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739A -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739A
KR20160069739A KR1020140175702A KR20140175702A KR20160069739A KR 20160069739 A KR20160069739 A KR 20160069739A KR 1020140175702 A KR1020140175702 A KR 1020140175702A KR 20140175702 A KR20140175702 A KR 20140175702A KR 20160069739 A KR20160069739 A KR 2016006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foxo3
activating
catec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서
김형준
유세진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7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739A/ko
Priority to PCT/KR2015/012773 priority patent/WO2016093515A1/ko
Priority to AU2015362283A priority patent/AU2015362283B2/en
Priority to US15/534,625 priority patent/US20170326100A1/en
Priority to CN201580075643.5A priority patent/CN107438423A/zh
Priority to TW104139964A priority patent/TWI747811B/zh
Publication of KR2016006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함으로써 FoxO3 유전자와 관련된 염증성 질환, 암, 항노화, 피부 개선에 유용한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ETHYLATED CATECHIN FOR ACTIVATING FoxO3 GENE}
본 명세서에는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피부의 노화는 인간이 겪어야 하는 필연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피부의 노화가 일어나는 과정은 아직도 알려지지 않은 바가 많이 있다. 특히 개체 수준의 노화 연구는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연구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피부의 노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광노화와 내인성 노화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광노화의 경우 주 원인인 자외선을 차단하고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변화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이 활발이 연구되어 왔으며, 나이가 들어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를 완화하기 위한 방법들도 연구되어 왔다. 최근에는 이런 노화 현상을 총괄하여 조절하는 방법을 찾는 것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특히 개체의 노화 및 수명을 조절하는 유전자 연구를 바탕으로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방법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31947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메틸화된 카테킨을 이용하여 노화와 관련된 장수유전자인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유전자와 관련된 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항노화,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녹차 잎에서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OCH3 또는 OH이되, R1, R2, R3, R4 모두 OH인 경우는 제외하며, 상기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OH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EGCG3''Me(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EGCG4''Me(에피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ECG3''Me(에피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ECG4''Me(에피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GCG3''Me(갈로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GCG4''Me(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CG3''Me(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및 CG4''Me(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FoxO3 단백질 발현 증진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수명 연장용, 생체 또는 피부 노화 지연용, 또는 생체 또는 피부 노화 증상 개선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ERCC8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ERCC8 관련 질환은 암 또는 염증성 질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메틸화된 카테킨을 이용하여 노화와 관련된 장수유전자인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유전자와 관련된 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항노화,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시험예에서 EGCG와 EGCG''3Me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시험예에서 EGCG와 EGCG3''Me의 농도에 따른 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생존율(cell survival ratio)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모 화합물(parent compound)의 바람직한 약리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염을 의미한다. 무기산 또는 유기산 또는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로 형성된 통상적인 염 및 4급 암모늄의 산부가염을 포함한다. 상기 염은 (1)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아세트산, 프로파이온산, 헥사노산, 시클로펜테인프로피온산, 글라이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테인설폰산, 에테인설폰산, 1,2-에테인-디설폰산, 2-히드록시에테인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퍼설폰산, 4-메틸바이시클로 [2,2,2]-oct-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파이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tert-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되는 산 부가염(acid addition salt);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프로톤이 치환될 때 형성되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염기 염의 더욱 특정한 예는 나트륨, 리튬, 칼륨, 마그네슘, 알루미늄, 칼슘, 아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N-메틸글루코사민 및 프로카인의 염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이란 통상의 의약적 복용량(medicinal dosage)으로 이용할 때 상당한 독성 효과를 피함으로써, 동물, 더 구체적으로는 인간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정부 또는 이에 준하는 규제 기구의 승인을 받을 수 있거나 승인 받거나, 또는 약전에 열거되거나 기타 일반적인 약전으로 인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프로드럭(prodrug)"은 어떤 약물을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조절한 약물을 의미하며, 그 자체는 생리 활성을 나타내지 않지만 투여 후 체내에서 화학적 혹은 효소의 작용에 의해 원래의 약물로 바뀌어 약효를 발휘할 수 있다. 프로드럭은 투여되면, 대사 과정을 통하여 화학 변환을 통해 활성 약물로 변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드럭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기능적 유도체이고, 생체내에서 원하는 화합물로 쉽게 변환된다. 예를 들어, 적절한 프로드럭 유도체를 선별하고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은 문헌["Design Of Prodrugs", H Bund Saard, Elsevier, 1985]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원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수화물(hydrate)"은 물이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물과 화합물 사이에 화학적인 결합력이 없는 내포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매화물"은 용질의 분자나 이온과 용매의 분자나 이온 사이에 생긴 고차의 화합물을 의미한다.
"이성질체"란 화학식은 같으나 동일하지는 않은 화합물의 관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이성질체의 종류에는 구조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및 입체 이성질체가 있다. 구조 이성질체란, 분자식은 같지만 구조가 달라 다른 성질을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기하 이성질체란, 이중결합으로 연결된 두 원자에 결합된 원자 또는 원자단의 공간적 배치가 다른 이성질체를 의미하고, 입체 이성질체란, 동일한 화학적 구성을 갖지만 공간 중에서 원자 또는 기의 배열의 측면에서 상이한 화합물 의미하고, 광학 이성질체(거울상 이성질체)란, 서로 겹치지 않는 거울상을 갖는 한 화합물의 두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하며, 부분입체 이성질체란, 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가지고 그것의 분자들이 서로 거울상이 아닌 입체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성질체"는 특히 광학 이성질체(optical isomers)(예를 들면, 본래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enantiomers), 본래 순수한 부분 입체 이성질체(essentially pure diastereomers) 또는 이들의 혼합물)뿐만 아니라, 형태 이성질체(conformation isomers)(즉, 하나 이상의 화학 결합의 그 각도만 다른 이성질체), 위치 이성질체(position isomers)(특히, 호변이성체(tautomers)) 또는 기하 이성질체(geometric isomers)(예컨대, 시스-트랜스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래 순수(essentially pure)"란, 예컨대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와 관련하여 사용한 경우,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 이성질체를 예로 들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이 약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상 또는 약 98%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99% 이상,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99.5% 이상(w/w)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전자 활성화"란 염색체의 DNA 상에 있는 특정 유전자가 전사되고 단백질로 번역되어 그 기능이 나타나게 되는 과정을 촉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mRNA로의 전사 및 단백질로의 번역 과정이 활발히 일어나 상기 유전자의 기능이 잘 발현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FoxO3a는 장수유전자로 알려진 FoxO3(Forhead box O3)에 의해 인코딩되는 단백질이며, 인슐린 신호전달경로에 위치하는 전사인자로서 Mn-SOD, Catalase와 같은 효소의 발현에 작용하는 단백질이다. 사람의 FoxO3 유전자는 6번 염색체의 108.88-109.01 Mb에 위치하고, 예컨대, NM_001455의 mRNA 서열을 갖는 것이다. 또한, NP_001446의 단백질 서열을 갖는 것이다. FoxO3a가 활성화되면 생체 내 방어기작의 활성화 등을 통해 항노화 효능을 구현한다.
FoxO3 단백질은 암 억제제로 알려져 있다(Myatt SS, Lam EW (November 2007). "The emerging roles of forkhead box (Fox) proteins in cancer". Nat. Rev. Cancer 7 (11): 847-59.). FoxO3 유전자 활성은 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이의 활성 저하가 암에서 종종 나타나며, FoxO3 유전자는 림프구 증식에 따른 염증성 질환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mmunity 2004. 21:203-213., Proc. Natl. Acad. Sci. 2004. 101: 2975-2980., Cell 1999. 96: 857-868).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녹차 잎에서 추출할 수 있다. 녹차 잎을 세척한 후 냉수 또는 온수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온수로 추출하여 고형화시킨 파우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메틸기를 포함하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메틸기를 포함하는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CG, gallocatechin gallate), 메틸기를 포함하는 에피갈로카테킨(EGC, epigallocatechin), 메틸기를 포함하는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epicathechin gallate), 메틸기를 포함하는 갈로카테킨(GC, gallocatechin),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갈레이트(CG, cathechin gallate), 메틸기를 포함하는 에피카테킨(EC, epicatechin) 및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C, catech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OCH3 또는 OH이되, R1, R2, R3, R4 모두 OH인 경우는 제외하며, 상기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OH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EGCG3''Me(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EGCG4''Me(에피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ECG3''Me(에피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ECG4''Me(에피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GCG3''Me(갈로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GCG4''Me(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CG3''Me(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및 CG4''Me(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 또는 0.001 내지 1 중량% 함유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FoxO3 단백질 발현 증진용일 수 있다.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을 피부 세포에 처리할 경우 FoxO3 유전자 발현이 증진되어 우수한 항노화,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수명 연장용, 생체 또는 피부 노화 지연용, 또는 생체 또는 피부 노화 증상 개선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FoxO3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FoxO3 관련 질환이란 FoxO3 유전자 활성 또는 억제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으로서, 암, 노화 관련 질환, 염증성 질환 등이 있다. 염증성 질환의 예로는 피부염, 알레르기,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간염, 식도염, 위염, 장염, 췌장염, 대장염, 신장염, 관절염, 전신부종, 국소부종 등을 들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노화용, 피부 개선용 또는 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을 통상 사용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고형 제제에는 상기 유효성분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포함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상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라우린지, 카카오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측면에서 유효성분의 1일 투여량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01~1000g/kg일 수 있고, 일측면에서는 0.001~100g/kg, 다른 일측면에서는 0.001~10g/kg, 또 다른 일측면에서는 0.001~1g/kg 투여될 수 있다. 일측면에서 1일 투여량은 0.0001g/kg 이상, 0.001g/kg 이상, 0.05 g/kg 이상, 0.01g/kg 이상, 또는 0.05g/kg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1일 투여량은 500g/kg 이하, 100g/kg 이하, 50g/kg 이하, 10g/kg 이하, 1g/kg 이하, 또는 0.5g/kg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성분은 1일에 약 0.086g/kg 투여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1일에 약 0.143g/kg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 내지 5일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하루에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일 측면에서는 하루에 3번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은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또는 이의 이성질체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색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젤, 패치, 스프레이, 파우더,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글리세롤,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세스퀴오레이드, 파라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폴리머, 시토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스테아레스-4, 디세틸포스페이트, 마카다미아 오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항노화용, 피부 개선용 또는 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완화용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조성물인 경우에는 전체 식품의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일측면에서는 0.3 내지 1g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음료 조성물인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외에 함유할 수 있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일측면에서 약 5 내지 12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 염, 알긴산 및 그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건강 식품
녹차 EGCG3''Me...................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2] 건강 음료
녹차 EGCG3''Me................. ......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 g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전체 900 ml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나타낸 일 예이며,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만족적 기호도에 따라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경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3] 산제
녹차 EGCG3''Me 분말 20mg, 유당 100mg, 탈크 10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정제
녹차 EGCG3''Me 분말 1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캡슐제
녹차 EGCG3''Me 분말 10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mg, 락토오스 14.8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mg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6] 주사제
녹차 EGCG3''Me 분말 10mg, 만니톨 18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mg, Na2HPO4·12H2O 26mg을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형예 7] 액제
녹차 EGCG3''Me 분말 20m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을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8] 연고
하기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중량%).
녹차 EGCG3''Me........................ 3.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시험예.
인간의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는 크게 3가지가 있다.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멜라닌 생성을 담당하는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 진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바로 그들이다.
각질형성세포의 경우, 피부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보습,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지켜주는 장벽기능과 연관이 깊고, 멜라닌형성세포는 피부색과 톤을 결정함과 동시에 기미와 잡티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또한, 섬유아세포는 콜라겐과 같은 탄력섬유를 생산하는 세포로, 피부 탄력, 피부 주름과 연관이 깊다.
메틸화된 카테킨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각질형성세포(Normal Human Keratinocyte, NHK)와 섬유아세포(Normal Human Fibroblast, NHF)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NHF(normal human fibroblast)를 Lonza(Allendale, NJ, USA)로부터 구입한 후 60mm 디쉬에 배지(DMEM)를 이용하여 2×105씩 분주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버리고 새로운 조직 배양 플라스크로 이동시켰다. 또한, NHEKs(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Lonza(Allendale, NJ, USA)로부터 구입하여 각질세포 성장 배지(KGM-GOLD, Lonza, Allendale, NJ,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0.025% 트립신으로 떼어내어 계대배양하고 새로운 조직 배양 플라스크로 이동시켰다. 또한, 계대배양 2 내의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이하,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에서 FoxO3 유전자 발현양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Fox03 유전자의 발현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증가와 섬유아세포의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증가에 영향을 주는지 함께 확인하였다.
(1) FoxO3 활성화 효과
메틸화된 카테킨이 Fox03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레티놀 및 메틸화되지 않은 카테킨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레티놀, 녹차 EGCG 및 녹차 EGCG''3Me 각각을 각질형성세포(NHK), 섬유아세포(NHF)에 10 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로부터 전체 RNA를 분리하여 Fox03 mRNA의 상대적인 발현양을 비교하였다.
전체 RNA는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TRIzol™(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RNA 농도는 분광광도법적으로 측정하였고, RNA integrity는 BioAnalyzer 2100(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NA 4μg을 SuperScript®III 역전사효소(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이용하여 cDNA로 역전사시키고 분취량을 -70℃에서 저장하였으며, 타겟 유전자의 발현 수준은 정량적 리얼 타임 TaqMan RT-PCR(7500Fast,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로 측정하였다. 사이클 조건은 95℃에서 10분간, 95℃에서 15분간 50 사이클, 및 60℃에서 1분간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그 결과,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메틸기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카테킨에 비하여 Fox03 유전자 발현양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보습, 외부 유해인자로부터 피부를 지켜주는 장벽 기능을 하는 각질형성세포에서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에 유용한 피부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피부 주름과 연관이 깊은 섬유아세포에서 FoxO3 유전자를 활성화함으로써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에 유용한 항노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메틸기를 포함하지 않은 카테킨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세포 분화 효과
Fox03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는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이 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의 경우 장수 유전자를 활성화하여 세포 분화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NHEKs(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세포를 48시간 동안 다양한 농도의 EGCG''3Me 및 EGCG로 각각 처리하여 비교한 결과(스케일바=100μm),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EGCG''3Me는 농도 의존적으로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도 EGCG에 비하여 우수한 각질형성세포 분화를 나타내어 경제성이 높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등 피부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이 섬유아세포의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에 유용한 항노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3) 세포 생존율
EGCG와 EGCG''3Me를 다양한 농도(0, 0.1, 1, 10, 50 μM)로 처리하여 48시간 및 72시간 경과 후 각질형성세포(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NHEKs)의 세포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EGCG와 EGCG''3Me로 NHEKs를 48시간 및 72시간 동안 각각 처리한 후, KGM-GOLD에 용해된 티아졸릴 블루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MTT,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50 μL(2 mg/mL)를 세포에 첨가하고, 37℃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의 포르마잔 크리스탈을 10분간 부드러운 쉐이킹을 가하여 DMSO 200 μL에 용해시키고 잔존하는 포르마잔 양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장수 유전자 Fox03 발현을 활성화하는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의 경우 세포 생존율(cell survival ratio)이 메틸기를 포함하지 않은 카테킨에 비하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농도에서의 세포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제성 및 효율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4) 피부 안전성 테스트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제형예 9의 피부 자극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명세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인 하기 제형예 9를 첩포한 성인 30명 모두 피부자극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부 안전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제형예 9] 영양 화장수(밀크 로션)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5
[제형예 10] 영양 크림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6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녹차 잎에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상기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OCH3 또는 OH이되, R1, R2, R3, R4 모두 OH인 경우는 제외하며,
    상기 X1,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또는 OH이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은 EGCG3''Me(에피갈로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EGCG4''Me(에피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ECG3''Me(에피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ECG4''Me(에피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GCG3''Me(갈로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GCG4''Me(갈로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 CG3''Me(카테킨-3-O-(3-O-메틸)갈레이트) 및 CG4''Me(카테킨-3-O-(4-O-메틸)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기를 포함하는 카테킨, 이의 염, 이의 프로드럭, 이의 수화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이의 이성질체는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FoxO3 단백질 발현 증진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명 연장용, 생체 또는 피부 노화 지연용, 또는 생체 또는 피부 노화 증상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FoxO3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암 또는 염증성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KR1020140175702A 2014-12-09 2014-12-09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KR20160069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02A KR20160069739A (ko) 2014-12-09 2014-12-09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PCT/KR2015/012773 WO2016093515A1 (ko) 2014-12-09 2015-11-26 장수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AU2015362283A AU2015362283B2 (en) 2014-12-09 2015-11-26 Composition for activating longevity gene
US15/534,625 US20170326100A1 (en) 2014-12-09 2015-11-26 Composition for activating longevity gene
CN201580075643.5A CN107438423A (zh) 2014-12-09 2015-11-26 激活长寿基因的组合物
TW104139964A TWI747811B (zh) 2014-12-09 2015-11-30 活化長壽基因的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702A KR20160069739A (ko) 2014-12-09 2014-12-09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739A true KR20160069739A (ko) 2016-06-17

Family

ID=5634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702A KR20160069739A (ko) 2014-12-09 2014-12-09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7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668A (ko) * 2018-10-01 2020-04-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947B1 (ko) 2004-01-31 2005-11-30 삼아약품 주식회사 녹차카테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전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947B1 (ko) 2004-01-31 2005-11-30 삼아약품 주식회사 녹차카테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혈전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668A (ko) * 2018-10-01 2020-04-09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7B1 (ko) 푸코실락토오스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0498B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TWI747811B (zh) 活化長壽基因的組合物
KR20160069737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Sirt-1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20160023310A (ko) 이고들빼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20150050995A (ko) 아마란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69739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FoxO3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JP7453783B2 (ja) 成分含量が変化した緑茶抽出物を含む皮膚美白用又は皮膚しわ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
KR20160069738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ercc8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JP2013053159A (ja) (2z,8z)―メトリカリア酸メチルエステル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20200117957A (ko)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69736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Klotho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JP6866354B2 (ja) Tie2活性化用組成物
WO2013031403A1 (ja) 皮膚美白剤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20160069735A (ko) 메틸화된 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xpd 유전자 활성화용 조성물
KR20180104960A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1184354A (ja) ケラチノサイトへのメラニンの取り込みを抑制する美白剤
KR102229943B1 (ko) 마에루아 에둘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4646B1 (ko) 골담초 유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2149020A (ja) 美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