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018A -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018A
KR20100113018A KR1020097010129A KR20097010129A KR20100113018A KR 20100113018 A KR20100113018 A KR 20100113018A KR 1020097010129 A KR1020097010129 A KR 1020097010129A KR 20097010129 A KR20097010129 A KR 20097010129A KR 20100113018 A KR20100113018 A KR 20100113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glass bulb
cathode fluorescent
fluorescent lamp
cold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누 구리야마
다카시 마니와
다이조우 오노
미나 아시다
유스케 모리
유타카 와키무라
히사시 데지마
고지 다카사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1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directly applied to or forming part of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유리벌브(10)와, 유리벌브(10)의 양단부 안쪽에 각각 설치된 홀로 전극(20)과, 유리벌브(10)의 양단부의 바깥쪽에 설치되고, 홀로 전극(20)의 리드 선(22)과 접속된 급전단자(30)를 구비하며, 급전단자(30)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접촉하면서 포위하도록 설치된 도전성의 통 형상체(31)를 가지며, 통 형상체(31)는 적어도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서 비접촉으로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장착이 간단하고도 수명이 길면서 충분한 램프 휘도를 갖는 냉음극 형광램프를 제공한다.
냉음극, 형광램프, 급전단자, 통, 형상, 유리벌브, 외주, 비접촉

Description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벌브의 단부 외주 면에 배치된 급전단자를 갖는 냉음극 형광램프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하는 것과 유리벌브(601, 701)의 양단부에 캡 형상의 급전단자(602, 702)가 설치된 냉음극 형광램프(600, 700)가 있다.
도 41에 도시하는 냉음극 형광램프(600)는 봉 형상의 전극(603)에 접속된 리드 선(604)이 관 형상의 유리벌브(601)의 단부를 따라서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단부에는 리드 선(604)을 포함하여 피복을 한 저 융점 유리(602a)와, 그 저 융점 유리(602a)를 포함하는 유리벌브(601)의 단부(601a)의 외주 면에 연질금속(602b)을 개재하여 포위한 금속 베이스(602c)로 이루어지는 급전단자(602)를 설치한 것이다(특허문헌 1).
또, 도 42에 도시하는 냉음극 형광램프(700)는 유리벌브(701)의 단부 외주 면에 설치된 통체(筒體, 702a)와, 통체(702a)의 일단(702b)에서부터 통체(702a)의 축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도출부(702c)와, 도출부(702c)의 선단에서 구부려서 형성된 접속부(702d)로 이루어지는 급전단자(702)를 구비한 것이다. 또, 유리벌브(701)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리드 선(704)은 접속부(702d)의 관통구멍 내에 배치되고, 그 관통구멍과 리드 선(704)은 땜납(705)으로 용접되어 있다. 또, 통체(702a)에 형성된 지름방향 측으로 돌출된 비드(706)는 유리벌브(701)의 외주 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유리벌브(701)에 지지가 되어 있다(특허문헌 2).
도 41 및 도 42에 도시하는 급전단자(602, 702)는 전극(603, 703)의 리드 선(604, 704)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어 있으므로, 냉음극 형광램프(600, 700)의 단부를 백라이트 유닛 등의 점등장치의 소켓(미 도시)에 삽입하면 냉음극 형광램프(600, 700)를 점등장치에 고정하고, 또한, 냉음극 형광램프(600, 700)와 상기 점등장치의 점등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냉음극 형광램프(600, 700)를 점등장치에 장착할 때에 리드 선(604, 704)의 납땜 등이 불필요하여, 급전단자(602, 70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냉음극 형광램프에 비해서 장착이 용이하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평7-22062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 2007-234551호 공보
그러나 도 41에 도시한 것과 같은 급전단자(602)를 구비한 냉음극 형광램프(600)에서는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스퍼터 물질이 유리벌브(601)의 내면에 잘 부착하지 않는 홀로 전극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홀로 전극을 채용하면 램프의 휘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전극 본체(605)가 봉 형상인 경우에는 도 41에서 화살표로 표시하는 것과 같이 전극 본체(605)의 외부 표면의 전체에서 방전이 일어나므로, 방전의 일부가 리드 선(604) 측으로 돌아 들어가서 리드 선(604) 및 그 부근이 가열된다. 따라서 리드 선(604)에 접합이 되어 있는 급전단자(602)가 리드 선(604)의 온도를 낮추는 히트씽크의 역할을 담당해도 상기 리드 선(604) 및 그 부근의 온도가 지나치게 저하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홀로 전극을 채용한 경우에는 리드 선(604) 측으로 방전이 돌아 들어가는 일이 적고, 방전에 의해서 상기 리드 선(604) 및 그 부근이 가열되는 일도 적으므로, 급전단자(602)의 방열적용에 의해 리드 선(604) 및 그 부근의 온도가 지나치게 저하한다. 그 결과, 리드 선(604)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많이 모여서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램프의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 42에 도시한 것과 같은 급전단자(702)를 구비한 냉음극 형광램프(700)에서는 급전단자(702)는 통체(702a)에 형성된 비드(706)가 적어도 유리벌브(701) 내의 리드 선(704)과 대향하는 유리벌브(701)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의 일부에도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접촉부의 유리벌브(701)의 표면의 온도가 낮아지며, 그 접촉부 및 리드 선(704)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많이 모여서,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램프의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유리벌브(701)에 소다유리재료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접촉부에 많이 모이는 수은증기와 유리벌브(701) 내부 표면의 나트륨의 반응에 의한 아말감이 유리벌브(701)의 내부 표면에 생성되며, 그 결과 유리벌브 내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램프의 휘도가 더 저하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장착이 간단하고도 수명이 길면서 충분한 램프 휘도를 갖는 냉음극 형광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유리벌브와, 상기 유리벌브의 양단부 안쪽에 각각 설치된 홀로 전극과, 상기 유리벌브의 양단부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홀로 전극의 리드 선과 접속된 급전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포위하도록 설치된 도전성의 통 형상체를 가지고, 상기 통 형상체는 적어도 상기 유리벌브 내의 리드 선과 대향하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 전체 영역에서 대체로 비접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의 내면이 상기 홀로 전극과 대향하는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밀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제 1 통부와, 당해 제 1 통부에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리드 선 측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통부를 가지며, 당해 제 2 통부는 상기 제 1 통부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제 1 통부와, 당해 제 1 통부에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제 2 통부를 가지며, 당해 한 쌍의 제 2 통부는 각각 상기 제 1 통부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그 축 심 방향으로 슬릿부를 가지며 단면이 대략 C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급전단자의 상기 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 가장자리의 각각의 일부에 상기 슬릿부를 걸쳐서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의 한 쌍의 결합부는 상기 슬릿부가 대향하는 일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오목부를, 타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볼록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적어도 그 축 심 방향의 리드 선 측과 반대 측의 단부의 내면이 절취 또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된 탄성 설편을 가지며, 이 복수의 탄성 설편에 의해서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협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탄성 설편의 선단부는 나팔형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가 나선형상으로 감긴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선 형상 또는 띠 형상의 탄성재료로 통 형상체의 축 심 방향으로 밀착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표면상에 땜납 또는 주성분이 동 혹은 은으로 형성된 도전 막과, 이 도전 막을 개재해서 설치된 박막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와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표면이 비접촉인 부분은 상기 도전 막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의 내면의 일부만이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6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는 그 내면에는 지름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유리벌브 내의 리드 선과 대향하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표면 전체 영역 이외의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압압하여 상기 유리벌브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일부가 구부러지고, 그 구부러진 일부를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일단 측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일단 측에서 상기 유리벌브 측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복수의 띠 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9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일부가 구부러지고, 그 구부러진 일부를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압압하는 것과, 상기 통 형상체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듀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0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리드 선은 상기 급전단자와 접합되는 부분에 상기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는 부분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의 적어도 일부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1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리드 선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당해 외부 리드 선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접합부에 상기 리드 선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2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유리벌브의 단부에서 그 밑면을 밀접하거나, 또는 그 밑면을 밀접하면서 상기 리드 선의 지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3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유리벌브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4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간격은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5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볼록부는 상기 리드 선의 축 심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 형상이고, 그 최대 지름이 상기 리드 선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도 크며, 상기 유리벌브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 작은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6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리드 선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당해 외부 리드 선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접합부에 상기 리드 선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외부 리드 선은 상기 내부 리드 선보다 열 전도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7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리드 선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당해 외부 리드 선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외부 리드 선이 상기 내부 리드 선의 선보다도 선의 지름을 좁게 하고, 또한 상기 외부 리드 선은 상기 내부 리드 선보다 열 전도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8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외부 리드 선의 적어도 상기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는 부분의 표면 거칠기가 0.2Ra~0.8R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9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리드 선의 일 단부는 상기 홀로 전극과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고, 그 일 단부의 표면이 0.2Ra~0.8Ra이며, 또한 절취 치수는 지름방향의 길이가 0.08㎜~0.15㎜이고, 축 방향의 길이가 0.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0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리드 선 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리드 선의 일부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1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통 형상체가 상기 유리벌브의 단부 외주에 외부에서 삽입된 것이며, 상기 통 형상체의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일단에서 연장하는 띠 형상의 도출부와, 당해 도출부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 선의 일부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2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열 전도율이 상기 리드 선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3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통 형상체의 접속부는 열 전도율이 75W/(m·K)~435W/(m·K)이고, 또한 도전율이 9×106S/m~65×106S/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4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에 근접하도록 U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U자부의 부분이 코킹되어서 상기 리드 선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5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에 대하여 근접해서 포위하도록 통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 형상부의 부분이 코킹되어서 상기 리드 선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6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도출부의 선단에서 구부려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7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외주 표면을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편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협지편의 각각의 압압력을 상기 리드 선에 대하여 적어도 100g 이상에서 상기 리드 선을 협지하여 접속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8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 단 면에 면 접촉하도록 상기 도출부의 연장 선단보다 앞의 부분을 굴곡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9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도출부의 선단보다 앞의 부분을 굴곡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0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가 형성된 접속면을 갖고, 상기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에 상기 리드 선이 삽입되도록 상기 도출부의 선단보다 앞의 부분을 굴곡해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에 상기 리드 선을 삽입하고, 상기 접속 면과 상기 리드 선을 연질금속을 개재하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1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리드 선은 상기 급전단자와 접합되는 부분에 상기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는 부분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의 적어도 일부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부는 그 일부를 상기 볼록부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2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리드 선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당해 외부 리드 선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접합부에 상기 내부 리드 선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그 일부를 상기 볼록부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3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접속부는 용접 또는 연질금속에 의해서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면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4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유리벌브는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3wt%~20wt%의 범위의 유리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5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유리벌브는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5wt%~20wt%의 범위의 유리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6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음극 형광램프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7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청구항 46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음극 형광램프를 복수 개 수납하는 외위기를 가지며, 상기 외위기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의 통 형상체는 적어도 유리벌브 내의 리드 선과 대향하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 전체 영역에서 대체로 비접촉으로 함에 따라서 통 형상체의 접촉영역에 비하여 방열작용이 작다. 즉, 리드 선의 주변온도가 잘 저하되지 않으며, 상기 리드 선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잘 모이지 않으므로,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냉음극 형광램프의 램프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거나 하는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그 결과, 수명이 길면서 충분한 램프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의 내면이 홀로 전극과 대향하는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밀접해 있으므로 홀로 전극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모이기 쉬우며, 그 결과, 리드 선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잘 모이지 않게 되므로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냉음극 형광램프의 램프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거나 하는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제 1 통부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제 2 통부를 가짐에 따라서 제 1 통부와 제 2 통부의 단차를 이용하여 램프의 관 축 방향으로 위치결정을 하기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제 1 통부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제 2 통부를 제 1 통부의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양측에 가짐에 따라서, 제 1 통부와 제 2 통부의 단차를 이용하여 램프의 관 축 방향으로 위치결정을 하기 쉽다. 또, 위치결정 후의 램프의 관 축 방향으로 어긋나서 움직이는 것을 2개소의 단차에 의해서 관 축 방향에서의 2방향에서 규제할 수 있으므로 통 형상체의 제 1 통부의 표면이 잘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의 통 형상체가 그 축 심 방향으로 슬릿부를 가지고 단면이 대략 C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유리벌브의 외형의 치수 공차를 대략 C자형부의 탄성력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으며, 급전단자를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 가장자리의 각각의 일부에 상기 슬릿부를 걸쳐서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부를 설치함에 따라서 통 형상체의 형상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슬릿부가 대향하는 일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오목부와 타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볼록부로 한 쌍의 결합부가 구성됨에 따라서 통 형상체를 안정화시키면서 유리벌브의 외형의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의 축 심 방향 리드 선 측과 반대 측의 단부의 내면이 절취 또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급전단자를 유리벌브에 삽입한 때의 유리벌브 표면의 손상이 억제되고, 또한 급전단자를 유리벌브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의 통 형상체의 둘레 방향에 따라서 복수 설치된 탄성 설편에 의해서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협지함에 따라서 통 형상체의 외주 면 전체에 동일한 분포의 하중에 가해지므로, 유리벌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통 형상체의 내면과 유리벌브의 외주 면의 밀착성이 향상하므로 급전단자를 유리벌브에 장착한 후,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가 그 관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탄성 설편의 선단부는 나팔형상으로 확대됨에 따라서 유리벌브의 단부에 급전단자를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의 통 형상체가 나선형상으로 감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통 형상체의 외주 면 전체에 동일한 분포의 하중이 가해져서 유리벌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통 형상체의 내면과 유리벌브의 외주 면의 밀착성이 향상하므로 급전단자를 유리벌브에 장착한 후,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가 그 관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유리벌브의 단부에 통 형상체를 장착하기 쉬우며, 또한 다른 유리벌브의 관 바깥쪽 지름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나선형상으로 감긴 통 형상체가 선 형상 또는 띠 형상의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소재 그 자체로 통 형상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하는 경우에 비하여 재료의 낭비가 생기지 않아서 재료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선 형상 또는 띠 형상의 탄성재료는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으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통 형상체의 형태가 잘 흐트러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는 예를 들어 딥에 의한 도전 막과 이 도전 막을 개재하여 설치된 통 형상의 박막의 금속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의 급전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와 유리벌브의 외주 면이 비접촉인 부분은 도전 막을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서 도전 막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또한 리드 선의 주위의 부분적인 방열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가 없는 종래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와 동등한 수은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6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유리벌브 내의 리드 선과 대향하는 이외의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압압하여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갖고 있으므로 리드 선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잘 모이지 않으며,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냉음극 형광램프의 램프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거나 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의 일부가 구부러진 지지부재를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압압함으로써 탄성변형에 의한 압압력의 변동이 적은 상태에서 유리벌브의 단부에 통 형상체를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판금으로 구성함으로써 부품점수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의 일단 측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일단 측에서 유리벌브 측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복수의 띠 형상체임에 따라서 유리벌브의 단부에 통 형상체를 장착하기 쉬우며, 또한 다른 유리벌브의 관 바깥쪽 지름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9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지지부재가 통 형상체의 일부가 구부러진 것과 복수의 듀벨로 구성됨에 따라서 하나의 판금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대하여 복수의 듀벨로 유리벌브의 외주 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구부러진 것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0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와 접합되는 부분의 리드 선의 일부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예를 들어 땜납으로 접속하는 경우에 리드 선에 급전단자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1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리드 선은 밀봉부의 내부 리드 선과는 재질이 다른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리드 선을 접합하고, 그 접합부에 리드 선의 바깥쪽 지름보다도 큰 볼록부를 갖고 있음에 따라서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부분의 외부 리드 선이 납땜 용접하기 쉬우며, 또한 볼록부에서 접속 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급전단자와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2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유리벌브의 단부에서 볼록부의 밑면을 밀접하게 또는 볼록부의 밑면을 밀접하면서 리드 선의 지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되게 함으로써 유리벌브의 리드 선 밀봉부분에서의 파손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리벌브의 단부에서 볼록부의 밑면이 밀접해 있는 경우, 리드 선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볼록부의 밑면이 지름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볼록부가 유리벌브의 단부에 매몰하지 않아서 땜납으로 디핑을 한 때의 볼록부의 열 팽창에 의한 유리벌브 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3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볼록부와 유리벌브의 단부에 간격을 두고 있음에 따라서 리드 선과 급전단자의 용접에 의한 접합시나 램프전류가 증대한 때에 리드 선의 볼록부가 발열하여도 볼록부의 열 팽창에 의해서 유리벌브의 단부에 열 응력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유리벌브 단부의 파손이 억제되어서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4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간격이 0.1㎜~0.5㎜임에 따라서 예를 들어 미리 리드 선에 땜납 디핑을 한 경우라도 간격 부분의 리드 선에 땜납이 부착하는 일은 없으므로 유리벌브 단부의 파손이 억제되어서 누설의 발생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5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리드 선의 축 심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 형상인 볼록부의 최대 지름이 리드 선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 큰 치수임에 따라서 리드 선의 외부에 대한 돌출 부분이 부딪힌 때에 볼록부에 가해지는 힘이 유리벌브의 양단부에서 흡수되므로 리드 선이 밀봉 부착된 유리벌브의 파손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볼록부의 최대 지름이 유리벌브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 작은 치수임에 따라서 램프 장착시에 볼록부가 방해가 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청구항 26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부분의 외부 리드 선은 납땜 용접하기 쉽고, 또한 접속 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급전단자와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열 전도율을 내부 리드 선보다 외부 리드 선을 작게 함에 따라서 급전단자를 외부 리드 선에 땜납(380℃) 및 용접(융점: 1455℃) 등으로 접합하는 경우, 외부 리드 선으로부터 내부 리드 선에 열이 잘 전달되지 않으므로 유리벌브 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7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내부 리드 선과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을 접합한 리드 선은 내부 리드 선의 선의 지름보다 외부 리드 선의 선의 지름이 가늘기 때문에 급전단자가 진동하여도 가는 외부 리드 선으로 진동이 흡수되어서 유리벌브 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열 전도율이 내부 리드 선보다 외부 리드 선이 작으므로 외부 리드 선으로부터 내부 리드 선에 열이 잘 전달되지 않으므로 유리벌브 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8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리드 선의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표면 거칠기가 0.2Ra~0.8Ra이므로 급전단자의 접속부나 홀로 전극이 설치된 리드 선이 진동하여도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리드 선의 밀봉부의 강도가 높아서(0.1Ra 이하와 비교해서 16%~40% 강도 상승) 유리벌브 단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리드 선의 밀봉부의 강도가 높으므로 유리벌브의 밀봉부에서의 리드 선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9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리드 선의 일 단부의 표면이 0.2Ra~0.8Ra이고, 또, 절취 치수는 지름방향의 길이가 0.08㎜~0.15㎜이며, 축 방향의 길이가 0.1㎜~0.25㎜이므로 용접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즉, 샌드블래스트법, 배럴연마 등에 의해서 리드 선의 일 단부의 표면을 거친 면으로 하나, 상기 치수로 함으로써 리드 선의 일 단면의 표면이 작아지는 것을 억제하여 0.2Ra~0.8Ra 범위로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고, 저항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홀로 전극과 리드 선을 안정된 강도로 용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0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급전단자는 통 형상체에서 통 형상체 축 방향의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리드 선의 일부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적은 부품점수가 되어서 급전단자의 형상의 정밀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유리벌브의 단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1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의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일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의 도출부와, 당해 도출부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리드 선의 일부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함으로써 리드 선에 가해지는 띠 형상의 도출부로부터의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리드 선이 밀봉 부착된 유리벌브의 파손에 의한 누설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2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는 리드 선 보다 열 전도율이 큰 것으로 함으로써 땜납, 납 등의 연질금속이나 레이저 용접, 저항용접 등을 이용하여 리드 선에 통 형상체의 접속부를 고착하는 경우, 그 고착 시의 열이 주로 통 형상체 측에서 방열되므로 고착 시의 열에 의한 유리벌브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3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통 형상체의 접속부를 열 전도율이 75W/(m·K)~435W/(m·K)이고, 또한 도전율이 9×106S/m~65×106S/m임에 따라서 리드 선에 대하여 통 형상체의 접속부의 용접성과 전기적인 접속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열 전도율이 75W/(m·K)~435W(m·K)이고, 또한 도전율이 9×106S/m~65×106S/m인 재료로는 은(열 전도율 429W/(m·K), 도전율 63×106S/m), 동(열 전도율 401W/(m·K), 도전율 59.6×106S/m), 금(열 전도율 317W/(m·K), 도전율 45.2×106S/m), 알루미늄(열 전도율 237W/(m·K), 도전율 37.7×106S/m), 철(열 전도율 80.2W/(m·K), 도전율 9.93×106S/m), 니켈(열 전도율 90.7W/(m·K), 도전율 14.3×106S/m), 텅스텐(열 전도율 174W/(m·K), 도전율 18.9×106S/m), 몰리브덴(열 전도율 138W/(m·K), 도전율 18.7×106S/m)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4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는 리드 선의 외주 면에 접근하도록 U자부가 형성되고, 그 U자부의 부분이 코킹되어서 리드 선과 접속된 것으로 함으로써 리드 선에 U자부를 코킹한 때에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U자부와 리드 선을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의 축 심 방향이 위치결정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5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는 리드 선의 외주 면에 대하여 접근해서 포위하도록 통 형상부가 형성되고, 그 통 형상부의 부분이 코킹되어서 리드 선과 접속된 것으로 함으로써 리드 선에 통 형상부를 코킹한 때에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통 형상부와 리드 선을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6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는 리드 선의 외주 면을 사이에 두도록 도출부의 선단에서 구부려서 형성됨으로써, 즉 리드 선에 구부리는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축 심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2 이상으로 리드 선의 외주 면을 사이에 두도록 도출부의 선단에서 구부려서 형성됨으로써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간단하게 리드 선과 접속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벌브의 리드 선이 밀봉 부착된 부분의 파손에 의한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7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한 쌍의 협지편은 각각의 압압력이 리드 선에 대하여 100g 이상으로, 리드 선을 협지하여 접속된 것으로 함으로써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리드 선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8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리드 선의 일단 면과 도출부의 연장 선단보다 앞의 부분이 면 접촉하고 있으므로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9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는 리드 선의 외주 면에 접촉하도록 도출부의 선단에서 구부려서 형성된 것이므로 연질금속을 이용한 접속 또는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서 접속부와 리드 선을 고착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부재를 전극을 사이에 두고 저항용접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므로 유효하다. 또,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0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판 형상의 접속부의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를 리드 선에 삽입하고, 접속부와 리드 선을 연질금속을 개재하여 접속된 것이므로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접속부와 리드 선을 연질금속을 개재하여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유리벌브에 대하여 통 형상체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1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의 일부를 리드 선의 볼록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또, 연질금속으로 용착한 경우,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접속부의 일부와 리드 선의 볼록부를 넓은 접속 면적으로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2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의 일부를 리드 선의 볼록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유리벌브에 대하여 급전단자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또, 연질금속으로 용착한 경우, 리드 선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접속부의 일부와 리드 선의 볼록부를 넓은 접속 면적으로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3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접속부를 용접 또는 연질금속에 의해서 리드 선의 일부 외주 면과 접속된 것으로 함으로써 접속부를 리드 선에 더욱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4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유리벌브가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3wt%~20wt% 범위의 유리재료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암흑시동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통 형상체는 유리벌브 내의 리드 선과 대향하는 유리벌브의 외주 면 전체 영역에서 비접촉임에 따라서 상기 외주 면 전체 영역에 포위된 유리벌브 중에 수은증기가 잘 모이지 않으므로 유리벌브의 내면에 용출된 나트륨(Na)과 수은증기(Hg)이 반응에 의한 아말감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형광램프의 휘도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5의 냉음극형 형광램프에 의하면, 유리벌브가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5wt% 이상 20wt% 이하의 범위의 유리재료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암흑시동시간을 약 1초 이하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6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하면, 광원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음극 형광램프가 탑재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램프의 장착이 간단하고, 또한 수명이 길면서 높은 램프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7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청구항 46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명이 길면서 높은 램프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냉음극 형광램프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동 냉음극 형광램프에서의 급전단자의 통 형상의 금속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변형 예 1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 예 2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 예 3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동 냉음극 형광램프에서의 급전단자를 구성하는 박막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변형 예 4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변형 예 5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변형 예 6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 예 7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3은 변형 예 8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4는 변형 예 9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변형 예 10의 냉음극 형광램프에서의 급전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변형 예 11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7은 동 냉음극 형광램프에서의 급전단자의 통 형상 금속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변형 예 12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9는 변형 예 13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0은 동 냉음극 형광램프에서의 급전단자의 통 형상 금속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변형 예 14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2는 변형 예 15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변형 예 16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변형 예 17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변형 예 18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동 급전단자의 냉음극 형광램프에 대한 장착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 는 도면이다.
도 27은 변형 예 19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8은 변형 예 20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변형 예 20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0은 변형 예 21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1은 변형 예 22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급전단자의 방열작용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험한 냉음극 형광램프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3은 표면 거칠기(Ra)와 박리발생강도(N)의 상관을 검토하기 위해서 실험한 냉음극 형광램프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4는 표면 거칠기(Ra)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는 박리발생강도(N)의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6은 표면 거칠기(Ra) 및 박리발생강도(N)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표면 거칠기(Ra)와 박리발생강도(N)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한 백라이트 유닛 등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9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41은 종래 예의 급전단자부 냉음극 방전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2는 종래 예의 다른 급전단자부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냉음극 형광램프
10 유리벌브
20 홀로 전극
22 리드 선
30 급전단자
31 통 형상체
(냉음극 형광램프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 1의 냉음극 형광램프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의 냉음극 형광램프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냉음극 형광램프(1)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유리벌브(10)와, 유리벌브(10)의 양단부에 안쪽에 각각 설치된 홀로 전극(20)과, 유리벌브(10)의 양단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며 홀로 전극(20)의 리드 선(22)과 접속된 급전단자(30)를 구비한다.
유리벌브(10)는 붕규산 유리(SiO2-B2O3-Al2O3-K2O-TiO2) 제의 유리관을 가공한 것으로, 전장은 730㎜이다. 당해 유리벌브(10)는 관 형상의 유리벌브 본체(11)와 유리벌브 본체(11)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밀봉부(12)로 이루어진다.
유리벌브 본체(11)는 단면이 원환 형상(圓環刑狀)이며, 바깥지름이 4㎜, 안지름이 3㎜, 두께가 0.5㎜이다. 밀봉부(12)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리벌브(10)의 관 축 A방향에서의 길이 W가 2㎜이며, 홀로 전극(20)이 밀봉 부착되어 있다.
또, 유리벌브(10)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냉음극 형광램프(1)를 가늘고 길게 하기 위해서는 유리벌브(10)가 지름이 작으면서 두께가 얇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일반적으로는 유리벌브 본체(11)는 안지름이 1.4㎜~6.0㎜, 두께가 0.2㎜~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벌브(10)의 양단부를 제외한 내면에는 형광체 층(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형광체 층(13)의 단부는 홀로 전 극(20)의 전극 본체(21)의 외주 면과 대향하고, 전극 본체(21)의 밑면(24)과 급전단자(30)의 관 중앙 측의 단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유리벌브 본체(11)로부터 자외선이 직접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형광체 층(13)은 예를 들어 적색형광체(Y2O3 : Eu3+), 녹색형광체(LaPO4 : Ce3+, Tb3+) 및 청색형광체(BaMg2Al16O27 : Eu2+)로 이루어지는 희토류 형광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리벌브(10)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약 1200㎍의 수은 및 희 가스로 약 8kPa(20℃)의 네온과 아르곤의 혼합가스가 Ne : 95mol%, Ar : 5mol%의 비율로 봉입이 되어 있다.
또, 형광체 층(13), 수은 및 희 가스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희 가스에 크립톤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냉음극 형광램프의 적외선 방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희 가스에 크립톤이 0.5mol% 이상 5mol% 이하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램프 전압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냉음극 형광램프의 적외선 방사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르곤이 0mol% 이상 9.5mol% 이하의 범위 내, 네온이 90mol% 이상 95.5mol% 이하의 범위 내, 크립톤이 0.5mol% 이상 5mol% 이하의 범위 내이다. 나아가서는 희 가스에 크립톤이 0.5mol% 이상 3mol% 이하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는 희 가스에 크립톤이 1mol% 이상 3mol% 이하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유리벌브(10)의 재료로 붕규산 유리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산화나트륨을 함유하는 소다유리 등을 사용해도 좋다. 이 경우, 유리벌브(10)의 내면과 형광체 층(13) 사이에 수은과 유리벌브(10) 내부 표면의 나트륨과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리의 가공성 및 암흑시동특성의 개선을 고려하면 유리벌브(10)는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3wt% 이상 20wt% 이하의 범위의 유리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을 5wt% 이상으로 하면 암흑조건 하에서의 암흑시동시간이 약 1초 이하가 된다. 역으로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20wt%를 초과하면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 유리벌브가 백색화하여 휘도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유리벌브(10) 자체의 강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 환경대책을 고려한 경우 알칼리계 금속의 함유율이 상기 3wt% 이상 20wt% 이하의 범위 내의 유리재료이면서, 납의 함유율이 0.1wt% 이하의 유리가 바람직하며(이른바, 「납 프리 유리」이다), 나아가 납의 함유율이 0.01wt% 이하인 유리재료가 더 바람직하다. 또, 유리재료는 산화물 환산으로 SiO2가 60wt%~75wt%, Al2O3가 1wt%~5wt%, Li2O가 0wt%~5wt%, K2O가 3wt%~11wt%, Na2O가 3wt%~12wt%, CaO가 0wt%~9wt%, MgO가 0wt%~9wt%, SrO가 0wt%~12wt%, BaO가 0wt%~12wt%의 조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납성분을 함유하지 않아서 환경에 우수한 냉음극 형광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유리재료는 산화물 환산으로 SiO2가 60wt%~75wt%, Al2O3가 1wt%~5wt%, B2O3가 0wt%~3wt%, Li2O가 0wt%~5wt%, K2O가 3wt%~11wt%, Na2O가 3wt%~12wt%, CaO가 0wt%~9wt%, MgO가 0wt%~9wt%, SrO가 0wt%~12wt%, BaO가 0wt%~12wt%의 조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유리재료는 산화물 환산으로 SiO2가 60wt%~75wt%, Al2O3가 1wt%~5wt%, Li2O가 0.5wt%~5wt%, K2O가 3wt%~7wt%, Na2O가 5wt%~12wt%, CaO가 1wt%~7wt%, MgO가 1wt%~7wt%, SrO가 0wt%~5wt%, BaO가 7wt%~12wt%의 조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램프로 가공을 하기가 쉽고, 또한 납성분을 함유하지 않아서 환경에 우수한 냉음극 형광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유리재료는 산화물 환산으로 SiO2가 65wt%~75wt%, Al2O3가 1wt%~5wt%, B2O3가 0wt%~3wt%, Li2O가 0.5wt%~5wt%, K2O가 3wt%~7wt%, Na2O가 5wt%~12wt%, CaO가 2wt%~7wt%, MgO가 2.1wt%~7wt%, SrO가 0wt%~0.9wt%, BaO가 7.1wt%~12wt%의 조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납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조명용도에 적합한 전기 절연성을 가지며, 실투(失透)가 잘 일으키지 않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유리재료는 산화물 환산으로 SiO2가 65wt%~75wt%, Al2O3가 1wt%~3wt%, B2O3가 0wt%~3wt%, Li2O가 1wt%~3wt%, K2O가 3wt%~6wt%, Na2O가 7wt%~10wt%, CaO가 3wt%~6wt%, MgO가 3wt%~6wt%, SrO가 0wt%~0.9wt%, BaO가 7.1wt%~10wt%의 조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홀로 전극(20)은 전극 본체(21)와 리드 선(22)으로 구성되며, 유리벌브(10)의 밀봉부(12)에 밀봉 부착되어 있다.
전극 본체(21)는 니켈(Ni) 제이며, 통부(23)와 밑면부(24)로 이루어지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이다. 또, 전극 본체(21)는 니켈 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철 니켈 합금, 니오브(Nb), 탄탈(Ta), 티탄(Ti), 몰리브덴(Mo), 텅스텐(W) 혹은 하프늄(Hf) 제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통체(23)는 전장이 5.2㎜, 바깥쪽 지름이 2.7㎜, 안쪽 지름이 2.3㎜, 두께가 0.2㎜이다. 홀로 전극(20)은 통부(23)의 관 축과 유리벌브(10)의 관 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통부(23)의 외주 면과 유리벌브(10)의 내면의 간격은 통부(23)의 외주 전체 영역에 걸쳐서 거의 균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길이 M은 10㎜이다.
통부(23)의 외주 면과 유리벌브(10)의 내면의 간격은 구체적으로는 0.15㎜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간격이 좁으면 상기 간격으로 방전이 들어가지 않으며, 홀로 전극(20)의 내부 만에서 방전이 일어난다. 따라서 방전에 의해서 비산하는 스퍼터 물질이 유리벌브(10)의 내면에 잘 부착하지 않으며, 냉음극 형광램프(1)는 수명이 길어진다. 한편, 방전이 리드 선(22) 측으로 돌아서 들어가지 않으므로 상기 리드 선(22)이 방전에 의해서 잘 가열되지 않는다.
또, 통부(23)의 외주 면과 상기 유리벌브(10)의 내면의 간격은 반드시 0.15㎜일 필요는 없으나, 상기 간격으로 방전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본체(21)의 표면에는 전자방사성 물질 층(미 도시)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전자방사성 물질 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램프에 비해서 램프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자방사성 물질 층은 예를 들어 전극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자방사성 물질 층은 예를 들어 희토류원소를 포함한다. 냉음극 형광램프에서 램프의 전압을 낮추기 위해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희토류원소는 란탄(La) 및 이트륨(Y) 중 어느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방사성 물질 층은 규소(Si), 알루미늄(Al), 지르코늄(Zr), 붕소(B), 아연(Zn), 비스무트(Bi), 인(P) 및 주석(Sn) 중 어느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램프 전압을 낮추는 효과를 더 지속시킬 수 있다.
또, 전자방사성 물질 층에 세슘(Cs)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램프의 암흑시동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자방사성 물질 층과는 별도로 전극 본체(21)의 내면이나 외면에 세슘 화합물을 부착시켜도 좋다. 또, 세슘 화합물은 황산 세슘, 알루민산 세슘, 니오브산 세슘, 텅스텐산 세슘, 몰리브덴산 세슘 및 염화 세슘 중 어느 1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세슘 화합물은 전극의 통부(23)의 외주 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냉음극 형광램프의 제조공정에서 세슘 화합물을 적절한 정도로 활성화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전극의 통부(23)의 외주 면에서의 램프 중앙부 측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리드 선(22)은 유리벌브(10)의 열팽창계수와 거의 동일한 재료인 텅스텐(W) 제의 내부 리드 선(25)과 내부 리드 선(25)보다 가늘면서 땜납 등이 잘 부착하는 니켈 제의 외부 리드 선(26)을 용접에 의해 접합한 것이다. 리드 선(22)의 접합부에는 유리벌브(10)의 바깥쪽 지름보다 작고 내부 리드 선(25)의 바깥쪽 지름보다 큰 볼록부(27)가 유리벌브(10)의 양단 면과 대향하고 유리벌브(10)의 양단부에 그 밑면 부분이 밀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외부 리드 선(26) 및 볼록부(27)는 유리벌브(10)의 외부 표면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해 볼록부(27)에서부터 홀로 전극(20) 부분까지의 치수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즉, 홀로 전극(20)의 밑면 부분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내면의 간격(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서의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길이)를 1㎜로 작게 하여 유효발광길이 L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외부 리드 선(26)의 돌출부분이 외부와 부딪친 때에 볼록부(27)에 걸리는 힘이 유리벌브(10)의 양단부에서 흡수되므로, 내부 리드 선(25)이 부착된 유리벌브(10)의 밀봉부(12)의 파손에 의한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볼록부(27)는 외부 리드 선(26)과 동일한 니켈재료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Fe-Ni 합금, Cu-Ni 합금, 혹은 두멧 선 재료 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외부 리드 선(26)의 볼록부(27)는 리드 선(22)의 축 심과 직교하는 단면(관 축 A와 직교하는 단면)이 원 형상이며, 그 최대 지름이 내부 리드 선(25)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 크고 유리벌브(10)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 작은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볼록부(27)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내부 리드 선(25)은 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전장이 3㎜, 선의 지름이 0.8㎜이다. 당해 내부 리드 선(25)은 외부 리드 선(26) 측의 단부가 유리벌브(10)의 밀봉부(12)에 밀봉 부착되고, 외부 리드 선(26) 측과는 반대 측의 단부가 전극 본체(21)의 밑면(24)의 바깥쪽 면의 대략 중앙에 접합이 되어 있다.
외부 리드 선(26)은 유리벌브(10)의 외부표면에서부터 관 축 A방향으로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부분이며, 급전단자(30)와 접합이 되어 있다. 당해 외부 리드 선(26)은 전장이 1㎜이며, 외부 리드 선(26)의 축 심과 유리벌브(10)의 관 축 A가거의 일치하고 있다.
외부 리드 선(26)의 관 축 A방향의 길이 σ는 1㎜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 외부 리드 선(26)은 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선의 지름은 내부 리드 선(25)보다도 가는 0.6㎜이다.
외부 리드 선(26)의 관 축 A방향의 길이 σ가 1㎜ 이하이면 외부 리드 선(26)에 부딪혀서 외부 리드 선(26)이 구부러지게 하여 밀봉부(12)를 파손시키는 경우 등은 적다.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램프(1)를 도 38에 도시하는 백라이트 유닛(1000)에 장착할 때 외부 리드 선(26)에 백라이트 유닛(1000)에 부딪혀서 구부러지거나, 부딪힐 때에 외부 리드 선(26)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서 밀봉부(12)가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적다.
급전단자(30)는 예를 들어 유리벌브(10)의 양단부를 덮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접촉하면서 포위하도록 설치된 도전성의 통 형상체(31)를 가지며, 통 형상체(31)는 적어도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 비접촉부(S)(도전성의 통 형상체(3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를 갖는 것이다. 즉, 통 형상체(31)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상에 땜납으로 형성된 길이 N(비접촉부(S)를 포함)이 7.5㎜, 두께가 50㎛의 박막(32)과 통 형상 금속(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박막(32)은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그곳이 비접촉부(S)가 되고, 통 형상체(31)의 접촉영역에 비해서 방열작용이 작다. 그 결과, 리드 선(22)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잘 모이지 않으므로,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냉음극 형광램프의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는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통 형상 금속(33)은 예를 들어 길이 P가 6㎜, 두께가 0.1㎜인 스테인리스 제의 얇은 금속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전성의 박막(32)은 땜납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성분이 동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좋고, 또, 그 두께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유리벌브(10)의 양단부에서의 온도저하의 억제 및 제작의 용이성에서 20~120㎛로 형성한 것이다.
또, 통 형상 금속(33)은 상기 두께 및 재료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두께가 0.1~0.5㎜의 탄탈 제, 니켈 제, 코바르 제, 몰리브덴 제, 텅스텐 제 등의 부재로 형성한 것이라도 좋다.
또, 비접촉부(S)는 하기의 제법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제법은, 먼저 유리벌브(10)에 박막(32)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을 샌드 블래스트나 화학처리에 의해서 유리벌브(10)의 표면을 거칠게 한 후, 홀로 전극(20)이 밀봉 부착된 유리벌브(10)의 밀봉부(12)를 용융조 내의 용융 땜납에 침지시키는 공지의 디핑법(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 2004-146351호 공보)에 의해서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상에 비접촉부(S)를 제외한 필요한 영역에 도전성인 땜납의 박 막(32)이 형성된다. 이때, 유리벌브(10)의 양단부의 외주 면상에 외부 리드 선(26)과 접합이 된 접합부분(32a), 비접촉부(S) 및 박막부분(32b)이 관 축 A방향으로 순차 형성된다. 다음에 접합부분(32a) 및 박막부분(32b)의 박막(32) 상에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슬릿(34)을 갖는 통 형상 금속(33)을 설치함으로써 유리벌브(10)의 양단부에 상기 비접촉부(S)를 갖는 급전단자(30)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용융 땜납에 밀봉부(12)를 침지시킬 때에는 초음파를 인가해도 좋다. 이와 같은 디핑법은 급전단자(30)를 간단하고도 염가로 형성할 수 있다.
접합부분(32a)은 급전단자(30)가 리드 선(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부분이며, 외관에서 볼 때 대략 원추체 형상이다. 그러므로 접합부분(32a)의 외부표면의 면적은 외부 리드 선(26)의 외부표면 전체를 완전히 덮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다. 따라서 급전단자(30)의 외부표면의 면적도 작으며, 방열작용도 작으므로 리드 선(22)의 온도가 잘 저하하지 않는다. 또, 외부 리드 선(26)이 급전단자(30)로 완전하게 덮여 있으므로, 외부 리드 선(26)을 구부리거나 외부 리드 선(26)에 응력을 가해서 밀봉부(12)가 파손할 우려가 적다. 또, 접합부분(32a)의 외부표면의 면적은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막부분(32b)은 유리벌브(10)의 외부표면상에서 상기 비접촉부(S)를 제외한 홀로 전극(20)의 외주 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유리벌브(10)와 밀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홀로 전극(20)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모이기 쉬우며, 그 결과 리드 선(22)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잘 모이지 않게 된다.
접합부분(32a)은 그 외주 단부가 통 형상 금속(33)의 내면에 접합하도록 형 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 형상 금속(33)과 외부 리드 선(26)이 접속되어 있다.
또, 급전단자(30)의 방열작용을 작게 억제하기 위해서는 통 형상 금속(33) 및 박막부분(32b)이 형성되는 영역이 가능한 한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급전단자(30)의 관 축 A방향(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길이 N은 1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길이 N이 전극 본체(21)에서의 유리벌브 본체(11)의 중앙부 측의 선단부의 길이 M보다 긴 경우에는 유효발광 길이가 짧아지므로, 급전단자(30)에 의한 광속의 손실을 고려하면 상기 길이 M보다 작고,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급전단자(30)의 박막부분(32b)은 디핑법 이외의 방법, 예를 들어 증착,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서 형성해도 좋다.
상기 냉음극 형광램프(1)는 점등주파수 40~100㎑, 램프 전류 3~25㎃에서 동작된다. 또, 램프 전류가 25㎃보다 커진 경우에는 유효발광길이를 고려하면서 스퍼터 양의 감소의 관점에서 홀로 전극(20)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예를 들어 급전단자(30)의 길이 N을 19㎜까지, 통부(23)의 전장이 15㎜까지 각각의 길이를 길게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램프를 실시 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냉음극 형광램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냉음극 형광램프는 직관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U자 형상, L자 형상, C자 형상 등의 굴곡형 냉음극 형광램프라도 좋다. 또, 급전단자(30)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하는 변형 예 1 내지 4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이하의 각 변형 예의 도면에서 상술 한 급전단자(30)와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변형 예 1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냉음극 형광램프(5)의 급전단자(51)는 유리벌브(10)의 양단부를 덮는 통 형상체가 형성된 것이다. 즉, 통 형상체는 접합부분(52)과 박막부분(53)으로 이루어지는 박막(54)과, 박막(54) 상에 도전성의 통 형상 금속(55)(도 3의 통 형상 금속(33)과 동일한 것)을 설치한 것이며, 또, 통 형상 금속(55)의 적어도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 비접촉부(S)(도전성 통 형상체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를 갖는 것이다. 또, 리드 선(22)은 예를 들어 텅스텐 재료의 내부 리드 선(25)의 일단에 니켈 재료의 볼록부(27)를 용접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접합부분(52)은 외관상 대략 반 구 형상이며, 리드 선(22)의 볼록부(27)의 외부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 그 박막의 막 두께는 박막부분(53)과 동일하게 50㎛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합부분(52)에 의해서 볼록부(27)가 완전하게 덮어져서 은폐되고, 냉음극 형광램프(50)의 단부가 매끄럽게 둥그스름하게되어 있으므로 냉음극 형광램프(50)의 단부가 외부에 부딪혀도 외부 리드 선(26)이 구부러지거나 밀봉부(12)가 파손되거나 할 우려가 적다.
또, 볼록부(27)는 니켈 재료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텅스텐 재료의 내부 리드 선(25)과 동일한 재료로 일체로 형성한 후, 볼록부(27)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납땜하기 쉬운 니켈 도금 등으로 형성한 것이어 도 좋다.
도 5는 변형 예 2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냉음극 형광램프(60)의 급전단자(61)는 유리벌브(10)의 양단부를 덮도록 통 형상체가 형성된 것이다. 즉, 통 형상체는 접합부분(62)과 박막부분(63)으로 이루어지는 박막(64)과, 박막(64) 상에 도전성이 있는 통 형상 금속(65)(도 3의 통 형상 금속(33)과 동일한 것)을 설치한 것이며, 또한 통 형상 금속(65)의 적어도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 비 접착부(S)(도전성의 통 형상체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를 갖는 것이다. 또, 리드 선(22)은, 예를 들어 텅스텐 재료의 내부 리드 선(25)의 일단에 니켈 재료의 볼록부(27)를 용접해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접합부분(62)은 외관에서 볼 때 대략 반 구 형상으로, 리드 선(22)의 볼록부(27)의 외부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 또, 볼록부(27)는 유리벌브(10)의 단부에서 그 밑면을 밀접하면서 리드 선의 지름방향으로 간격(12a)을 두고 매설되어 있다. 또, 간격(12a)에는 예를 들어 박막(64)과 동일한 재료가 충전되어 있어도 좋으며, 공동(空洞)이어도 좋다. 그리고 접합부분(62)은 리드 선(22)의 볼록부(27)의 외부표면을 박막으로 덮고 있다. 그 박막의 막 두께는 박막부분(63)과 동일한 50㎛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27)가 유리벌브(10)의 단부에 매설되어 있음으로써 볼록부(27)가 외부에 부딪히는 일이 없어서 밀봉부(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급전단자(61) 전체를 박막으로 함으로써 땜납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더 염가로 냉음극 형광램프(60)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변형 예 2에서는 볼록부(27) 전체가 완전하게 유리벌브(10)의 단부에 매몰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볼록부(27)의 일부가 매몰되어도 좋다. 즉, 볼록부(27)는 유리벌브(10)의 단부에 대한 매몰량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외부와 부딪힐 확률이 적어지기 때문이다.
도 6은 변형 예 3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급전단자를 구성하는 박막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냉음극 형광램프(70)의 급전단자(71)는 유리벌브(10)의 양단부를 덮도록 통 형상체가 형성된 것이다. 즉, 통 형상체는 땜납 제의 접합부분(72)과, 철 니켈 합금제의 통 형상 금속(73)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통 형상 금속(73)의 적어도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 비접촉부(S)(통 형상 금속(73)의 내면에 오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를 갖는 것이다. 또, 통 형상 금속(73)은 단면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된 두께 150㎛의 통체이며, 유리벌브(10)의 단부에 외부에서 삽입되어 있다. 통 형상 금속(73)의 안쪽 지름은 유리벌브(10)의 바깥쪽 지름보다도 조금 작으며, 또, 통 형상 금속(73)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슬릿(74)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통 형상 금속(73)의 안쪽 지름과 유리벌브(10)의 바깥쪽 지름 사이에 다소의 치수오차가 발생해도 통 형상 금속(73)의 내면이 상기 유리벌브(10)의 외면에 밀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리드 선(22)은 예를 들어 텅스텐 재료의 내부 리드 선(25)의 일단에 니켈 재료의 볼록부(27)를 용접해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접합부분(72)은 외관에서 볼 때 대략 원주 형상이며, 리드 선(22)의 볼록부(27)의 외부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 또, 급전단자(71)는 반드시 그 전체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도 8은 변형 예 4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의 사시도를, 도 9는 급전단자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단자(81)는 유리벌브(10)의 단부 외주에 외부에서 삽입된 통 형상체(82)와, 통 형상체(82)에서 연장되고, 리드 선(22)의 일부와 접속되는 접속부(83)를 구비하며, 스테인리스 제의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판금가공)한 것이다.
통 형상체(82)는 원통형을 하고 있으며, 그 내면 둘레 방향에는 지름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고,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 이외의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압압(押壓)하여 유리벌브(10)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는 원통 형상의 통 벽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3개소에 클립부(84)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부(84)의 각각은 통 벽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들어간 대략 U자형의 절개(84c)에 의해서 형성되고, 통 형상체(82)의 일단 측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하는 띠 형상체인 설편(舌片)으로 이루어진다. 당해 설편의 통 형상체(82)와 분리된 자유단부 부분(84a)의 일부는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쪽을 향해서 「く」형으로 구부러진 굴곡부(84b)를 하고 있으며, 통 형상체(82)와 연결된 상태의 기단부를 기점으로 해서 전체가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 형상체(82)를 유리벌브(10)의 단부 외주에 외부에서 삽입하면, 자유단부 부분의 「<」자의 정상부(84b)가 전극 본체(21)의 외주 면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에 접촉해서 클립부(84) 전체가 상기 기단부를 기점으로 유리벌브(10)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휘고(탄성변형하고), 그 복원력에 의해서 유리벌브(10)의 단부에 지지된다. 이에 의해, 유리벌브(10)에 대하여 원통형을 한 통 형상체(82)와 대략 축 심을 합치시킬 수 있다. 또, 통 형상체(82)의 안쪽 지름 가공의 정밀도에 의한 유리벌브(10) 표면과의 접촉을 없애고, 또한 통 형상체(82)의 온도의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통 형상체(82)의 원통 형상부의 내면과 유리벌브(10)의 외면의 거리(d)를 d≥0.2㎜의 범위로 규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속부(83)는 통 형상체(82)에서 띠 형상체(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의 탄성편)인 도출부(85)가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도출부(85)의 단부에서 관 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리드 선(22)에 접속하도록 형성된 U자형의 접속단자(86)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급전단자(81)를 통 형상체(82) 측에서 냉음극 형광램프에 외부에서 삽입하면, 통 형상체(8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부에서 형성된 클립부(84)의 기능에 의해서 유리벌브(10)에 대하여 지름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위치결정이 된다. 이때, 통 형상체(82)에 설치된 클립부(84)는 그 「<」자의 정상부(84b)가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내부 리드 선(25))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는 접촉하지 않으며, 전극 본체(21)의 통부(23) 와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압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 즉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ε)에서 접촉하지 않으므로 외주 면 전체 영역(ε)의 리드 선(22)의 주변온도가 잘 저하되지 않고 리드 선(22)의 주위에 수은증기가 잘 모이지 않으므로,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하여 냉음극 형광램프의 램프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거나 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다. 그 결과, 수명이 길면서 충분한 램프 휘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접속단자(86)는 리드 선(22)(외부 리드 선(26))의 삽입에 따라서 리드 선(22)의 선단부가 접속단자(86)의 U형상부에 삽입된다. 이어서, 접속단자(86)와 리드 선(22)의 선단부를 코킹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안정접속)되게 된다. 그 결과, 유리벌브(10)에 대하여 급전단자(81)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코킹한 후, 그 코킹된 접속단자(86)를 땜납, 납 등의 연질금속을 이용하여 피복하거나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서 접속강도를 더 높여도 좋다.
또, 상기 급전단자(81)는 스테인리스 제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내식성과 탄력성의 관점에서 인청동 등의 다른 금속재료를 이용하여도 상관없다. 또, 클립부(84)의 형상(길이, 횡단면), 개수, 배치 위치 등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것도 없다. 요는, 유리벌브(10)를 통 형상체(82) 내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관없다.
예를 들어, 통 형상체(82)의 통 형상 내면의 둘레 방향으로 3등분(소정 각도 에서 분할 또는 복수 등분되고, 그 3등분된 위치에는 그 통 형상의 내면에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측으로 돌출하도록 드로잉 가공한 2개의 듀벨(dubel, 미 도시)과, 상기 「<」자의 정상부(84b)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대하여 상기 「<」자의 정상부(84b)에서 압압하여 통 형상의 안쪽에 설치한 2개의 듀벨에 의해 일정한 거리의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변형 예 5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9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변형 예 5는 상기 변형 예 4와는 급전단자(91)의 접속부(93)가 리드 선(22)의 일단 면에 면 접촉하도록 도출부(95)의 선단에서 구부러져서 형성되고, 면 접촉 부분(96)에서 리드 선(22)과 용접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93)에 의해서 리드 선(22)의 중심 축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리드 선(22)에 걸리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면 접촉 부분(96)과 리드 선(22)을 레이저 용접, 저항용접이나 땜납 또는 납 등의 연질금속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으며, 또, 유리벌브(10)에 대하여 급전단자(91)의 축 심 방향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도 11은 변형 예 6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10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변형 예 6은 상기 변형 예 4와는 급전단자(101)의 접속부(103)가 리드 선(22)의 일부 외주 면에 근접 또는 접촉하도록 도출부(105)의 선단에서 구부러져서 형성되고, 평면 형상의 접촉부분(106)과 리드 선(22)이 용접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는 점 및 볼록부(27)와 대향하는 접속부(103)의 구부러진 단면을 볼록부(27)에 접촉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드 선(22)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하여 평면 형상의 접촉부분(106)과 리드 선(22)을 레이저 용접, 저항 용접이나 땜납 또는 납 등의 연질금속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유리벌브(10)에 대하여 축 심 방향의 급전단자(101)의 위치결정을 할 수 있다.
도 12는 변형 예 7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20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변형 예 7은 상기 변형 예 4와는 급전단자(201)의 접속부(203)가 볼록부(27)의 단면과 면 접촉하도록 도출부(205)의 선단에서 구부러져서 형성되는 동시에 리드 선(22)이 삽입되도록 관통구멍(203a)(또는 절개부)를 설치하고 있는 점 및 상기 면 접촉한 후에 접속부(203)와 리드 선(22) 및 볼록부(27)를 땜납 또는 납 등의 연질금속을 이용하여 용착해서 접속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203)에 의해 리드 선(22)의 볼록부(27)에 힘이 가해지므로 리드 선(22)에 걸리는 구부리는 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접촉 면이 넓은 볼록부(27)와 접속부(203)의 판 면을 땜납 또는 납 등의 연질금속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유리벌브(10)의 볼록부(27)의 위치에서 급전단자(201)를 위치결정할 수 있으므로 리드 선(22)의 길이가 단축되어서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장을 짧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변형 예 8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30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변형 예 8은 상기 변형 예 7과는 급전단자(301)가 밑면이 있는 통 형상체이고, 즉 급전단자(301)의 도출부가 통 형상의 통 형상체(82)의 일부이며, 접속 부(303)가 밑면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303)의 관통구멍(203a)에 리드 선(22)을 삽입하여 볼록부(27)와 접속부(303)의 판 면을 면 접촉시키고 있으므로 리드 선(22)에 가해지는 구부리는 힘은 작용하지 않는다. 또, 그 후, 접속부(303)와 리드 선(22) 및 볼록부(27)를 땜납 또는 납 등의 연질금속을 이용하여 용착하므로 안정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유리벌브(10)의 볼록부(27)의 위치에서 급전단자(301)를 위치결정할 수 있으므로 리드 선(22)의 길이가 단축되어서 냉음극 형광램프의 전장을 짧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변형 예 9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설치하는 급전단자(40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변형 예 9는 상기 변형 예 4와는 급전단자(401)의 접속부(403)가 통 형상체(82)의 통 벽에서 관 축 A와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간 정도에서 직각으로 접힌 직사각형 형상의 도출부(405)와, 도출부(405)의 연장 단에 설치된 탄성 협지부(406)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협지부(406)가 관 축 A와 직교하는 사각형 판 형상부인 기부(基部)(406a)와, 기부(406a)에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탄성 협지편(406b, 406c)을 갖는다. 또, 탄성 협지편(406b, 406c)의 각각은 기부(406a)에서 대향하는 변부(邊部)로부터 통 형상체(82) 측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탄성 협지편(406b, 406c)은 안쪽을 향해서(관 축 A를 향해서) 「く」형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당해 굴곡부의 정상부 사이에서 리드 선(22)(도 8, 도 9)을 탄성적으로 협지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드 선(22)의 선단에 기부(406a)를 접촉시킴으로써 유리벌브(10)에 대하여 급전단자(401)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 급전단자(401)는 리드 선(22)이 탄성 협지편(406b, 406c)과 점 접촉하므로 통 형상체(82)가 유리벌브(10)(도 8, 도 9)에 대하여 조금 기울어졌어도 리드 선(22)이 상기 정상부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빠져나가게 되어서 리드 선(22)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기 어렵다.
또, 탄성 협지부(406)는 리드 선(22)의 삽탈성(揷脫性)에 우수하므로 급전단자(401)의 유리벌브(10)에 대한 착탈성이 향상한다.
도 15는 변형 예 10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단부에 설치하는 급전단자(50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변형 예 10은 상기 변형 예 9와는 급전단자(501)의 접속부(503)가 통 형상체(82)의 통 벽에서 관 축 A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 형상의 도출부(505)와, 도출부(505)를 연장해서 형성된 탄성 협지부(506)를 갖는 점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협지부(506)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탄성 협지부(406)와 동일한 구성이다. 즉, 기부(506a)에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탄성 협지편(506b, 506c)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징적인 것은 도출부(505)를 포함해서 통 형상체(82)에서 연장 설치된 한개의 띠 형상부가 그 길이방향의 소정의 위치에서 굴곡 가공되어 서 이루어진 점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형 예 9에 비하여 급전단자(501)의 접속부(503)에서의 재료의 사용량을 적게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리드 선(22)의 탄성 협지부(506)에 대한 삽입성에 우수한 점은 상기 변형 예 9와 동일하다. 한편, 리드 선(22)은 탄성 협지부(506)에서 잘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리드 선(22)을 탄성 협지부(506)에서 뺄려고 하면 도출부(505)가 안쪽으로(관 축 A를 향해서) 휜다. 그 결과, 탄성편부(506c)도 마찬가지로 안쪽으로 변위하여 리드 선(22)을 압압하게 되어서 탄성편부(506c)와 리드 선(22) 사이에 마찰력이 증대한다. 따라서 급전단자(501)는 일단 유리벌브(10)에 장착하면, 분리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탄성 협지부(506)는 리드 선(22)의 삽탈성(揷脫性)에 우수하므로 급전단자(501)의 유리벌브(10)에 대한 착탈성이 향상한다.
도 16은 변형 예 11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11은 상기 실시 예 1과는 통 형상 금속(801)의 외주 면에 단차가 있는 점이 크게 다르고, 또 실시 예 1의 박막 부분(32b)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도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단자(802)의 통 형상체(803)의 통 형상 금속(801)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부(804)와, 제 1 통부(804)에서 관 축 A방향의 리드 선 측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통부(805)를 가지며, 제 2 통부(805)는 제 1 통부(804)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한 세트의 소켓(1600)에 냉음극 형광램프를 설치할 때에 제 1 통부(804)와 제 2 통부(805)의 바 깥쪽 지름의 차에 의해서 생긴 단차(806)에 소켓(1600)의 관 축 A방향 리드 선 측의 단면(1640)의 일부를 누룰 수 있어서 램프를 관 축 A방향으로 위치결정을 하기 쉽다.
제 1 통부(804)와 제 2 통부(805)의 두께는 동일하므로 제 2 통부(805)는 제 1 통부(804)보다 안쪽 지름도 크다. 실시 예 1의 박막부분(32b)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1 통부(804)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밀착되어 있다. 한편, 제 2 통부(805)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 면 사이에는 간격이 있어서 그 간격이 비접촉부(S)로 되어 있다.
도 18은 변형 예 12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12는 상기 변형 예 4와는 통 형상체(811)의 외주 면에 단차가 있는 점이 크게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단자(812)의 통 형상체(811)는 제 1 통부(813)와, 제 1 통부(813)에서 관 축 A방향 리드 선 측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통부(814)를 가지며, 제 2 통부(814)는 제 1 통부(813)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형 예 11과 마찬가지로 제 1 통부(813)와 제 2 통부(814)의 바깥쪽 지름의 차에 의해서 생긴 단차(815)에 소켓(도시생략)의 관 축 A방향 리드 선 측의 단면의 일부를 누룰 수 있어서 램프를 관 축 A방향으로 위치결정을 하기 쉽다.
제 1 통부(813)와 제 2 통부(814)의 두께는 동일하므로 제 2 통부(814)는 제 1 통부(813)보다 안쪽 지름이 크다. 따라서 제 2 통부(814)의 내면과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의 간격은 제 1 통부(813)의 내면과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의 간격보다도 크고, 제 2 통부(814)의 내면이 유리벌브(10)에 접촉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클립부(84)의 기단부는 제 2 통부(814)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통부(814)는 제 1 통부(813)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크므로 클립부(84)의 기단부를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으로부터 더 떨어뜨릴 수 있어서 클립부(84)가 판 스프링으로 더욱 기능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9는 변형 예 13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13은 상기 변형 예 11과는 통 형상체(821)의 외주 면에 2개소의 단차가 있는 점이 크게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단자(822)의 통 형상체(821)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부(823)와, 제 1 통부(823)에서 관 축 A방향의 양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 쌍의 제 2 통부(824, 825)를 가지며, 제 2 통부(824, 825)는 각각 제 1 통부(823)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한 세트의 소켓(1600)에 냉음극 형광램프를 설치할 때에 제 1 통부(823)와 제 2 통부(824, 825)의 바깥쪽 지름의 차에 의해서 생긴 단차(826, 827)를 이용하여 램프를 관 축 A방향으로 위치결정을 하기 쉽다. 또, 2개소의 단차(826, 827) 사이의 오목한 부분(828)에 소켓(1600)을 삽입함으로써 위치결정 후의 램프가 관 축 A방향으로 어긋 나서 움직이는 것을 2개소의 단차(826, 827)에 의해서 관 축 A방향에서의 2방향에서 규제할 수 있으므로 소켓(1600)과의 마찰에 의한 통 형상체(821)의 표면의 손상이 적다. 또, 상기 위치결정은 열 팽창 등에 의해서 유리벌브(10)의 관 축 A방향의 치수변동이 있으므로 유리벌브(10)의 양단부의 급전단자(822) 중 한쪽만으로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 1 통부(823)와 제 2 통부(824, 825)의 두께는 동일하므로 제 2 통부(824, 825)는 제 1 통부(823)보다도 안쪽 지름이 크다. 실시 예 1의 박막부분(32b)에 상당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 1 통부(823)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밀착되어 있다. 한편, 제 2 통부(824, 825)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 면 사이에는 각각 간격이 있고, 그 중 관 축 A방향 리드 선 측의 간격이 비접촉부(S)로 되어 있다.
도 21은 변형 예 14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14는 상기 변형 예 12와는 통 형상체(811)의 외주 면에 2개소의 단차가 있는 점이 크게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급전단자(832)의 통 형상체(831)는 제 1 통부(833)와, 제 1 통부(833)에서 관 축 A방향 양측으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제 2 통부(834, 835)를 가지며, 제 2 통부(834, 835)는 각각 제 1 통부(833)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형 예 12와 마찬가지로 제 1 통부(833)와 제 2 통부(834)의 바깥쪽 지름의 차에 의해서 생긴 단차(836)에 소켓(도시생략)의 관 축 A 방향 리드 선 측의 단면의 일부를 누룰 수 있어서 램프를 관 축 A방향으로 위치결정을 하기 쉽다. 또, 2개소의 단차(836, 837) 사이의 오목한 부분(838)에 소켓을 삽입함으로써 위치결정 후의 램프가 관 축 A방향으로 어긋나서 움직이는 것을 2개소의 단차(836, 837)에 의해서 관 축 A방향에서의 2방향에서 규제할 수 있으므로 소켓과의 마찰에 의한 통 형상체(831)의 표면의 손상이 적다. 또, 상기 위치결정은 열 팽창 등에 의해서 유리벌브(10)의 관 축 A방향의 치수변동이 있으므로 유리벌브(10)의 양단부의 급전단자(832) 중 한쪽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통부(833)와 제 2 통부(834, 835)의 두께는 동일하므로 제 2 통부(834, 835)는 제 1 통부(833)보다 안쪽 지름이 크고, 제 2 통부(834, 835)의 내면과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의 간격은 제 1 통부(833)의 내면과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의 간격보다도 크다. 따라서 제 2 통부(834, 835)의 내면이 유리벌브(10)에 접촉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클립부(84)의 기단부는 제 1 통부(833)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차(836)에 소켓을 누루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2는 변형 예 15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15는 상기 변형 예 4와는 통 형상체(82)의 슬릿부(84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 가장자리(842, 843)의 각각의 일부에 슬릿부(841)를 걸쳐서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부를 설치한 점이 크게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결합부는 상기 슬릿부(841)가 대향하는 일측의 단부 가장자리(842)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오목부(844)와, 타측의 단부 가장자 리(843)에서의 오목부(844)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선단이 오목부(844) 내에 삽입되어 있는 볼록부(845)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목부(844)에 의해서 볼록부(845)의 관 축 A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되므로 한 쌍의 단부 가장자리(842, 843)가 서로 대향한 위치에서 어긋나서 움직이는 통 형상체(82)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아서 통 형상체(82)의 형상이 안정된다. 또, 슬릿부(841)의 폭으로 유리벌브의 외형의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 오목부(844) 및 볼록부(845)는 한 쌍의 단부 가장자리가 서로 대향한 위치에서 어긋나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할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예를 들어, 오목부(844)는 통 형상체(82)의 외주 면을 사각형으로 절개한 것, 볼록부(845)는 통 형상체(82)의 외주 면을 사각형으로 돌출시킨 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으로 절개 또는 돌출시킨 것이어도 좋다. 또, 한 쌍의 결합부는 복수 쌍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23은 변형 예 16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예 16은 상기 변형 예 15와는 통 형상체(82)의 관 축 A방향 홀로 전극 측의 단부(851)의 내면이 절취되어 있는 점이 크게 다르다. 도 23(b)에 나타내는 절취부(852)는 통 형상체(82)의 관 축 A방향 홀로 전극 측의 단부(851)에 둘레방향 전체에 걸쳐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급전단자(81)를 유리벌브(10)에 삽입한 때의 유리벌브(10) 표면의 손상이 억제되고, 또 급전단자(81)를 유리벌브(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24는 변형 예 17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17은 상기 변형 예 15와는 통 형상체(82)의 관 축 A방향 홀로 전극 측의 단부(861)가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크게 다르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단부(861)의 안쪽 지름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급전단자(81)를 유리벌브(10)에 삽입한 때에 유리벌브(10) 표면의 손상이 억제되고, 또, 급전단자(81)를 유리벌브(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25는 변형 예 18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급전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급전단자의 냉음극 형광램프에 대한 장착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 예 18은 상기 변형 예 9와는 통 형상체(871)의 구성이 크게 다르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체(871)는 단면이 대략 C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으로 슬릿부(872)를 갖는 원통체부(873)와, 원통체부(873)의 일 단부에서 연장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복수 개(본 예에서는 6개)의 직사각 형상을 한 탄성 설편(874)을 갖는다. 탄성 설편(874)은 원통체부(873)의 일단에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에 따른 복수 조(본 예에서는 6조)의 슬릿부(875)를 둘레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소정의 깊이까지 개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슬릿부(875) 중 하나가 원통체부(873)의 슬릿부(872)와 연결된 구성이므로 유리벌브(10)의 외형의 치수 공차를 대략 C자형부의 탄성력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으며, 급전단자(876)를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지지할 수 있다.
탄성 설편(874)의 각각은 원통체부(873) 측의 기단부 근방을 기점으로 해서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고, 또 자유단부 근방에서 국부적으로 「く」형으로 내측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탄성 설편(874)의 선단부는 나팔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다. 이와 같이, 「く」형으로 굴곡시킨 것은 급전단자(876)를 냉음극 형광램프에 외부에서 삽입할 때에 탄성 설편(874)의 선단의 각으로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유리벌브(10)의 단부(12)에 삽입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유리벌브의 단부에 급전단자를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탄성 설편(874)의 상기 「く」형 굴곡부의 안쪽(유리벌브(10)의 외주 면측)으로 튀어나온 각 정상부에 내접하는 가상원통의 직경은 유리벌브(10)의 바깥쪽 지름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급전단자(876)를 유리벌브(10)의 단부에 외부에서 삽입하면, 각 탄성 설편(874)의 「<」자의 정상부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접촉하여 탄성 설편(874) 전체가 상기 기단부를 기점으로 유리벌브(10)의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탄성적으로 휘고(탄성변형하고), 그 복원력에 의해서 유리벌브(10)를 협지한다. 이에 의해서, 유리벌브(10)는 원통체부(873)와 축 심을 대략 합치시킨 상태에서 원통체부(873) 내에 위치결정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통 형상체(871)의 외주 면 전체에 동일한 분포의 하중이 인 가되므로 유리벌브(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통 형상체(871)의 내면과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의 밀착성이 향상하므로 급전단자(876)를 유리벌브(10)에 장착한 후에 유리벌브(10)에 대하여 급전단자(876)가 그 관 축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탄성 설편(874) 및 슬릿부(875)의 형상, 개수, 배치위치 등은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것도 없다. 요는, 유리벌브(10)를 통 형상체(871) 안에서 탄성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관없다.
도 27은 변형 예 19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19는 상기 변형 예 9와는 통 형상체(881)의 구성이 크게 다르다. 통 형상체(881)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선 형상의 탄성재료(882)를 나선형상으로 감은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재 그 자체로 통 형상체(88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통 형상체(881)는 제 1 통부(883)와, 제 1 통부(883)에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 리드 선 측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통부(884)를 가지며, 제 2 통부(884)는 제 1 통부(883)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크다. 제 1 통부(883)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당해 제 1 통부(883)에서 유리벌브(10)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제 2 통부(884)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 면 사이에는 간격이 있고, 그 간격의 일부가 비접촉부(S)로 되어 있다. 또, 탄성재료(882)는 단면이 원형이며,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으로 간격을 두지 않 고 밀착해서 형성되어 있어서 통 형상체(881)의 형상이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되어 있다.
도 28은 변형 예 20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도 29는 변형 예 20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20은 상기 변형 예 19와는 탄성재료의 구성이 크게 다르다. 통 형상체(891)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판 형상의 탄성재료(892)를 나선형상으로 감은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재 그 자체로 통 형상체(891)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통 형상체(891)는 제 1 통부(893)와, 제 1 통부(893)에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 리드 선 측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통부(894)를 가지며, 제 2 통부(894)는 제 1 통부(893)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크다. 제 1 통부(893)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에 밀착해 있으며, 당해 제 1 통부(893)에서 유리벌브(10)를 지지하고 있다. 한편, 제 2 통부(894)의 내면은 유리벌브(10)의 외주 면과 접촉하고 있지 않으며, 이들 면 사이에는 간격이 있고, 그 간격의 일부가 비접촉부(S)로 되어 있다. 또, 판 형상의 탄성재료(892)는 통 형상체(891)의 방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으로 간격(895)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30은 변형 예 21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21은 상기 변형 예 4와는 볼록부(27)에 관한 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27)는 유리벌브(10)의 단부(12)에 설치된 오목부(12a) 내에 그 전체 가 몰입한 상태로 매설되어 있으며, 그 밑면은 오목부(12a)의 밑면과 밀착하고, 또, 그 둘레면은 오목부(12a)의 측 둘레면 사이에 리드 선의 지름방향으로 거리 B를 유지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유리벌브(10)의 단부(12)에서 볼록부(27)의 밑면이 밀접해 있으므로 리드 선(22)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볼록부(27)의 밑면이 리드 선의 지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땜납 디핑한 경우 등에 볼록부(27)가 열 팽창하여 유리벌브(10)의 단부(12)가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은 변형 예 22의 냉음극 형광램프의 일 단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변형 예 22는 상기 변형 예 4와는 볼록부(27)에 관한 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27)는 유리벌브(10)의 단부(12) 사이에 거리 C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이 구성에 의해 리드 선(22)과 급전단자(30)의 용접에 의한 접합 및 램프전류가 증대한 때에 리드 선(22)의 볼록부(27)가 발열하나, 유리벌브(10)의 단부(12) 사이에 간격을 두고 있으므로 볼록부(27)의 열 팽창에 의해서 유리벌브(10)의 단부(12)에 열 응력이 가해지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유리벌브(10)의 단부(12)의 파손이 억제되어서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거리 C가 0.1㎜~0.5㎜인 경우는 예를 들어 미리 리드 선(22)에 땜납 디핑하는 경우라도 간격 부분의 리드 선(22)에 땜납이 부착하는 일은 없으므로 유리벌브(10)의 단부(12)의 파손이 더 억제되어서 누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유리벌브(10)의 양단에 설치된 급전단자는 상기의 실기 예 1, 변형 예 1~22의 형상에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또, 급전단자는 양단 모두 동일한 형상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 예 1, 변형 예 1~22 중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도 좋다.
(실험의 설명)
상기 실시 예의 냉음극 형광램프에서 전극 주변의 온도특성을 측정하고 급전단자의 방열작용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또,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급전단자를 갖지 않는 냉음극 형광램프를 비교품 1(종래에 상당하는 품)로 하고,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전단자를 가지나 클립부(84)가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냉음극 형광램프를 비교품 2, 도 3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변형 예 4의 냉음극 형광램프를 본 발명품으로 하였다. 그리고 최근의 고 휘도화의 요망을 고려하여 실험조건으로는 점등 주파수 40~100kHz 냉음극 형광램프의 램프 전류 20㎃(종래의 램프전류에 비하여 약 3배)로 동작시키고, 홀로 전극(20)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표면온도 W1 및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표면온도 W2를 측정하였다.
또, 본 발명품의 급전단자(81)는 안쪽 지름 D가 5㎜, 길이 L1이 7㎜, L2가 3.5㎜, L3이 1.5㎜, 두께가 0.1㎜의 스테인리스 제의 박막의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 비교품 2의 급전단자(81a)의 치수는 상기 본 발명품의 급전단자(8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클립부(84)의 굴곡부(84b)가 유리벌브(10) 내의 리드 선(22)과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주 면 전체 영역에서 접촉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먼저, 비교품 1은 표면온도 W1이 약 200℃인데 비해 표면온도 W2가 약 195℃로 온도 차가 약 5℃ 작으므로 리드 선(22)의 주변에 수은증기가 체류하는 일은 없다. 그 결과, 수명이 길면서 충분한 램프 휘도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비하여 비교품 2는 표면온도 W1이 약 160℃, 표면온도 W2가 약 140℃로 온도 차가 약 20℃ 커서 리드 선(22)의 주변에 수은증기가 체류하기 쉽다. 따라서, 방전로의 수은증기가 부족해서 냉음극 형광램프의 램프 휘도가 저하하거나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거나 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그 결과, 비교품 2는 비교품 1에 비하여 수명이 짧아져서 램프 휘도가 저하한다.
그러나 본 발명품에서는 표면온도 W1이 약 165℃인데 비해 표면온도 W2는 약 160℃로 온도 차가 약 5℃ 작으므로 비교품 1과 마찬가지로 리드 선(22)의 주변에 수은증기가 체류하는 일은 없다. 또, 비교품 1에 비하여 표면온도 W1을 약 35℃ 낮출 수 있으므로 홀로 전극 내면의 스퍼터량을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홀로 전극의 선단부가 유리벌브 내면에 접촉한 때에 홀로 전극 선단부의 열에 의해서 유리벌브 내면이 열 용융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상기의 온도 차가 약 5℃ 작으므로 안정된 램프 휘도를 얻을 수 있으며, 램프 휘도의 상승이 지체되거나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홀로 전극(20)의 전극 본체(21)에서의 통부(23)와 대향하는 유리벌브(10)의 외부 표면에 클립부(84)의 굴곡부(84b)를 접촉시키고 있으나, 그 접촉부에는 고온이 된 홀로 전극(20)이 있으므로 수은증기가 체류하는 일은 없다.
또, 본 발명은 클립부(84)의 굴곡부(84b)가 한 쌍의 홀로 전극(20)의 선단 사이에 있으며, 홀로 전극(20)의 선단 근방에서의 유리벌브(10)의 외부 표면에서 접촉한 경우에도 상기 접촉 부분의 온도가 표면온도 W1보다 낮은 온도가 되나, 이 온도기울기가 수은증기의 이동방향이므로, 수은증기가 체류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클립부(84)의 굴곡부(84b)의 장착위치는 홀로 전극(20)의 통부(23) 및 상기 선단근방의 유리벌브(10)의 외부 표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램프전류 20㎃에서 설명하였으나, 램프전류 3.5~22㎃라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가 있다.
다음에, 상기 본 실시 예의 냉음극 형광램프에서 리드 선(22)의 유리벌브(10)에 밀봉된 부분의 표면 거칠기(Ra)와, 박리발생강도(N)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측정용으로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급전단자를 갖지 않는 냉음극 형광램프를 이용하였다. 당해 냉음극 형광램프는 유리벌브(10)의 바깥쪽 지름이 4㎜, 안쪽 지름이 3㎜, 유리벌브(10)의 단부에 설치된 비드(12b)의 바깥쪽 지름이 2.78㎜, 관 축 A방향의 길이 E가 2㎜, 내부 리드 선(25)의 선의 지름 F가 0.8㎜, 볼록부(27)와 유리벌브(10)의 단부(12)의 거리 C가 0.25㎜, 니켈 제의 홀로 전극(20)의 바깥쪽 지름 G가 2.7㎜, 관 축 A방향의 길이가 10㎜이다.
표면 거칠기(Ra)로는 주사형 공초점 적외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 주식회사제, LEXT.OLS3000)을 이용하여 내부 리드 선(25)의 표면 거칠기(Ra)를 5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부터 구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리드 선(25)의 외주 면을 리드 축 심 방향에 따라서 260㎛, 리드 둘레 방향으로 위치 를 동일한 간격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1)~(5)의 선분으로 나타내는 위치를 측정하였다.
박리발생강도(N)로는 리드 선(22)에 외력이 가해지는 등으로 해서 리드 선(25)에서 유리가 박리할 때의 강도로, 푸시풀 게이지(주식회사 이마다제, DS2-500N) 및 왜곡 관측계기를 이용한 횡 하중시험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드(12a)(유리벌브(10)의 단부(12))에서 0.50㎜ 떨어진 위치에 푸시풀 게이지의 검출 선단부(900)를 속도 1㎜/min으로 누르고, 왜곡 관측계기로 그 모습을 관측하면서 박리가 발생하는 순간의 푸시풀 게이지의 측정값을 판독하였다.
도 36은 표면 거칠기(Ra) 및 박리발생강도(N)의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표면 거칠기(Ra)와 박리발생강도(N)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0.2Ra~0.8Ra인 경우, 밀봉강도가 충분하므로 비드(12)(밀봉부분)에 누설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 비드(12)(밀봉부분)에 기포의 발생도 없었다.
한편, 표면 거칠기가 0.08Ra인 경우, 밀봉강도가 불충분하므로 비드(12)(밀봉부분)에 누설이 발생하였다. 또, 표면 거칠기가 0.99Ra인 경우, 단부(12)에 기포가 발생하였다. 이는 리드 선(22)의 유리벌브(10)에 밀봉된 부분의 표면의 요철이 지나치게 크면(표면이 지나치게 거칠면), 그 오목부에 유리가 들어가지 않아서 기포가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기포도 누설의 원인으로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측정결과를 종합하면,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Ra)와 박리발생강도(N)는 상관관계를 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설명)
도 38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백라이트 유닛 등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9는 냉음극 형광램프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백라이트 유닛(1000)은 액정 텔레비전용의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에 준한다.
백라이트 유닛(1000)은 외위기(1100), 확산판(1200), 확산시트(1300) 및 렌즈시트(1400)를 구비하고, 액정 패널(1500)의 배면에 배치해서 이용된다.
외위기(1100)는 백색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제의 상자체이며,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반사판(1110)과, 상기 반사판(1110)의 주연(周緣)을 감싸는 측판(1120~1150)으로 이루어진다. 외위기(1100)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 1의 복수의 냉음극 형광램프(1)가 병설되어 있으며, 이들 냉음극 형광램프(1)의 광은 상기 외위기(1100)의 개구(1160)에서 확산판(1200)을 향해서 방출된다.
반사판(1110)은 각 냉음극 형광램프(1)의 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한 세트의 소켓(1600)이 배치되어 있다. 각 소켓(1600)은 예를 들어 인청동 등의 동 합금 또는 알루미늄제의 판재를 구부려서 가공한 것이며, 한 쌍의 협지편(1610, 1620)과, 이들 협지편(1610, 1620)을 하단 가장자리에서 연결하는 연결편(1630)으 로 이루어진다. 협지편(1610, 1620)에는 냉음극 형광램프(1)의 외형에 맞춘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 내에 냉음극 형광램프(1)를 삽입하면, 상기 협지편(1610, 1620)의 판 스프링 작용에 의해서 상기 냉음극 형광램프(1)가 소켓(1600)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소켓(1600)과 급전단자(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백라이트 유닛(1000)에 장착된 냉음극 형광램프(1)에는 상기 백라이트 유닛(1000)의 점등회로(미 도시)에서 소켓(1600)을 통해서 전력이 공급된다.
확산판(1200)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제의 판체이며, 외위기(1100)의 개구(1160)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확산시트(1300)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제이고, 렌즈시트(1400)는 아크릴 수지제이며, 각각 확산판(1200)에 순차 중첩하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을 실시 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액정 패널의 배면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단면에 냉음극 형광램프(1)를 배치한 엣지라이트 방식(새틀라이트 방식 또는 도광판 방식이라고도 한다)의 백라이트 유닛이어도 좋다.
(액정표시장치의 설명)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액정표시장치(2000)는 예를 들어 32인치 액정 텔레비전이며, 액정 패널 등을 포함하는 액정화면 유닛(2100)과 액정화면 유닛(2100)의 배면에 배치된 본 실시 예의 백라이트 유 닛(1000)과 점등회로(2200)를 구비한다.
액정화면 유닛(2100)은 공지의 것이며, 예를 들어 컬러필터기판, 액정, TFT 기판, 구동모듈 등(도시생략)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점등회로(2200)는 백라이트 유닛(1000)의 내부의 냉음극 방전램프(100)를 점등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를 실시 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냉음극 방전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는 조명분야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7)

  1. 유리벌브와, 상기 유리벌브의 양단부 안쪽에 각각 설치된 홀로 전극과, 상기 유리벌브의 양단부 바깥쪽에 설치되고, 상기 홀로 전극의 리드 선과 접속된 급전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포위하도록 설치된 도전성의 통 형상체를 가지고, 상기 통 형상체는 적어도 상기 유리벌브 내의 리드 선과 대향하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표면 전체 영역에서 대체로 비접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내면이 상기 홀로 전극과 대향하는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밀접(密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제 1 통부와 당해 제 1 통부에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리드 선 측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통부를 가지며, 당해 제 2 통부는 상기 제 1 통부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제 1 통부와 당해 제 1 통부에서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 설치된 한 쌍의 제 2 통부를 가지며, 당해 한 쌍의 제 2 통부는 각각 상기 제 1 통부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그 축 심 방향으로 슬릿부를 가지며, 단면이 대략 C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상기 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단부 가장자리의 각각의 일부에 상기 슬릿부를 걸쳐서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한 쌍의 결합부는 상기 슬릿부가 대향하는 일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오목부를, 타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볼록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적어도 그 축 심 방향의 리드 선 측과 반대 측의 단부의 내면이 절취 또는 나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 프.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 설치된 탄성 설편을 가지며, 이 복수의 탄성 설편에 의해서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협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설편의 선단부는 나팔형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가 나선형상으로 감긴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선 형상 또는 띠 형상의 탄성재료로 통 형상체의 축 심 방향으로 밀착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표면상에 땜납 또는 주성분이 동 혹은 은으로 형성된 도전 막과, 이 도전 막을 개재해서 설치된 박막의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와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표면이 비접촉인 부분은 상기 도전 막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 내면의 일부만이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는 그 내면에는 지름방향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유리벌브 내의 리드 선과 대향하는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표면 전체 영역 이외의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을 압압(押壓)하여 상기 유리벌브에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일부가 구부러지고, 그 구부러진 일부를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압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일단 측에서 타단 측으로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일단 측에서 상기 유리벌브 측으로 구부려서 형성된 복수의 띠 형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일부가 구부러지고, 그 구부러진 일부를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에 압압하는 것과, 상기 통 형상체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유리벌브의 외주 면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듀벨(dubel)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은 상기 급전단자와 접합되는 부분에 상기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는 부분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의 적어도 일부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당해 외부 리드 선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접합부에 상기 리드 선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유리벌브의 단부에서 그 밑면을 밀접하거나, 또는 그 밑면을 밀접하면서 상기 리드 선의 지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매설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3.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유리벌브의 단부 사이에 간격을 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5.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리드 선의 축 심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 형상이고, 그 최 대 지름이 상기 리드 선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도 크며, 상기 유리벌브의 최대 바깥쪽 지름보다 작은 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6.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당해 외부 리드 선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접합부에 상기 리드 선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외부 리드 선은 상기 내부 리드 선보다 열 전도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은 니켈 재료, 철 재료 또는 니켈 도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당해 외부 리드 선과는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외부 리드 선이 상기 내부 리드 선의 선보다도 선의 지름을 작게 하고, 또한 상기 외부 리드 선은 상기 내부 리드 선보다 열 전도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의 적어도 상기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는 부분의 표면 거칠기가 0.2Ra~0.8R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의 일 단부는 상기 홀로 전극과 용접에 의해서 고정되고, 그 일 단부의 표면이 0.2Ra~0.8Ra이며, 또한 절취 치수는 지름방향의 길이가 0.08㎜~0.15㎜이고, 축 방향의 길이가 0.1㎜~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통 형상체로부터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리드 선 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리드 선의 일부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단자는 상기 통 형상체가 상기 유리벌브의 단부 외주에 외부에서 삽입된 것이며, 상기 통 형상체의 통 형상체 축 심 방향의 일단에서 연장하는 띠 형상의 도출부와, 당해 도출부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 선의 일부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보다 열 전도율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접속부는 열 전도율이 75W/(m·K)~435W/(m·K)이고, 또한 도전율이 9×106S/m~65×106S/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4.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에 근접하도록 U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U자부의 부분이 코킹되어서 상기 리드 선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5.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에 대하여 근접해서 포위하도록 통 형상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 형상부의 부분이 코킹되어서 상기 리드 선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을 사이에 두도록 상기 도출부의 선단에서 구부려서 형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외주 표면을 협지하는 한 쌍의 협지편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협지편의 각각의 압압력을 상기 리드 선에 대하여 적어도 100g 이상에서 상기 리드 선을 협지하여 접속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단 면에 면 접촉하도록 상기 도출부의 연장 선단보다 앞의 부분을 굴곡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도출부의 선단보다 앞의 부분을 굴곡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0.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가 형성된 접속 면을 갖고, 상기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에 상기 리드 선이 삽입되도록 상기 도출부의 선단보다 앞의 부분을 굴곡해서 형성된 것이며, 상기 관통구멍 또는 절개부에 상기 리드 선을 삽입하고, 상기 접속면과 상기 리드 선을 연질금속을 개재하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1.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은 상기 급전단자와 접합되는 부분에 상기 유리벌브에 밀봉 부착되는 부분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그 일부를 상기 볼록부를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2.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선은 상기 급전단자가 접속되는 외부 리드 선과 상기 홀로 전극이 접합된 내부 리드 선을 접합한 것이며, 상기 접합부에 상기 내부 리드 선보다도 바깥쪽 지름이 큰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부는 그 일부를 상기 볼록부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3. 제 30 항 또는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용접 또는 연질금속에 의해서 상기 리드 선의 일부 외주 면과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벌브는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3wt%~20wt%의 범위의 유리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벌브는 산화나트륨의 함유율이 5wt%~20wt%의 범위의 유리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음극 형광램프.
  46. 광원으로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음극 형광램프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7.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청구항 46에 기재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냉음극 형광램프를 복수 개 수납하는 외위기를 가지며, 상기 외위기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7010129A 2008-01-28 2009-01-15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13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16135 2008-01-28
JPJP-P-2008-016135 2008-0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018A true KR20100113018A (ko) 2010-10-20

Family

ID=4091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0129A KR20100113018A (ko) 2008-01-28 2009-01-15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9096144A1 (ko)
KR (1) KR20100113018A (ko)
CN (1) CN101681752A (ko)
TW (1) TW200949892A (ko)
WO (1) WO200909614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6767B2 (ja) * 2006-06-27 2011-11-3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放電管用コネクタ、コネクタ付き放電管及び面光源装置
ATE538488T1 (de) * 2006-06-30 2012-01-15 Sharp Kk Elektrische entladungsröhre, ringbeschlag und beleuchtungsvorrichtung, anzeige sowie fernsehempfänger mit dieser entladungsröhre
KR100980945B1 (ko) * 2006-06-30 2010-09-0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방전관, 페룰, 조명 장치, 표시 장치 및 텔레비전 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96144A1 (ja) 2011-05-26
TW200949892A (en) 2009-12-01
WO2009096144A1 (ja) 2009-08-06
CN101681752A (zh)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00236A (ko) 박막 형상의 급전단자를 구비한 냉음극 형광램프, 그제조방법, 당해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비한 점등장치,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4249689B2 (ja) 外部電極型放電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21307B (en) Discharge lamp with external electrode
EP1298704B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with a double-tube construction
KR100940372B1 (ko) 외부 전극형 방전 램프 및 그 제조 방법,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JP4520529B2 (ja) 放電ランプ、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80055942A (ko)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20100113018A (ko)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JP2006294593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090010851A (ko) 방전 램프 및 백라이트
JP2007157565A (ja) 点灯装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テレビ
KR20100126172A (ko) 냉음극 형광램프,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JP2007226982A (ja) 冷陰極蛍光ランプ、点灯装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4150349B2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0192133A (ja) 放電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57632A (ja) 冷陰極放電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冷陰極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
JP2007157564A (ja) 点灯装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テレビ
JP2006351460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891619B2 (ja) 冷陰極蛍光管の製造方法
KR200396748Y1 (ko) 외부 전극형 형광램프용 캡
JP2008146841A (ja) 電極マウント、放電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9152103A (ja) 冷陰極放電ランプ用給電端子、冷陰極放電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90101436A (ko) 급전단자, 당해 급전단자부 냉음극 방전램프, 당해 냉음극 방전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당해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1338511A (ja) 冷陰極放電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129446A (ja) 放電ランプ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