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919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919A
KR20100112919A KR1020090031456A KR20090031456A KR20100112919A KR 20100112919 A KR20100112919 A KR 20100112919A KR 1020090031456 A KR1020090031456 A KR 1020090031456A KR 20090031456 A KR20090031456 A KR 20090031456A KR 20100112919 A KR20100112919 A KR 20100112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tank
water supply
water
door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228B1 (ko
Inventor
양재경
김양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22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생성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급수탱크가 도어에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 공간이 더욱 확장되므로,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수용 능력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급수탱크의 잔수량 확인 및 물 보충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조리기기, 스팀, 급수탱크

Description

조리기기{A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히터열,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한다.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가열원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에는, 상기 조리실을 여닫는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기 위한 도어 손잡이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조리실 공간이 넓은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물의 보충이 편리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부; 및 상기 스팀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급수탱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에 의하면, 상기 조리실의 공간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히, 급수탱크가 도어에 구비되므로, 상기 급수탱크의 부피 이상에 해당하는 공간만큼 상기 조리실이 더욱 확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 급수탱크가 인입출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더 욱 편리하게 상기 급수탱크에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의 수위확인창을 통하여, 상기 급수탱크의 물 잔류량을 간편하게 확인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급수탱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연결배관을 보인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급수탱크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기기의 본체 내부에는 캐비티(1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도어(3)가 구비된다. 상세히, 그리고, 상기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캐비티(11)는, 내부에 음식물의 수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개구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3)는 상기 조리실(12)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티(11)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도어(3)는 상기 캐비티(11)의 전면 하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도어(3)의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조리실(12)이 개방되게 된다. 다만, 상기 도어(3)가 여닫히는 방식이나, 상기 도어(3)가 결합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캐비티(11)에는 스팀 발생을 위한 스팀공급부(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팀공급부(21)는,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기 위한 가열부(211)와, 상기 증발된 물 즉, 스팀을 상기 조리실(12)로 토출하기 위한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부(211)는, 상기 캐비티(11)의 외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211) 내부에는 물이 상기 분사부를 향하여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211)에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가열부(211)와 상기 조리실(12)를 연통시키고, 상기 캐비티(11)의 내면에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211)의 일측에는, 상기 가열부(211)로 물을 안내하기 위한 연결배관(20)이 연결된다. 상기 연결배관(20)의 일단은 상기 가열부(211)와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급수탱크(3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배관(20) 상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탱크(31)의 물을 상기 가열부(211)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한 펌프(24)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연결배관(20)은, 상기 가열부(211)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배관(201)과, 상기 급수탱크(31)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배관(313)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24)는 상기 제 1 연결배관(201) 상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의 일단부는 상기 캐비티(11)의 전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은 상기 도어(3)의 배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에는,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이 상기 제 1 연결배관(201)과 분리된 상태에서 물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314)과, 상기 차단막(314)을 밀어주는 탄성부재(315)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315)는, 상기 차단막(314)이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의 내부 유로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막(314)을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이 상기 제 1 연결배관(201)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의 유로는 차단된다.
그런데,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이 상기 제 2 연결배관(313)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차단막(314)을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의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 즉, 상기 탄성부재(315)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기 위한 돌기(20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급수탱크(31)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급수탱크(31)의 상면에는 상기 급수탱크(31)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개폐부재(311)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311)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함으로써 착탈 가능한 마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급수탱크(31)는, 상기 도어(3)에 형성되는 수용홈(3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30)에는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도어(3)에 수용된 상태에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탈거방지부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3)에는, 상기 급수탱크(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급수탱크(31)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홈(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탱크(31)는, 상기 수용홈(30)에 슬라이딩하여 장착됨으로써, 상기 도어(3)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거방지부는, 상기 급수탱크(31)에 외부로 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 1 탄성부재(323)와,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수용홈(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탱크(31)가 외부로 인출되지 않도록 상기 급수탱크(31)에 걸리는 걸림부(321)와,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수용홈(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321)가 걸림부홈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탄성부재(3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부재(323)는 상기 수용홈(3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부(321)는 상기 수용홈(30)의 입구에 상기 급수탱크(31)가 인입출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걸림부(321)는, 상기 걸림부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급수탱크(31)가 인입출되는 궤적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321)는 상기 걸림부홈에 수용되고, 상기 걸림부홈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부(321)를 상기 걸림부홈의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제 2 탄성부재(32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급수탱크(31)에는 수위확인창(319)(미도시)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수위확인창(319)은, 상기 수위확인창(319)을 통하여 상기 급수탱크(31) 내부의 물 잔류량을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위확인창(319)은, 상기 급수탱크(31)에 저장된 물의 잔류량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도어(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위확인창(319)과 대응되는 상기 도어(3)의 일면(33)도 투명하게 형성된다.
상기 급수탱크(31)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이 연결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은 상기 급수탱크(31)의 일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탱크(31)의 인입출시에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이 상기 수용홈(30)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이 고정되는 상기 급수탱크(31)의 일측은 상기 급수탱크(31)의 내측으로 함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1) 내부로 스팀이 공급될 필요가 있다.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스팀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급수탱크(31)에 물이 저장되어야 한다.
상기 급수탱크(31)에 물을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일단 상기 급수탱크(31)를 상기 도어(3)로부터 분리한다. 상세히, 상기 도어(3)를 열고, 상기 걸림부(321)를 걸림부홈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제 1 탄성부재(323)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려 상기 수용홈(30)의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탱크(31)를 상기 도어(3)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도어(3)로부터 분리된 급수탱크(31)의 개폐부재(311)를 열어, 상기 급 수탱크(31)의 내부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물이 보충된 상기 급수탱크(31)는 다시 상기 수용홈(30)에 수용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걸림부(321)가 상기 수용홈(30)의 입구로 돌출된 상태이다. 그런데, 상기 걸림부(321)에는 경사면(324)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급수탱크(31)를 인입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급수탱크(31)의 일면과 상기 걸림부(321)의 경사면(324) 사이의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수용홈(30)의 입구로 인입되면, 상기 급수탱크(31)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321)는 자동적으로 상기 걸림부홈으로 인입되고, 상기 급수탱크(31)는 원활하게 상기 수용홈(30)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탱크(31)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배관(313)은, 상기 급수탱크(31)의 함몰되는 일부분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급수탱크(31)의 인입출시에 상기 수용홈(30)과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급수탱크(31)의 인입출이 원활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수용홈(3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를 닫으면, 상기 제 1 연결배관(201) 및 제 2 연결배관(313)이 서로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에 구비된 밸브에 의하여 상기 제 2 연결배관(313) 내부의 유로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도어(3)가 닫혀 상기 제 1 연결배관(201) 및 제 2 연결배관(313)이 연결되면,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의 돌기(201)가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의 차단막(314)을 상기 급수탱크(31)의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차단막(314)이 후퇴하여 상기 급수탱크(31)로부터 상기 제 1 연결배 관(201)으로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의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도어(3)가 열리게 되면, 상기 제 1 연결배관(201) 및 제 2 연결배관(313)이 분리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의 돌기(201)에 의하여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의 차단막(314)에 작용하는 압력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차단막(314)은 탄성부재(315)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진하게 되고, 상기 제 2 연결배관(313) 내부의 유로는 차단된다. 즉, 상기 도어(3)가 열리면, 자동적으로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을 통한 물의 유동이 차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3)가 닫힌 상태 즉, 상기 제 1 연결배관(201)과 제 2 연결배관(313)이 연결된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시작되면, 상기 펌프(24)가 작동함으로써 상기 급수탱크(31)의 물이 상기 스팀공급부(21)로 공급되고, 상기 조리실(12)로 스팀이 분사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급수탱크(31)의 물은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을 통하여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 1 연결배관(201)을 통과한 후에는 상기 스팀공급부(21)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스팀공급부(21)로 유동하는 물은 상기 가열부(211)에서 상기 히터의 열로 인하여 가열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이 스팀으로 상변화하게 된다. 상기 가열부(211)에서 발생되는 스팀은 상기 스팀공급부(21)의 내부 유로를 따라 상기 분사부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11)의 내부로 스팀이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물이 스팀으로 상변화하면, 부피가 더욱 팽창하게 되므로 스팀은 상기 분사부를 통하여 상기 캐비 티(11)의 내부를 향하여 고속으로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탱크(31)의 수위확인창(319)을 통하여, 상기 급수탱크(31)에 저장된 물의 잔류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도어(3)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도어(3)를 열지 않고도 상기 급수탱크(31)에 저장된 물의 잔류량을 확인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탱크(31)의 물이 완전히 소모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급수탱크(31)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도어(3)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조리실(12)이 더욱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상세히, 조리기기의 크기를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도어(3)에 설치되면, 상기 급수탱크(31)의 부피만큼 상기 조리실(12) 공간이 더욱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3)는 상기 조리기기에서 사용자에게 상대적으로 많이 노출되는 부분에 해당하므로, 상기 급수탱크(31)가 상기 도어(3)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급수탱크(31)에 물을 보충하는 작업 및 상기 급수탱크(31)에 저장된 물의 잔류량 확인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결배관(40)이 도어(5)의 개폐에 관계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급수탱크(51)와 스팀공급부(41)를 연결하는 연결배관(40)은 도어(5)의 개폐에 관계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상기 연결배관(40)은, 상기 급수탱크(51)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5)의 회동 중심에 인접하는 상기 도어(5)의 일단부에서 인출되고, 상기 도어(5)의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4)의 일면으로 인입되어, 상기 스팀공급부(41)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급수탱크(51)에 연결되는 상기 연결배관(40)은, 상기 도어(5) 내부에서 상기 도어(5)의 하단으로 배치되고, 상기 도어(5)의 하단에 형성되는 홀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외부로 인출된 상기 연결배관(40)은, 상기 도어(5)의 하단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4)의 일면에 형성되는 홀을 통하여 상기 캐비티(41) 외부 측면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41) 외부 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연결배관(40)은 상기 스팀공급부(41)에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5)와 캐비티(41)의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배관(401) 즉, 상기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연결배관(401)은 연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5)의 개폐시에도 상기 연결배관(401)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급수탱크(51)의 인입출에 따라, 상기 연결배관(40)은 상기 급수탱크(51)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51)에 별도의 연결배관(미도시)이 고정되고, 상기 급수탱크(51)의 연결배관이 상기 도어(5)에 설치되는 연결배관(40)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탱크(51)의 연결배관에는, 상기 급수탱크(51)의 연결배관 이 상기 도어(5)에 설치되는 연결배관(40)과 연결된 상태에서만 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급수탱크(51)의 연결배관 내부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배관(40)이 상기 도어(5)의 개폐에 관계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실시예에서는 제 2 연결배관(313)이 급수탱크(31)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급수탱크(31)와 함께 인입출되지만, 상기 제 2 연결배관(313)이 상기 도어(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 연결배관(201)과 선택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급수탱크(31)와는 상기 급수탱크(31)의 인입출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급수탱크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연결배관을 보인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급수탱크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측면도.

Claims (10)

  1. 조리실이 구비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부; 및
    상기 스팀공급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내부에 수용되는 급수탱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와 급수탱크를 연결하는 연결배관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스팀공급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배관과,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제 1 연결배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의 물을 상기 스팀공급부로 강제 유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배관 상의 일측에 설치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상기 스팀공급부를 향한 물의 유동을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는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임의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탈거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부는, 상기 급수탱크가 상기 수용홈으로부터 인입출되는 궤적 상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의 적어도 일부에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수위확인창이 구비되고, 상기 급수탱크가 상기 도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위확인창과 대응되는 상기 도어의 일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부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열부; 및
    상기 스팀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분사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90031456A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 KR10159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56A KR101593228B1 (ko)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456A KR101593228B1 (ko)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919A true KR20100112919A (ko) 2010-10-20
KR101593228B1 KR101593228B1 (ko) 2016-02-11

Family

ID=4313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456A KR101593228B1 (ko) 2009-04-10 2009-04-1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2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1711A1 (de) * 2013-07-01 2015-01-07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r Dampferzeugungseinrichtung
CN104720572A (zh) * 2015-04-15 2015-06-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13B1 (ko) 2018-04-12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998A (ja) * 2003-11-2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6029649A (ja) * 2004-07-14 2006-02-02 Sharp Corp 蒸気調理器
KR20060115332A (ko) * 2005-05-03 2006-11-08 월풀코포레이션 유체 공급 및 배출 용기를 갖는 스팀 오븐
KR100715610B1 (ko) * 2006-07-21 200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오븐레인지의 급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998A (ja) * 2003-11-2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2006029649A (ja) * 2004-07-14 2006-02-02 Sharp Corp 蒸気調理器
KR20060115332A (ko) * 2005-05-03 2006-11-08 월풀코포레이션 유체 공급 및 배출 용기를 갖는 스팀 오븐
KR100715610B1 (ko) * 2006-07-21 200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오븐레인지의 급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1711A1 (de) * 2013-07-01 2015-01-07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r Dampferzeugungseinrichtung
CN104720572A (zh) * 2015-04-15 2015-06-2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228B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674B1 (ko) 조리기기
KR101859320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US9706870B2 (en) Cooking appliance
KR20050060560A (ko) 가열조리기
KR20120122171A (ko) 스팀조리기기
KR20060081923A (ko) 냉장고
KR101085295B1 (ko) 냉장고
KR20100112919A (ko) 조리기기
WO2011003714A1 (en) A dishwasher with automatically opening door
KR20110103523A (ko) 냉장고
KR20090106938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82472A (ko) 증기수병 장착기능을 구비한 스팀 오븐
KR100767844B1 (ko) 냉장고
EP3527897B1 (en) Oven with an internal water tank, in particular for humidified or steam cooking
KR20130123554A (ko) 스팀오븐
KR20180091776A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EP3397903A1 (en) An oven comprising a water tank
RU2335098C2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с кофеваркой
KR20090080305A (ko) 물 저장장치 및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CN210493714U (zh) 水箱组件和家用电器
KR20120001884A (ko) 조리 기기용 조리용기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100013216A (ko) 전기오븐
KR10161537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