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2590A - 인명구조수트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590A
KR20130112590A KR1020120035086A KR20120035086A KR20130112590A KR 20130112590 A KR20130112590 A KR 20130112590A KR 1020120035086 A KR1020120035086 A KR 1020120035086A KR 20120035086 A KR20120035086 A KR 20120035086A KR 20130112590 A KR20130112590 A KR 20130112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life
suit
sav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승환
손규하
Original Assignee
손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환 filed Critical 손승환
Priority to KR1020120035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2590A/ko
Publication of KR2013011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087Body suits, i.e. substantially covering the user's body ; Immersion suits, i.e. substantially completely covering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17Life-saving in water characterised by making use of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e.g.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조난사고 발생시 조난자를 해수로부터 보호하는 인명구조수트는 내부에 기체 발생원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발생원이 기체를 생성하면 내부가 상기 기체로 충진되어 부력 및 탄성을 갖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는 탑승공간, 상기 보호막의 일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탑승공간에 조난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구, 및 상기 탑승구를 개폐하고, 일 영역에 호흡을 위한 호흡관이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명구조수트{LIFESAVING SUIT}
본 발명은 조난사고 발생 시 팽창시켜 사용되는 인명구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상 등에서 발생하는 조난사고 시에 물속에 빠져도 의식을 잃지 않은 상태라면 구명조끼, 구명튜브 등을 이용하여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명조끼, 구명튜브 등은 인체가 물에 노출되어 있어, 장시간 노출로 저체온증으로 인하여 사망에 이르게 될 수 있다.
또한 구명보트 등 물에 부상하여 조난자가 탑승할 수 있는 구명장치는 직접적으로 인체가 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적지만, 풍랑 등에 의하여 구명보트가 뒤집히거나, 구명보트로 물이 들어와 침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조난사고는 시각을 다투는 긴급한 상황이므로, 기존의 방식으로 기체를 충진하는 구명튜브 또는 구명보트는 시간은 오래 지체하게 된다. 또한 시간을 지체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미리 구명보트 및 구명튜브에 기체를 충진해 두었을 때는 충진된 기체가 시일이 지나면서 빠져나가게 되어 오히려 조난자를 더 큰 위험에 빠뜨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난사고 시 팽창시켜 인명을 구조하는 인명구조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조난사고 발생시 조난자를 해수로부터 보호하는 인명구조수트는 내부에 기체 발생원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발생원이 기체를 생성하면 내부가 상기 기체로 충진되어 부력 및 탄성을 갖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는 탑승공간, 상기 보호막의 일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탑승공간에 조난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구, 및 상기 탑승구를 개폐하고, 일 영역에 호흡을 위한 호흡관이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막은 실리콘, 고무 및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의 외형은 구형, 계란형, 원통형, 또는 인체형일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의 다른 일 영역에 수중에서 상기 보호막의 수평을 유지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의 다른 일 영역에 내부로부터 외부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체 발생원은 상기 보호막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 표면의 다른 일 영역에 인명구조수트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의 표면에는 발광도료 또는 형광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내부가 복수 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호막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탑승공간에 탑승한 조난자의 양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 돌출부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리수용 돌출부는 오물 또는 쓰레기를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수트는 조난사고의 인명 구조 시, 조난자가 인명구조수트의 내부에 탑승하여 물과의 접촉을 감소시킴으로써 저체온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수트는 수영 미숙자 또는 부상 등으로 인하여 수영을 할 수 없는 사람이 익사하는 등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밀폐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기체 주입구가 부착된 인명구조수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명구조수트를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들은 본 발명에 대한 예시적인 기재일 뿐, 하기 설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기술사상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후술할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막(110), 보호막(110)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는 탑승공간, 탑승구 및 일 영역에 호흡을 위한 호흡관(140)이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재(130)를 포함한다. 보호막(110)은 내부에 기체 발생원(미도시)을 포함하여, 상기 기체 발생원이 기체를 생성하면 내부가 상기 기체로 충진된다. 기체가 충진된 보호막(110)은 구형, 원기둥 또는 계란형으로 부풀어 내부에 상기 탑승공간이 구비된다. 기체가 수용되는 보호막(110)은 충진된 기체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110)의 재료로는 고무, 실리콘, 폴리우레탄 또는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연질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정 이하의 충격에는 손상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의 나트륨 아자이드(sodium azaide, NaN3) 및 산화철(Fe2O3)을 플라스틱 캡슐에 각각 채워져 보호막(110) 내부에 구비된다. 나트륨 아자이드 및 산화철이 채워진 각각의 캡슐은 발로 밟거나 별도의 망치 등으로 보호막(110)의 외부로부터 충격을 주어 깨뜨린다. 상기 캡슐이 깨질 때 상기 캡슐에 부착되어 있는 점화장치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하여 상기 혼합된 나트륨 아자이드 및 산화철은 다음과 같은 반응식에 의해 반응되어 질소를 생성한다. 이때, 산화철은 나트륨 아자이드가 질소와 나트륨으로 분해되는데 있어서 촉매의 역할을 하고, 생성된 나트륨은 산화철과 반응하여 안전한 산화나트륨을 생성한다. 약 130g의 나트륨 아자이드와 약 60g의 산화철이 반응을 일으키면 60 내지 70L의 질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산소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여, 질소 대신 산소를 충진할 수 있다.
보호막(110)의 일 영역에는 조난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구가 구비된다. 상기 탑승구에는 보호막(110)의 내부를 밀폐할 수 있는 밀폐부재가 형성된 개폐부재(130)가 부착된다. 상기 밀폐부재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도 한다. 개폐부재(130)의 일 영역에는 개폐부재(130)를 관통하고, 상기 탑승공간에 탑승한 조난자가 외부의 공기를 호흡할 수 있는 호흡관(140)이 구비된다. 호흡관(140)은 가늘고 긴 형태의 관 형태이어도 좋고, 개폐부재(130)의 일 영역에 형성된 개구일 수 있다. 그러나 조난자의 편리성을 위해 호흡관(140)의 탑승공간 내로 삽입된 부분을 입으로 물 수 있는 관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 형태가 너무 가늘고 길면 조난자가 호흡하기 용이하지 않고, 관이 굵고 짧으면 탑승공간 내부로 물이 들어가기 쉬워지므로, 호흡관(140)의 형태는 이를 고려하여 구비된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인명구조수트(100)는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조명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명구조수트(100)의 위치를 원격으로 확인하여 조난자를 더 빨리 구조할 수 있도록, GPS 등의 위치 확인 장치를 인명구조수트(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육안으로 인명구조수트(1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호막의 일 영역에 LED 등의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 전체를 발광성 도료 또는 형광성 도료(미도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성 도료 또는 형광성 도료를 도포하면, 인명구조수트(100)는 부표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야간에 인명구조수트(100)를 발견하여 인양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전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장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인명구조수트(100)를 발견할 수 있다. 상기 발광성 도료 또는 형광성 도료는 빛의 반사도가 높고, 해수 등에 용해되기 어려운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200, 30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참조하면, 보호막(210, 310)이 팽창되어 형성된 탑승공간(220, 320)에 조난자가 탑승할 수 있다. 이때, 조난자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눕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앉아서 탑승할 수 있다. 보호막(210, 310)은 해수 등과 같은 외부환경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조난자가 물에 빠져도 저체온증이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210, 310)은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어 있고, 인명구조수트(200, 300)가 전체적으로 구형이므로 물속으로 가라앉지 않고 유영할 수 있다.
개폐부재(230, 330)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보호막(210, 310)이 외부와 접한 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탑승공간(220, 320)과 접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보호막(210, 310)의 외부와 접한 면에 구비되는 개폐부재(230, 330)는 인명구조수트(200, 300)의 외부에서 밀폐할 수 있고, 탑승공간(220, 320)과 접한 면에 구비된 개폐부재(230, 330)는 조난자가 탑승한 후 탑승공간(220, 320) 내에서 밀폐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보호막(210, 310)은 내부가 복수 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획되는 형태와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구획된 공간은 조난 시 인명구조수트(200, 300)가 암초 등에 의하여 보호막(210, 310)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때, 보호막(210, 310) 전체에서 기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구조수트(200, 300)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40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탑승구 주위, 보호막(410) 외벽의 일 영영에 인명구조수트(400)를 물속에서 인양할 수 있도록 헬리콥터 등에 걸 수 있는 인양고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난자가 인명구조수트(400)에 탑승하고 있을 때, 헬리콥터 또는 인양장비 등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명구조수트(400)를 인양할 수 있도록 하는 인양고리(450)가 더 구비된다. 인양고리(450)의 재질로는 보호막(410)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인명구조수트(400)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양고리(450)는 인명구조수트(4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호막(410)의 외부면을 따라 둘러지는 띠(帶) 형태의 인양고리 지지부(452)를 포함한다. 인양고리(450) 및 인양고리 지지부(452)는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인명구조수트(400)를 더욱 잘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인양고리(450) 및 인양고리 지지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인양고리(450)를 지지하기 위하여, 보호막(410)의 외부면을 따라 둘러진 인양고리 지지부(452)와 수직하도록 보호막(410)의 외부면을 따라 둘러진 띠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명구조수트(400)가 인양될 때 인양고리(450) 및 인양고리 지지부(452)가 인명구조수트(4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인양고리 지지부(452)가 보호막(410) 전체를 감싸는 형태, 즉 인양고리 지지부(452) 층으로 보호막(410)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50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명구조수트(500)는 구형이다. 도 5는 인명구조수트(500)가 전체적으로 구형일 때의 단면도이다. 또한, 보호막(510)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어 팽창했을 때, 탑승공간(520) 측의 보호막(510) 면이 평평하도록 형성하여 조난자 탑승시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개폐부재(530) 및 호흡부재(54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60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인명구조수트(600)는 계란형이다. 도 6은 인명구조수트(600)가 전체적으로 계란형 또는 오뚝이형 일 때의 단면도이다. 보호막(610) 내부에 기체가 충진되었을 때, 탑승공간(620) 측의 보호막(610) 면이 평평하게 형성된 것은 도 5에서와 동일하다. 인명구조수트(600)의 탑승구를 위쪽방향으로 보았을 때, 인명구조수트(600)는 위아래 방향이 둘레의 폭보다 길다. 또한 탑승구 측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아랫부분이 넓어지는 계란형 또는 오뚝이 형태이기 때문에, 인명구조수트(600)가 물속에서 물 속에서 안정되게 유영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명구조수트(600)는 인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호막(610)에 조난자의 팔 및 다리를 넣을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여, 팔 및 다리를 보호막(610) 외부에서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개폐부재(630) 및 호흡부재(64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700)의 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인명구조수트(700)는 수납부(760)를 더 포함한다. 인명구조수트(700)는 도 6의 인명구조수트(700)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는 계란형 또는 오뚝이형으로, 탑승구 측에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아랫부분이 넓어져, 인명구조수트(700)가 물속에서 물 속에서 안정되게 유영할 수 있다. 수납부(760)는 인명구조수트(700)를 보관 시에 기체에 의해 팽창되지 않은 보호막(710)이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760)는 인명구조수트(700)의 무게추 역할을 하여, 물 속에서 인명구조수트(700)가 뒤집어지지 않도록 균형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수납부(760)는 보호막(710)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수납부(760) 내부 공간의 일부분을 금속 등으로 채워 무게추로써 사용할 수 있다.
개폐부재(730) 및 호흡부재(74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8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인명구조수트(800)는 투명창(870)을 더 포함한다. 조난자가 인명구조수트(800)에 탑승하여 외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투명재질의 투명창(870)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870)의 재질로는 보호막(810)의 재질과 동일하되 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창(870)은 조난자가 인명구조수트(800)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별도의 투명창(870)을 형성하지 않고, 보호막(810)의 재질을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설명한 LED 등의 조명기구를 보호막(810) 내측의 투명창(870) 둘레를 따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LED 등의 조명기구는 물, 특히 해수에 의하여 고장나기 쉬운 전자제품이므로, 보호막(810) 내측에 설치하여 투명창(870)으로 상기 LED 등의 조명기구가 발광될 수 있다.
개폐부재(830) 및 호흡부재(84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930)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개폐부재(930)는 덮개부재(932), 연결부(934), 밀폐부재(936) 및 호흡관 삽입부(942)를 포함한다. 덮개부재(932)는 상기 인명구조수트의 탑승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상기 보호막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창과 동일하게 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덮개부재(932)의 둘레의 일 영역의 연결부(934)는 상기 보호막에 부착되어 있고, 연결부(934)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모두 밀폐부재(936)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부재(936)의 형태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막의 탑승구에 밀폐부재(936)에 대응하는 보호막 측 밀폐부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양측의 밀폐부재가 맞물리게 되어 상기 탑승구를 밀폐할 수 있다.
호흡관 삽입부(942)는 덮개부재(932) 상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호흡관(942)이 삽입되도록 상기 호흡관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후 호흡관 삽입부(942)에 상기 호흡관이 삽입되면 호흡관 삽입부(942)와 상기 호흡관을 완전히 밀착시켜 투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의 밀폐부재(936)의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도 7의 A-A’부분의 단면으로, 밀폐부재(9736)는 이에 대응하는 보호막 측 밀폐부재(938)와 맞물려 되어 탑승구를 밀폐할 수 있다. 도 10에는 개폐부재 측 밀폐부재(936)에 보호막 측 밀폐부재(938)가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대로 보호막 측 밀폐부재(938)에 개폐부재 측 밀폐부재(936)가 삽입되도록 구비할 수 있다. 보호막 측 밀폐부재(938)가 삽입되면, 개폐부재 측 밀폐부재(936)의 돌출부의 말단의 돌기와 보호막 측 밀폐부재(938)의 돌기가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투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1130)의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개폐부재(1130)는 덮개부재(1132), 연결부(1134), 밀폐부재(1136) 및 호흡관 삽입부(1142)를 포함한다. 덮개부재(1132)는 상기 인명구조수트의 탑승구를 완전히 덮을 수 있고, 상기 보호막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창과 동일하게 투명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덮개부재(1132)의 둘레의 연결부(1134)는 상기 보호막에 부착되어 있다. 밀폐부재(1136)는 도 9에 도시한 밀폐부재(936)와 달리 덮개부재(1132)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덮개부재(1132)를 둘로 가르도록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다. 밀폐부재(1136)의 형태에 대하여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가 기체 주입구가 부착된 인명구조수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탑승구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체 주입구(1280)가 더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한 기체 발생원이 발생시킨 기체가 보호막(1210)을 충분히 팽창시키지 못했을 경우, 추가 기체 주입구(1280)를 통하여 보호막(1210)에 추가의 기체를 주입시킬 수 있다. 상기 추가의 기체는 종류에는 한정되지 않지만, 안전을 위하여 질소, 공기, 헬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1210), 개폐부재(1230) 및 호흡부재(124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외에도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는 위에서 설명한 기체에 의하여 팽창되는 보호막 대신 내부에 보호막을 전개하는 전개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명구조수트는 원통형으로, 내부에 우산과 같은 부채살 형태의 전개장치가 구비되고, 보호막 측면의 일 영역에 탑승구가 구비된다. 상기 탑승구에 형성된 개폐부재는 도 11에 도시한 개폐부재(1130)와 동일하게 덮개부재의 중앙부를 밀폐하는 형태의 개폐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난자가 탑승공간에 탑승한 후, 상기 인명구조수트 개폐부재 내측 면에 방수테이프를 고정설치하여 밀폐부재를 완전히 밀폐하여 투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명구조수트(1300)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탑승공간(1320)에 탑승한 조난자의 양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 돌출부(13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리수용 돌출부(1390)는 보호막(1310)의 어느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지만,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탑승구의 맞은 편 보호막(1310) 부분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구비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리수용 돌출부(1390)는 보호막(1310) 또는 개폐부재(1330)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조난자가 탑승공간(1320)에 탑승한 후에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난자는 다리수용 돌출부(1390)에 두 다리를 넣은 채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리수용 돌출부(1390)는 단일면으로 구비되어 기체가 주입되지 않거나, 보호막(1310)의 다른 부분보다는 얇게 구비될 수 있다.
조난자가 인명구조수트(1300)에 탑승하여 바다에서 구조를 기다리는 동안, 다리수용 돌출부(1390)에 오물 또는 쓰레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돌출부의 내부덮개(13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난 후 구조까지의 대기 시간 동안 조난자가 도리수용 돌출부(1390)에 오물 또는 쓰레기를 폐기한 후, 탑승공간(1320)과 돌출부와의 연결구를 내부덮개(1392)를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다.
개폐부재(1330) 및 호흡부재(1340)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Claims (12)

  1. 내부에 기체 발생원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 발생원이 기체를 생성하면 내부가 상기 기체로 충진되어 부력 및 탄성을 갖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는 탑승공간;
    상기 보호막의 일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탑승공간에 조난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탑승구; 및
    상기 탑승구를 개폐하고, 일 영역에 호흡을 위한 호흡관이 구비되어 있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고,
    해양조난사고 발생시 조난자를 해수로부터 보호하는 인명구조수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실리콘, 고무 및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외형은 구형, 계란형, 원통형, 또는 인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다른 일 영역에 수중에서 상기 보호막의 수평을 유지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다른 일 영역에 내부로부터 외부 또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GPS)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발생원은 상기 보호막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표면의 다른 일 영역에 인명구조수트를 인양할 수 있는 인양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표면에는 발광도료 또는 형광도료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내부가 복수 개의 구획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탑승공간에 탑승한 조난자의 양 다리를 수용하는 다리수용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수용 돌출부는 오물 또는 쓰레기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명구조수트.

KR1020120035086A 2012-04-04 2012-04-04 인명구조수트 KR20130112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86A KR20130112590A (ko) 2012-04-04 2012-04-04 인명구조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86A KR20130112590A (ko) 2012-04-04 2012-04-04 인명구조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590A true KR20130112590A (ko) 2013-10-14

Family

ID=4963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86A KR20130112590A (ko) 2012-04-04 2012-04-04 인명구조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25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162A (zh) * 2018-06-26 2018-11-16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上救生舱
CN109018241A (zh) * 2018-06-26 2018-12-18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逃生系统
KR20210142070A (ko) * 2020-05-17 2021-11-24 김태관 구명튜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0162A (zh) * 2018-06-26 2018-11-16 浙江海洋大学 一种水上救生舱
CN109018241A (zh) * 2018-06-26 2018-12-18 浙江海洋大学 一种船舶逃生系统
KR20210142070A (ko) * 2020-05-17 2021-11-24 김태관 구명튜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206640A (ja) 津波・洪水用救命カプセル
CN103007454B (zh) 高空逃生舱
JP2013043540A (ja) 救命用カプセル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KR100938973B1 (ko) 개인용 구명 장치
KR20130112590A (ko) 인명구조수트
JP2013082412A (ja) 津波救命胴衣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JP5995169B2 (ja) 携帯式津波救命具
JP2002240782A (ja) 救命いかだ
JP2006306259A (ja) 救助用浮遊球体
CN110254664A (zh) 一种便携式救生球
KR101874455B1 (ko) 구명장치
CN205872406U (zh) 一种水险救生弹及其投掷装置
WO2013149525A1 (zh) 水上救生舱
JP2014124955A (ja) 救命具
TWM519614U (zh) 災害自救設備
CN203075495U (zh) 高空逃生舱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CN201643449U (zh) 一种救生球
KR101278134B1 (ko) 구명장치
KR20050098424A (ko) 구명기구
KR101497047B1 (ko) 구명 장치
WO2010128690A1 (ko) 개인용 구명 장치
CN210555504U (zh) 一种便携式救生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