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66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666A
KR20100114666A KR1020090033155A KR20090033155A KR20100114666A KR 20100114666 A KR20100114666 A KR 20100114666A KR 1020090033155 A KR1020090033155 A KR 1020090033155A KR 20090033155 A KR20090033155 A KR 20090033155A KR 20100114666 A KR20100114666 A KR 20100114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ater collecting
vegetable
refrigerat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515B1 (ko
Inventor
오상호
박은영
소재현
황연이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51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야채실 커버에 물방울이 골고루 맺히게 되어 야채실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냉장고, 야채실, 습도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상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을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및 수납박스 등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들의 배면에는 바스켓이 다수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선반, 수납박스 및 바스켓 등에 의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적합한 음식물들의 저장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냉장실에 보관되는 야채는 다른 가공식품들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수분을 가지며, 그 수분에 의해 신선도를 유지할 때 사용자가 취식함으로써, 최적의 풍미를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야채가 냉장실에서 오랫동안 보관되면, 야채의 수분이 증발되어 음식물의 자체적인 풍미가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냉장실 내부의 습도가 너무 높으면 야채에 함유된 박테리아나 세균의 번식이 활발해져 쉽사리 부패되고, 보관중인 다른 식품들까지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야채와 같이 자체적인 수분을 함유하고 보관기간이 매우 짧은 식품의 경우는 다른 보관중인 식품들과 구별되도록 별도의 야채실에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 냉장실 내부의 하방에 별도의 야채보관실 또는 야채실이 구비된다.
상기 야채보관실 또는 야채실은, 상기 냉장실의 다른 부분과 구획되고, 수납의 편리를 위해 서랍식 구조를 갖는 것이 전부이므로,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상세히,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하게 습도를 유지시켜야만 하는데, 근래의 냉장고는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직냉식이 아닌 간냉식 냉장고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서, 냉장실 내부는 매우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보관중인 식품, 특히, 야채와 같은 자체적으로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인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로 증발되어 소실된다. 이렇게 수분이 소실된 야채는 사용자가 취식하였을 때 야채가 가지고 있는 최적의 풍미를 느끼게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야채실로 물 또는 증기를 분사하거나, 야채실 커버에 물이 맺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야채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물 또는 증기 등을 분사하는 경우, 물이 상기 야채실의 바닥면에 고이게 되어, 부패를 촉진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채실 커버에 물이 맺히도록 하는 경우, 시간이 흐를수록 물방울의 크기가 커져 결국에는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채실 커버에 물이 맺히도록 하는 경우,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물방울이 야채실로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야채실 커버에 물이 맺히도록 하는 경우, 야채가 특정 위치에 몰려서 저장되면, 대응되는 지점에서 물방울이 집중되어 맺히게 되므로, 물방울의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더 빨리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야채실 내부에 저장되는 야채에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방울이 맺힌 후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이 긴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야채실 또는 야채실 커버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물방울의 떨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야채가 특정 위치에 몰려서 저장되더라도 야채실 커버 전체에서 물방울이 맺힐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의 일측에 제공되며, 야채의 저장을 위한 수납 공간과, 상기 수납 공간에 야채를 인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야채실; 상기 야채실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제공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친수성 막이 코팅되는 집수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야채실 커버에 물방 울이 골고루 맺히게 되어 야채실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야채실 커버와 물방울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물방울의 부착력이 극대화되므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물방울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도록 물방울 형성 공간을 연결함으로써 물방울이 야채실 커버 전체에 걸쳐 고르게 맺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제공되며 음식물을 저온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인 냉장실(11) 및 냉동실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냉장실 및 냉동실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 및 냉동실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11) 및 상기 냉동실에는 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선반과 수납 박스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11)에는 야채를 저장하기 위한 야채실(30)과 상기 야채실(30)의 상측에 위치되는 커버(20)가 제공된다. 상기 야채실(30)과 상기 커버(20)는 상기 냉장실(11)의 측벽에 슬라이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11)의 양측벽에는 상기 야채실(30) 및 상기 커버(20)를 인출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5)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부(15)에는 상기 냉장실(11)의 측벽에 밀착되는 지지부(151)와, 상기 지지부(15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커버(20)의 슬라이드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커버 가이드(153)와, 상기 커버 가이드(15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제공되어 상기 야채실(30)의 슬라이드 인출입을 가이드하는 야채실 가이드(155)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커버 가이드(153)와 상기 야채실 가이드(155)는 각각 별개의 구성품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1)의 측벽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가이드(153)가 제공되지 않고 상기 커버(20)가 상기 야채실(30)의 상단부에 얹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변경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것으로서,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야채실(30)은 야채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제공되며, 측단부가 상기 야채실 가이드(155)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야채실(30)의 개구부는 상기 야채실(30)이 상기 냉장실(11)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2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야채실(30)의 개구부를 차폐하며, 상기 야채실(30)과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 가이드(153)에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20)에는 플레이트(21)와, 상기 플레이트(2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집수부(23)가 포함된다. 상기 플레이트(21)의 상부면은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 단부가 상기 커버 가이드(153)에 안착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23)는 상기 야채실(30) 내부의 수분이 응축되어 형성되는 응축수들이 상기 야채실(30) 내부로 다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커버(20)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집수부(23)는 상기 야채실(30) 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플레이트(21)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상기 플레이트(21)에 부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집수부(23)는 상기 야채실(30)의 개구부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야채실(30)은 야채의 보관 특성에 맞게 상기 냉장실(11)보다 조금 더 높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조절된다. 상기 커버(20)는 상대적으로 저온 분위기인 상기 냉장실(11)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20)의 표면은 상기 냉장실(11)의 공기와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야채실(30) 내부의 공기보다 저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야채실(30) 내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습기는 상기 커버(20) 주변에서 물방울 형태로 응축되고, 상기 커버(20)의 바닥면에 맺힌다. 이때, 상기 커버(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수부(2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축된 물방울들은 상기 야채실로 떨어지지 않고 상기 커버(20)에 맺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집수부(23)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도 2는 도 1의 야채실 커버의 집수부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로 절개되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집수부에서 물방울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집수부(23)에는 친수성 막(235)이 코팅된 돌기(233)들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돌기(233)는 상기 커버(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며,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33b)과, 상기 경사면(233b)들의 접점인 꼭지점(233a)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돌기(233)는 하단부가 뾰족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233)는 연속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기(233)는 정사각뿔 또는 정삼각뿔 형태로 돌출될 수 있으며, 각 돌기의 경사면들은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233)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웃한 경사면들은 '∧'모양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23)에는 친수성 막(235)이 코팅된다. 일 예로, 상기 친수성 막(235)은 플라즈마(plasma)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고분자 중합막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분자 중합막은 DC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형성되거나, RF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친수성 막(235)의 코팅 방법에 대해서는 국제특허출원번호 PCT/KR1998/00398 등 다양한 공지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집수부(23)에는 상기 야채실(30) 내부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이 맺힌다. 이때, 상기 집수부(23)를 형성하는 상기 돌기(233)에는 상기 친수성 막(235)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기(233)의 경사면(233b)과 물방울 표면이 이루는 접촉각이 작아진다. 접촉각이란 특정 재료의 표면에 액체가 퍼지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액체가 고체와 접촉하고 있을 때 에, 액체의 자유 표면이 고체 평면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기(233)에 맺히는 물방울과 상기 경사면(233b)의 접촉 면적은 친수성 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 기술에 비해 넓다. 따라서, 물방울과 상기 경사면(233b) 사이의 부착력은 강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커버(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잘 떨어지지 않는다.
또한, 이웃한 상기 경사면(233b)은 '∧'형상, 즉 고랑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경사면(233b)에는 상기 친수성 막(2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축되는 물방울은 상기 경사면(233b) 사이의 고랑에 맺힌 후 성장된다.
상세히, 상기 고랑(233)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면, 물방울은 상기 친수성 막(235)을 따라 퍼진다. 이때, 인접한 고랑(233)에 맺힌 물방울도 마찬가지로 퍼지게 되고, 퍼지던 물방울들은 인접한 경사면(233b) 사이의 고랑에서 만난다. 물방울은 서로 끌어다니는 인력에 의해 한 덩어리로 뭉치게 되고, 상기 고랑에 물방울 형태로 맺힌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응축되는 수분이 많아지면 상기 고랑에 맺힌 물방울도 성장한다. 그러나, 상기 경사면(233b)을 따라 물방울이 성장하기 때문에, 물방울의 접촉 면적은 물방울의 성장에 따라 넓어지거나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2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물방울은 잘 떨어지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집수부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 의 설명과 도면 부호를 원용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실 커버에 제공되는 집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집수부(23)에는 응축된 수분이 맺히게 되는 집수홈(239)과, 상기 집수홈(239)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리브(237)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리브(237)는 상기 커버(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리브(237)에는 물방울이 넓게 퍼져서 맺힐 수 있도록 친수성 막이 코팅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237)는 다수 개가 돌출되어 상기 집수홈(239)을 형성한다.
상기 집수홈(239)은 인접한 상기 리브(237)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리브(237)는 상기 집수홈(239)이 격자 형상을 이룰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며, 각 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집수홈은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집수홈(239)은 상기 리브(237)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가 아닌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집수홈(239)은 상기 야채실(30)의 개구부 전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커버(20)의 바닥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홈(239)에 물방울이 맺히는 원리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서 설명한 것과 같다.
한편, 인접한 상기 리브(237)는 수 마이크로미터 단위로 이격되어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도록 한다. 즉, 인접한 상기 리브(237) 사이 공간으로 물방울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어느 특정 위치의 집수홈(239)에 물방울이 맺히면, 물방울은 상기 리브(237)에 코팅된 친수성 막에 의해 넓게 퍼진다. 이때, 상기 집수홈(239)을 형성하는 상기 리브(237)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되도록 충분히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방울은 상기 집수홈(239)을 따라 퍼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부(23) 어디에 물방울이 맺히더라도, 물방울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집수홈(239)을 따라 상기 집수부(23) 전체로 퍼지게 된다. 그러므로, 특정 위치에서 물방울이 급격하게 성장하여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야채가 상기 야채실(30)의 특정 위치에 몰려서 저장되더라도 상기 커버(20) 전체에서 물방울이 맺힐 수 있으므로, 상기 야채실(30)에 골고루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야채실 커버의 집수부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I-I'로 절개되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집수부에서 물방울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야채실 커버에 제공되는 집수부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6)

  1. 음식물이 저온 보관되는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의 일측에 제공되며, 야채의 저장을 위한 수납 공간과, 상기 수납 공간에 야채를 인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야채실;
    상기 야채실의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제공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친수성 막이 코팅되는 집수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에는 복수 개의 쐐기 형상의 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정삼각뿔 또는 정사각뿔 중 하나인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에는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집수홈과, 상기 집수홈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가 포함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집수홈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의 폭은 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동되도록 좁게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090033155A 2009-04-16 2009-04-16 냉장고 KR10113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55A KR101132515B1 (ko) 2009-04-16 2009-04-1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55A KR101132515B1 (ko) 2009-04-16 2009-04-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666A true KR20100114666A (ko) 2010-10-26
KR101132515B1 KR101132515B1 (ko) 2012-04-03

Family

ID=4313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155A KR101132515B1 (ko) 2009-04-16 2009-04-1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5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577A (ko) * 2011-12-21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429354B2 (en) 2014-08-07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20156497A (ko) * 2018-01-18 2022-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617B1 (ko) * 2015-06-24 2016-12-22 (주)위니아글로벌테크 쌀 냉장고용 저장용기의 커버 개폐구조
CN106766582B (zh) * 2016-12-28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KR102500805B1 (ko) * 2018-01-18 2023-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29953B1 (ko) 2019-03-2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9614A (ko) * 1999-09-03 2001-04-06 구자홍 냉장고의 야채실커버
KR20070020832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577A (ko) * 2011-12-21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429354B2 (en) 2014-08-07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20220156497A (ko) * 2018-01-18 2022-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515B1 (ko)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4666A (ko) 냉장고
CN101669001B (zh) 冷藏库
JP5891420B2 (ja) 冷蔵庫
EP2144022A1 (en) Refrigerator, and electric device
EP2808628B1 (en) Vege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800312B2 (en) Refrigerator
US9915460B2 (en) Ice tray for ice-mak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ce
JP5251228B2 (ja) 冷蔵庫
JP2009174798A (ja) 冷蔵庫
JP5342157B2 (ja) 冷蔵庫
JP2008215716A (ja) 冷蔵庫
JP5239456B2 (ja) 冷蔵庫
CN115038919B (zh) 冷藏库
WO2013084473A1 (ja) 冷蔵庫
JP2011226759A (ja) 冷蔵庫
JP5245513B2 (ja) 冷蔵庫
JP2008292128A (ja) 冷蔵庫
US2722809A (en) Refrigerator
JP5138519B2 (ja) 冷蔵庫
CN111156775A (zh) 一种风冷冰箱加湿结构及风冷冰箱
US2107763A (en) Refrigerator
TW200923295A (en) Refrigerator
JP2008292130A (ja) 冷蔵庫
JPH07500484A (ja) 食料品、植物、肉およびその他の有機物質を貯蔵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210663531U (zh) 一种具有生态保鲜功能的保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