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0515A - 완강기 - Google Patents

완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0515A
KR20100110515A KR1020090028881A KR20090028881A KR20100110515A KR 20100110515 A KR20100110515 A KR 20100110515A KR 1020090028881 A KR1020090028881 A KR 1020090028881A KR 20090028881 A KR20090028881 A KR 20090028881A KR 20100110515 A KR20100110515 A KR 2010011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plate
distress
winding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제
Original Assignee
조성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제 filed Critical 조성제
Priority to KR102009002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0515A/ko
Publication of KR2010011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0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6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ing of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난자에 대한 중량을 최대화하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지지판;상기 지지판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피복되지 않은 와이어가 폭 방향으로 수회 감기도록 형성된 권취부:를 포함하되,상기 권취부는,어느 하나의 지지판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지지판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를 제공한다.
완강기,권취부,와이어,사다리꼴원기둥,회전축,손잡이,브레이크장치

Description

완강기{decending device}
본 발명은 완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에 매달리는 조난자에 대한 중량을 최대화하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완강기에 관한 것이다.
건축기술의 발달과 주거 및 사무공간에 대한 수용의 팽창으로 인해 현재의 아파트나 업무용 건물들은 고층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물의 고층에 주거하거나 근무하는 사람들의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고층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비상계단이나 엘리베이터 등이 폐쇄되어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소방용 사다리차 등에 의존하여 비상상황에 처한 조난자들을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 사다리차는 그 높이에 한계가 있으며, 주차된 차량들로 인해 건물에 접근조차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고층건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완강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시에 조난자가 화재현장으로부터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완강기에 조난자가 매달리게 되면,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완강기에 감긴 와이어가 풀리면서 지면을 향해 서서히 하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화재현장으로부터 조난자가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완강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완강기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권취된 와이어(20)로 구성된다.
이때, 몸체(10)의 상단부는 고정수단(11)에 의해 건물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는 피복된 상태로서, 동심원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게 감겨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20)의 하단부에는 조난자가 매달리기 위한 고정벨트(3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에는 권취된 와이어(20)가 풀리는 과정에서 일정한 속도로 풀리도록 제동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완강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고정벨트(30)에 조난자가 매달리면,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권취된 와이어(20)가 풀리면서 상기 조난자는 건물의 하방으로 하강된다.
따라서, 화재장소로부터 대피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완강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상기와 같이 동심원 방향으로 중첩되게 권취된 와이어(20)는, 조난자에 대한 지지력이 최대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탈출하고자 하는 조난자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한번에 다수의 조난자들을 피난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엇던 것이다.
둘째, 제동장치에 의해, 와이어(20)가 풀리는 속도가 거의 일률적이기 때문에, 조난자의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셋째, 와이어(20)가 피복된 상태이기 때문에, 화재로 인해 불이 와이어(20)에 옮겨 붙을 염려가 있었다.
만약, 와이어(20)에 불이 옮겨 붙을 경우, 조난자에 화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와이어(20)간에 서로 눌러붙어 와이어(20)가 풀리는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조난자에게 더 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강되는 조난자에 대한 중량을 최대화 하고, 와이어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완강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지지판;상기 지지판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 게 축 결합되며, 피복되지 않은 와이어가 폭 방향으로 수회 감기도록 형성된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부는, 어느 하나의 지지판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지지판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권취부는, 양면이 축 결합된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판은 다른 하나의 지지판에 비해 하방으로 더 연장되고,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판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와이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마찰패드와,어느 하나의 지지판과 마찰패드 사이에 배치된 가압판과,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가압판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권취부에 와이어가 폭 방향으로 수회감기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난자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최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번에 수명의 조난자가 매달린 채로 하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권취부의 단면 형태가 사다리꼴로 형성되기 때문에 와이어가 풀리고 감기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권취부 상에 꼬이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완강기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권취부에 와이어가 폭 방향으로 수회 감긴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완강기가 저절로 하강되지는 않게 된다.
즉, 권취부가 축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조난자가 손잡이를 돌려 권취부로 하여금 와이어를 풀어야만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조난자가 직접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하강속도를 신속하게 하여 다수의 조난자를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완강기는 지지판(100)과, 권취부(200)와, 브레이크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판(100)은 권취부(200) 및 브레이크 장치(300)가 설치되도록 제공되며, 한 쌍으로 제공된다.
이때, 지지판(100)은 서로 마주한 상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지지판(100)에는 축공(101)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101)은 권취부(200)가 축 결합되기 위한 부위이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판(10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더 연장된 연장부(110)를 포함한다.
이는, 상기 연장부(110)에 브레이크 장치(300)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연장부(110)가 형성된 지지판(100)을 제1지지판(100A)이라 하며 연장부(110)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판(100)을 제2지지판(100B)이라 한다.
다음으로, 권취부(200)는 와이어(W)가 권취되는 부분이며, 상기 지지판(10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W)는 피복이 되지 않은 상태의 강삭(鋼索)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권취부(200)는 몸체(210)와, 회전축(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10)는 와이어(W)가 권취되는 부위이며, 상기 몸체(210)의 폭(P)은 와이어(W)가 수회 감길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권취부(200)는 와이어(W)가 폭 방향으로 수회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와이어(W)에 매달린 조난자에 대한 와이어(W)의 지지력은 최대화 된다.
또한, 와이어(W)가 수회 감긴 상태에서는, 와이어(W)에 조난자가 매달리더라도 와이어(W)와 몸체(210)간에 미끄러짐으로 인해 완강기가 저절로 하강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몸체(210)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W)가 풀려야만 완강기가 하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몸체(210)의 단면은 제1지지판(100A)으로부터 제2지지판(100B)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몸체(210)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몸체(210)의 설치 방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이 지지판(100)에 대응된 상태로 배치되되, 와이어(W)가 풀리는 오른쪽(도면상) 부위가 와이어(W)가 감기는 왼쪽(도면상) 부위에 비해 낮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220)은 상기 몸체(210)가 지지판(100)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몸체(21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몸체(210)의 양면에 형성된 회전축(220) 중, 어느 하나에는 몸체(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H)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장치(300)는 완강기가 하강되는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판(100)의 연장부(110)에 설치된다.
물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강기는 와이어(W)가 풀려야만 하강되며, 손잡이(H)에 의해 와이어(W)가 풀리지 않는다면 완강기는 하강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손잡이(H)가 브레이크 장치(300)와 같은 역할을 하지만,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가 더 설치됨으로써 안정감을 더해줄 수 있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브레이크 장치가 이중으로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300)는, 마찰패드(310)와, 가압판(320)과, 가압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찰패드(310)는 권취부(200)를 중심으로 하방에 배치된 와이어(W)를 선택적으로 잡아주면서 상기 와이어(W)가 상방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완강기가 하강되면, 지면을 향해 배치된 와이어(W)가 상방으로 공급되는 것인데, 상기 마찰패드(310)가 와이어(W)를 잡게 되면, 완강기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판(320)은 마찰패드(310)로 하여금 와이어(W)를 양측에서 잡아 주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제1지지판(100A)의 연장부(110)와 마찰패드 사이에 배치된다.
즉, 가압판(320)은 가압부재(330)에 의해 마찰패드(310)를 가압하면서, 와이어(W) 마찰패드(310)에 의해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330)는 상기 가압판(320)을 마찰패드(310)로 미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압부재(330)는 제1지지판(100A)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압부재(330)는 제1지지판(100A)의 연장부(11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조난자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판(320)을 마찰패드(310) 측으로 밀거나 당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완강기의 결합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권취부(200)에는 와이어(W)가 몸체(210)의 폭(P) 방향으로 수회 권취되며, 와이어(W)가 권취된 권취부(200)는 한 쌍의 지지판(100) 사이에 축 결합된다.
이때, 권취부(200)의 회전축(220)은 지지판(100)에 형성된 축공(101)에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H)는 회전축(2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지지판(100B)의 외측에 배치된다.
한편, 와이어(W)의 일측은 건물의 정해진 장소에 고정되며, 와이어(W)의 타측은 권취부(200)에 수회 권취된 후, 지면을 향해 배치된다.
이때, 와이어(W)는 사다리꼴 원기둥 형태의 권취부(200) 몸체(210) 중, 외경이 작은 부위로부터 외경이 큰 부위를 향해 차례로 감기게 된다.
이후, 와이어(W)는 권취부(200)의 몸체(210) 중 외경이 큰 부위에 감긴 후, 하방에 설치된 브레이크 장치(300)의 마찰패드(310) 사이를 통해 지면을 향해 배치된다.
이로써, 완강기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결합된 완강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완강기에는 별도의 고정수단(G)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수단(G)에는 복수의 고정벨트(V)가 설치된다.
이째, 조난자는 상기 고정벨트(V)에 매달리게 된다.
이때, 완강기는 권취부(200)의 폭(P) 방향으로 와이어(W)가 수회 감긴 만큼, 수 명의 조난자가 매달리더라도 와이어(W)가 손상되거나, 하중에 의해 저절로 하강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조난자는 브레이크 장치(300)의 가압부재(330)를 회전하여 가압판(320)으로 하여금 와이어(W)와 마찰패드(3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조난자는 손잡이(H)를 회전하여 권취부(200)의 몸체(210) 중, 외경이 작은 부위에 감긴 와이어(W)가 풀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W)의 일측이 상방으로 서서히 풀리면서 완강기는 하강된다.
이때, 권취부(200)의 몸체(210) 중, 외경이 작은 부위에 감긴 와이어(W)가 풀리게 되며, 그 와이어(W)가 풀리는 만큼 지면을 향해 배치된 와이어(W)는 상기 몸체(210) 중 외경이 큰 부위에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W)의 일측과 타측이 풀리고 감기는 것을 반복하면서 조난자가 매달린 완강기는 하강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조난자는 손잡이(H)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완강기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와이어(W)는 권취부(200)의 몸체(210)에 감기고 풀리는 과정에서 상기 몸체(210) 상에서 꼬이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는, 권취부(200)의 몸체(210)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즉, 몸체(210)의 경사면을 따라 와이어(W)가 이동되기 때문에, 와이어(W)가 풀린 빈 자리(권취부의 몸체 중 외경이 작은 부위)에는 바로 옆의 와이어(W)가 채우게 되고, 와이어(W)가 이동됨으로 인해 형성된 빈자리(권취부의 몸체 중 외경이 큰 부위)에는 지면측의 와이어(W)가 감기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계속 반복됨으로 인해, 몸체(210) 상에서 와이어(W)가 꼬이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는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형성된 권취부(200)의 몸체(210)에 와이어(W)가 수회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조난자의 중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권취부(200) 몸체(210)의 경사면을 따라 와이어가 이동되기 때문에 와이어(W)가 권취부(200) 몸체(210)에 감기는 과정에서 꼬이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완강기의 내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강기의 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지지판 101 : 축공
110 : 연장부 200 : 권취부
210 : 몸체 220 : 회전축
300 : 브레이크 장치 310 : 마찰패드
320 : 가압판 330 : 가압부재
H : 핸들 W : 와이어
G : 고정수단 V : 벨트
P : 권취부 몸체의 폭

Claims (3)

  1. 서로 대향된 한 쌍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피복되지 않은 와이어가 폭 방향으로 수회 감기도록 형성된 권취부:를 포함하되,
    상기 권취부는,
    어느 하나의 지지판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지지판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양면이 축 결합된 사다리꼴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에는 손잡이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판은 다른 하나의 지지판에 비해 하방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판에는 브레이크 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와이어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마찰패드와,
    어느 하나의 지지판과 마찰패드 사이에 배치된 가압판과,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판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가압판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강기.
KR1020090028881A 2009-04-03 2009-04-03 완강기 KR20100110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81A KR20100110515A (ko) 2009-04-03 2009-04-03 완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881A KR20100110515A (ko) 2009-04-03 2009-04-03 완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0515A true KR20100110515A (ko) 2010-10-13

Family

ID=4313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881A KR20100110515A (ko) 2009-04-03 2009-04-03 완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05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1488A (zh) * 2016-03-03 2016-05-11 吴燕 可控速的卡钩式逃生袋
CN105561487A (zh) * 2016-03-03 2016-05-11 吴燕 挂钩式应急逃生袋
CN105664384A (zh) * 2016-04-08 2016-06-15 吴燕 卡钩式应急逃生袋
CN105727464A (zh) * 2016-03-03 2016-07-06 吴燕 可控速的挂钩式逃生袋
KR20210012590A (ko) * 2019-07-26 2021-02-03 조성제 완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61488A (zh) * 2016-03-03 2016-05-11 吴燕 可控速的卡钩式逃生袋
CN105561487A (zh) * 2016-03-03 2016-05-11 吴燕 挂钩式应急逃生袋
CN105727464A (zh) * 2016-03-03 2016-07-06 吴燕 可控速的挂钩式逃生袋
CN105664384A (zh) * 2016-04-08 2016-06-15 吴燕 卡钩式应急逃生袋
KR20210012590A (ko) * 2019-07-26 2021-02-03 조성제 완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2017B2 (ja) 救命装備
JP5060567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巻き掛け方法、及び部材
KR20100110515A (ko) 완강기
CA2760558A1 (e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elevator
JP2012096911A (ja) エレベーター用補助避難装置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KR100772203B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KR102169897B1 (ko) 재난 대피장치
KR102205499B1 (ko)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100879314B1 (ko) 탈출용 윈치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CN112125087B (zh) 破坏平衡救援装置及电梯
JP3165953U (ja) エレベーター用補助避難装置
KR102237673B1 (ko) 안전 대피장치
KR102360863B1 (ko) 하향식 피난장치
CN210904706U (zh) 建筑逃生结构
JP2008520302A (ja) 建物から人を救助・避難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
CN106552363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65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54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06552335A (zh) 一种多功能放绳设备
CN117468854A (zh) 一种改进的高楼应急自动疏散梯
JPH0723785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懸架機構
JPH08301583A (ja) 電動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