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538A -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538A
KR20100112538A KR1020100032640A KR20100032640A KR20100112538A KR 20100112538 A KR20100112538 A KR 20100112538A KR 1020100032640 A KR1020100032640 A KR 1020100032640A KR 20100032640 A KR20100032640 A KR 20100032640A KR 20100112538 A KR20100112538 A KR 2010011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oling
medium
cooling medium
cool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우케만 디터
가이어 토마스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1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4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 F01P11/18Indicating devices; Other safety devices concerning coolant pressure, coolant flow, or liquid-coolant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0Control or regulation for continuous braking making use of fluid or powdered medium, e.g. for use when descending a long slope
    • B60T10/02Control or regulation for continuous braking making use of fluid or powdered medium, e.g. for use when descending a long slope with hydrodynamic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25/00Measuring
    • F01P2025/70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50/00Applications
    • F01P2050/22Motor-c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7/00Liquid-resistance brakes; Brakes using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r fluid-like media, e.g. powders
    • F16D57/04Liquid-resistance brakes; Brakes using the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r fluid-like media, e.g. powders with blades causing a directed flow, e.g. Fötting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78Features relating to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제 분배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냉각회로 내에는 구동엔진 및/또는 다른 유닛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매체가 순환되고;
- 상기 냉각회로 내에는 유체역학식 리타더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는 구동되는 1차 블레이드휠과 2차 블레이드휠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블레이드휠 및 상기 2차 블레이드휠은 함께, 토크를 유체역학식으로 상기 1차 블레이드휠로부터 상기 2차 블레이드휠로 전달하기 위해, 작업매체로 채움 또는 비움 가능한 도넛형의 작업챔버를 형성하며;
- 상기 냉각회로의 냉각매체는 동시에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매체이고;
하기의 단계들을 갖는다:
- 차량의 정지과정의 도입 및/또는 종료 바로 전에, 그 동안에 또는 바로 후에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상기 작업챔버는 항상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작업매체로 채워진다.

Description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METHOD FOR SETTING EXACT FILLING LEVEL OF COOLING MEDIUM IN COOLING CIRCUI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특히 냉각매체 저장탱크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filling level)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냉각회로 내에는 구동엔진 및/또는 다른 유닛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매체가 순환된다. 상기 냉각회로 내에는 유체역학식 리타더(hydrodynamic retarder)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매체(working medium)는 상기 냉각회로의 냉각매체이다.
이러한 유형의 냉각회로는 선행기술에 따라 널리 공지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유체역학식 리타더를 이용해 제동을 걸기 위해서는 냉각회로 내에서 순환되는 냉각매체의 일부가 1차 블레이드휠(blade wheel, 회전자)과 2차 블레이드휠(고정자)에 의해 형성된 작업챔버(working chamber) 내로 유입된다. 작업매체로서 상기 작업챔버 내에 존재하는 냉각매체의 양(충전 레벨)에 따라, 어느 정도 토크가 유체역학식으로 1차 블레이드휠로부터 2차 블레이드휠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1차 블레이드휠 및 상기 1차 블레이드휠과 연결된 구동휠 또는 차량의 구동엔진이 제동 된다.
차량이 예컨대 주차를 위해 정지되고, 바로 그 전에 유체역학식 리타더가 가동되었으면, 차량의 정지 후 작업챔버 내에는 작업매체의 일종의 잔여량(remaining amount)이 남아 있다. 이 잔여량은 예컨대 필요한 제동토크(braking torque)에 의해 좌우될 수 있고, 그러므로 운전자에 의해 셀렉터 레버에서 설정되었던, 선택된 제동단계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이는 정지과정 후 리타더의 작업챔버 내에 남아 있는 잔여 작업매체량이 정지과정마다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유형의 불확정한, 리타더 내의 작업매체 또는 냉각매체의 잔여량은 특히, 통틀어 냉각회로 내에 또는 냉각제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냉각제량의 검출(예컨대 저장탱크 내의 냉각제 레벨을 측정함으로써)과 관련하여 단점을 가진다. 냉각매체 레벨이 매 정지과정 후 제어되면, 리타더 내에 남아 있는 잔여량 때문에 실제 냉각매체 저장물과 관련하여 신뢰성 없는 측정결과가 생긴다. 이는 다른 말로 하자면 리타더 내에 존재하는 냉각매체량 때문에 냉각매체 레벨(일반적으로 충전레벨이라고 불리운다)에서, 냉각회로/냉각제 시스템 내에 냉각매체가 없는지 또는 충분히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정확히 검출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이는 차량의 냉각회로 또는 냉각제 시스템이 과잉 충전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에 따른 상기 단점들을 피하는 것이다. 이때, 제동을 걸기 위해 유체역학식 리타더가 동원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특히 저장탱크 내의 충전레벨 또는 냉각매체 레벨을 근거로, 과잉 충전될 수 있는 위험 없이 재충전되어야 하는 냉각매체량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만 한다.
상기 목적은 독립청구항을 통해 달성된다. 종속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나타낸다.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는 구동엔진 및/또는 다른 유닛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매체가 순환되고, 이때 상기 냉각회로 내에는 유체역학식 리타더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는 구동되는 1차 블레이드휠과 2차 블레이드휠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블레이드휠 및 상기 2차 블레이드휠은 함께, 토크를 유체역학식으로 상기 1차 블레이드휠로부터 상기 2차 블레이드휠로 전달하기 위해, 작업매체로 채움 또는 비움 가능한 도넛형의 작업챔버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냉각회로의 냉각매체는 동시에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매체인,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차량의 정지과정의 도입 및/또는 종료 바로 전에, 그 동안에 또는 바로 후에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상기 작업챔버는 항상 동일한 사전 결정된(predetermined) 작업매체량으로 특히 항상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채워지거나 또는 항상 완전히 비워진다. 이때, 정지과정의 종료란 차량이 정지해 있는 시간의 끝이 아니라, 후속하여 차량을 보다 오랫동안 또는 보다 짧게 정지시키기 위한 과정의 종료를 의미한다.
이는 정지과정의 도입 또는 종료시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브레이크를 걸기 위한 소망이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했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지에 상관 없이 항상 동일한 충전레벨에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상 동일한 충전레벨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항상 동일한 작업매체량이 리타더의 작업챔버 내에서 설정되며, 리타더의 작업챔버가 항상 완전히 채워지거나 또는 리타더의 작업챔버가 항상 완전히 비워짐으로써 실현된다. 하지만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가 항상 완전히 채워지면 특히 바람직하다.
작업챔버 내에서의 소망하는 작업매체량의 설정은 차량이 정지되면, 즉 정지과정 바로 전에, 정지과정 동안에 또는 정지과정 바로 후에 자동적으로 수행되며, 이때 정지과정의 종료란 정지해 있는 시간의 끝이 아니라 정지시키는 과정의 끝을 의미한다.
정지과정의 도입은 예컨대 점화회로(점화 시스템)가 꺼지거나 또는 중단됨으로써, 록킹 장치(예컨대 핸드 브레이크)가 작동됨으로써, 차량이 자동변속기/자동화된 수동변속기를 구비한 경우 차량 변속기의 선택 단계 '주차단'을 넣음으로써, 또는 차량의 정지를 보다 오랫동안 보여주는 그 밖의 신호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정지과정은 간단히 구동기계의 작동 정지 또는 꺼짐을 통해 도입될 수도 있다.
정지과정의 도입 및/또는 종료를 정지의 바로 전에, 그 동안에, 바로 후에 보여주는 신호는, 예컨대 점화 시스템 내에서의 시동키의 현재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생길 수 있다. 시동키가 현재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되면,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시동키가 회전되기 이미 전에 또는 그 동안에 또는 시동키가 다음번 위치 또는 마지막 위치로 회전된 바로 후에(즉, 시간지연된(time-delayed)) 소망하는 항상 동일한 충전레벨을 실현하기 위해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질 수 있다.
리타더의 작업챔버가 차량의 정지시 동일한 사전 결정된 작업매체량으로 항상 완전히 채워지면, 작업챔버는 바람직하게는 차량을 새로이 켤때 완전히 또는 미리 주어진 잔여 작업매체량을 제외하고 비워진다. 그러므로, 리타더는 냉각매체를 리타더의 관점에서 볼 때 외부 냉각회로 내로 밀어넣고, 바람직하게는 냉각 시스템 내의 압력상승을 돕는다. 리타더의 작업챔버가 차량의 정지시 완전히 또는 사전 결정된 작업매체량으로 채워질 때의 그 밖의 장점은, 이른바 핫 셧다운(hot-shut-down)에 있어서, 즉 냉각되어야 하는 구성요소가 비교적 따뜻한 냉각매체를 갖는 경우에 있어서, 리타더 또는 그의 작업챔버를 가득 채움으로써 외부 냉각회로 내의 압력이 감소된다는 데에 있으며, 또한 냉각 시스템 내에 일반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과압밸브가 작동되어 분출하고, 그리고 아마도 냉각매체가 유출되는 것이 저지된다는 데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충전장치를 이용해 채워진다.
바람직하게는,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중력에 의해 압력으로서 작용하는 냉각회로 내의 작업매체/냉각매체의 과압(overpressure)을 이용해 채워진다. 이는 리타더가 측지학적으로 냉각회로의 냉각매체를 안내하는 다른 부품보다, 특히 냉각회로 내에 장착되어 있는 냉각매체 저장탱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리타더의 작업챔버 내로의 통로만 개방될 필요가 있고, 냉각매체는 중력으로 인해 리타더의 작업챔버 내로 흘러들어간다. 다른 방법으로, 특히 통로의 개방을 통해 작업챔버 내의 작업매체에 작용하는 중력을 이용해 리타더가 비워지도록, 리타더를 측지학적으로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차량 압축공기 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pneumatic) 과압을 이용해 채워진다. 즉, 작업매체를 작업챔버 내로 밀어넣기 위해, 예컨대 압축공기가 멤브레인, 또는 특히 실린더의 피스톤에 가해질 수 있다. 또한, 과압, 특히 공기 과압을 이용해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를 블로우 오프(blow off)의 의미에서 비우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압축공기 대신에 다른 매체, 예컨대 증기가 블로우 오프를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차량의 구동엔진 또는 추가적으로 제공된 엔진, 예컨대 전동기를 이용해 1차 휠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채워지며, 이때 예컨대 상기 구동엔진 또는 상기 추가적으로 제공된 엔진은 충전 후 정지된다. 이때, 1차 휠의 상응하는 설계를 통한 흡입작용이 이용된다.
하지만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리타더 또는 그의 작업챔버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비우고, 그 후 상응하여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1차 휠의 펌프작용이 이용될 수도 있다. 구동엔진이 이를 위해 동원되면, 상기 구동엔진은 상기 구동엔진의 작동 정지를 위한 신호가 존재할 때에도(예컨대 점화 시스템의 꺼짐에 의해)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가 -바라는 바와 같이-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질 때까지 상응하여 잠시 작동이 계속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냉각회로 내에 장착되어 있는 냉각매체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지고, 상기 냉각매체 펌프는 충전과정의 종료 후 비로소 정지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냉각매체 펌프가 차량의 구동엔진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그 밖의 구동기계, 예컨대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리타더의 작업챔버는 차량의 구동엔진이 이미 꺼져 있거나 작동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도 아직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차량의 정지시 수행된 리타더의 작업챔버의 충전 과정을 근거로 기술된 상기 모든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리타더의 작업챔버를 항상 차량의 정지시 완전히 또는 미리 주어진 작업매체량을 제외하고 비우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작업챔버 밖으로 작업매체를 퍼내기 위한 펌프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작업매체가 작업챔버 밖으로 유출되도록 중력이 이용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작업챔버의 공압식 비움(pneumatic emptying)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차량의 개략적인 냉각회로이다.
도 1에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냉각회로(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냉각회로(1) 내에는, 1차 블레이드휠(4)과 2차 블레이드휠(5)을 포함하는 유체역학식 리타더(3)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1차 블레이드휠과 상기 2차 블레이드휠은 도넛형의 작업챔버(6)를 형성한다. 냉각회로(1)의 냉각매체는 동시에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작업매체이다. 2차 블레이드휠(5)은 고정식(stationary)으로 설계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 리타더(3)는 역(逆)작동 리타더로서 실시될 수도 있다. 1차 블레이드휠(4)은 구동엔진(2)의 구동 샤프트와 구동 연결되어 있는 변속기(8)의 동력인출장치(power take-off, 12)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그러므로 리타더(3)는 2차 리타더로서 실시되며, 주행속도에 따라 차량에 제동을 건다. 다른 방법으로, 리타더는 물론 1차 리타더로서 실시될 수도 있으며, 엔진 회전속도에 따라 차량에 제동을 건다.
이 이외에, 냉각매체의 흐름 방향으로 볼 때,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하기의 요소들이 리타더(3) 또는 그의 작업챔버(6)에서부터 냉각회로(1) 내에 잇달아 배치되어 있다: 리타더 조절밸브(11), 열교환기(13), 냉각매체 펌프(7) 및, 리타더 흡입밸브(10). 리타더 흡입밸브(10)와 리타더 조절밸브(11)는,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작업챔버(6) 내의 충전 정도, 즉 상기 작업챔버의 채움 또는 비움을 제어 및/또는 조절하기 위해 충전 제어장치(9)를 통해 작동된다.
이 이외에, 냉각회로(1) 내에는 구동엔진(2), 서모스탯(thermostat; 14) 및, 보상탱크(15)가 배치되어 있다.
유체역학식 리타더(3)가 이제 운전자에 의해, 예컨대 셀렉터 레버 또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을 통해 활성화되면, 충전 제어장치(9)를 통해 밸브(10,11)의 개방 횡단면은 요구된 제동토크에 따라 변화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냉각매체 펌프(7)에 의해 운반된 냉각매체는 리타더 흡입밸브(10)를 통해 작업챔버(6) 내로 흘러들어간다. 이때 1차 블레이드휠(4)이 동력인출장치(12)를 통해 회전 구동되면, 토크는 유체역학식으로 1차 블레이드휠(4)로부터 고정형 2차 블레이드휠(5)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차량은 제동이 된다.
이제 차량이 멈춰지면, 즉 정지과정이 도입되면, 차량의 정지과정의 바로 전에, 그 동안에, 또는 바로 후에 유체역학식 리타더(3)는 정의된 작업매체량을 이용해 채워진다. 이는 한편으로는, 예컨대 존재하는 충전제어장치(9)를 통해, 상기 충전제어장치가 유체역학식 리타더(3)를 특히 최대 제동단계로 '스위치 온'하고, 리타더(3)의 작업챔버(6)의 충전 과정이 종료되면 비로소 구동엔진(2)의 작동이 정지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구동엔진(2)이 꺼진 후 냉각매체 펌프(7)는, 특히 충전제어장치(9)와의 협력하에 유체역학식 리타더(3)를 충전하기 위해 냉각회로(1) 내의 냉각매체에 필요한 과압(overpressure)을 보장하도록 그 밖의 구동기계(도시되어 있지 않음), 예컨대 전동기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작업챔버(6)를, 구동엔진(2)이 정지한 후 보상탱크(15) 내의 중력에 의한 압력을 이용해 채우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상탱크는 측지학적으로 유체역학식 리타더(3)보다 높게 배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냉각매체는, 예컨대 리타더 조절밸브(11) 및/또는 리타더 흡입밸브(10)를 통해 상응하는 공급라인이 제공되면 작업챔버(6) 내로 흘러들어간다. 마찬가지로, 이미 냉각회로(1) 내에 존재하는 과압을 이용해, 예컨대 냉각회로(1)의 냉각매체 내로 미리 수행된 열유입을 통해 유체역학식 리타더(3)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충전장치는 냉각회로(1) 내에 배치되고, 작업챔버(6)와 흐름이 안내되도록 연결(flow-guiding connection)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장치는 예컨대 작은 펌프일 수 있으며, 상기 펌프는 구동엔진(2)이 꺼진 후에도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충전을 위해 필요한 과압을 형성한다. 상기 작은 펌프는 예컨대 전동식으로 에너지 저장장치로부터 동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공압식으로 차량의 압축공기 시스템의 압축공기 컨테이너 내의 과압을 통해 동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장치는 피스톤-실린더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실린더 부피는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작업챔버의 부피, 또는 작업매체의 변함없는 잔여량과 일치한다.
차량이 출발하기(스타트) 바로 전에 또는 출발시 유체역학식 리타더(3)는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또는 잔여량을 제외하고 비워진다. 이때, 작업매체는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운반 작용을 통해 압력하에 냉각회로 내로 흘러들어가며, 동시에, 시동이 걸린 차량의 전체 냉각회로(1) 내의 압력상승을 돕는다.
유체역학식 리타더(3)가 주행 동안 보다 긴 시간 동안 작동되었고, 그 후 차량이 정지되면, 열유입으로 인해 냉각회로(1) 내에 존재하는 과압은 과압밸브의 작동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예컨대 냉각매체는 냉각회로(1) 밖으로, 특히 보상탱크(15) 밖으로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타더는 정지과정시, 정의된 작업매체량으로 충전되면 냉각매체 회로(1) 내의 압력이 감소하며, 따라서 냉각매체의 원치 않는 방출이 초래되지 않고, 그러므로 냉각매체 손실이 초래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유체역학식 리타더의 정의된 충전을 통해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제 분배를, 리타더가 정지과정 전에 작동되었는지의 여부에 상관 없이 항상 정의된 충전레벨이 - 리타더 내에 포함되어 있는 냉각매체량을 고려하면서 - 존재하도록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냉각매체의 손실을 곧장 인식하고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1 : 냉각회로 2 : 구동엔진
3 : 유체역학식 리타더 4 : 1차 블레이드휠
5 : 2차 블레이드휠 6 : 작업챔버
7 : 냉각매체 펌프 8 : 변속기
9 : 충전 제어장치 10 : 리타더 흡입밸브
11 : 리타더 조절밸브 12 : 동력인출장치
13 : 열교환기 14 : 서모스탯
15 : 보상탱크

Claims (8)

  1. 차량의 냉각회로(1)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냉각회로 내에는 구동엔진(2) 및/또는 다른 유닛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매체가 순환되고,
    냉각회로(1) 내에는 유체역학식 리타더(retarder; 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는 구동되는 1차 블레이드휠(4)과 2차 블레이드휠(5)을 포함하고, 상기 1차 블레이드휠 및 상기 2차 블레이드휠은 함께, 토크를 유체역학식으로 상기 1차 블레이드휠(4)로부터 상기 2차 블레이드휠(5)로 전달하기 위해, 작업매체로 채움(filling) 또는 비움(emptying) 가능한 도넛형의 작업챔버(6)를 형성하며;
    냉각회로(1)의 냉각매체는 동시에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작업매체이고;
    차량의 정지과정의 도입 및/또는 종료 바로 전에, 그 동안에 또는 바로 후에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작업챔버(6)는 항상 동일한 사전 결정된 작업매체량으로 채워지거나 또는 항상 완전히 비워지는 단계들을 갖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차량의 정지과정의 도입 및/또는 종료 바로 전에, 그 동안에, 또는 바로 후에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상기 작업챔버(6)는 항상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작업매체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상기 작업챔버(6)는 차량이 출발하기 바로 전에 완전히 또는 잔여량을 제외하고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상기 작업챔버는 충전장치를 이용해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상기 작업챔버는 중력에 의해 압력으로서 작용하는 냉각회로(1) 내의 작업매체의 과압(overpressure)을 이용해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상기 작업챔버(6)는 차량의 압축공기 시스템으로부터의 공기(pneumatic) 과압을 이용해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상기 작업챔버(6)는 구동엔진(2) 또는 상기 구동엔진(2)에 대해 추가적으로 제공된 엔진을 이용해 1차 블레이드휠(4)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지며, 이때 상기 구동엔진(2) 또는 상기 추가적인 엔진은 충전 후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역학식 리타더(3)의 상기 작업챔버(6)는 냉각회로(1) 내에 장착되어 있는 냉각매체 펌프(7)를 구동시킴으로써 채워지거나 또는 비워지며, 이때 상기 냉각매체 펌프(7)는 충전 후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00032640A 2009-04-09 2010-04-09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201001125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16817.6 2009-04-09
DE200910016817 DE102009016817B4 (de) 2009-04-09 2009-04-09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exakten Füllstandes des Kühlmediums in einem Fahrzeugkühlkreislau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538A true KR20100112538A (ko) 2010-10-19

Family

ID=42733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40A KR20100112538A (ko) 2009-04-09 2010-04-09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41426A (ko)
KR (1) KR20100112538A (ko)
CN (1) CN101858243A (ko)
DE (1) DE10200901681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4332A1 (de) * 2012-03-07 2013-09-12 Voith Patent Gmbh Hydrodynamischer Retard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Leistungsübertragung eines solchen
SE538097C2 (sv) * 2014-02-19 2016-03-01 Scania Cv Ab Hydrodynamisk retarderanordning, förfarande för dess använding jämte fordon
SE538094C2 (sv) * 2014-02-19 2016-03-01 Scania Cv Ab Hydrodynamisk retarderanordning, förfarande för dess använding jämte fordon
CN104088693B (zh) * 2014-06-10 2016-08-10 吉林大学 发动机组件
CN105221617B (zh) * 2015-10-27 2018-06-19 陈杰 液涡流车用缓速器
DE102017116600A1 (de) * 2017-07-24 2019-0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ühlsystem und Kraftfahrzeug
CN107781330B (zh) * 2017-11-17 2024-02-20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整车匹配液力缓速器的散热系统及汽车
DE102020205913A1 (de) * 2019-08-23 2021-02-25 Zf Friedrichshafen Ag Betreiben einer Trennkupplung zum An- und Abkoppeln eines Retarders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316A (en) * 1987-04-15 1989-07-11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Hydraulic retarder attached with parking brake
ITMI20040128A1 (it) * 2004-01-29 2004-04-29 Astra Veicoli Ind S P A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la gestione della fase di riscaldamento a freddo di un veicolo mediante pilotaggio di un tallentatore idraulico
DE102004037732A1 (de) * 2004-08-04 2006-03-16 Man Nutzfahrzeuge Ag Ein für Nutzfahrzeuge geregelter Systemdruck in einem Kühlkreislauf, in welchem ein Retarder angeordnet ist
DE102005013075A1 (de) * 2005-03-18 2006-09-21 Voith Turbo Gmbh & Co. Kg Kühlkreislauf mit einer hydrodynamischen Bremse
DE102006012847A1 (de) * 2006-03-21 2007-09-27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wärmung eines Kühlkreislaufs mit einem Reta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41426A (ja) 2010-10-28
DE102009016817B4 (de) 2010-11-25
CN101858243A (zh) 2010-10-13
DE102009016817A1 (de)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2538A (ko) 차량의 냉각회로 내에서의 냉각매체의 정확한 충전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1765445B1 (ko) 모터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작동 방법 및 브레이크 시스템
US57947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driving energy to vehicle subassemblies
CN103619679B (zh) 用于液压支持车辆的电动驻车制动器的方法
CN106004840A (zh) 车辆的停车制动控制系统
CN104943673A (zh) 电动制动装置
US20090127011A1 (en) Control method for optimizing the operation of a hybrid drive system
US9291220B2 (en) Motor vehicle drive train comprising a hydrodynamic retarder that can be disengage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2574508B (zh) 制动设备和调节这种制动设备的制动力矩的方法
US994428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ydrodynamic retarded that can be disengaged by a disconnect clutch
KR101402495B1 (ko) 압력 한계에 대한 중립 드리프트 보상 및 온도 보상을 가진 유압 구동 시스템
CN104417517A (zh) 制动控制装置
US8387731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bined hybrid drive and brake system
JP2883211B2 (ja) 流体力学式リターダ
JP2009519412A (ja) 自動車の油圧システム
JP2017518213A (ja) 油圧ハイブリッド・ドライブトレーンを用いてエンジンを起動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07709723A (zh) 液力缓速器装置
CN114585825A (zh) 用于控制液压单元、特别是控制用于机动车辆的传动系的液压单元的方法、液压单元以及具有液压单元的传动系
CN102387948A (zh) 用于防止在具有液力机的工作介质回路中的压力峰值的方法
JP2013518759A (ja) ハイドロダイナミック機械用の充填制御装置
US901645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ydrodynamic retarder which can be disengaged mechanically via a separating clutch
CN107709722A (zh) 液力缓速器装置
CN105263771B (zh) 用于控制能经由分离离合器机械脱离的液力减速器的方法
JP2007223381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車用のブレーキ装置
US1159094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ydrodynamic machine and hydrodynamic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