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630B1 - 안전 밴드 - Google Patents

안전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630B1
KR101096630B1 KR1020090032913A KR20090032913A KR101096630B1 KR 101096630 B1 KR101096630 B1 KR 101096630B1 KR 1020090032913 A KR1020090032913 A KR 1020090032913A KR 20090032913 A KR20090032913 A KR 20090032913A KR 101096630 B1 KR101096630 B1 KR 10109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band
delete delete
l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400A (ko
Inventor
허재용
Original Assignee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성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성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630B1/ko
Priority to PCT/KR2010/002350 priority patent/WO2010120134A2/ko
Publication of KR2010011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05Identification bracelets, e.g. secured to the arm of a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09F21/023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fixed on clot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신체 또는 물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밴드에 발광체인 LED를 부착시키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로 구성된 투광부를 씌워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ED를 보호하고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다른 사람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어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LED 어셈블리에서 방사되는 빛의 환상적인 조화에 의해 미적 감각을 극대화시켜 패션 악세서리로도 이용할 수 있는 안전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가늘고 긴 형태의 밴드몸체; 상기 밴드몸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셈블리; 상기 LED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며,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밴드, 발광체, 시인성, 악세사리, 안전

Description

안전 밴드{Safety Bend}
본 발명은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신체 또는 물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밴드에 발광체인 LED를 부착시키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로 구성된 투광부를 씌워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ED를 보호하고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다른 사람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어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LED 어셈블리에서 방사되는 빛의 환상적인 조화에 의해 미적 감각을 극대화시켜 패션 악세서리로도 이용할 수 있는 안전밴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부분에는 자전거 전용도로가 없으므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이동시에는 차량이 다니는 일반도로를 이용하여야 하며, 자전거 전용도로가 있더라도 자전거 타는 사람, 인라인 타는 사람, 조깅하는 사람이 서로 어우러져서 다니게 되므로 항상 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특히 야간이나 눈 비 내리거나 안개낀 날과 같이 가시거리가 짧은 경우에는 더더욱 사고의 위험이 높았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조킹, 자전거, 인라인을 타는 사람과 같이 활동적인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은 자신의 위치나 움직임을 타인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다양한 발광밴드를 구입하여 착용하고 있다.
또한 등산이나 낚시를 즐기는 사람은 자신의 위치를 남에게 알려주어서 사고를 예방할 뿐 아니라,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자신의 위치를 타인에게 보다 잘 알려주어서 신속히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이러한 밴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밴드들은 밴드에 야광체를 부착시키거나 다양한 발광체를 부착시킨 것인데, 야광체를 부착시킨 것은 외부의 불빛이 없는 곳에서는 발광밴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으며, 다양한 발광체를 부착시킨 경우에도 그 불빛이 약하여 눈, 비가 오는 날 또는 안개가 심하게 낀 날에는 발광밴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그나마 발광체 중에서는 LED를 부착시킨 발광밴드가 발광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 역시 LED 자체가 가지는 단점때문에 여러가지 문제를 노출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문제는 LED는 정면 발광을 하므로, LED의 바로 앞에서 LED를 바라보면 휘도가 높아서 눈부심 현상이 있고 이로 인하여 눈이 쉽게 피로해지고, 인접한 타인의 시야를 순간적으로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LED에서 발광되는 빛은 직진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LED의 측면으로는 거의 빛이 전달되지 않아서 측면에서 이를 인식하기가 수월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된 LED의 정면발광과 LED에서 발광된 빛의 직진성 때문에 종래의 LED를 이용한 발광장치는 하나의 LED 빛이 조사되어지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다수의 LED를 사용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다수의 LED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고 원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밴드들은 땅에 떨어지거나 외부에 충격에 의하여 쉽게 LED가 파손되어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파손된 LED에 의해 사람의 손 등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근래에 와서는 이러한 발광밴드는 단순한 안전 확보 목적이외에 패션의 목적으로 악세사리의 한 종류로서도 사용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발광체를 이용하여 단순한 시인성 향상에 따른 안전확보 목적 뿐 아니라, 발광밴드에서 방사되는 환상적인 빛의 조화에 의한 미감을 두루 갖춘 발광밴드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발광밴드는 단순히 LED와 같은 발광체를 부착시킨 것으로서, 빛에 의한 미감을 표현하기에는 역부족하였다.
종래의 밴드는 야광물체나 발광체를 밴드에 부착시킨 것으로서, 어느 한 방향에서는 시인성이 양호하지만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의 모든 면에서의 시인성이 전체적으로 양호하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눈, 비가 오는 날 또는 안개가 심하게 낀 날에는 밴드에 부착된 발광체가 제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밴드는 단순히 발광체에서 방사되는 빛을 이용하게 되므로, 발광체에 의해 표현할 수 있는 미감에는 한계가 있어서 패션 목적의 악세사리로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신체 또는 물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밴드에 발광체인 LED를 부착시키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로 구성된 투광부를 씌워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LED를 보호하고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다른 사람에게 쉽게 인식될 수 있어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아울러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를 갖춘 LED 어셈블리에서 방사되는 빛의 환상적인 조화에 의해 미적 감각을 극대화시켜 패션 악세서리로도 이용할 수 있는 안전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신체 또는 물건에 부착되어 사용되어지는 안전밴드는 가늘고 긴 형태의 밴드몸체; 상기 밴드몸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셈블리; 상기 LED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LED를 보호하며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밴드몸체는 자체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이 없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LED 어셈블리가 부착되는 비탄성부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부는 내피와 외피가 결합한 형태이며, 외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셈블리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LED 어셈블리, 배터리 및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비탄성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된 내부공간이 있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부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는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비탄성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부가 있으며, 상기 수납부에는 공기주머니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출입구가 있으며, 상기 출입구에는 개폐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밀폐부의 두께의 중간에는 접는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는선을 기준으로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에는 상기 수납부 또는 밀폐부의 공기가 없는 경우에 상기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을 접는선을 중심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비탄성부는 내피와 외피가 결합한 형태이며, 상기 수납부 또는 상기 밀폐부는 상기 내피와 외피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밴드몸체는 양끝에 결합부를 구비한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밴드몸체는 폐쇄된 원형의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는 고휘도 LED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어셈블리, 배터리 및 스위치는 방수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박막투광부 또는 후막투광부에는 색이 칠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는 입체 도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박막투광부 또는 후막투광부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측면벽이 상기 투광부와 밀착되는 지지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의 직경은 상기 LED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LED의 주위로 상기 LED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벽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의 하부에는 상기 투광부에 비하여 직경이 작으며, 내부가 LED의 측면과 접하고 외부가 밴드몸체와 접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의 외부에는 상기 LED를 둘러싼 볼록렌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렌즈부는 하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의 하부에서 LED의 측면을 따라서 얇은 벽을 형성하며 LED의 상부로 올라가며, LED의 상부에는 볼록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의 상부에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의 상부와 대하는 상기 투광부의 내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확산층은 크리스탈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는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라텍스, 고무, 우레탄, 레진,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머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만들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광부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LED 어셈블리가 상기 밴드에 고주파 압착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밴드몸체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있으며,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LED 어셈블리가 끼워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밴드몸체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투광부와 LED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투광부가 상기 끼움공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LED가 상기 끼움공의 하부에서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기 밴드몸체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밴드에는 조난신호 송신기가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박막투광부는 0.1~10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후막투광부는 상기 박막투광부의 두께보다 1.5~20배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특수하게 설계된 투광부를 채택한 LED 어셈블리를 부착함으로서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도 밴드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사고발생시에는 밴드를 착용한 사고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LED에서 방사되는 빛은 정면으로 직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정면에 있는 인접한 다른 사람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LED 어셈블리는 빛이 투광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LED의 강렬한 빛에 의해 인접한 다른 사람의 시야가 순간적으로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교통경찰관이나 도로 옆의 보행자, 자전거 전용도로에서 조깅을 하는 사람이 착용한 경우에는 차량이나 자전거 운전자의 시야가 LED의 강력한 빛에 의해 순간적으로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에서 방사되는 빛의 환상적인 조화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매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단순한 밴드가 아니라 미적감각이 더해진 실용성과 예술성을 갖춘 패션 악세서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밴드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LED에 투광부가 씌워져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에 견딜 수 있으므로, LED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 어셈블리는 전면 및 측면으로 빛이 조사되어 지는 범위가 넓게 되어서 적은 수의 LED 어셈블리를 사용하면서도 종래의 LED 발광체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 어셈블리는 같은 범위를 비추더라도 종래의 LED에 비하여 적은 수의 LED를 사용함에 따라 소모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어, 밧데리를 사용할 경우에도 장시간에 걸쳐서 밧데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친환경적이지만 효율이 낮은 태양광전기를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착용자가 물에 빠진 경우에도 밴드를 붙잡고 있으면 수중에서 장시간 생존이 가능하며, 또한 인접한 다른 사람이 물에 빠진 경우에는 밴드를 던져 주어서 비상 구명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종래의 밴드에 특수하게 설계된 투광부를 구비한 LED 어셈블리를 부착시킴으로서, 시인성을 향상시켜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를 당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 눈에 확 띄여서 신속하게 구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에서 방사되는 빛의 환상적인 조화에 의하여 미적 감각이 극대화시켜 패션 악세서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의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밴드몸체(200), LED 어셈블리(100), 배터리(600),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밴드몸체(200)는 가늘고 긴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밴드몸체(200)는 폐쇄된 원형을 가질수도 있고, 양 말단에 결합수단을 구비한 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띠 형상의 밴드몸체(200)에는 결합수단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버클 또는 고리를 들 수 있다. 또한 밴드몸체(200)는 머리띠와 같이 결합수단이 없이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것도 있다. 이러한 밴드몸체(200)는 머리띠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고무줄과 같이 신축 가능한 탄성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탄성부(210) 및 탄성부(210)에 연결된 신축이 불가능한 비탄성부(220)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을 하게 되므로, 여기에는 LED 어셈블리(100)를 부착시키기가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100)는 탄성부(210)를 제외한 부분에 부착된다. 예를들어 비탄성부(220)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탄성부(220)는 LED 어셈블리(10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내피(222)와 외피(224)가 결합한 형태이며, 외피(224)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셈블리(100)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피(222)와 외피(224) 사이에는 LED 어셈블리(100), 배터리(600) 및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외부에는 LED 어셈블리(100)의 투광부 이외의 부분은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내피(222)와 외피(224) 사이의 삽입된 전선과 LED 어셈블리(100)의 교체를 위하여 비탄성부(220)에는 내피(222)와 외피(224) 사이의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자크, 단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개폐수단(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밴드몸체(200)에는 다수의 LED 어셈블리(100)가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LED 어셈블리(100)는 LED(1), 투광부(10), 고정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는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LED 발광 부분이 도 2와 같이 긴 경우 뿐 아니라, 도 3과 같이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도 3과 같이 LED 발광부분이 짧은 경우에는 도 2와 비교하여 LED 측면의 밝기가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과 같이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우에는 투광부의 형상이 LED 발광부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발광 부분이 짧지만 넓은 형태의 LED 및 둥근형태의 LED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ED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휘도 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LED는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된다. 여기서 LED의 갯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수의 LED가 설치되어지는 경우에는 서로 다른 색 의 LED가 설치될 수 있고, 나아가 개개의 LED가 설치되어지는 각도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LED에서 방출되는 빛의 직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투광부(10)는 LED(1)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LED(1)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며 저면이 평평한 형태를 이루게 된다. 투광부(10)는 빛이 난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사 범위를 형상의 크기로 지정하여 빛의 집중도를 높이고 형상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하나의 LED 어셈블리에 여러 개의 색, 모양 및 밝기가 표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투광부(10)는 LED(1)의 발광부분을 둘러싸고 있으므로, LED(1)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LED(1)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LED(1)에서 방출된 빛은 투광부(10)를 거쳐서 외부로 방출되는데, 투광부(10)를 거치면서 빛은 반사, 회절등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투광부(1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키면서도 인접한 작업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1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투광부(12)는 LED(1)의 빛을 원거리까지 도달시키되 근거리, 특히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고, 후막투광부(14)는 LED(1)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1)의 측면에서도 LED(1)의 빛을 쉽게 인식하여 형상을 강조하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12)보다 두꺼운 부분이다. 박막투광부(12)에서는 LED(1) 빛이 통과하는 매질의 두께가 얇으므로, 빛은 에너지의 손실이 없이 거의 대부분 통과하게 되고, 따라서 비교적 원거리에 있는 사람들도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박막투광부(12)에도 얇은 막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LED의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이 완화된다. 따라서 인접한 다른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박막투광부(12)의 두께는 설치되어지는 LED의 휘도에 따라서 달라진다. 통상적인 LED의 경우에는 두께가 0.1~10mm가 바람직하다. 0.1mm미만이면 바로 앞에서 눈부심 현상이 있으며, 10mm 초과하면 LED 빛이 박막투광부에 의해 방해를 받아서 멀리까지 도달하기 어렵다.
박막투광부(12)는 빛을 원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아울러 LED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현상이 완화시켜서 전체적으로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10) 내부에 구멍을 뚫어서 박막투광부를 주변보다 얇게 하거나, 투광부 외부 표면 중 빛이 강하게 발산되어야 할 부분을 주변보다 얇게 성형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박막투광부(12)를 측면에서 볼 때 평평한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빛이 확산될 수 있는 볼록한 형태 또는 빛이 모일 수 있는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의 두께가 박막투광부(12)보다 두꺼운 부분으로서, 매질이 두꺼우므로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는 내부에서 반사가 되어 후막투광 부(14)의 전체에 걸쳐서 빛이 분산되어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후막투광부(14)에서 방출되는 빛은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에 비하면 어두우나, 전체적으로 분산되어서 LED(1)의 발광방향의 정면 뿐 아니라 측면에서도 그 형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박막투광부(12)에서 방출되는 빛은 LED(1) 정면으로 멀리까지 도달하게 되어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도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면서도 LED 정면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켜서 근거리, 특히 바로 앞에서의 인접한 다른 사람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며, 후막투광부(14)에서 방출되는 빛은 LED(1)의 측면으로도 LED 빛이 방출되어서 LED(1)의 빛의 진행방향의 측면에서도 그 형태를 사람들이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여 시인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에서의 빛은 밝으며, 후막투광부(14)에서의 빛은 은은하게 비추어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조화를 이루어 시각적으로 매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원거리/근거리 및 정면/측면에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후막투광부(14)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후막투광부는 빛이 측면으로 방출되기 위해서 박막투광부(12)보다 1.5~20배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0배를 초과하면 외부로 방출되는 빛의 양이 너무 적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박막투광부(12)와 후광투광부(14)의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박막투광부(12)에서의 빛이 원거리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LED(1)에서 방출되는 빛의 직진성을 고려할 때, LED(1) 빛이 가장 강하게 방출되는 방향인 전면에 형성되 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막투광부(14)는 박막투광부(12)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의 갯수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투광부(10)의 전체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 2에서는 사면체를 기준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삼면체, 오면체, 육면체, 반구형등등의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다양한 입체적인 형상의 예시로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투광부를 도시하였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일반적으로 원형을 이루게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 별, 삼각형, 사각형, 동물문양, 사람형상, 글자모양 등등을 포함하는 특정한 도형이나 문자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는 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 경우에 박막투광부(12) 또는 후막투광부(14)에 형성되어 있는 도형, 숫자 또는 문자의 형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부분을 의미하므로, 박막투광부(12)는 먼저 투광부를 형성하고 다음으로 투광부에서 박막투광부(12)에 해당하는 부분을 음각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박막투광부(12)가 음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막투광부(12)는 투광부에서 음각이 된 부분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후막투광부(14)가 된 다.
또한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을 의미하므로,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를 형성하고 투광부에서 후막투광부(14)에 해당하는 부분을 양각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후막투광부(14)가 양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막투광부(14)는 투광부에서 양각이 된 부분이고, 그 이외의 부분은 박막투광부(12)가 된다. 도 6의 경우에는 후막투광부(14)가 중앙에 위치하고 박막투광부(12)가 그 주위에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나아가 양각과 음각을 적절하게 조합하여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여러개 존재하게 만들 수도 있다. 도 7은 다수의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가 존재하는 LED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7(a)와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양각이 된 후막투광부(14')와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다른 후막투광부(14'')가 존재하고 그 사이로 음각이 된 박막투광부(12)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보면 도 7(a)의 경우에는 중앙의 원(14')와 가장자리의 원(14'')사이의 박막투광부(12)가 가장 밝게 보이는 효과가 있고, 도 7(b)의 경우에는 중앙의 별(14')와 가장자리의 사각형(14'')사이의 공간인 박막투광부(12)가 가장 밝게 보이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투광부의 상부의 평평한 부분만 도시한 것이다.
또한 LED 발광장치의 시각적인 효과를 강조하기 위하여 박막투광부(12)나 후막투광부(14)에는 색이 칠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는 동일한 색으로 칠해질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색으로 칠해질 수도 있다. 또한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에 여러개의 색이 동시에 칠해질 수도 있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와 후막투광부(14)의 외부에만 색이 칠해질 수도 있다. 또한 LED와 투광부의 색깔을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르게 하여 하나의 LED에서 방출되는 빛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투광부(10)의 재질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다만 성형이 가능하고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이면 된다. 일예로서 유리, 플라스틱, 실리콘, 라텍스, 고무, 우레탄, 레진, 에폭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머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성형성이 우수하고 충격에 강한 실리콘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박막투광부(12) 또는 후막투광부(14)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 중의 어느 하나이상의 조합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고정부(30)는 LED(1)와 투광부(10)의 저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LED 어셈블리(100)를 밴드에 부착시키는 부분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 부분에 PCB 기판이 위치하거나 PCB 기판을 내부에 포함한다. 고정부(30)의 직경은 필요에 따라 크거나 작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안전밴드에 부착되는 LED 어셈블리는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후술하는 추가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는 시인성의 향상을 통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발생시에는 타인에 의해 쉽게 구조되기 위함이다.
일예로서 밴드에 볼록렌즈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도 8은 볼록렌즈부가 추가로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볼록렌즈부(80)는 LED(1)를 감싸는 형태이며, 볼록렌즈부(80)의 하부는 고정부(30)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부(30)의 하부에서 LED(1)의 측면으로 얇은 벽을 형성하며 상부로 올라가서, LED(1)의 상부에서 볼록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LED(1)에서 방사된 빛을 볼록렌즈부(80)에서 1차로 더욱 넓게 분산되고, 다시 볼록렌즈부(80) 외부에 위치하는 투광부(10)에 의해 2차로 더욱 넓게 분산된다. 볼록렌즈의 형상은 도 8과 달리 양쪽면이 모두 볼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의 LED 어셈블리는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른 일예로서 투광부의 상부에 폴리카보네이트층을 추가로 부착시킬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빛의 확산성이 크고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아 매우 안정적인 느낌의 빛을 방출한다. 투광부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확산된 빛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통과하면서 2차로 확산되면서 안정적인 느낌의 빛으로 바뀌어서 전체적으로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 가 있다. 도 9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광부(10)의 상부에 폴리카보네이트층(84)이 부착된다. 여기서 부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층(84)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빛의 확산을 위해서는 상부가 볼록렌즈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층(84)은 투광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투광부의 상부에 음각을 하여 형성된 홈에 폴리카보네이트층(84)을 삽입함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에서 방출되어지는 LED 빛을 넓게 확산시키기 위하여 추가로 LED의 상부와 대하는 투광부의 하부에는 확산층이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0은 확산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확산층(86)은 빛을 최대한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만들며, 특히 난반사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크리스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층(86)에 의한 난반사에 의해 1차로 확산된 빛은 투광부(10)를 통과하면서 더욱 확산되어서 전체적으로 하나의 LED 어셈블리에 의해 비추어지는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확산층(86)은 투광부(10)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투광부에 형성된 홈에 확산층(86)을 삽입함으로서 간단히 설치할 수도 있다.
LED 어셈블리(100)의 밴드몸체(200)에 부착방법과 관련하여, LED 어셈블리(100) 전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져서 밴드몸체(200)에 부착되거나, 투광부(10)와 LED(1)가 서로 분리되게 만들어져서 밴드몸체(200)에 형성된 끼움공(230)에 끼워질 수도 있다. 전체가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밴드에 LED 어셈블리(100)가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의 부착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작업공정의 편리성등을 고려할 때 고주파 부착방식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1은 고주파 부착방식에 의해 LED 어셈블리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밴드몸체(200)에 LED 어셈블리(100)가 부착된 것을 보여준다.
다른 부착방법으로는 밴드몸체(20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끼움공(230)을 내고, 상기 끼움공(230)에 LED 어셈블리(100)를 끼워넣는 것이다. 이로서 밴드에 LED 어셈블리(100)를 조립하기 편리하고, 나아가 파손되거나 문제가 되는 LED를 교체하기 편리하다. 이를 위해서는 LED 어셈블리(100)는 투광부의 하부가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도 12는 LED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D 어셈블리(100)에서 투광부(10)의 하부에는 오목부(40)가 있어서, 이 부분의 측면으로 밴드몸체(200)가 결합하게 된다. 이는 LED 어셈블리(100)가 부드러운 재질로 만들어져서 밴드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공(230)에 끼워지게 된다.
반면에 투광부(10)와 LED(1)가 분리된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밴드몸체(200)에 끼움공(230)을 내고, 상기 끼움공(230)의 상부에 투광부(10)를 두고, 끼움공(230)의 하부에 LED(1)부분을 하부에서 상부로 끼우는 형식으로 밀어서 투광 부(10)와 결합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 LED(1)와 투광부(10)는 밀착하게 되어 고정된다. 물론 반대로 끼움공(230)의 하부에 LED(1)를 먼저 끼우고 상부에 투광부(10)를 결합시킬 수 도 있다.
이 경우 결합의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해서 LED(1)의 하부에 지지대(5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50)는 투광부(10)와 완전히 밀착이 되어서 LED(1)를 투광부(10)내에 완전하게 고정시키고, LED(1)의 흔들림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4는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50)는 투광부(10)의 측면에 완전히 밀착이 된다.
도 15는 보호벽이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이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대(50)의 직경은 LED(1)의 직경보다 크며, 지지대(50)에는 LED(1)의 주위로 LED(1)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벽(52)이 설치될 수 있다. 보호벽(52)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LED 어셈블리가 외부 충격으로 LED(1)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LED(1)의 주위에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보호벽(52)은 반드시 LED(1)의 주위를 전부 감쌀 필요는 없다.
또한 LED(1)가 투광부(10)에 끼워지는 과정에 투광부(10)의 LED(1)가 끼워지는 부분(C)의 공기가 LED(1)가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어서 장시간 사용시 LED(1)가 압축공기에 의해 밀려서 LED(1) 부분과 투광부(10)가 분리가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투광부(10)의 내부에 공기배출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공기배출수단은 공기배출홈(18) 또는 엠보싱(19)을 들 수 있다. 도 16은 두개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AA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와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광부(10) 내부의 LED(1)와 접하는 부분에 LED(1)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배출홈(18)은 LED(1)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투광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18은 엠보싱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에서와 같이, 투광부(10) 내부의 LED(1)와 접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다. LED(1)가 끼워지는 과정에서 투광부(10) 내부의 공기는 엠보싱(19)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투광부 내부의 과도한 압축공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공기배출홈(18) 또는 엠보싱(19)은 LED의 측면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대의 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LED 어셈블리는 투광부(10)의 저면에 반사판(60)이 형성되어, LED에서 방출된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켜서 시인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9는 반사판이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안전밴드는 단순한 밴드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안전밴 드에는 부력발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부력발생수단의 일예로서 튜브형태의 밀폐부(300)가 밴드의 비탄성부(22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밀폐부(300)는 비탄성부(220)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이며, 상기 밀폐부(300)에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즉, 비탄성부(220)의 내부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밀폐된 공간이 있으며, 상기 밀폐부(300)를 구비한 비탄성부(220)의 외부에는 LED 어셈블리(100)가 부착되어 있다. 밀폐부(300)에는 공기를 주입하거나 뺄 수 있는 공기주입밸브(320)가 부착되어 있다. 물론 밀폐부는 밴드의 외피에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밀폐부(300)의 공기를 뺀 경우에는 통상적인 밴드로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밀폐부(300)가 부착된 비탄성부(220)의 두께의 중간부분에는 접는선(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은 접는선이 형성된 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탄성부(220)에는 밀폐부(30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성부(210)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고, 비탄성부(220)의 두께의 중간에는 접는선(310)이 형성되어 있어서, 밀폐부(300)에서 공기를 빼게 되면 비탄성부(220)는 접는선을 따라서 접혀져서 두께가 탄성부(210)와 동일하게 된다. 밀폐부(300)에서 공기를 뺀 경우에 접는선(310)을 중심으로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이 밀착될 수 있도록 접는선 앞부분과 접는선 뒷부분에는 벨크로테이프와 같은 부착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1은 부력발생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납부(400)가 형성된 밴드의 개략도이다. 밴드에는 수납부(400)가 있는데, 수납부(400)의 내부에는 수납부(400)의 형태를 가지는 공기주머니가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납부(400)에는 공기주머니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있으며, 출입구에는 지퍼와 같은 개폐수단(420)이 부착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공기주머니를 삽입하고 사용하다가, 물에 빠질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공기주머니를 삽입하고 작업을 하면 된다. 수납부(400)에도 도 20과 같이 접는선과 부착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600)는 LED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스위치는 배터리(600)와 LED 어셈블리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다. 배터리(600)와 스위치는 밴드의 적당한 곳에 설치한다. 도 1과 같이 밴드의 외부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비탄성부(220)의 외피(224)와 내피(222)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물속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배터리(600), 스위치, LED 어셈블리(100)등의 전기와 관련된 부분은 방수기능을 갖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전밴드는 착용자 또는 물건이 강이나 바다에 조난한 경우 또는 산에서 길을 잃은 경우에 쉽게 구조될 수 있도록 구조신호를 발생하는 조난신호 송출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조난신호 송출장치는 배터리(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조난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구조팀들은 조난신호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조난신호 송출장치에서 송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조난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조난신호 송출장치와 조난신호 수신장치는 공지된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안전밴드는 사람의 몸에 부착시키거나,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서 몸에 지니는 다수의 휴대품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물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된 밴드 이외에 다양한 밴드가 있다. 도 22 내지도 24는 다양한 밴드의 일예로서,폐쇄된 원형띠, 자전거에 짐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고리를 구비한 띠 및 머리띠를 도시한 것이다. 그 이외에 다양한 모양과 형태의 밴드에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밴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LED 발광 부분이 짧은 경밴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반구형의 형상의 투광부를 가지는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5는 박막투광부가 음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후막투광부가 양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다수의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가 존재하는 LED 어셈블리의 예시도,
도 8은 볼록렌즈부가 추가로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9는 폴리카보네이트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0은 확산층이 부착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1은 고주파 부착방식에 의해 LED 어셈블리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LED 어셈블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LED와 투광부가 분리된 경밴드 밴드몸체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5는 보호대가 추가로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16은 두개의 공기배출홈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AA부분 단면도,
도 18은 엠보싱이 형성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19는 반사판이 설치된 LED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0은 접는선이 형성된 밴드의 사시도,
도 21은 부력발생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납부가 형성된 밴드를 구비한 밴드의 개략도,
도 22 내지 도 24는 다양한 밴드의 일예로서, 머리띠, 폐쇄된 원형띠 또는 자전거에 짐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띠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LED
10:투광부
100:LED 어셈블리
200:밴드몸체
300:밀폐부
400:수납부

Claims (29)

  1. 신체 또는 물건에 부착되어 사용되어지는 밴드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가늘고 긴 형태의 밴드몸체;
    상기 밴드몸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셈블리;
    상기 LED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LED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상기 LED의 발광부분을 둘러싸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LED를 보호하며 상기 LED의 빛을 외부로 투과시키되, 상기 LED의 바로 앞에서의 눈부심 현상을 완화시키고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투광부의 두께가 얇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박막투광부와 상기 LED의 빛을 넓게 분산시켜서 LED의 측면으로도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투광부의 두께가 상기 박막투광부보다 두꺼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막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부;
    상기 LED의 저면에 위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투광부와 후막투광부는 문자, 숫자 또는 도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박막투광부는 0.1~10mm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후막투광부는 상기 박막투광부의 두께보다 1.5~20배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LED와 접하는 상기 투광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홈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몸체는
    자체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진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탄성이 없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LED 어셈블리가 부착되는 비탄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탄성부는 내피와 외피가 결합한 형태이며, 외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어셈블리가 부착되어 있으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LED 어셈블리, 배터리 및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밴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가 상기 밴드몸체에 고주파 압착방식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밴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몸체에는 다수의 끼움공이 있으며, 상기 끼움공에는 상기 LED 어셈블리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밴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090032913A 2009-04-15 2009-04-15 안전 밴드 KR10109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13A KR101096630B1 (ko) 2009-04-15 2009-04-15 안전 밴드
PCT/KR2010/002350 WO2010120134A2 (ko) 2009-04-15 2010-04-15 시인성이 향상된 led 어셈블리, 이의 부착방법 및 이를 부착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913A KR101096630B1 (ko) 2009-04-15 2009-04-15 안전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00A KR20100114400A (ko) 2010-10-25
KR101096630B1 true KR101096630B1 (ko) 2011-12-21

Family

ID=43133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913A KR101096630B1 (ko) 2009-04-15 2009-04-15 안전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14B1 (ko) * 2018-02-06 2019-05-31 김주현 3방향 발광이 가능한 휴대용 암밴드
KR200490413Y1 (ko) * 2018-04-16 2019-11-08 유지열 안전장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400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2988B1 (ko) 안전조끼
US7695156B2 (en) Omnidirectionally illuminated helmet
ES2374839T3 (es) Equipo de mejoramiento de iluminación.
US7377663B2 (en) Versatile garment for enhancing the safety of personnel in low-light conditions
US20060198122A1 (en) Illuminated headwear
US20170143053A1 (en) Electro illuminating wire lighted safety vests
US8807778B1 (en) Lighted helmet assembly
US6416199B1 (en) Modified underwater diving mask
WO2011129576A2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안전모
US9030085B2 (en) Compact lighting system
KR101096621B1 (ko) 안전가방
AU2022224808B2 (en) A Safety Light Apparatus for Headwear
EP3355736B1 (en) Illumination system for a safety helmet
KR101096649B1 (ko) 안전우의
KR101096630B1 (ko) 안전 밴드
US6971761B2 (en) Protective flashlight case
KR101096646B1 (ko) 안전 우산
KR20080085591A (ko) 발광장치 및 이를 부착한 안전모
US20080080170A1 (en) Integrated Lighting System for Helmets
US6854131B1 (en) Illumination and Halloween costume
KR20140081953A (ko) 모든연령 안전가방
US11820472B1 (en) Illuminated life jacket
KR102595946B1 (ko) 광조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줌 조절부를 갖는 두부 장착형 전방향 조명장치
KR20090009927U (ko) 안전조끼
KR20020036982A (ko) 발광식 수신호용 대형 풍선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