20)에 수용된 신체의 무게에 의해 수용 커버(20)는 침수될 것이다.
이때 상기 무게 중심부재(30)는 그 중심을 유지하며 상기 수용 커버(20)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하반신이 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 물에 표류되어도 저체온 현상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명 튜브를 의지한 상태에서 특히 빛이 없는 밤에 바다나 강물 또는 호수나 바다에서 표류할 때에는 사용자는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해치(40)에 구비된 별도의 스위치(53)를 동작시킨다.
상기 스위치(53)를 동작시키면 상기 솔라셀(52)에 의해 전원이 축전된 상기 축전부(51)는 상기 발광부(54)로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부(54)의 지속적인 발광상태를 유지하거나 점등과 소등 동작을 반복할 것이다.
따라서 구조 요원은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에서 조난자가 조류 등에 의해 사고지점에서 멀리 이동되더라도 구명 튜브에서 발하는 빛을 식별하여 용이하게 구조할 수 있다.
그리고 너울이 심한 강물이나 바다에서 사용할 경우 상기 해치(40)를 상기 수용 커버(20)의 내측에 완전히 신체를 은폐하면 신체가 수용된 수용 커버(20)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므로 물과의 접촉에 의한 저체온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0 : 본체 11 : 견인 고리
20 : 수용 커버 21 : 투시 창
22 : 절결부 30 : 무게 중심부재
40 : 해치 41 : 패킹
51 : 축전부 52 : 솔라셀
53 : 스위치 54 : 발광부

Claims (7)

  1. 신체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구명 튜브 본체,
    상기 본체의 내, 외주연에 그 상단부가 부착되고 하단부가 밀폐된 수용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커버는 산과 골이 반복된 다수의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수용 커버를 침수시키는 무게 중심부재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구명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부재는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 면에 부착되는 원판을 포함하는 구명 튜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 면에는 적어도 한 개의 견인 고리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구명 튜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상기 홀에 대해 밀폐하며 물이 입수되지 않도록 패킹이 갖춰진 해치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구명 튜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에 실링을 유지하며 함몰 형성된 축전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 면에 노출되어 상기 축전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솔라셀;
    상기 축전부와 전기 접속되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 면에 노출된 한 개 이상의 발광부; 및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해치의 상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축전부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로 인가 또는 차단하여 발광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구명 튜브.
  6. 신체가 통과되는 홀이 형성된 구명 튜브 본체;
    상기 본체의 홀을 관통하여 장착되며 개방된 상측은 본체의 상측으로 일부 노출되도록 부착되고 하측은 밀폐되며 다수의 산과 골이 반복 형성된 수용 커버;
    상기 수용 커버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수용 커버의 개방된 상측을 밀폐하는 해치; 및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수용 커버를 침수시키는 무게 중심부재가 구비된 구명 튜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커버의 하측은 사용자의 양 발이 위치되며 수직으로 중심을 유지하는 절결부가 형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구명 튜브.










KR1020110025383A 2011-03-22 2011-03-22 구명 튜브 KR20120107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83A KR20120107712A (ko) 2011-03-22 2011-03-22 구명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383A KR20120107712A (ko) 2011-03-22 2011-03-22 구명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712A true KR20120107712A (ko) 2012-10-04

Family

ID=47279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383A KR20120107712A (ko) 2011-03-22 2011-03-22 구명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71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47B1 (ko) * 2013-08-30 2015-03-02 김종윤 구명 장치
KR20160019144A (ko) * 2014-08-11 2016-02-19 이경순 구명 지지체 및 구명 지지체를 구비한 구명 장치
CN107902055A (zh) * 2017-11-03 2018-04-13 周超 游泳用救生环
CN115649391A (zh) * 2022-09-28 2023-01-31 河北科技大学 一种海上单人封闭式救生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47B1 (ko) * 2013-08-30 2015-03-02 김종윤 구명 장치
KR20160019144A (ko) * 2014-08-11 2016-02-19 이경순 구명 지지체 및 구명 지지체를 구비한 구명 장치
CN107902055A (zh) * 2017-11-03 2018-04-13 周超 游泳用救生环
CN115649391A (zh) * 2022-09-28 2023-01-31 河北科技大学 一种海上单人封闭式救生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88B1 (ko) 안전조끼
AU2006269211B2 (en) Water-activated and light-assisted visual locating device
JP5869035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KR20120107712A (ko) 구명 튜브
US4498878A (en) Safety diving backpack
KR20100028223A (ko) 부력 가방
KR101096621B1 (ko) 안전가방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KR200401221Y1 (ko) 구명 튜브
US20190100290A1 (en) Life vest
KR101096649B1 (ko) 안전우의
CN205022831U (zh) 便捷式自动充气防溺手环
KR100685724B1 (ko) 구명 튜브
KR20130112590A (ko) 인명구조수트
KR102025387B1 (ko) 부력 작업복
KR20180015946A (ko) 우의 겸용 구명복
KR200385153Y1 (ko) 일체형 구명복
KR102453148B1 (ko) 발열 튜브
KR20100114403A (ko) 안전 우산
JP6577276B2 (ja) 救命・救難装置付き浮き物体
JP2000062687A (ja) 救命用ライト
KR102061314B1 (ko) 발광체가 구비된 구명모자
KR20190083744A (ko) 해상 조난시 위치 표시하고 조난자가 사용할 수 있는 조난 구명구
RU18834U1 (ru) Световой сигнализатор (варианты)
KR20130143396A (ko) 수분 감지형 구명환 및 구명볼을 겸비한 송수신 비상지휘체계 보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