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295A - 유연성 필기구 - Google Patents

유연성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295A
KR20100114295A KR1020090032755A KR20090032755A KR20100114295A KR 20100114295 A KR20100114295 A KR 20100114295A KR 1020090032755 A KR1020090032755 A KR 1020090032755A KR 20090032755 A KR20090032755 A KR 20090032755A KR 20100114295 A KR20100114295 A KR 20100114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flexible
ink
flexible elastic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규
Original Assignee
최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규 filed Critical 최철규
Priority to KR102009003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4295A/ko
Publication of KR2010011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2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with a deformabl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2Ink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의 케이스 중에서 필기를 할 때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대해 유연성 탄성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마치 붓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부드럽게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유연성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필기구(1)는, 손(2)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길이로 길게 신장된 통상(筒狀)의 케이스(10) 내에 잉크(21)가 충전된 잉크심(20)이 삽입되어 있거나 잉크(21)가 충전되어 있고 선단에 펜촉(30)이 형성되어 있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서, 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11)의 구간 또는 상기 파지부(11)와 상기 펜촉(30) 사이의 구간에, 사용시 손(2)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복원성 있게 탄성적으로 휘는 유연성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유연 탄성부(4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연성 필기구{Flexible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세는 필기구의 케이스 중에서 필기를 할 때 힘이 가해지는 부분에 대해 유연성 탄성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마치 붓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부드럽게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릴 수 있는 유연성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리는 것에 사용되는 볼펜과 사인펜 등 각종 필기구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잉크가 충전되는 잉크심이 수용되고 사용할 때 손으로 파지되는 부분인 케이스는 유연성이 없는 경질의 단단한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경질 필기구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에는, 지면으로부터 펜촉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질 케이스를 통해 손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예를 들어 끝이 유연한 붓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느껴지게 되는 유연한 필기감을 느낄 수 없고,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련 경질 필기구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손에 많은 힘이 들어가고 경직되기 쉽다.
경질 필기구의 이런 특성은, 지나치게 힘이 들어가는 잘못된 필기 습관을 가 지도록 하여 손에 무리가 가게 할 뿐만 아니라, 붓에서와 같은 섬세한 터치가 어렵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경질 필기구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기구에서 손의 힘이 들어가는 부분에 유연성 탄성소재를 적용함으로써 마치 붓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힘을 가하지 않고 부드럽게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유연성 필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필기구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길이로 길게 신장된 통상(筒狀)의 케이스 내에, 잉크가 충전된 잉크심이 삽입되어 있거나 잉크가 충전되어 있고, 선단에 펜촉이 형성되어 있는 필기구를 그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필기구는, 상기 케이스에서, 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의 구간 또는 상기 파지부와 상기 펜촉 사이의 구간에, 사용시 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복원성 있게 탄성적으로 휘는 유연성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유연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연 탄성부는, 상기 잉크심 또는 상기 잉크가 통과 또는 충전되는 중앙의 관통부, 상기 관통부의 둘레에 형성된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에 충전된 윤활액과 비드의 혼합으로 구성된 비드액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드는 고강도 세라믹 비드이고, 평균직경 0.1mm 내지 2mm의 구형 또는 타원구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연 탄성부를 구성하는 유연성 탄성소재라 함은, 본 발명의 필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손에 힘을 가할 경우에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휘게 되고 가해진 힘이 사라지면 원위치로 복원하는 유연성과 탄성을 가진 소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필기구에 의하면, 필기를 위해 손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유연 탄성부가 복원성 있게 탄성적으로 휘게 되어 마치 붓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되므로, 힘을 가하지 않고 부드럽게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필기를 할 때 지나치게 힘을 가하는 나쁜 필기습관을 교정하는 것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필기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필기구(1)는, 볼펜이나 사인펜 등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필기구와 마찬가지로, 손(2)으로 파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길게 신장된 통상(筒狀)의 케이스(10) 내에, 잉크(21)가 충전된 잉크심(20)이 삽입되어 있거나 케이스(10) 내에 바로 잉크(21)가 충전되어 있 고, 그 선단에 펜촉(30: 펜의 끝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필기구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케이스(10)에서, 필기나 그림을 그릴 때 힘이 가해지는 부분, 즉 손으로 파지되는 파지부(11)의 구간이나 파지부(11)와 펜촉(30) 사이의 구간은, 종래 필기구의 케이스와 같이 경성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시 손(2)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복원성 있게 탄성적으로 휘는 유연성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유연 탄성부(40)로 되어 있다.
첨부도면에서 도4는 유연 탄성부(40)가 파지부(11)의 구간에 적용된 예이고, 도5는 유연 탄성부(40)가 파지부(11)와 펜촉(30) 사이의 구간에 적용된 예이다.
이런 유연 탄성부(40)를 케이스(10)에 형성하는 것은, 케이스(10)를 상부 케이스(12)와 하부 케이스(13)의 2개로 분할 형성하고, 그 사이에 유연 탄성부(40)를 나사 체결이나 도3에 예시된 끼움방식 등으로 조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유연 탄성부(40)를 형성하는 유연성 탄성소재는 상부 케이스(12)와 하부 케이스(13) 사이에 조립되어, 필기를 할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복원성 있게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는 소재와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가장 일반적인 유연 탄성부(40)는, 실리콘 고무 등의 유연성 탄성소재로 케이스(10)에 대응하는 직경의 통-형상으로 성형하되, 그 중앙에 잉크심(20)을 삽입하거나 잉크(21)를 충전할 수 있는 관통부(41)가 구비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유연 탄성부(40)의 양단에는 상부 케이스(12)와 하부 케이스(13)가 조립된다.
유연 탄성부(40)의 다른 예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유연성 탄성소재로 성형하되,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41), 중공부(42) 및 비드액(4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관통부(41)는 잉크심(20) 또는 잉크(21)가 통과 또는 충전되도록 중앙에 관통된 구멍이다.
중공부(42)는 관통부(41)의 둘레에 내용물인 비드액(43)을 유밀 및 수밀하게 충전할 수 있는 밀폐된 빈 공간이다.
비드액(43)은 중공부(42)에 충전되는 내용물로서 윤활액(43a)과 비드(43b)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비드액(43)은 중공부(42)에 충전되어서 손의 힘에 의해 유연 탄성부(40)가 탄성적으로 휠 때 비드(43b)들 상호간 및 비드(43b)와 윤활액(43a) 사이에 마찰을 발생시킴으로써, 유연성과 탄성을 가진 고무관 속에 작은 구슬을 충전한 상태에서 고무관을 손으로 휠 때 느껴지는 것과 유사한 감각이 느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윤활액(43a)은 비드액(43)에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인체에 무해한 윤활유나 물 등의 각종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비드(43b)는 상호 간의 마찰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아니하는 정도의 강도와 내구성을 가지는 비드로서, 바람직하게 구형 또는 타원구형(예, 대략 쌀알 형상)의 고강도 세라믹 비드를 사용한다.
바람직한 비드(43b)의 크기는 상호 간에 마찰을 일으킬 정도의 크기로서, 예를 들어 평균직경 0.1mm 내지 2mm 정도의 비드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세라믹 비드(43b)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262141호(2000. 07. 15. 공고)의 '소형 세라믹 비드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2460호(2005. 10. 19. 공고)의 '소형 세라믹 비드 성형장치' 등을 응용한 다양한 방법과 장치로 제조할 수 있고, 시중에서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물성을 가지는 비드를 구입하여 적용할 수 있다.
비드액(43)의 윤활액(43a)과 비드(43b)의 혼합비는, 유연 탄성부(40)에 의해 제공하고자 하는 유연성과 탄성의 정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비드액(43)에서 비드(43b)의 함량이 높을수록 상호의 마찰이 많아짐으로써 상대적으로 유연한 정도가 낮아지는 바, 목적하는 유연성의 정도에 맞게 그 함량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적비로 윤활액(43a)과 비드(43b)를 5:1 내지 1:5의 비율, 바람직하게 1:1-3의 비율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비드(43b)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윤활액(43a)의 윤활 작용이 부족하여 비드액(43)의 유동성이 지나치게 저하되어 필기할 때 유연 탄성부(40)의 휘어지는 정도가 너무 작을 수 있고, 반대로 비드(43b)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목적하는 비드(43b)에 의한 마찰이 부족하여 유연 탄성부(40)가 지나치게 휘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유연 탄성부(40)로서 비드액(43)이 충전된 유연성 탄성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골격을 이루는 유연성 탄성소재와 그 속에 충전된 비드액(43)의 협력에 의해, 글씨를 쓸 때 적절한 탄성적 유연함을 제공하게 되므로, 붓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필기감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필기구(1)에 적용되는 잉크심(20)에도 유연 탄성부(40)에 대응하 는 위치에 유연 탄성부(40)의 탄성적 유연성과 같은 특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잉크심(20)은 케이스(10) 속에서 충분한 유격을 가지고 삽입되어 있고, 자체의 재질에 유연성을 어느 정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굳이 그러할 필요까지는 없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유연 탄성부(40)가 펜촉(30)에 인접한 위치의 케이스(10)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필기구의 특성에 따라 케이스(10)의 중간이나 상단을 잡고 필기를 하는 필기구에 대해서는, 유연 탄성부(40)가 케이스(10)의 중간이나 상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유연성 필기구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A)와 외력이 가해진 상태(B)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유연성 필기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유연성 필기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유연성 필기구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유연성 필기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필기구 10: 케이스
11: 파지부 12: 상부 케이스
13: 하부 케이스 20: 잉크심
21: 잉크 30: 펜촉
40: 유연 탄성부 41: 관통부
42: 중공부 43: 비드액
43a: 윤활액 43b: 비드

Claims (3)

  1. 손(2)으로 파지할 수 있는 길이로 길게 신장된 통상(筒狀)의 케이스(10) 내에 잉크(21)가 충전된 잉크심(20)이 삽입되어 있거나 잉크(21)가 충전되어 있고 선단에 펜촉(30)이 형성되어 있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에서, 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11)의 구간 또는 상기 파지부(11)와 상기 펜촉(30) 사이의 구간에, 사용시 손(2)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복원성 있게 탄성적으로 휘는 유연성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유연 탄성부(4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탄성부(40)는, 상기 잉크심(20) 또는 상기 잉크(21)가 통과 또는 충전되는 중앙의 관통부(41), 상기 관통부(41)의 둘레에 형성된 중공부(42), 및 상기 중공부(42)에 충전된 윤활액(43a)과 비드(43b)의 혼합으로 구성된 비드액(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43b)는 고강도 세라믹 비드이고, 평균직경 0.1mm 내지 2mm의 구형 또는 타원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필기구.
KR1020090032755A 2009-04-15 2009-04-15 유연성 필기구 KR20100114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55A KR20100114295A (ko) 2009-04-15 2009-04-15 유연성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755A KR20100114295A (ko) 2009-04-15 2009-04-15 유연성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295A true KR20100114295A (ko) 2010-10-25

Family

ID=43133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755A KR20100114295A (ko) 2009-04-15 2009-04-15 유연성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42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671A (ko) 2014-09-04 2016-03-14 한국기계연구원 유연 볼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8671A (ko) 2014-09-04 2016-03-14 한국기계연구원 유연 볼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6203B1 (en) Writing instrument gripping aid and writing instrument having the same
US6793426B2 (en) Deformable grip with motion indicator
US10293633B2 (en) Writing instrument that reduces impact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s
US5791798A (en) Multi-purpose writing instrument
US20060147246A1 (en) Grip for hand held instruments
US20160299584A1 (en) Stylus
KR20100114295A (ko) 유연성 필기구
KR200454459Y1 (ko) 통기수단을 구비한 필기구
JP2008273030A (ja) 毛筆
JP2008012717A (ja) 筆記具の軸筒
KR20220132167A (ko) 손가락펜
KR200433435Y1 (ko) 보조 그립부를 갖는 필기구
US20040064913A1 (en) Deformable grip with motion indicator
JP3108687U (ja) ハンドパッド
CN215243982U (zh) 一种书写用笔
JP6122759B2 (ja) 書道練習用筆記具
JP4717772B2 (ja) 筆記具の持ち方練習具
KR20080001254U (ko) 쿠션기능을 갖는 필기구
JP3811822B2 (ja) 筆記具
JP3124680U (ja) 指装着型筆記具
RU57675U1 (ru) Пишу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20060239759A1 (en) Illuminated writing instrument
KR200331400Y1 (ko) 피로예방용 필기구 손잡이
JP2011154274A (ja) 筆記具
KR20100003101U (ko) 아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