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529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295B1
KR101085295B1 KR1020107008786A KR20107008786A KR101085295B1 KR 101085295 B1 KR101085295 B1 KR 101085295B1 KR 1020107008786 A KR1020107008786 A KR 1020107008786A KR 20107008786 A KR20107008786 A KR 20107008786A KR 101085295 B1 KR101085295 B1 KR 101085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ice
water
water tan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119A (ko
Inventor
김성재
김일신
오승환
박상호
이남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8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81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for transmitting energy, e.g. electrical cable 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1Secondary wings, e.g. pas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 유로부를 냉동실을 회피하여 본체의 외측을 경유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급수 유로부가 어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E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냉장고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도록 제빙유닛이 배치된다. 상기 제빙유닛은 급수관에 의해 수도와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수도물로 얼음을 만들기 때문에 소비자가 요구하는 고품질의 얼음을 제조할 수 없었다. 또한, 냉장고에 제빙유닛이 설치되더라도 수질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사용자가 제빙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제빙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빙유닛은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협소하게 만드는 불필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품질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부가 어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공급 유닛에서 물탱크의 결합 및 분리시 물탱크가 완전히 결합 및 분리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냉동실에 배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냉장실에 배치되어 물이 저수되는 물공급 유닛; 및 상기 냉동실을 회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냉동실에 배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냉장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포함되는 물공급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 유닛에서 펌핑된 물을 제빙유닛에 제공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어 물이 저수되는 물공급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외측을 경유하여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고 구속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서 착탈될 때에 상기 구속부와 결합되어 착탈력의 차이가 발생되도록 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물탱크가 포함되는 물공급 유닛; 및 본체의 외측을 경유하여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고 품질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수 유로부가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의 결합 및 분리가 완전히 결합 및 분리되었다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에서 급수 유로부의 설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냉장고에서 급수 유로부의 설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냉장고에서 제빙기와 아이스 뱅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냉장고에서 제빙기와 아이스 뱅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냉장고에서 물공급 유닛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물공급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도 8의 물공급 유닛을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에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11)과 냉장실(12)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동실(11)과 냉장실(12)의 전방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도어(20,30)가 배치된다.
상기 도어(20,30)의 상측과 하측에는 힌지부(41,42)가 결합된다. 상기 힌지부(41,42)는 상기 도어(20,30)가 본체(10)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냉동실(11)에는 얼음을 제조하여 저장하는 제빙유닛(1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은 본체(10)의 내부 공간과 냉동실 도어(20)의 내측 공간에 의해 형성되므로, 상기 냉동실 도어(20)는 실질적으로 냉동실(11)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빙유닛(100)이 냉동실(11)에 배치된다는 의미는 상기 제빙유닛 (100)이 냉동실(11) 내부와 냉동실 도어(20)에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유닛(100)은 제빙기(110)와 아이스뱅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빙유닛(10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빙유닛(100)의 외측에는 냉동실(11)과 구회되도록 단열 케이스(10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별도의 유로에 의해 증발기(미도시)의 냉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냉동실(11)의 냉기가 냉동 음식물에 의해 오염된 후 얼음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위생적인 얼음이 제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20)에는 디스펜서(21)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펜서(21)와 아이스 뱅크(120)는 상기 아이스 뱅크(120)의 얼음이 디스펜서(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얼음 배출 덕트(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21)에는 가압됨에 의해 얼음이 배출될 수 있도록 조작 레버(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에는 물공급 유닛(200)이 배치된다. 상기 물공급 유닛(200)은 급수 유로부(70)에 의해 상기 제빙유닛(100)과 연결된다. 상기 물공급 유닛(200)에는 상기 물공급 유닛(200)의 물을 상기 급수 유로부(70)에 펌핑할 수 있도록 펌프(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 유닛(200)과 펌프(23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냉장고에서 급수 유로부의 설치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냉동실(11)을 회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냉동실(11)을 경유하는 경우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물이 얼게 되므로,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상기 냉동실(11)을 회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외측에 단열부재를 덮는다면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냉동실(11)을 경유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본체(10)의 외측을 경유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본체(10)의 외측을 경유하므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내부가 물에 의해 오염되었을 때에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외부에서 손쉽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위생적인 얼음을 먹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급수 유로부(70)는 상측 힌지부(41)를 경유하여 상기 제빙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힌지부(41)에는 상기 급수 유로부(70)과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 힌지부(41)가 도어(20)의 회전 중심이므로,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도어(20)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냉동실 도어(2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는 급수 유로부(7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냉동실(11)의 냉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펌프(230)와 연결된 급수 유로부(70)는 저장실의 후면(15)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10)의 후면(15)과 상면(16)을 경유하도록 배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사용 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후면(15)과 상면(16)에는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안착되도록 홈(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30)은 본체(10)의 외면 제작시에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면(15) 중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절곡된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7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관통하는 부분은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씰링된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과 매립된 부분에 커플링(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커플링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부분과 매립된 부분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교체하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냉장고에서 급수 유로부의 설치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외측에 위치되는 급수 유로부(70)는 하측 힌지부(42)를 경유하여 상기 제빙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힌지부(42)에는 상기 급수 유로부(70)과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힌지부(42)가 냉동실 도어(20)의 회전 중심이므로,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도어(20)와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냉동실 도어(2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는 급수 유로부(7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상기 냉동실(11)의 냉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펌프(230)와 연결된 급수 유로부(70)는 저장실의 후면(15)을 관통하고 상기 본체(10)의 후면(15)과 측면(17)을 경유하도록 배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측면(17)의 하측을 경유하도록 배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후면(15)과 측면(17)에는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안착되도록 홈(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면(15) 중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관통하는 부분에는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절곡된 부분을 커버하는 덮개(7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가 관통하는 부분은 냉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씰링된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과 매립된 부분에 커플링(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커플링에 의해 외부에 노출된 부분과 매립된 부분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외부에 노출된 부분을 교체하기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냉장고에서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유닛(100)의 제빙기(110)에는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실(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111)에는 얼음이 어는 공간이 구획되도록 다수의 구획 리브(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111)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 유로부(70)의 끝단이 연결되도록 급수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111)의 타측에는 구동부(114)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114)에는 이젝터(11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젝터(115)는 제빙실(11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젝터(115)에는 상기 제빙실(111)에서 제조된 얼을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젝터 핀(116)이 형성된다. 상기 이젝터 핀(116)은 구획 리브(11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111)의 일측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20)가 개폐될 때에 상기 제빙실(111)의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넘침 방지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물넘침 방지부(117)는 상기 이젝터 핀(116)에 의해 배출되는 얼음을 원활하게 배출하도록 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넘침 방지부(117)는 상기 이젝터(115)가 회전될 때에 상기 이젝터 핀(116)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젝터 핀(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넘침 방지부(117)는 제빙실(111)의 일측에 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젝터(115)는 일측으로 회전되면서 얼음을 배출하고 그 후에 역회전하여 원위치에 복귀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상기 이젝터(115)가 일측으로 계속회전되면 상기 이젝터 핀(116)이 상기 판 형태의 물넘침 방지부(117)에 걸리기 때문이다.
상기 구동부(114)에는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만빙 감지 레버(118)가 결합된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118)는 얼음이 배출되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기(110)에는 상기 제빙실(111)에서 제조된 얼음의 표면을 녹이도록 히터(119)(도 7 참조)가 배치된다. 상기 히터(119)는 제빙실(111) 아래에 배치된다.
도 6은 냉장고에서 제빙기와 아이스 뱅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110)의 하측에는 아이스 뱅크(120)가 배치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120)에는 상기 제빙기(110)에서 배출된 얼음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아이스 뱅크(120)의 내부에는 얼음을 일측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얼음 이송기(131)가 배치된다. 상기 얼음 이송기(131)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얼음 이송기(131)의 일측에는 모터(132)가 결합된다. 상기 모터(132)는 얼음 이송기(131)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얼음 이송기(131)의 타측에는 얼음 이송기(131)에 의해 이송된 얼음이 분쇄되도록 분쇄기(133)가 결합된다. 상기 얼음 분쇄기(133)에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포함된다.
상기 얼음 분쇄기(133)의 하측에는 상기 얼음 이송기(131)에서 이송된 얼음이 디스펜서(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얼음 배출구(13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얼음 배출구(135)는 디스펜서(21)와 연결되는 얼음 배출 덕트(미도시)에 연통된다. 상기 얼음 배출구(135)에는 얼음 배출구(135)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셔터(136)가 결합된다. 이러한 셔터(136)는 솔레노이드(137)에 의해 얼음 배출구(135)를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빙유닛(100)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냉장고에서 제빙기와 아이스 뱅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 유로부(70)를 통해 상기 제빙실(111)에 물이 공급된다. 상기 제빙실(111)의 물은 냉동실(11)의 냉기에 의해 얼음이 된다. 제어부( 미도시)에서 얼음이 얼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히터(119)를 가동하여 상기 얼음의 표면을 녹인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구동부(114)에 의해 이젝터(115)를 회전시켜 상기 얼음을 아이스 뱅크(120)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만빙 감지 레버(118)는 상기 이젝터(115)와 함께 하부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 뱅크(120)에 수용된 얼음의 높이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118)에 얼음이 걸리면, 상기 제어부는 아이스 뱅크(120)에 충분히 얼음이 채워졌다고 판다하고 얼음 제조를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만빙 감지 레버(118)에 얼음이 걸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급수 유로부(70)를 통해 제빙실(111)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여 계속적으로 얼음을 제조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냉장고에서 물공급 유닛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물공급 유닛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물공급 유닛(200)에는 냉장실(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탱크(220)와, 상기 물탱크(220)의 물을 상기 급수 유로부(70)에 펌핑하는 펌프(23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 유닛에는 하우징과 물탱크가 결합되는 것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결합확인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양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물탱크(220)는 하우징(2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220)는 하우징(21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하우징(2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210)과 물탱크(220)에는 상기 하우징과 물탱크의 결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결합확인수단이 배치된다. 상기 결합확인수단으로는 상기 하우징에 물탱크가 결합되었을 때에 빛을 발하거나 소등시키는 LED,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 또는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결합 여부를 알 수 있는 기구적인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LED나 음향발생부가 적용되는 경우, 센서가 결합을 감지했을 때에 LED나 음향 발생부를 제어부에서 제어하면 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결합확인수단이 기구적인 구조로 형성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물탱크(220)에는 상측이 개구된 물탱크 바디(221)와, 상기 물탱크(220)의 개구된 상측을 개폐시키는 커버(22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222)의 양측에는 상기 커버(222)가 물탱크(220)의 상측에 구속될 수 있도록 구속 레버(2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레버(225)는 하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물탱크(220)에서 커버(222)가 개방되지 않도록 록킹(locking)한다. 이러한 커버(222)는 물탱크 바디(221) 내부의 기밀성 및 결합력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커버(222)를 물탱크 바디(221)에서 분리한 후 상기 물탱크(220)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220)의 내부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222)를 물탱크 바디(221)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220)의 내부에는 물이 토출되도록 토출부(241)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부(241)의 상측은 상기 커버(222)의 상면(16)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토출 부(241)의 끝단부에는 삽입부(24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222)의 상부에는 물을 물탱크(220) 내에 급수할 수 있도록 급수홀(223)이 형성되고, 상기 급수홀(223)에는 마개(224)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마개(224)와 급수홀(223)에는 상기 상기 마개(224)에는 회전됨에 의해 상기 급수홀(223)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222)의 상부에는 걸림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50)는 캠 형태를 갖는다. 상기 걸림부(250)는 일측 캠면(251)과 타측 캠면(252)은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결합하는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일측 캠면(251)과 타측 캠면(252)은 상호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210)의 상부에는 구속부(213)가 배치된다. 상기 구속부(213)는 상기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214)와, 상기 디스크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216)가 포함된다. 상기 구속부(213)에는 디스크(214)를 원위치로 회전키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2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의 설치 구조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222)의 걸림부(250)와 상기 하우징(210)의 구속부(213)는 결합확인수단(250,213)을 구성한다. 이러한 결합확인수단(250,213)은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결합거나 분리될 때에 사용자가 촉감으로 결합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10)의 상측에는 설치홈(21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21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홈(211)에는 원호 형태의 안내홀(212)이 형성 된다.
상기 설치홈(211)에는 디스크(2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디스크(214)는 원판 형태를 갖는다. 상기 디스크(214)의 중심에는 핀(215)이 결합되어 상기 핀(215)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크(214)가 회전된다. 상기 디스크(214)에는 상기 안내홀(21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걸림돌기(2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214)에는 상기 걸림돌기(216)가 원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2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17)의 일단은 디스크(214)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217)의 타단은 상기 설치홈(2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7)로는 토션 스프링을 제시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결합될 때에 상기 걸림부(250)의 타측 캠면(252)이 상기 걸림돌기(216)를 가압하면 상기 디스크(214)가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16)가 상기 걸림부(250)의 타측 캠면(25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타측 캠면(252)을 지나면 상기 탄성부재(217)에 의해 상기 걸림부(25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관한 작용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캠 형태의 걸림부(250)가 하우징(210)의 상측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부가 물탱크(220)의 커버(222)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210)에는 펌프(2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에는 상기 펌프(2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측의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펌프(230)는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결합될 때에 상기 물탱크(220)와 연통된다. 예를 들면, 상기 펌프(230)에는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 (210)에 결합될 때에 상기 물탱크(220)의 토출부(241)와 결합되도록 결합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이때, 상기 결합부(231)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부(241)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부(242)와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공급 유닛(200)의 결합 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물공급 유닛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상면(16)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걸림돌기(216)가 안내홀(212)에서 물탱크(220)의 삽입측에 위치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소정 깊이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250)의 타측 캠면(252)이 상기 걸림돌기(216)를 가압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더욱 깊이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250)의 타측 캠면(25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걸림돌기(216)가 이동된다. 상기 걸림돌기(216)가 이동됨에 따라 디스크(214)가 핀(215)을 중심으로 회전된다(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때, 사용자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을 손으로 느끼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거의 삽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물탱크(220)가 더욱 더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기(216)는 걸림부(250)의 타측 캠면(252)과 일측 캠면(251)의 중심부인 볼록한 부분에 도달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17)는 상기 디스크(214)에 복원력을 작용하므로, 상기 디스크(214)는 상기 걸림돌기(216)가 가압될 때에 회전하던 방향과 반대(시계방향) 로 회전된다. 동시에, 사기 디스크(214)가 반대로 회전됨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216)는 걸림부(250)의 일측 캠면(25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220)가 하우징(21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걸림돌기(216)는 상기 걸림부(250)의 일측 캠면(251)을 슬라이딩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16)가 걸림부(250)의 일측 캠면(251)을 슬라이딩할 때에 상기 탄성부재(217)의 탄성력에 작용하여 상기 물탱크(220)를 밀어 넣는 힘이 덜 들게 되는 것을 사용자가 느끼므로,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220)가 완전히 삽입되었다는 것을 손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상기 물탱크(220)의 토출관의 삽입부(242)는 상기 펌프(230)의 결합부(23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220)의 내부가 상기 펌프(230)와 연통되어 상기 펌프(230)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물탱크(220)의 물이 상기 급수 유로부(70)를 통해 상기 제빙기(110)에 공급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16)는 상기 걸림부(250)의 일측 캠면(251)을 구속하므로, 상기 도어(20)가 개폐되는 충격이 상기 물탱크(220)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물탱크(220)의 토출관이 상기 펌프(230)의 결합부(23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서 빼낼 경우, 상기 걸림부(250)와 구속부(213)는 상기의 역순으로 작용하므로, 이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서 빼낼 경우 상기 물탱크(220)의 토 출관이 펌프(230)의 결합부(231)에서 빠질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실에는 물공급 유닛(200)이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 도어(20)에는 제빙유닛(100)이 배치된다. 상기 물공급 유닛(200)과 제빙유닛(100)은 급수 유로부(7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급수 유로부(70)는 본체(10)의 외측에 배선된다. 이러한 급수 유로부(70)의 설치 구조는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물공급 유닛(200)에는 하우징(210), 물탱크(220)와 펌프(2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 물탱크(220) 및 펌프(230)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빙유닛(100)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110)와, 상기 제빙기(110)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수용되는 아이스 뱅크(330)가 포함된다. 상기 제빙기(110)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이스 뱅크(330)는 도어(20)의 외측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아이스 뱅크(330)의 내부에는 얼음 이송기, 모터, 얼음 분쇄기 및 셔터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 뱅크(120)의 전방측에는 사용자가 잡고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스 뱅크(330)는 제빙기(110)에서 배출되는 얼음이 수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아이스 뱅크(330)의 전방에는 아이스 뱅크(330)의 전방이 외부에 노출 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홈바 도어(3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바 도어(340)는 하측이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홈바 도어(340)를 개방한 후 상기 아이스 뱅크(330)를 인출하여 얼음을 꺼내고, 상기 아이스 뱅크(330)를 인입시킨 후 상기 홈바 도어(340)를 닫는다.
본 발명은 원하는 품질의 얼음을 제조할 수 있고, 제빙유닛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부가 어는 것을 방지하며, 물탱크의 결합 및 분리시 물탱크가 완전히 결합 및 분리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35)

  1.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냉동실에 배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냉장실에 배치되어 물이 저수되는 물공급 유닛; 및
    상기 냉동실을 회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부는 본체의 외측을 경유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냉동실 도어에 배치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도어는 힌지부에 의해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급수 유로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힌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부는 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힌지부를 경유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부는 상기 냉동실 도어에 매립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부는 본체의 후면과 상면을 경유하는 냉장고.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부는 본체의 후면과 측면을 경유하는 냉장고.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부는 본체의 후면을 관통하는 냉장고.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급수관이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에는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 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배출된 얼음이 저장되고, 상기 도어의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스 뱅크가 포함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의 전방측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외측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홈바 도어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4. 냉동실과 냉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냉동실에 배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냉장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가 포함되는 물공급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물공급 유닛에서 펌핑된 물을 제빙유닛에 제공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물탱크 중 하나에는 배치되는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과 물탱크 중 나머지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에 상기 걸림부를 구속하는 구속부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는 상기 물탱크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에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의해 밀렸다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걸림부의 타측을 구속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에 상기 걸림부의 일측 의해 가압되었다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걸림부의 타측을 구속하는 걸림돌기가 포함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원위치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크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물탱크가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냉장고.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물탱크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에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에는 상기 물탱크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에 상기 물탱크의 토출부와 결합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냉동실 도어에 배치되는 냉장고.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도어는 힌지부에 의해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급수 유로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서 힌지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냉장고.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상기 급수관이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에는 상기 도어가 개폐될 때에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물넘침 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에는,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 및
    상기 제빙기에서 배출된 얼음이 저장되고, 상기 도어의 외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이스 뱅크가 포함되는 냉장고.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의 전방측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외측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홈바 도어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29.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어 물이 저수되는 물공급 유닛; 및
    상기 본체의 외측을 경유하여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힌지부에 의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급수 유로부는 힌지부를 경유하도록 설치되는 냉장고.
  31.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유닛;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급수를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하우징과 물탱크에 제공되고, 상기 하우 징과 물탱크의 결합여부를 확인하게 하는 결합확인수단이 포함되는 물공급 유닛; 및
    본체의 외측을 경유하여 상기 물공급 유닛과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확인수단에는:
    상기 하우징과 물탱크 중 하나에 배치되는 걸림부; 및
    상기 하우징과 물탱크 중 나머지에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가 하우징에 결합될 때에 상기 걸림부를 구속하는 구속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 유닛에는 상기 물탱크가 하우징에 장착될 때에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펌프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부는 도어의 힌지부를 경유하여 제빙유닛에 연결되는 냉장고.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급수 유로부가 수용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107008786A 2007-09-12 2007-09-12 냉장고 KR101085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4412 WO2009035172A1 (en) 2007-09-12 2007-09-12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119A KR20100087119A (ko) 2010-08-03
KR101085295B1 true KR101085295B1 (ko) 2011-11-22

Family

ID=4045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8786A KR101085295B1 (ko) 2007-09-12 2007-09-12 냉장고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53179B2 (ko)
EP (2) EP3561415B1 (ko)
KR (1) KR101085295B1 (ko)
CN (1) CN101512261B (ko)
AU (1) AU2007358438B2 (ko)
MX (1) MX2009001618A (ko)
WO (1) WO20090351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902419B1 (pt) * 2009-06-29 2021-02-02 Electrolux Do Brasil Sa refrigerador
CN101865588A (zh) * 2010-07-13 2010-10-20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20120040891A (ko) * 2010-10-20 2012-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TR201106341A1 (tr) * 2011-06-27 2013-01-21 Ar�El�K Anon�M ��Rket� Kapı üzerine yerleştirilen bir buz kabı içeren bir soğutucu.
KR101536442B1 (ko) * 2013-11-21 2015-07-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86837B1 (ko) 2013-12-06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6028100A1 (en) 2014-08-22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KR102343463B1 (ko) * 2014-08-22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009277B2 (en) 2019-05-15 2021-05-1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Refrigator applicances having a removable ice storage bin
KR20220015191A (ko) 2020-07-30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439A (en) 1976-12-10 1978-06-20 Whirlpool Corporation Movable ice receptacl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0266A (en) * 1969-06-02 1971-03-16 Gen Electric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er water reservoir
JPS5153504Y2 (ko) * 1973-03-09 1976-12-21
JPS50110868U (ko) * 1974-02-18 1975-09-10
JPS5650375Y2 (ko) * 1976-02-18 1981-11-25
US4036620A (en) * 1976-06-04 1977-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Water chilling tank for refrigerator
US5156021A (en) * 1991-08-05 1992-10-20 St Gelais Gino Refrigerator shelf-like water tank
JPH061228A (ja) * 1992-06-24 1994-01-11 Fujitsu Ten Ltd 車輪ロック防止装置
JPH0611228A (ja) * 1992-06-29 1994-01-21 Hitachi Ltd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H06249560A (ja) * 1993-02-26 1994-09-06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US5787724A (en) * 1997-06-04 1998-08-04 Maytag Corporation Dispensing assembly for top mount refrigerator
KR19990005701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자동제빙기의 급수장치
JP3602308B2 (ja) * 1997-09-12 2004-12-15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US5992908A (en) * 1997-11-19 1999-11-30 Yared; Linda Sue Single lever draw latch
JP2000346509A (ja) * 1999-06-02 2000-12-15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製氷装置
FR2835870B1 (fr) * 2002-02-14 2005-03-11 Airbus France Systeme de fermeture interpose entre deux elements
KR20050110209A (ko) *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5439A (en) 1976-12-10 1978-06-20 Whirlpool Corporation Movable ice recepta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5172A1 (en) 2009-03-19
CN101512261B (zh) 2011-04-13
EP2198220A1 (en) 2010-06-23
EP3561415B1 (en) 2022-05-25
AU2007358438B2 (en) 2011-02-17
KR20100087119A (ko) 2010-08-03
US8353179B2 (en) 2013-01-15
US20100192613A1 (en) 2010-08-05
AU2007358438A1 (en) 2009-03-19
MX2009001618A (es) 2009-05-08
EP3561415A1 (en) 2019-10-30
CN101512261A (zh) 2009-08-19
EP2198220B1 (en) 2019-07-24
EP2198220A4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295B1 (ko) 냉장고
US7628032B2 (en) Dispenser of icemaker in refrigerator
AU2013206714B2 (en) Refrigerator
KR20100113206A (ko) 냉장고
WO2008002023A1 (en) A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20100036879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1776297B1 (ko) 냉장고
US8151595B2 (en) Refrigerator with a dispenser in a home bar
KR100539562B1 (ko) 냉장실의 도어구조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130045437A (ko) 냉장고
KR100716286B1 (ko) 냉장고
KR100713293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뱅크구조
KR100565609B1 (ko) 냉장고
KR101327460B1 (ko) 냉장고
KR100969796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776295B1 (ko) 냉장고
KR20080014472A (ko) 냉장고
KR20100097933A (ko) 냉장고
KR20090001226U (ko)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