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2469A -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2469A
KR20100112469A KR1020090030995A KR20090030995A KR20100112469A KR 20100112469 A KR20100112469 A KR 20100112469A KR 1020090030995 A KR1020090030995 A KR 1020090030995A KR 20090030995 A KR20090030995 A KR 20090030995A KR 20100112469 A KR20100112469 A KR 20100112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loid
present
composition
neunac
g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051B1 (ko
Inventor
강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네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네비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네비오
Priority to KR1020090030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051B1/ko
Priority to PCT/KR2010/002210 priority patent/WO2010117241A2/ko
Priority to US13/376,463 priority patent/US8877736B2/en
Publication of KR20100112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6Disaccharides, e.g. lactose, lact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다음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keloid)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식 I
S-(MS)p-(MS)q
상기 일반식에서, S는 시알산, (MS)p 및 (MS)q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당류 잔기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아폽토시스를 유도하여 켈로이드를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천연 유래 물질 또는 그의 이성질체로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매우 적다.
시알릴락토오스, 상처, 켈로이드, 섬유아세포, 증식, 아폽토시스

Description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of Prevention or Treatment of Hypertrophic scar and Keloid}
본 발명은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켈로이드는 비후성 만흔의 일종으로, 화상, 수술 상처 및 피어싱(Piercing), 문신과 같은 인위적 손상 후 피부 결합에 의해 초래되는 상처 조직 내에 형성되는 조직의 비정상적 증식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우연히 발생하기도 한다. 켈로이드가 감염되면 궤양을 일으키기도 한다. 현재까지 유일한 치료법은 상처를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뿐이다. 일반적으로 수술에 의한 상처가 켈로이드가 될 확률은 50% 이상으로 매우 높다.
켈로이드는 상처조직 안에서 형성되며, 생물학적으로는 섬유아종의 양성 종양의 성격을 지녀, 상처의 크기보다 더욱 크게 증식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
현재 100% 효과적인 치료 방법은 없으며, 몇몇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모든 외과적 수술방법에 의한 제거는 켈로이드의 재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오히려 처음의 켈로이드 조직보다 훨씬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 외의 켈로이드 치료를 위한 다음과 같은 많은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다:
켈로이드 치료를 위하여 Contractubex 젤/Hexilak 젤이 사용되고 있다. 이 젤들은 양파 추출물, 헤파린 및 알란토인을 포함한다. 갑상선 절체후 상처의 치료를 위하여 개발된 이 젤은 현재 모든 외상(화상, 여드름 및 피어싱) 또는 수술 후 상처 및 켈로이드의 치료를 위해 처방되고 있다. 치료 방식은 간단하지만 인내가 요구된다.
헬릭스 애스퍼사 뮬러 달팽이의 점액을 이용하는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다. 켈로이드에 상기 점액을 국소적으로 적용하면 진피의 섬유아세포 증식을 감소시키고 과도한 콜라겐 생성을 억제하여 켈로이드 및 비후성 만흔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킨다.
실리콘 젤로 이루어진 습윤 드레싱을 이용하여 켈로이드를 억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안전하고 고통이 수반되지 않지만, 장시간 동안 드레싱을 적용하게 되면 가려움증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켈로이드의 치료 방법으로서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또는 다른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 경우 켈로이드 크기 및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테로이드 주사방법은 켈로이드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마취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압착밴드, 냉동외과수술법, 방사선요법 및 레이저 치료법 등이 켈로이드의 치료를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에탄올아민(미국 특허 제5128375호) 및 CM101/GBS 독소(미국 특허 제6569838호) 등이 켈로이드 치료에 유효하다고 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비후성 만흔 및 켈로이드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많은 포유동물에서 발견되는 시알릴올리고당이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더욱이 섬유아세포의 아폽토시스(apoptosis)를 유발하여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keloid)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다음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keloid)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식 I
S-(MS)p-(MS)q
상기 일반식에서, S는 시알산, (MS)p 및 (MS)q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당류 잔기이다.
본 발명자들은 비후성 만흔 및 켈로이드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적은 물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많은 포유동물에서 발견되는 시알릴올리고당이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더욱이 섬유아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발하여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를 치료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은 일반식 I의 화합물이다. 일반식 I에서, S는 시알산을 나타낸다. 시알산은 다양한 방식으로, MSp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나, α2,3 결합 또는 α2,6 결합으로 단당류 화합물 (MS)p에 결합된다. S에는 시알산 이외에, 변형된(modified) 시알산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알산의 4번 탄소에 있는 -OH 기가 변형(예컨대, C1-C4 알킬기에 의해 변형)된 것이 S에 위치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변형되지 않는 시알산이 S에 위치한다.
(MS)p 및 (MS)q에 위치하는 단당류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단당류 화합물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탄당(예컨대, 에리트로스 및 트레오오스), 5탄당(예컨대, 리보오스, 아라비노스, 자일로스 및 라이소오스) 및 6탄당(알로 오스, 알트로오스,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굴로오스, 이도오스, 갈락토오스 및 탈로오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MS)p 및 (MS)q에 위치하는 단당류 화합물은 5탄당 또는 6탄당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탄당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만노오스 또는 갈락토오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또는 갈락토오스이다. (MS)p 및 (MS)q에 위치하는 단당류 화합물은 D- 또는 L-형태의 입체이성질체를 가질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D-형태의 입체이성질체이다.
(MS)p 및 (MS)q에는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단당류 화합물이 결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단당류 화합물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MS)p에는 갈락토오스 또는 글루코오스, (MS)q에는 글루코오스 또는 갈락토오스가 결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MS)p에는 갈락토오스, (MS)q에는 글루코오스가 결합된다. (MS)p에 갈락토오스, (MS)q에 글루코오스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당류 화합물, 락토오스가 형성된다.
(MS)p 및 (MS)q에 위치하는 단당류 화합물은 변형되거나 또는 변형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변형된 단당류 화합물의 경우, -OH 그룹에 아세틸기 또는 N-아세틸기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MS)p 및 (MS)q에 위치하는 단당류 화합물은 변형되지 않는 단당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시알릴락토오스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시알릴락토오스 는 시알산에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시알산은 다양한 방식으로, 갈락토오스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α2,3 또는 α2,6 결합으로 결합된다. 시알산은 변형될 수 있으며, 예컨대 시알산의 4번 탄소에 있는 -OH 기가 변형(예컨대, C1-C4 알킬기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시알릴락토오스에 있는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는 D- 또는 L-형태의 입체이성질체를 가질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D-형태의 입체이성질체이다. 시알릴락토오스에 있는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는 변형되거나 또는 변형되지 않은 것이다. 예를 들어, 변형된 단당류 화합물의 경우, -OH 그룹에 아세틸기 또는 N-아세틸기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알릴락토오스에 있는 갈락토오스와 글루코오스는 변형되지 않는 단당류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시알릴락토오스는 α-NeuNAc-(2→3)-β-D-Gal-(1→4)-D-Glc 또는 α-NeuNAc-(2→6)-β-D-Gal-(1→4)-D-Glc이다[NeuNAc: N-Acetylneuraminyl, Gal: Galactose, Glc: Glucose]. α-NeuNAc-(2→3)-β-D-Gal-(1→4)-D-Glc는 GM3 강글리오시드에서 발견되는 물질이며, α-NeuNAc-(2→6)-β-D-Gal-(1→4)-D-Glc는 상기 물질의 이성질체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시알릴락토오스는 α-NeuNAc-(2→6)-β-D-Gal-(1→4)-D-Glc이다. 하기의 실시예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α-NeuNAc-(2→6)-β-D-Gal-(1→4)-D-Glc는 α-NeuNAc-(2→3)-β-D-Gal-(1→4)-D-Glc보다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 억제능 및 아폽토시스 유도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 성분으로 이용되는 것은 상기 화합물 자체뿐만 아니라,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 즉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활성을 갖는 상기 화합물의 염을 나타낸다. 이러한 염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및 하이드로요오다이드와 같은 무기산, 아세테이트,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벤젠술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비설페이트, 설파메이트, 설페이트, 나프틸레이트, 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설포네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타노에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2-히드록시에탄설페이트, 락테이트, 말리에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옥살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운데카노에이트와 같은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화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상기 화합물의 수화물을 나타낸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화물”은 소망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갖는 상기 화합물의 용매화물을 나타낸다. 상 기 수화물 및 용매화물도 상기한 산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일반식 I의 화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피부 국소투여,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및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1일 당 0.001-100 mg/kg(체중)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일반식 I의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의 비후성 만흔 및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시알릴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아폽토시스를 유도하여 켈로이드를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증식억제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
(c)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천연 유래 물질, 그의 유도체 또는 이성질체로서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매우 적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 재료 및 실험 방법
켈로이드 섬유아세포 배양
인간 켈로이드 섬유아세포(CRL 1762)를 ATCC로부터 구입하였다. 배지는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다: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4 mM L-글루타민, 100 ㎍/ml 스트렙토마이신, 100 U/ml 페니실린 및 10% 우태아혈청. 섬유아세포를 CO2 인큐베이터의 습윤 대기(5% CO2, 95% 공기)에서 37℃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는 3-4일마다 한 번씩 교체하였다.
세포증식 분석
1. 세포 계수
켈로이드 섬유아세포(KF)를 웰 당 5 x 104 세포의 밀도로 6-웰 멀티플레이트에 씨딩하였다. 24 시간 뒤, KF는 각각 3'-시알릴락토오스(3'-SL), 6'-시알릴락토오스(6'-SL) 또는 부형제(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를 이용하여 각각 1 mM의 농도로 처리되었다. 3’-시알릴락토오스(3′-N-Acetylneuraminyl-D-lactose, 3′-Sialyl-D-lactose 또는 α-NeuNAc-(2→3)-β-D-Gal-(1→4)-D-Glc) 또 는 6’-시알릴락토오스(6′-N-Acetylneuraminyl-lactose, 6′-Sialyl-D-lactose 또는 α-NeuNAc-(2→6)-β-D-Gal-(1→4)-D-Glc)는 Sigma-Aldrich로부터 구입하였다. 0, 1, 5, 7, 9, 및 12일 후 KF를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수집한 다음 트리판블루로 염색한 뒤 혈구계수기(C-Chip DHC N15, Incyto)를 이용하여 계수 하였다.
2. XTT 분석
Roche 사의 Cell Proliferation Kit II (XTT)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율을 측정하였다. 켈로이드 섬유아세포(KF)를 웰 당 2.0 x 103 세포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씨딩한 다음 3'-SL, 6'-SL 또는 PBS를 각각 1 m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0, 1, 3 및 5일 후, XTT(sodium 3´-[1-(phenylaminocarbonyl)- 3,4-tetrazolium]-bis (4-methoxy-6-nitro) benzene sulfonic acid hydrate) 시약을 웰 당 50 ㎕씩 첨가하고 37 ℃에서 4 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알릴락토오스를 처리하지 않은 군 (부형제 처리군)을 100 %로 하여 시알릴락토오스 처리한 군의 생존율을 환산하였다.
아폽토시스 분석(TUNEL 분석)
인 시투 세포 사멸 검출 키트(TUNEL, Roche Diagnostics)를 이용하여 아폽토 시스를 분석하고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에서 DNA 사슬 절단을 정량화 하였다. 켈로이드 섬유아세포 단일층을 조직 배양 플라스크에서 직접적으로 성장시킨 뒤, 3'-SL, 6'-SL 또는 PBS를 각각 1 m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0, 1, 3 및 5일 후, 제조사의 메뉴얼을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통계 분석
XTT 및 TUNEL 실험 결과는 평균값± 표준오차로 나타내었고 평균값은 세 번 이상의 독립된 실험을 통하여 구하였다. 그룹간의 평균값 비교를 위해서 Student's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을 위한 유의수준은 p < 0.01로 판정하였다.
실험 결과
SL(sialyllactose)는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
SL이 켈로이드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기 위하여,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에 SL을 처리하고 일정기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계수 하였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시알릴락토오스(3’-SL) 및 6’시알릴락토오스(6’-SL)을 처리한 경우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성장이 음성대조군(CTL)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흥미롭게도,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성장의 억제는 3’ SL보다는 6’-SL가 강하게 억제하였다.
MTT 분석 결과(도 2)에서도, 3’ SL 및 6’ SL을 처리한 경우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음성대조군(CTL)과 비교하여 크게 감소하였고, 켈로이드 섬유아세 포의 증식은 3’ SL보다는 6’ SL가 강하게 억제하였다.
SL은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한다
SL이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지 여부를 TUNEL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아폽토시스는 3’ SL및 6’ SL에 의해 유도되었고,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아폽토시스는 3’ SL보다는 6’ SL이 강하게 유도하였다.
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SL은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데 유효하고, 특히 6’-SL의 효과가 3’-SL보다 더 우수하며, 결국 SL로 켈로이드를 억제 또는 치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3’시알릴락토오스(3‘-SL), 6’시알릴락토오스(6'-SL) 및 부형제(CTL: 음성대조군)를 처리한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성장을 비교한 실험 결과이다. y-축은 세포 수를 나타내며 단위는 1 x 104이다.
도 2는 시알릴락토오스에 의한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3'SL 및 6'SL은 각각 3’시알릴락토오스 및 6’시알릴락토오스를 나타낸다. CTL은 음성대조군이다.
도 3은 시알릴락토오스에 의한 켈로이드 섬유아세포의 아폽토시스 유도를 분석한 TUNEL 실험 결과이다. 3’SL 및 6’SL은 각각 3’시알릴락토오스 및 6’시알릴락토오스를 나타낸다. CTL은 음성대조군이다.

Claims (6)

  1. 유효성분으로서 다음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후성 만흔 또는 켈로이드(keloid)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일반식 I
    S-(MS)p-(MS)q
    상기 일반식에서, S는 시알산, (MS)p 및 (MS)q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당류 잔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에서, (MS)p는 갈락토오스이고, (MS)q는 글루코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I의 화합물은 시알릴락토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알릴락토오스는 α-NeuNAc-(2→3)-β-D-Gal-(1→ 4)-D-Glc 또는 α-NeuNAc-(2→6)-β-D-Gal-(1→4)-D-Gl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알릴락토오스는 α-NeuNAc-(2→6)-β-D-Gal-(1→4)-D-Gl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알릴락토오스는 켈로이드의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90030995A 2009-04-09 2009-04-09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1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95A KR101112051B1 (ko) 2009-04-09 2009-04-09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0/002210 WO2010117241A2 (ko) 2009-04-09 2010-04-09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3/376,463 US8877736B2 (en) 2009-04-09 2010-04-09 Method for treating keloid by administering 3′sialyllactose or 6′sialyllactose as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95A KR101112051B1 (ko) 2009-04-09 2009-04-09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469A true KR20100112469A (ko) 2010-10-19
KR101112051B1 KR101112051B1 (ko) 2012-02-14

Family

ID=4293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95A KR101112051B1 (ko) 2009-04-09 2009-04-09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77736B2 (ko)
KR (1) KR101112051B1 (ko)
WO (1) WO201011724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32A1 (ko) * 2017-03-31 2018-10-04 박영오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03655B1 (en) * 2016-01-13 2023-06-07 Benebiosis Co., Ltd. Composition for increasing expression of pgc-1 alpha
KR102577970B1 (ko) 2021-08-10 2023-09-12 충남대학교병원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10795A (ja) * 1995-07-14 1999-09-21 グリコテ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Egfレセプターに関連する癌の処置のための化合物および方法、ならびにegfレセプターの精製
DE19701382A1 (de) * 1997-01-16 1998-07-23 Nutricia Nv Kohlenhydratmischung
AU7277798A (en) * 1997-05-01 1998-11-24 Cytel Corporation Use of sialyl galactosides and related compounds as anti-angiogenic ag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232A1 (ko) * 2017-03-31 2018-10-04 박영오 켈로이드 흉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7241A3 (ko) 2011-03-31
WO2010117241A2 (ko) 2010-10-14
US20120122814A1 (en) 2012-05-17
US8877736B2 (en) 2014-11-04
KR101112051B1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3911A (en) Hyaluronidase inhibitor containing god-type ellagitannin as active ingredient
RU2252772C2 (ru)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и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натуральных растительных масел
KR101330889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WO2014005080A1 (en) Oxabicycloheptanes and oxabicycloheptenes for the treatment of reperfusion injury
CN110709075A (zh) 用于预防或治疗瘙痒的组合物
KR101112051B1 (ko) 비후성 반흔 또는 켈로이드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1521891A (ja) 腫瘍および黄斑変性症治療用のマクロライドの使用方法
KR101226089B1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40155321A1 (en) Polypeptides and Their Use
KR2011001759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AU2016346728B2 (en) Soyasaponin-containin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KR20160065035A (ko) 제니스테인 또는 에피갈로카테친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세포 회춘 촉진 유도용 조성물
KR20200064309A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KR101386979B1 (ko) 제모용 조성물
KR20160069737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Sirt-1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KR2016005873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2061716B1 (ko) 21-o-안젤로일티아사포제놀 e3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06896B1 (ko) 티몰 및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020039600A1 (en) Persicae flos extract-containing composition for skin protection against UV
KR101602468B1 (ko) 하이드록시 데카노익애씨드를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10116370A (ko) 블루메아 발사미페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용 조성물
JP5903241B2 (ja) 毛成長抑制剤
JP2019509333A (ja) デオキシコール酸を有効成分に含む脱毛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JP2015518877A (ja) メラニン生合成を阻害するための混合物
KR20160069739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