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7247A -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7247A
KR20210117247A KR1020210124386A KR20210124386A KR20210117247A KR 20210117247 A KR20210117247 A KR 20210117247A KR 1020210124386 A KR1020210124386 A KR 1020210124386A KR 20210124386 A KR20210124386 A KR 20210124386A KR 20210117247 A KR20210117247 A KR 2021011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tevioside
acid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김도형
이상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1012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7247A/ko
Publication of KR2021011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72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PPAR 알파의 활성 우수 효과, 필라그린 발현 증가 효과를 통해,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약학, 화장료, 식품 또는 피부 외용제 제형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stevioside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발생시키는 등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고 있다. 항산화 물질은 동,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과일과 채소에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비타민 C, 셀레늄 등이 알려져 있다. 다만, 천연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은 피부 적용 시 실질적으로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항산화력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합성 항산화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인체 부작용 등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그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피부의 최외각에 위치하고 있는 표피(epidermis)는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보호 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고 유지됨으로써 가능하다. 각질형성세포는 표피최하층(stratum basale)에서 지속적으로 증식하던 기저세포(basal cell)가 각질층(stratum corneum)으로 이동하면서,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형성된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오래된 각질형성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표피 최하층으로부터 올라온 새로운 각질형성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는 표피 분화(epidermis differentiation) 또는 각화(keratinization)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각화과정에서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과 같은 세포 간 지질을 생성하여,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피부장벽(skin barrier)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현대 사회의 주요 질환의 하나로 여겨지는 피부 건조증은 피부 장벽 기능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증상의 하나로, 최근, 환경 오염, 아파트, 고층 건물과 같은 건조한 환경의 증가,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 우리 나라 특유의 과도한 목욕 문화, 피부 노화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증세가 심하여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소아의 10%에서 발병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역시 피부 건조증, 보다 근본적으로는 피부 장벽 기능의 이상을 주요 원인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부 내 적절한 수분 유지에 중점을 두어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세라마이드(ceramide) 또는 그의 유도체와 같은 보습제가 개발되어 제약 또는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습제의 사용은 그 대부분이 근본적인 치료이기보다는 일시적인 증상의 완화에 불과하여,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증 및 피부 장벽 기능 이상의 치료에 대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손상된 피부 장벽을 근원적으로 재생시켜주는 물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편, 퍼옥시좀 증식활성화 수용체(peroxisome proliferation-activated receptors: 이하, PPAR라 함)는 핵 내 호르몬 수용체 슈퍼패밀리에 속하는 리간드 유도성 전사인자로서, 세포 분화와 증식, 지질 항상성 및 에너지 대사를 포함한, 많은 세포성 및 대사성 과정을 조절한다. 지금까지 3개의 PPAR 서브패밀리인 PPARα(NR1C1), PPARδ(NR1C2, 또한 PPARβ, FAAR 및 NUC1로도 알려짐) 및 PPARγ(NR1C3)가 동정되었다. 상기 수용체는 RXR(retinoid X receptor)와 이량체를 형성하고 타겟 유전자의 조절 영역에 존재하는 PPRE(PPAR response elements)라고 하는 특이적인 염기서열에 결합함으로써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이러한 PPAR은 피부 구성세포에 전반적으로 존재하며 피부 장벽 기능의 항상성 유지 및 복원, 보습능력, 염증치유 과정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즉, PPAR은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 인자로, 특히 PPAR이 다양한 기전을 통해 피부장벽의 투과성 조절, 표피층 증식억제, 표피층의 분화유도 등과 같은 피부상태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PPAR은 피부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풍부하게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관련 피부질환인 아토피 피부염, 표피층의 과증식으로 인한 건선, 상처치유 또는 여드름 등 다양한 피부질환의 핵심조절자로 작용함이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각질 형성 세포에 존재하는 PPAR 알파가 그 리간드(ligand)와 결합하여 활성화되면,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켜 손상된 피부 장벽을 재구성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실제로 공지된 PPAR 알파의 작용제(agonist)인 클로파이브레이트(Clofibrate) 또는 WY14643 등을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가 촉진되고 피부 장벽의 회복이 촉진됨이 확인된 바 있다 (Feingold 외, J. Invest. Dermatol., 110, pp 368-375, 1998.).
필라그린(Filament aggregating protein; filaggrin)이란 케라틴, 인볼루크린(involucrin), 로리크린(loricrin) 등의 단백질과 함께 각질층(stratum corneum)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다. 주로 케라틴과의 결합으로 필라멘트의 형성에 관여하고, 각질층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에서 필라그린(filaggrin),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등의 형태로 가공된다. 최종적으로는 천연보습인자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각질층의 20-30%(건조중량기준)를 이루게 되고,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뛰어나 각질층의 수분을 조절하는 습윤제(humectant)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런 각질층에서의 수분 함유량은 각질층 형성에 중요한 여러 가지 효소들의 정상적으로 활동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필라그린의 발현 양의 감소는 피부장벽의 기능과 보습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고 여러 가지 병변으로 이어지게 된다. 특히 정상적인 피부장벽의 형성은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방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이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아토피의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피부를 통한 항원의 흡수가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가에 중요한 원인이 된다는 점에서 필라그린은 효과적인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의 타깃이 된다.
또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가 있는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PPAR 알파의 활성을 촉진시켜 아토피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PPAR 알파 활성 촉진 및 필라그린의 발현 증가를 통한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약학, 화장료, 식품 또는 피부 외용제 제형 제조를 위한,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PPAR 알파의 활성을 촉진시켜 아토피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필라그린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PPAR 알파 활성 촉진 및 필라그린의 발현 증가를 통한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약학, 화장료, 식품 또는 피부 외용제 제형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 시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약학, 화장료, 식품, 피부 외용제 등으로의 제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활성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 식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상기 활성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 효과, PPAR 알파 활성 효과 및 필라그린 발현 효과를 나타내므로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를 위한 약학, 화장료, 식품, 피부 외용제 등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인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화합물명은 13-[(2-O-beta-D-Glucopyranosyl-alpha-D-glucopyranosyl)oxy]kaur-16-en-18-oic acid beta-D-glucopyranosyl ester라 하며, 일명 Stevioside라 한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는 합성하여 이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산화 효과'라 함은 세포내 대사 또는 자외선의 영향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따라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에 의한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자유 라디칼 또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여 이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 감소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토피 개선 효과'라 함은 아토피, 피부건조증과 같은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아토피 증상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토피 개선 효과는 피부 장벽 기능의 항상성 유지 및 복원, 보습능력, 염증 치유 과정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PPAR와 관련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유효성분을 처리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핵심 조절자인 PPAR 알파의 활성을 증진시켜, 피부 장벽의 투과성 조절, 표피층 증식억제 및 분화유도 등과 같은 피부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아토피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 효과'라 함은 피부의 수분이 감소되는 것을 저해 또는 억제하거나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증가시켜 피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윤기를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습 효과는 각질층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필라그린과 관련되며, 필라그린의 발현 양의 감소는 피부장벽의 기능과 피부 보습에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유효성분을 처리함으로써 피부 보습과 관련된 필라그린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피부 보습 효과를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장벽'은 외부의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방어 기능을 수행하는 표피에서, 표피 분화 또는 각화의 반복으로 형성된 각질층이 외부와의 차단층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 장벽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유효성분을 처리함으로써 PPAR 알파의 활성 증가를 통해 표피층의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를 증가시키고, 보습인자인 필라그린 단백질의 발현량을 증가시켜 피부 표면을 건강하게 만듦으로써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화장료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제형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상기 스테비오사이드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제형은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피부외용제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가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스테비오사이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산은, 예를 들면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푸마르산, 숙신산, 숙신산 모노아미드, 글루탐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시트르산, 글리콜산, 글루쿠론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프탈산, 살리실산, 안트라닐산, 디클로로아세트산, 아미노옥시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및 메탄술폰산계 염을 포함하며 무기산은 예를 들면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질산, 탄산 및 붕산계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또는 아세트산염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염산염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산 부가염은 a) 상기 스테비오사이드 및 산을 직접 혼합하거나, b) 이들 중 한 가지를 용매 또는 함수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시키거나, 또는 c) 스테비오사이드를 용매 또는 수하 용매 중의 산에 위치시키고 이들을 혼합하는 일반적인 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다.
위와는 별도로 추가적으로 염이 가능한 형태는 가바염, 가바펜틴염, 프레가발린염, 니코틴산염, 아디페이트염, 헤미말론산염, 시스테인염, 아세틸시스테인염, 메티오닌염, 아르기닌염, 라이신염, 오르니틴염, 아스파르트산염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항산화 성분으로서, 토코페롤, 셀레늄, 비타민 C 또는 페놀성 화합물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상기 스테비오사이드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약학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세포의 산화를 억제 또는 완화하거나, 염증을 억제하거나, 아토피와 같은 피부건조증을 개선하거나, 보습 효과나, 피부 장벽을 개선할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유효량의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포함할 때 바람직한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스테비오사이드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이 약학 제형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일 투여량은 상기 스테비오사이드의 양을 기준으로 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mg/kg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식품 제형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제형은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식품 제형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항산화, 아토피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스테비오사이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식품 제형이 음료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 이다.
상기 외에 식품 제형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식품 제형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참조예 1: Stevioside 물질 정보
[화학식 1]
Figure pat00004
CAS No.: 57817-89-7
구입처: Sichuan Hongjie Import&Export CO., LTD
실시예 1: 항산화 효과- 자유라디칼 소거율
스테비오사이드의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PPH는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1.5 mM(0.06 mg/mL)의 표준 DPPH 에탄올 용액을 만들었다. 그리고, 스테비오사이드와 기준물질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50 ㎍/mL, 25 ㎍/mL, 12.5 ㎍/mL, 6.25 ㎍/mL, 3.125 ㎍/mL의 농도로 시료를 만들었다. 그 다음, 상기 시료와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잘 교반한 후, 37 ℃에서 30 분간 반응시키고 5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 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능은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억제 중간 값)인 IC50을 구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C50은 무첨가 대조군의 자유라디칼을 50% 제거하는데 필요한 아스코르빈산 및 스테비오사이드의 농도로서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자유라디칼 소거율(IC50)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mL)
아스코르빈산 5.3
스테비오사이드 3.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테비오사이드는 기존에 알려진 항산화 물질인 아스코르빈산과 비교할 때 높은 활성을 보이므로 항산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PPAR 알파 활성화 촉진 효과 검증
스테비오사이드의 PPAR 알파 활성화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스테비오사이드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 유래의 근아세포(myoblast) 세포주인 C2C12 세포(ATCC CRL-1772)를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는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계대 배양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벡터로는,
1) pZEO 벡터 (Invitrogen)의 SV40 프로모터에 효모의 전사 인자인 GAL4-DBD(DNA Binding Domain)과 인간 PPAR 알파 LBD(Ligand Binding Domain)에서 Ser167 내지 Tyr468을 암호화하는 DNA 단편(유전자 은행 정보, NM 005036)을 포함하는 벡터;
2) GAL4 응답 서열을 루시퍼라이제 (Luciferase)를 발현하는 pGL3 벡터(Promega)의 다중 제한 효소 인지 부위에 삽입된 벡터, 및 3) 트랜스팩션 대조군(transfection internal control)으로 β-갈락토시다아제(β-galactodisase)를 발현하는 벡터를 사용하였다.
상기 배양한 세포를 4×104의 농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도말한 후, 12 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세 종류의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일시적인 리포팩타민(Lipopectamine)을 이용하여 트랜스팩션(transient transfection)하였다. 8시간 후, 화학식1의 화합물을 처리하고 12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1×PBS로 세척하고 1×리포터 용해 버퍼(reporter lysis buffer)로 세포를 용해시킨 후, 루시퍼라아제 분석 키트(Promega) 및 β-갈락토시다아제 분석 키트(Promega)를 사용하여 루시퍼라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PPAR 알파 활성도는 '루시퍼라아제 활성/ β-갈락토오스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양성 대조군으로는 PPAR 알파의 리간드 중 가장 강력한 것으로 알려진 Wy-14,643(Calbiochem)을 사용하였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녹일 때 사용한 DMSO 0.05%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방법에 따라, 스테비오사이드를 C2C12 세포에 처리하여 농도 변화에 따른 PPAR 알파의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에서 PPAR 알파 활성도의 수치는 음성 대조군(DMSO 0.05%) 대비 백분율을 의미한다.
PPAR 알파의 활성
시료 PPAR 알파 활성도 (%)
DMSO (0.05%) 100
Wy-14,643 (0.5 μM) 280
Wy-14,643 (1 μM) 935
스테비오사이드 (0.05%) 673
스테비오사이드 (0.5%) 96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제된 화합물인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스테비오사이드는 매우 강력한 PPAR 알파 활성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필라그린(Filaggrin)의 발현 촉진 효과
스테비오사이드를 5 ㎍/mL, 10 ㎍/mL가 되도록 하여 각각 인간 각질세포주 HaCaT 세포의 배양배지에 첨가하여 1일간 배양한 후, 세포의 RNA를 분리하고 cDNA를 합성한 뒤 Taqman 염색액으로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RNA농도는 S16 리보솜 RNA로 표준화시켰다.
농도에 따른 필라그린 발현 효과(반복수 = 3)
첨가시료 대조군 대비 필라그린 증가배수
대조군(무첨가) 1.00
스테비오사이드(5 ㎍/mL) 38.0
스테비오사이드(10 ㎍/mL) 52.4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테비오사이드는 인간 각질세포주 HaCaT 세포의 필라그린 발현 촉진능이 있다.
제제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정제의 제조
스테비오사이드 0.2㎎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화장품의 제조
1. 영양크림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스테비오사이드 0.2중량%
베타-1,3-글루칸 5.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1.5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부틸렌글리콜 3.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3.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제제예 3: 피부 외용제의 제조
1. 연고의 제조
하기 조성과 같이,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스테비오사이드 0.5 중량%
베타-1,3-글루칸 10.0 중량%
밀납 10.0 중량%
폴리솔베이트60 5.0 중량%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중량%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바셀린 5.0 중량%
유동파라핀 10.0 중량%
스쿠알란 5.0 중량%
쉐어버터 3.0 중량%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2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방부제 0.05 중량%
색소 0.05 중량%
향료 0.05 중량%
정제수 to 100 중량%

Claims (3)

  1.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화장료, 식품 또는 피부 외용제의 용도인 조성물.
  3.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24386A 2015-09-23 2021-09-16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117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386A KR20210117247A (ko) 2015-09-23 2021-09-16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842A KR102306041B1 (ko) 2015-09-23 2015-09-23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210124386A KR20210117247A (ko) 2015-09-23 2021-09-16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842A Division KR102306041B1 (ko) 2015-09-23 2015-09-23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7247A true KR20210117247A (ko) 2021-09-28

Family

ID=585009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842A KR102306041B1 (ko) 2015-09-23 2015-09-23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210124386A KR20210117247A (ko) 2015-09-23 2021-09-16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842A KR102306041B1 (ko) 2015-09-23 2015-09-23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604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84743B1 (fr) * 2011-12-23 2014-08-22 Oreal Utilisation cosmetique du steviol, d'un derive glycoside du steviol, ou un de leurs isomeres pour stimuler, restaurer ou reguler le metabolisme des cellules de la peau et des semi-muque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041B1 (ko) 2021-09-27
KR20170035660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881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714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7297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7146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75267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714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6612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06041B1 (ko) 스테비오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24518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97926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4110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13164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35658A (ko) 크립토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49947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5147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08476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6012876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62468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64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56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25353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72919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90096908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087142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35659A (ko) 페리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