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8739A -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8739A
KR20160058739A KR1020160058174A KR20160058174A KR20160058739A KR 20160058739 A KR20160058739 A KR 20160058739A KR 1020160058174 A KR1020160058174 A KR 1020160058174A KR 20160058174 A KR20160058174 A KR 20160058174A KR 20160058739 A KR20160058739 A KR 20160058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polyphenol compound
skin
po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현주
박원석
김정환
김형준
신홍주
김도훈
이창근
박종희
권대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5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8739A/ko
Publication of KR20160058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공 축소용 조성물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저해하여 모공을 축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독성이 없는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피부에 부작용이 적으며 피부 자극이 적다.

Description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reducing skin pore size containing polyphenol compounds}
본 발명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공은 얼굴피부에 전체적으로 분포하나, 특히 코와 볼 부위는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모공의 양상은 성별, 유전적, 노화, 여드름, 만성 자외선 노출 등의 내인성과 외인성 요인에 의해 개인차가 있다. 모공이 넓어지는 이유는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거나 피부노화가 시작되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고 있던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가 변성, 감소함에 따라 피부 탄력이 없어지고 쳐지기 때문이다.
한편, 털에 붙어있는 근육(입모근)의 수축 또는 이완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모공은 신경조절에 의해 축소 또는 확대될 수 있다. 교감신경은 근육에서 약간 떨어져 있으면서 모공 축소 작용을, 부교감 신경은 근육 가까이에 있으면서 모공 확대 작용을 한다. 선택적으로 부교감 신경을 억제하면 보상 작용으로 교감신경이 작용하여 털에 붙어 있는 근육을 수축시켜 모공이 축소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페놀 화합물이 직접적으로 모공 크기를 축소시킨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공 축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공 축소용 조성물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저해하여 모공을 축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독성이 없고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피부에 부작용이 적으며 피부 자극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폴리페놀 화합물들에 의한 PC12 세포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미리세틴(myricetin), 케르세틴(quercetin), 루테올린(luteolin), 델피니딘(delphinidin), 시아니딘(cyanidin), 부테인(butein), 엘라지산(ellagic acid),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피세틴(fisetin)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고,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저해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미리세틴, 케르세틴, 델피니딘 및 시아니딘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미리세틴, 델피니딘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미리세틴(myricetin)은 천연 플라보놀류로서 분자식은 C15H10O8, 분자량은 318.24 이고,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3,3',4',5,5',7-헥사히드록시플라본 (3,3',4',5,5',7-hexahydroxyflavone), 칸나비스세틴 (Cannabiscetin), 미리세톨 (Myricetol), 미리시틴 (Myricitin)으로도 불린다. 주로 차(tea), 포도, 양파, 브로콜리, 사과, 포도 등에 글리코시드 형태로 많이 있고, 순수한 미리세틴은 황담갈색(yellow-beige)의 결정 파우더 형태이다. 항산화, 암 예방, 항바이러스, 항 당뇨, 항혈전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
케르세틴(quercetin) 또한 천연 플라보놀류로서 분자식은 C15H10O7, 분자량은 302.24 이고,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다. 식품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로 식품첨가물로 많이 사용되며 채소와 과일 등에 널리 분포해 있다.
델피니딘(delphinidin)은 식물성 색소인 안토사이아니딘류로서 분자식은 C15H14O7, 분자량은 306.27 이고,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가진다. 산화방지제로 푸른색 및 보라색 꽃에서 많이 발견된다.
시아니딘(cyanidin) 또한 식물성 색소인 안토사이아니딘류로서 분자식은 C15H11O6+, 분자량은 287.24 이고, 하기 화학식 4의 구조를 가진다. 산화방지제로 붉은 야채 및 과일에서 많이 발견된다. 항염, 암 및 심혈관 질환 예방, 비만 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화학식 4]
Figure pat00004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을 구성하는 폴리페놀 화합물은 유리형태(유리 산 또는 염기 형태) 및 모든 프로드러그(prodrug), 다형체(polymorph), 수화물(hydrate), 용매화물(solvate), 토오토머(tautomer), 입체이성질체(stereoisomer) 등 달리 특정하지 않는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의 모든 활성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화합물의 적합한 활성 대사산물(임의의 적합한 형태)도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서, 폴리페놀 화합물은 신경전달물질, 특히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저해하며,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저해하여 신경 임펄스(impulse)가 방해되고 근육세포의 경련성 마비를 일으킨다. 그러한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모공 주변의 입모근세포의 경련성 마비를 일으켜 모공을 수축시킬 수 있다.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저해하여 근육세포의 경련성 마비를 일으키는 물질로는, 보툴리눔 독소(Botulinum toxin)가 있다. 그러나, 보툴리눔 독소는 일종의 신경독으로서, 가장 강력한 독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평균 치사량이 약 1 ng/kg (정맥주사시)이고, 이는 1티스푼으로 12 억명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정도로 위험이 큰 물질이다. 이러한 보툴리눔 독소의 전달 방법은 대부분 주사 기법에 의하며, 부적절한 주사 기법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고/있거나, 보툴리눔 독소를 의도하지 않는 위치 및/또는 원치 않는 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눈 주위 영역에서, 눈꺼풀 및 눈썹 처짐(lid and brow ptosis)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고, 통증, 혈종, 반상 출혈 및 타박상(bruising)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에서, 폴리페놀 화합물은 독성이 없고 안전하며, 안정성 또한 높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모공 축소용 조성물은 주사 뿐만이 아니고 경피 투여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페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고, 또한, 0.001 내지 1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0.01 내지 2 중량% 포함할 수 있다.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고, 30 중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폴리페놀 화합물은 용해도의 영향으로 부작용의 위험이 거의 없이 모공 축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폴리페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화장품일 수 있으며, 화장품의 외형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마이크로 니들 등을 이용하여, 피부 내부로 흡수되는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경피 투여 제형, 피부에 바르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페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얼굴 피부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 즉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량"은 약 투여에서 대체적으로 적용되는 양으로, 이러한 용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실질적 심한 독성, 자극 또는 알러지 반응이 없이 피험체의 활성 부위에서 효능을 발휘하는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1mg/kg/일 내지 1000mg/kg/일이 될 수 있고 1mg/kg/일 내지 4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폴리페놀 화합물 0.01 -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영양화장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폴리페놀 화합물 0.01 -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폴리페놀 화합물 0.01 - 2.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10.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피이지60경화피마자유 2.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폴리솔베이트 60 1.5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마사지 크림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폴리페놀 화합물 0.01 - 2.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40.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스쿠알란 5.0
피이지60경화피마자유 2.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8
폴리솔베이트 60 1.5
밀납 10.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팩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폴리페놀 화합물 0.01 - 2.0
글리세린 5.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폴리비닐알콜 13.0
에탄올 6.0
알란토인 0.1
피이지 12 노닐 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연고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폴리페놀 화합물 0.01 - 2.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주사제
폴리페놀 화합물......................... ....0.001 - 4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적량
pH 조절제....................................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PC12 세포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
PC12 세포는 콜라겐 코팅한 플레이트(60mm dish)에 10% 송아지 혈청과 5% 태아 소 혈청, 항생물질이 들어간 Ham's F12K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은 배지를 흡입한 후 PBS 2ml 를 넣고 피펫팅하여 세포를 디시(dish) 벽으로부터 분리하여 1,000x g 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은 후, 새로운 배지를 넣어 피펫팅하여 세포 펠렛을 분산하여 새로운 배양 플레이트에 넣고 37℃, 5% 의 CO2 가스가 공급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14C]-아세틸콜린은 Amersham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PC12 세포의 플레이트에서 배지를 흡입한 후 PBS 를 넣고 세포를 플레이트 벽으로부터 떼어낸 후 세포수를 헤마사이토미터로 측정하여 2x105cell/ml 의 농도로 새로운 배지에 분산하여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아세틸콜린 검정 완충액([14C]-Ach, 1μCi/ml)를 첨가한 후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90분간 도입하였다. 반응 후 완충액을 제거한 후 PBS 로 3회 세정한 후 새로운 배지에 폴리페놀 화합물(10μM), L-타입 칼슘 채널 억제제인 베라파밀(verapamil 10 μM), 그리고 보툴리눔 독소(2 nM)를 넣고 30분간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고농도의 K+ 완충액을 넣은 후 12분간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14C]-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저해하는지를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폴리페놀 화합물이 PC12 세포 내에서 아세틸콜린의 방출을 저해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캠페롤를 제외한 모든 화합물에서 아세틸콜린 방출시험억제 효과를 보였고 특히 미리세틴, 델피니딘, 시아니딘, 케르세틴은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보툴리눔 독소와 비슷한 수준의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2] 모공크기 분석
얼굴 모공이 크다고 느끼는 남녀 10명을 선정하여 제형예 2에 따른 처방으로(미리세틴 0.1% 사용) 모공이 큰 부위, 주로 코와 그 주위 피부에 펴 바른 후 10~15분간 두고, 미지근한 물로 얼굴을 가볍게 세안하는 방식으로 4주동안 1일 1회 적용하였다. 측정은 항온항습 조건에서 시험 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 육안 평가와 기기 측정으로 수행하였다. 육안 평가는 시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고, 피부 모공 크기는 모공크기 측정 기기(Skin touch, 자사 개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점 모공상태(평균±표준편차)
시험 2주 경과 후 0.90 ± 0.74
시험 4주 경과 후 1.70 ± 0.67
효과판정
0:효과 거의 없음, 1: 약간의 효과 있음, 2: 많이 좋아짐, 3: 완전히 만족함
시점 모공크기(픽셀, 평균±표준편차)
사용 전 216 ± 53
시험 2주 경과 후 201 ± 54
시험 4주 경과 후 193 ± 43
상기 표 7 및 표 8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성물이 모공 크기 축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0)

  1.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화합물은, 미리세틴(myricetin), 케르세틴(quercetin), 루테올린(luteolin), 델피니딘(delphinidin), 시아니딘(cyaniding), 부테인(butein), 엘라지산(ellagic acid), EGCG (Epigallocatechin gallate), 피세틴(fisetin)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물인 모공 축소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은 미리세틴(myricetin), 케르세틴(quercetin), 델피니딘(delphinidin), 시아니딘(cyaniding)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물인 모공 축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저해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인 모공 축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30 중량%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피투여 제형인 피부 외용제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58174A 2016-05-12 2016-05-12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60058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4A KR20160058739A (ko) 2016-05-12 2016-05-12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74A KR20160058739A (ko) 2016-05-12 2016-05-12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144A Division KR20110017599A (ko) 2009-08-14 2009-08-14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739A true KR20160058739A (ko) 2016-05-25

Family

ID=5611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174A KR20160058739A (ko) 2016-05-12 2016-05-12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87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63A (ko) 2017-02-28 2018-09-0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세틴을 포함하는 피부건강용 조성물
WO2023043076A1 (ko) 2021-09-17 2023-03-23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보툴리눔 신경독소 대체 신규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263A (ko) 2017-02-28 2018-09-05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세틴을 포함하는 피부건강용 조성물
WO2023043076A1 (ko) 2021-09-17 2023-03-23 주식회사 인트론바이오테크놀로지 보툴리눔 신경독소 대체 신규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1081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7994141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KR101330889B1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20070105146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관중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JPH03251518A (ja) 竹から抽出されたフケ菌発育阻害成分を含有する皮膚・頭皮・頭髪剤
KR2011001759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6005873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WO2020111621A1 (ko) 탈모 또는 피부 염증 억제용 조성물
AU2016346728B2 (en) Soyasaponin-containing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US20110171247A1 (en) Novel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expression inhibitors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KR102475130B1 (ko)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펜 카페익 액씨드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US20220241168A1 (en) Composition for stimulating beta-endorphin production comprising sanshool
KR20190060291A (ko)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27348B1 (ko) 아카르보스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30077953A (ko) 카르노스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제
CN114053259A (zh) 包含麝香草酚三甲氧基肉桂酸酯的皮肤瘙痒或刺激缓解用组合物
KR101785491B1 (ko) 로케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및 피부탄력 증진용 조성물
WO2020230726A1 (ja) 大気汚染物質からの保護剤及び大気汚染物質からの保護用組成物
KR20200110895A (ko) 라폰티신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또는 탄력 개선용 조성물
KR20150050983A (ko) 당화된 위타놀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20130057023A (ko) Dkk1 억제용 조성물
CN116473858A (zh) 猫眼草酚d的美白应用
JPH10245393A (ja) トリテルペン類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50037204A (ko) 대복피 추출물 포함 창상 치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70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213

Effective date: 2018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